취업 관련 채널을 운영 중인 비빌언덕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짧은 시간동안 핵심만 전달 하시느라 애쓰신 흔적이 많이 느껴지네요^^ 취준생분들께서 혹시나 이 댓글을 보신다면 덧붙이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영상을 보고 누군가는 과도하게 겁을 먹고 더욱 막막하게 느껴지실 수 있겠지만 이미 여러분은 오래전부터 치열한 경쟁 과정을 거쳐오며 많은 연습을 했고 또 다방면으로 훈련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미리 겁을 집어 먹을 필요 없습니다. 취업이라는 과정은 명확한 시작점이 없이 자연스럽게 시작되기 마련이죠. STAR라고 하는, 조금은 정형화된 개념만 듣고 '이제부터 어떡하지?' 라고 걱정하기 보다는 지나온 과정을 먼저 잘 정리해보길 바라요. 지금껏 잘해왔고 조금만 다듬으면 될만한 것들이 생각보다 많을 거예요! 여러분의 경험치를 수치화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아무쪼록 다들 힘내세요 응원합니다^^
여러가지를 할 수 있는 사람을 찾는 이유는 아마도 인건비 절감+정년보장불가가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명 머리 맞대고 업무 별 결과를 만들며 분업 하는 것 보다 한 가지 잘하며 다른 업무도 기본 이상하는 몇 명에게 돈 더 주고 돌리는 것이 전체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겠죠. 그러면서도 회사는 돌아가고 수익은 발생하니까요. 지원업무들은 점점 전사 업무로 올리고 역할단위 조직 아닌 고객이나 플젝 단위로 재편하는거, 그럼 사람 수는 줄어들고 같은 수익에 인건비는 줄 수 있지 않을까요. 현재 제가 있는곳은 사람 줄이고 업무 대부분을 시스템화 시키며 예전에는 누군가 해주던 일들을 이제는 시스템 활용해서 본인이 직접 하고있죠. 혹시나 이 내용보며 대기업 중소기업화, 신입의 경력직화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현장에서 느끼는 생각은 좀 다르네요. 그냥 본인 업무 이외에도 다른 일들을 망설임 없이 도전해서 결과를 내는 것을 원하는 것이지 경력과 신입은 누가 뭐래도 차이 많이 납니다. 다만 마인드 차이를 기대하는 것이고 그것에 대한 실 경험사례를 갖고있기를, 근거를 확인하고 싶어하는 것 뿐이라 생각되네요. 그러니 포기마시고 무엇인가 목표세우고 도전 할 적에 부딪히는 비전문영역이나 관련 영역에 대해서 직접 알아보고 해결하는 경험을 만드시면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참고로 10년 전에도 입사 시 영어성적이나 학점 이외에도 지원 직무와 무관하게 무엇을 해보았는지, 그래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그리고 실제 10년 채워가는 지금 주변을 보면 그렇게 다른 활동도 잘 해온 사람들이 실제 관계나 성과가 좋은 편입니다. 제가 그렇게 느낀다면 채용관련 부서에서는 이미 데이터화해서 채용시 반영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 싶네요.
Situation - 어떤 상황에 처해 봤는가? Task/Target - 그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제를 수행 해봤는가? / 상황을 헤쳐나가면서 나의 어떤 부분을 발전시키고 싶었는가?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이었는가? Action - 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해봤는가? Result - 어떤 결과를 내었는가? 구체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가?
Ibang Uqh 172
2019년 12월 24일 17:26요약 : 경력 같은 신입 찾습니다.
@박공-y5s 79
2019년 12월 25일 20:50요새 채용 트렌드는 안뽑는거 라고함
@복자-r3s 76
2019년 12월 24일 17:22이번 영상에는 오류가 존재하다고 생각합니다.
1. 분업화 아닌 통합화
- 출판사를 예를 들었지만,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멀티플레이어를 원래 부터 원했습니다.
