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적 사고를 하기 위해 3차원의 공부를 해야 한다는데는 동의하지만 진짜 융합적 사고를 사람만 할 수 있을까 하는 지점에서는 의문과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로봇도 나올꺼라는데 융합적 사고를 못하리란 법도 없지 않을까... 영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일들이 현실화 되지는 않을지 살짝 두려워지기도 하네요~^^;;
저 고1인데 이 영상을 보고 제가 그동안 시험을 잘보기 위해 공부해왔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즉, 1차원 공부를 해왔다는거죠. 저는 시험만 잘보기 위해 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수학문제를 풀다가 이해안되는 문제가 나오면 그 문제의 해설을 보고 해설을 외워버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해안되는 부분을 외우려고 하니까 공부에 흥미가 떨어져서 딴짓을 한 적이 많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이 영상을 보고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공부해나갈건지,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중학생 때까지는 내가 3차원 학습자였다고 장담할 수 있음. 근데 고등학교 들어오고 학교가 원하는 대로 공부 했는데 생각의 범위 자체가 너무 좁아진 느낌이 몸으로 느껴짐. 생각할 시간 조차 우리에겐 주어지지 않음. 그리고 선생님들, 당연히 각자의 분야에선 엄청 고지식함. 근데 대부분의 교사들이 사람 자체가 멍청함 그리고 그걸 가르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대로 받아들임
결국 사람사는 인생에 정답이란건 없는데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정답을 요구하는 공부만 해왔죠. 그러니 진짜 내 인생을 살아야 되는 시기에도 남들이 정답이라 여기는 기준에만 갇혀서 자기 자신을 잃고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이러한 정답이 보이는 분야는 인공지능이 거의 다 해결할텐데 이제는 나만의 생각과 나만의 정답을 내 인생 속에서 스스로 탐구하고 개척해나가는 공부가 진짜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공부에 단계에 대해 정말 잘 얘기해주셨네요 이제껏 1차원적인 공부를 했습니다. 그러니 지식의 깊이가 얕았습니다 그러다 이래선 안되겠다싶고 재미가 없어서 3차원적인 공부를 즐기며 깊이있게 하려고 노력하는 1인 입니다 책그림님의 요약과 정리 그리고 인싸이트는 언제나 반갑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일 많이 생기는 하루되세요 ~
틀에 박힌, 암기 위주의, 절대적인 양을 따져 효율적인 공부법으로 정해진 지식만을 습득하고 1차원을 넘어서 2차원의 성격을 요하는 입시에 진절머리나고 입시의 진정한 이유를 찾지 못해 우울증까지 겪는 등 정신적 스트레스가 너무 심했어요. 남들이 다 하고 강요하는데 나 혼자 뒤떨어진 오리같아 힘들어서 다 포기할까도 생각했었어요.
사실, 이런 말 하기 부끄럽지만 저는 창의력이 뛰어난 아이이고,(어린이 영재 테스트 상위 0.1이었었네요) 창의력을 이용한 일들을 하기를 원하고 좋아했지만, 중학교 떄부터 입시의 길로 접어들며 맞지 않는 옷을 입은 듯 너무 힘들었어요.
현재 고2인데, 수능 딱 1년 남은 지금, 입시와 4차 산업 혁명을 대비한 기술 배우기 및 재테크 공부, 책을 읽어 창의력 키우기 및 정보 수집 등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공부를 할지 갈림길에 서 있었어요.
입시를 하다 이건 전혀 미래를 위한 공부가 아닌 것 같아 입시를 하다말다 하다말다를 반복했었는데, 오늘 딱 이 영상을 보고 생각을 굳혔습니다.
대학과 입시는 마치 1차 산업혁명 때서의 노동자들을 양성하는 수단과 방법 중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 것 이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과연 ai는 간단하게 도출하는 값을 인간이 죽어라 공부해 서민들끼리 우위를 가르는 것이 정말 의의가 있을까요?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기술과 창의력이 답이라고 생각해요. 기술 위에 군림하고 기술의 방향성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실력자가 진정한 실력자 입니다.