2. 대기업 예시가 없다는 것이 현재 취업 트렌드를 알려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 청년들이 취업을 목표를 상위 목표를 잡듯이 그 대상이 대기업에 맞춰진 예시 또는 방법이어야 하는데 , 현 강사분 또는 저자분은 다른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3, 구체적인 디테일 없는 희망적인 내용이 많습니다.
- 실례로 대기업 다니다가 중고 신입 가는 경우가 많은것이 현실인데 이것에 대해 언급이 없습니다.
님들이 졸업생이라고 우대 받기 보다, 진작에 업무경험 쌓은 사람이 더 선호 한다는 것입니다.
대화 내용이 이상적인 얘기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 영상만으로 보는 저의 견해 입니다.
취업 현실을 지옥이고 , 이분처럼 트렌드 따라서만 맞추러고 하면 그 또한 뒤쳐지는 겁니다.
@hong.3 47
2019년 12월 24일 23:44NCS랑 지싸트 빡공해서,
최대한 많은 기업들 면접가는게 답임.
그리고 저기서 나랑 맞는 면접관걸리는 회사 최종합격
@인팁-p5r 45
2019년 12월 24일 19:36신입이 대체 어디서 경력을 쌓고, 실무능력을 갖출까
@yooncoachlab 44
2019년 12월 25일 04:11[채용트렌드 2020] 저자 윤영돈입니다.
컷편집만으로 이렇게 이야기를 끌어내는 신사임당 진짜 유튜브 전문가네요.~^^ 크리스마스 선물 감사합니다.~♡♡
@kyongtaelee6586 37
2019년 12월 25일 08:47돈적게받고 멀티할수있는 신입같은경력자 원하겠지
@현명한투자자-z6z 37
2019년 12월 24일 23:01예전부터 생각했었는데 기업에서는 원하는 인재상하고 학교에서 하는 공교육하고 먼가 미스매치가 많은 것 같음. 기업에서 원하는 인재상은 한국공교육보다는 미국, 독일, 프랑스 , 유태인 같은 선진국교육을 받아야 충족 될 것 같아요.
@wooreung 34
2019년 12월 24일 23:10글쎄요 저건 요즘 트랜드가 아니라 증소기업의 현실 아닌가요 ?? 사람이 없어서 이것저것 다 해야 하는 상황
아니면 진짜 대기업 상위 탑레벨의 기업에서 실험적인 상황 아닐까요
@이히-s4l 32
2019년 12월 24일 20:08직무이해도니 뭐니 다 필요없고 경험이나 경력없으면 그냥 경쟁할 수 있는 구도 자체가 형성이 안되는 세상입니다. 나머지 것들은 경력이 어느정도 갖춰지고 난 뒤에나 할 이야기라고 봐요. 순전히 경험담입니다.
@띵호우 27
2019년 12월 24일 18:16이정도 할려면 1인기업 대표인건가요???
@박사장-l7h 26
2019년 12월 24일 21:56이제 4학년졸업한 대딩이 저런걸 어캐알고 경험하지
@widhjkh 25
2019년 12월 25일 19:04이정도면 그냥 창업하는게 낫지않나요
@llaliaall9533 23
2019년 12월 29일 17:40N잡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것저것 다 경험하고 이직할라고하면 나이많다고 안뽑자나
balan Alde 22
2019년 12월 24일 17:25대기업의 중소기업화 ㅋㅋㅋ
@리버풀-q5u 21
2019년 12월 24일 23:52ㅈㄴ잡일싹다해봐야함
유통도해보고 배달도해보고 인터넷쇼핑몰도 해보고
쇼핑몰 사진작업도 싹다 해보고 엑셀도해보고
결론 ㅡ 이거 다 할줄알면 자영업하지
난 솔직히 진짜 인생은 나혼자 먹고살수있게 멘탈리티와 인내,센스가필요함 이단어들이 진짜 별거아니지만 별거아닌게아님 ㅈㄴ큰 시간들이 모이고모여서 그게 비범한게 돼는거아닌가...생각해봄
@iron4876 16
2019년 12월 24일 21:402020년도 취업트렌드가 아니라 우측에 계신분은 자기만이 생각하는 취업트렌드가 아닌가 싶습니다
@kwjsoul 15
2019년 12월 24일 23:25그러나 임금은 스페셜리스트 때 받던 만큼만 준다. 일은 더 늘고, 임금은 고정인 이상한 현상.
@현명한투자자-z6z 12
2019년 12월 24일 22:51제가 알기로 독일은 제너럴리스트보다 한가지 기술에 스폐셜리스트를 선호한다는 글을 본적 있는데 한국만 여러가지 잘하는 제너럴리스트를 선호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나라도 그런건가요?
@junyounghong7735 10
2019년 12월 25일 11:01문과 취업하기 더 힘들겠네. 회사에서는 이과 뽑아서 경영, 마케팅 등등 교육 시키더만...
@비빌언덕 10
2019년 12월 24일 19:28취업 관련 채널을 운영 중인 비빌언덕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짧은 시간동안 핵심만 전달 하시느라 애쓰신 흔적이 많이 느껴지네요^^ 취준생분들께서 혹시나 이 댓글을 보신다면 덧붙이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영상을 보고 누군가는 과도하게 겁을 먹고 더욱 막막하게 느껴지실 수 있겠지만 이미 여러분은 오래전부터 치열한 경쟁 과정을 거쳐오며 많은 연습을 했고 또 다방면으로 훈련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미리 겁을 집어 먹을 필요 없습니다.
취업이라는 과정은 명확한 시작점이 없이 자연스럽게 시작되기 마련이죠. STAR라고 하는, 조금은 정형화된 개념만 듣고 '이제부터 어떡하지?' 라고 걱정하기 보다는 지나온 과정을 먼저 잘 정리해보길 바라요. 지금껏 잘해왔고 조금만 다듬으면
될만한 것들이 생각보다 많을 거예요!
여러분의 경험치를 수치화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아무쪼록 다들 힘내세요 응원합니다^^
@Vanquar 9
2019년 12월 24일 20:36일에 관한 9가지 거짓말인가 뭔가 하는 책에서 다재다능한 사람은 없고 오히려 그렇게 시키면 성과도 별로 안 나온다고 하는데 역행하고 있네...
S Lee 9
2019년 12월 25일 09:22별 기대없이 들어와서 보다가 많이 배우고 갑니다. 애플이 저런 조직이라고 하더라구요. 스타트업이 수십개 모여있는 듯한 기업구조. 한국도 따라가는가보네요.
X 8
2019년 12월 24일 18:16공무원시험합격은 에듀윌~
Inhe Lee 8
2019년 12월 31일 19:36N잡러. 경력이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사고력을 말하는것임. 신입한테 기대하는 건 생각하고 해결하고 학습해나갈 줄 아는 사람인가임. 그냥 시키는대로 하면서 편하게 살길 바라는 사람들 걸러 내고 싶은거임.
@directoryvonne 8
2019년 12월 25일 16:01뽑히고 나니 알겠더라구요... 완전 공감...
@act2scene625 8
2019년 12월 24일 18:21채용시장에 답은 없는 것 같아요.
다만 답'들'이라는 점에서 신경써야하는 부분이긴 하겠죠.
모든 트렌드서가 그렇듯 시장을 보는 것에 필요한 참고 정도가 되는 것 같네요.
더 자세한건 책을 봐야 알겠지만...
@별찌-k5n 7
2019년 12월 26일 19:55일자리는 많다
질 좋은 일자리가 없을 뿐이다
공무원 짱
@mipingcampus 6
2019년 12월 24일 17:20스타트업에 적합한 인재형이네요~
알파와 오메가를 아우르는 링커!
우리말로 한 끝?
@danielleem145 6
2019년 12월 26일 00:23요즘 20대의 취준생들의 현실이 보이는 영상이기도 합니다.
대기업 취직은 여전히 하늘의 별따기라면 중소기업이라도 기웃기웃 해야하는데 여기서 원하는 인재는 역시 멀티플레이어 혹은 경력 있는 신입을 원하게 되죠.