중고등학교 내신, 대학교 시험, 공무원 시험, 각종 자격증 시험 보시는 분들은 1차원적인 공부방법으로 해야 가장 시간을 아끼면서 빠르게 합격합니다. 위 시험들은 다 답도 있고 단순암기로 100점 가능한 문제들이죠. 시험에서 합격하기 위해서는 딱 그만큼만 공부를 해야 가장 효율적으로 빠르게 합격합니다.
시험 공부를 여기서 말하는 3차원방식으로 공부하는건 시험합격이 주가 아니라 이론 그 자체를 공부하는 바보같은 공부방법이죠 이런 영상을 보더라도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보세요
수능은 그나마 2차 80% 3차 20% 정도인것 같고 나머지 내신 자격증 공무원 등등은 그냥 1차원이 잴 빠릅니다.
영상에 나온 내용은 2차원 공부까지 잘 했다고 정신 승리하고 있지 마라, 4차 산업혁명이 되어 현재 가지고 있는 직업군이 사라져서 새로운 직업을 가지게 됐을 때 살아남는 핵심은 지식이 알려지지 않은 것을 연구해서 학습하는 능력을 가지라는 겁니다. 아무도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이 없으니까요. 왜냐? 아무도 그 직업을 가져 본 적이 없어서 모르니까요.
과연 그럴까요? 저는 일부만 그렇게 될거라고 생각하네요. 3차원적인 공부를 실현하고 남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결국 2차원적인 공부가 동반될 수 밖에없죠. 특히 우리나라는 완전암기하고 얼마나 암기를 잘했는지를 물어보는 시험이니깐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고 그 암기를 완벽하게 잘 하지 못해내면 사회에서는 결국 쳐다봐주지도 않으니깐 어쩔수 없죠
4차 산업혁명이 밀려오면 일단 500백만명 일자리들 잃게 되는데 30%가 일을해서 70%를 먹여 살려아하는 구조로 바뀐다 ●인터넷을 통하여 스마트팩토리에서 공장 움직여지고 ● 건설현장 3D프린터 인터넷으로 움직이고 ●무인식당 무인요리사 로봇이 하는시대 ●무인자동차 트럭 택시 버스운전사 필요없는시대 ●택배 드론택배회사 나왔고 ●로봇 가장친절한 간호사 간병인 나올테고 ●사무직도 타격이 엄청날거고 각계 분야가 확 바뀐다 어쩔 수 없는 4차 산업시대를 맞이해야 한다 이시점에서 경제천재 허경영 총재님이 나오셔서 국민배당금제 18세이상 국민이면 배당금 통장으로 본인 아니면 절대 빼서 쓸 수 없는 시스템으로 평생지급 국민은 국가의 주주로서 태어나자 마자 14억짜리 국가증권을 받는다 매매는 안됨 여기에 예산은 증세 안 해도 다 계획 되어있고 경제천재 허경영 총재님 은 무한대 두뇌에서 나오는 이미 설계된 세계 최초의 기술들 내놓고 전세계가 절대 따라서 할 수 없는 영성기술은 지금 국민들이 모르지만 지지자들 만 알고 있는데 이 어마어마 한 기술을 보지 못한 사람들은 이상한 허구적인 사람으로 지금 외면하지만 전세계 사람들이 찾아왔다 중국과 일본은 본토인들이 찾아와 경험
@Kdudrjs 95
2019년 9월 06일 20:56역시 공부는 시험보단 나를 위해서 하고
자신의 머리에서 진정 이해하는 공부가
진짜 공부인것 같아요
매력적이네요 3차원공부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했습니다 책그림이 저의 '등불이군요'
@sup1877 51
2019년 9월 06일 21:04평소에 남들보다 공부속도가 느리고 왜 시험에 안 나오는걸 고민하고 있냐고 걱정어린 핀잔을 들어, 저 또한 제 자신을 믿을 수 없었던 저에게 확신을 주는 영상이었습니다! 꼭 저 책 읽어보려고 합니다 ㅎㅎ
@diamondsutra88 37
2019년 9월 13일 19:31일단 대학을가려면 1*2차 학습법이 우선이고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는
모두가 3차원 학습법을 한 인재를
원한다라는 아이러니~
@영혼21 35
2019년 9월 06일 20:12항상 좋은 책을 핵심적으로 잘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즐겁게 깊게 하는 공부~ 뒤늦게 3차원 공부의 매력에 빠지고 있는 50대입니다^^
@역사읽어주는여자 31