실제로 경력 있는 신입을 원하는 회사들이 점점 더 많아지더군요.
이 얘기는 여기서 끝내고 결국 회사 조직, 회사 경영에는 저는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애자일도 결국 어떤 경영 메타 중 하나일 것이고 메타는 계속 돌고 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애자일이 가장 적합한 구역이 있을거고 가장 적합하지 않은 구역이 있을겁니다. 예를 들면 신제품 주기를 가장 빠르게 해야하는 프로덕트 쪽은 애자일이 가장 적합할거라 생각합니다.
반면에 가장 흔한 워터폴도 가장 적합한 구역이 있을거고 반대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구역이 있을겁니다.
결과적으로 요즘처럼 시대가 10년 주기로 큰 흐름으로 바뀌는 시대라면 애자일 방식으로 실시간 방어(?), 실시간 대응(?) 이런 방식으로 회사가 경영이 되는게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4~7인 정도의 소규모 조직을 회사에서 계속 조직수를 늘린다면 적어도 깊이는 모를지라도 실행 속도는 가장 빠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gaszerg 6
2019년 12월 30일 20:5119년도 하반기에 4대기업 중 한 곳 연구개발직입사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분 이야기가 대부분 맞습니다. 완전 공감!
저는 졸업후에는 기술"역량"을 쌓고
자소서에서 "애자일"을 말하고
인적성 수능준비하듯이보고
Pt면접 영어면접 "ai"면접 창의성면접 토의면접..
최종면접에서는 2번째 질문이 "20년"뒤에 뭐할꺼냐?(저는 아이오티 도전하는 "사회" 이런이야기...)
였습니다.
채용과정에서 느낀점으로 경쟁자<<는 같이 본 동기들이 아니라 40대 과장이라고 생각하고 준비했습니다.
제네럴과 스페셜은...
자기스페셜없이 제네럴은 안나온다는 마음가짐
자기 특기없는 제네럴리스트는 안뽑아요
요즘 ㄹㅇ 힘듭니다. 20대 그리고 40대 퇴직후 괜히 징징되는게 아니져
@quwang18 6
2019년 12월 25일 09:27여러가지를 할 수 있는 사람을 찾는 이유는 아마도 인건비 절감+정년보장불가가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러명 머리 맞대고 업무 별 결과를 만들며 분업 하는 것 보다 한 가지 잘하며 다른 업무도 기본 이상하는 몇 명에게 돈 더 주고 돌리는 것이 전체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겠죠. 그러면서도 회사는 돌아가고 수익은 발생하니까요.
지원업무들은 점점 전사 업무로 올리고 역할단위 조직 아닌 고객이나 플젝 단위로 재편하는거, 그럼 사람 수는 줄어들고 같은 수익에 인건비는 줄 수 있지 않을까요. 현재 제가 있는곳은 사람 줄이고 업무 대부분을 시스템화 시키며 예전에는 누군가 해주던 일들을 이제는 시스템 활용해서 본인이 직접 하고있죠.
혹시나 이 내용보며 대기업 중소기업화, 신입의 경력직화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현장에서 느끼는 생각은 좀 다르네요.
그냥 본인 업무 이외에도 다른 일들을 망설임 없이 도전해서 결과를 내는 것을 원하는 것이지 경력과 신입은 누가 뭐래도 차이 많이 납니다. 다만 마인드 차이를 기대하는 것이고 그것에 대한 실 경험사례를 갖고있기를, 근거를 확인하고 싶어하는 것 뿐이라 생각되네요.
그러니 포기마시고 무엇인가 목표세우고 도전 할 적에 부딪히는 비전문영역이나 관련 영역에 대해서 직접 알아보고 해결하는 경험을 만드시면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참고로 10년 전에도 입사 시 영어성적이나 학점 이외에도 지원 직무와 무관하게 무엇을 해보았는지, 그래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물어봤습니다. 그리고 실제 10년 채워가는 지금 주변을 보면 그렇게 다른 활동도 잘 해온 사람들이 실제 관계나 성과가 좋은 편입니다. 제가 그렇게 느낀다면 채용관련 부서에서는 이미 데이터화해서 채용시 반영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 싶네요.
@taekim99 6
2019년 12월 24일 19:13중소기업에서 잡일 다해보는 것과 대기업에서 그나마? 비교적? 한 분야의 일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인가요? 제너럴리트와 스페셜리트스의 차이점이?
@안혁순-r5e 5
2019년 12월 24일 18:39올 5월에 입사했는데 면접때 질문의 결이 비슷했던것 같네요. 회사 내 부서 통합도 경험하고 있습니다.
@어거스트-p7d 5
2019년 12월 24일 17:28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초지능 초연결 초융합이 생각납니당.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해요 :)
Jay Choi 5
2019년 12월 24일 19:52마케팅이 코딩도 하라는듯?ㅋㅋㅋ
참교육 5
2019년 12월 26일 09:08네 다음 중소기업
@yongkim_ 5
2019년 12월 24일 17:17이젠분업이아닌 올라운더가되야한다
Star기법학교에서 배웠는데 ...좋네요 도움많이받고갑니다
@yoututbe-b8x 4
2019년 12월 25일 00:09ㅎ..우리네 아버지세대.. 예전엔 4년제 대학에 학점 그지여도 대기업 갔다고 하던데... 지금생각해보면진짜...
@choizaka 3
2019년 12월 24일 18:02윤영돈 작가님이랑 약 20분정도 대화할기회가 있었는데 책한권 속독한것 같았어요. 여기서 뵈니 반갑네요.
신사임당님 채널은 마치 광장 같아요.
나니 3
2019년 12월 27일 19:04저러니 공무원에 몰리지
@edward9876 3
2019년 12월 24일 17:50성공적인 취업을 위해서 창업다마고치도 시청해야할 판이군요
추니춘 2
2019년 12월 24일 17:02오메 이걸 실시간으로?
gg_ ww 2
2019년 12월 24일 22:47하... 저 뭐해먹고 살아요....
Araboza 2
2019년 12월 24일 17:051등?
5D건축도시 2
2019년 12월 25일 19:12신사임당님 사랑의 불시착에 나오는 김영민 배우 닮으셨어용
@BenBen0906 1
2019년 12월 26일 01:06결론은 실력을 키우면 나머지들은 다 따라온다는거군요
@mountainpenguin12 1
2019년 12월 25일 09:32취준생으로서 굉장히 유익한 영상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돈워리비해피 1
2020년 1월 03일 10:16학교에서 실무(혹은 경험)로 잘 가르쳐주는 학교를 다녔더니(모든걸 실무로 다 알려줌)
내가 10년 경력 차장 8년 경력 부장님 보다
아는게 많더라...........( 물론 다라고 할 수 없지만.... 차장,부장님도 나한테 가끔 물어볼 정도였음)
근데 나 뿐만 아니라
우리학교 출신이 거의 그래서
선호하는 회사가 많았움....
난 만족 했습니다.ㅋ
해야하는 과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면
모든걸 집중해서 열심히 익히면 됩니당.
@agstn 1
2019년 12월 26일 13:06Situation - 어떤 상황에 처해 봤는가?
Task/Target - 그 상황을 헤쳐나가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제를 수행 해봤는가? / 상황을 헤쳐나가면서 나의 어떤 부분을 발전시키고 싶었는가?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이었는가?
Action - 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해봤는가?
Result - 어떤 결과를 내었는가? 구체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는가?
더 공부하고 발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분육감 1
2019년 12월 25일 12:03상당한 인사이트를 얻은 인터뷰였습니다.
가족도 하나의 팀이라는점이 인상이 깊네요.
좋은영상 감사하고 다음영상에서 또 기다릴게요!