2019년 9월 06일 20:47결국 철학과 인문학이 더 중요해지는 시기가 오고 고대로의 회귀가 이루어지지않을까요. 고대와 중세시대만 하더라도 철학,정치,수학,과학자,천문학자,회화 모든것들을 다했으니까요. 지금 시대에 필요한 공부법일것같네요
@엄마의책장 26
2019년 9월 06일 20:16융합적 사고를 하기 위해 3차원의 공부를 해야 한다는데는 동의하지만 진짜 융합적 사고를 사람만 할 수 있을까 하는 지점에서는 의문과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로봇도 나올꺼라는데 융합적 사고를 못하리란 법도 없지 않을까... 영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일들이 현실화 되지는 않을지 살짝 두려워지기도 하네요~^^;;
@mathadmission1742 17
2019년 9월 11일 00:133차원 공부를 하려면 머리가 좋거나 1,2 차원 공부가 되어 있어야함...70%정도의 학생은 기본도 안되어 있어 3차원 공부 못함. 저자는 이상적이 얘기만 하는 거임. 현실은 책에 있는 내용도 이해 못하는 학생이 태반임.
K SH 15
2019년 9월 06일 21:55취업하고 돈을벌어야 공부할수있는데.. ㅠㅠ
@무덤-u7h 12
2019년 9월 07일 22:56저 고1인데 이 영상을 보고 제가 그동안 시험을 잘보기 위해 공부해왔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즉, 1차원 공부를 해왔다는거죠.
저는 시험만 잘보기 위해 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수학문제를 풀다가 이해안되는 문제가 나오면 그 문제의 해설을 보고 해설을 외워버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해안되는 부분을 외우려고 하니까 공부에 흥미가 떨어져서 딴짓을 한 적이 많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이 영상을 보고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공부해나갈건지,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인재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eunjin yang 10
2019년 9월 12일 10:221차 2차 공부를 제대로 할수 있는 사람만이 3차 공부를 할수 있는거 예요.
1차 2차 공부가 안되는 사람이 어떻게 3차 공부를 할 수 있겠읍니까???
@wo0fw00f 10
2019년 9월 12일 17:36중학생 때까지는 내가 3차원 학습자였다고 장담할 수 있음. 근데 고등학교 들어오고 학교가 원하는 대로 공부 했는데 생각의 범위 자체가 너무 좁아진 느낌이 몸으로 느껴짐. 생각할 시간 조차 우리에겐 주어지지 않음. 그리고 선생님들, 당연히 각자의 분야에선 엄청 고지식함. 근데 대부분의 교사들이 사람 자체가 멍청함 그리고 그걸 가르치고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대로 받아들임
옥션냉동꽃게 10
2019년 9월 09일 10:57현재는 졸업했지만 대학들어가기 전 까진 1~2차원 이였는데 대학가서 전공 공부하게되니까 자연스럽게 3차원으로 넘어가게 되더군요. 좋아하는일 하고 살아야한다는게 이런건가보네요.
@Ares-f3y 8
2019년 9월 06일 20:50재미있게 독학으로 했었는데...
국비를 교육을 이용하니 흥미가 없어서 그런지 하기 힘들어 지는것때문에 왜 그렇지 했었는데.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었네요
@엠비언카페 8
2019년 9월 07일 11:01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고 하는데 정말 그런거 같아요
노동이라 생각하지 않고 열정으로 공부하기 때문에 동기가 다르죠
그렇기에 더 꾸준히 더 많이 공부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 사람이 부럽습니다!
@MayanStory 8
2019년 9월 09일 14:31마음에 우러나지 않은 결과물은 결국 고갈되고 잊히기 마련이죠. 당장 자신부터도 그 이상 우려내고 확장할 필요를 못 느끼니 말이에요.