@phqwin 1
2019년 12월 24일 17:08잘 보고 갑니다~ 건강하세요~
원하하 1
2019년 12월 25일 16:57ㅋㅋ.. 교수도 공과 빼곤 쓸데가없구나 쓸데가
@세상-b4q 1
2019년 12월 28일 15:36부정적인 댓글이 많지만 실제로 부정적인 상황에 있는 사람이라도 위에 말씀하시는 것처럼 행동하고 사는 사람은 퇴사하고 사업을 차리던 알아서 잘 하더라고요...
하유진 1
2020년 2월 29일 23:29재수 삼수 사수를 해서라도 의치한수를가는게 답인듯
@지블루-o4i 1
2019년 12월 24일 23:23누군가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게는 현실이 되고 그 현실이 미래가 됩니다.신사임당님. 항상 좋은 이야기 많이 들려주어서 감사 합니다 ㅎㅎ
미땡 일상 log 1
2019년 12월 26일 08:26하...어렵네요😢
@귀농한콩아지
2021년 7월 29일 20:13채용업무 3년째 하고 있는데, 정말 공감가는 내용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에스겔준
2019년 12월 25일 10:03프로그래머들도 처음엔 분업화에 큰의미를 두었다면 풀스택과 제너럴리스트에 대한 수요가 생기게 된 이유같아서 소름돋았습니다
@살라다-y3f
2020년 1월 08일 08:46정말공감 갑니다. 그리고 분사를 잘시키위한 팁도 언젠가 올려주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me스타플라워
2019년 12월 24일 19:45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ane Joo
2019년 12월 24일 20:31참좋은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Get thankyou
2019년 12월 25일 18:17오 유익한 2020 트랜드 정보, 쌩유베리 감사요~👍
통합.워라하.워라인.
Crazy Man Promen
2022년 3월 03일 11:00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Taha oynuyor aile
2022년 3월 03일 11:00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직진남-장사직설마이
2019년 12월 25일 15:37매일 매일 컨텐츠가 기다려지네요
매번 감사합니다.
피자먹는갈매기
2020년 5월 16일 21:366:06 북마크
FunFunDaddy펀펀아빠
2019년 12월 24일 18:23저도 처음 알았네요
김노미
2020년 7월 06일 12:47잘들었서요
김민선
2020년 6월 02일 01:19N잡러. 저군요. 뭔지도 모르다 N잡러^^
Andy Lee
2019년 12월 25일 02:42ㅈㄴ 꼰대...
대갈킹
2019년 12월 28일 15:07그놈의 피터드러커 ㅎ
jj k
2019년 12월 24일 20:40...이분....
SEJUN PARK
2019년 12월 29일 08:02옛말에 재주많은놈 밥굶는다고 했는데....
@namcheolko6874
2020년 11월 18일 17:24지금은 그냥 다 잘하는 사람을 원하네요... 신입인데 경력있는 나이어린 신입... 말도 안되는
근육맨
2019년 12월 24일 21:05해피크리스마스임당 :)
신상하
2020년 1월 01일 21:36포트폴리오 만들어서 수치화 하기
Seongjin Park
2019년 12월 24일 20:49'일당백'
신미자
2020년 7월 14일 10:48잘들었어요
@nwheo
2019년 12월 31일 22:04취업트랜드를 확실히 설명해 주시네요. 멋쪄요..
DVDV
2022년 3월 03일 11:00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asdasd asdasdasd
2022년 3월 03일 11:00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최순생
2020년 7월 04일 15:092020채용드렌트구직활동잘들어읍니다
Nam Cheol Ko
2020년 11월 18일 17:25지금은 그냥 다 잘하는 사람을 원하네요... 신입인데 경력있는 나이어린 신입... 말도 안되는
PLATIN BOWS
2022년 3월 03일 11:00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ah yun
2019년 12월 25일 00:47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
@jonicsilver3575
2019년 12월 29일 21:39웃음이나면서 슬프고 참.. 아이러니한 현실이다 버텨야죠..
@amyyoo619
2019년 12월 25일 08:52다양한 경험으로 개인의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말씀 공감합니다. 그러나 성실성 또한 재능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모든것이 그 회사의 분야와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mipi319
2019년 12월 24일 17:18와아...따끈따끈한 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