@ljs91389142 6
2019년 9월 06일 20:27나는 뭘 하면서 살아야하나
@dreamcoach77 5
2019년 9월 06일 20:52어제 보다가 중간에 중지되어서 궁금하던차에. 이렇게 다시 올라오니 궁금증이 해결 되었습니다. 공부에 대한 진짜 공부를 생각하게 되는 책이네요. 읽어보고 생활에 접목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ㅇ^//
@oldbbie 5
2019년 12월 03일 22:23뭐.. 그래도 아직까지는 2차원 공부가 인정 받는 세상. 3차원 공부를 하는 애들은 똑똑해보이지만, 막상 시험쳐보면 2차원 공부하는 애들보다 성적이 낮음.
최승 5
2019년 9월 07일 16:22근데 1,2단계 잘못하면 3단계를 잘하긴 어려울거에요.
@U_jin_Cha 5
2019년 9월 08일 22:593차원 공부에 대한 영상을 보고 있으니 세얼간이 란초가 생각나네요
EAST PAK 4
2019년 9월 07일 00:15근데 학생들한테는 1차원 공부가 불가피하지않나요...? ㅠㅠ여유가 부족한데
@jsm3945 4
2019년 9월 07일 00:23흥미롭네요. 현재 우리나라 입시제도에서는 2차원 공부법이 가장 모범적인 공부법이라서 안타깝습니다.
향후 인간의 개척 의지와 기술의 진보가 만나 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뀐다면 세상이 어떻게 변할까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earanwon7290 3
2019년 9월 06일 21:35소름 돋았어요... 1차원 공부 설명할때부터 뜨끔 했어요 ㅎㅎ.... 지금까지의 저는 시험을 통과하기만을 위해서 공부한 사람이라는것을 느꼈네요. 그에 비해 3차원 공부는 정말 전문가가 갖춰야 할 교양이라고 생각해요!
@GGolfemiKimchiboGDetector 3
2019년 9월 06일 21:48다시 올리셨구나
중간까지 보는데 갑자기 영상이 사라져서 오류인줄
박경숙 수정하셨네요
@갖춘기-나만의생각을 3
2019년 9월 19일 09:38결국 사람사는 인생에 정답이란건 없는데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정답을 요구하는 공부만 해왔죠. 그러니 진짜 내 인생을 살아야 되는 시기에도 남들이 정답이라 여기는 기준에만 갇혀서 자기 자신을 잃고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이러한 정답이 보이는 분야는 인공지능이 거의 다 해결할텐데 이제는 나만의 생각과 나만의 정답을 내 인생 속에서 스스로 탐구하고 개척해나가는 공부가 진짜 필요한 시대가 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오작가 2
2019년 9월 06일 21:21오늘도 정말 좋은 생각을 전달받은것같습니다. 저도 답이 없는 문제를 풀어나가는것을 좋아하는데 포기하지않고 한번 진짜공부를 해봐야겠어요 ^^
@luckyboylee4881 2
2019년 9월 08일 10:02동감이 가는 내용이네요
난 너무 일찍 시작했나 ㅠㅠ
우리나라는 한참멀은듯
도망친대학생 2
2020년 8월 29일 19:44Gimgun brought me here.
@HAECHAN_KEITA 2
2021년 6월 04일 06:461:54 1차원
2:53 2차원
3:53 3차원
5:18 변화
@밑줄긋기 2
2019년 9월 06일 20:141차원의공부 - 살아남기위한 공부(단편,피상적 공부)
2차원의 공부 - 이기기위한 공부(원리나 방식까지 파해치지않음)
3차원의 공부 - 즐기며 깊게 하는 공부(자신이 답을 만들려고 함.예술가,CEO,학자들의 방식)
지금까진 2차원 공부가 중요했지만, 남들과는 다른걸 만들어내야하는 능력이 중요하기에 이젠 3차원 공부가 필요하다라는 말씀 잘 보았습니다.
이 말씀은 곧, 수동적인 사람이 아닌 능동적인 사람이 되라는 말씀으로 와닿았는데, 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모르겠네요 ㅎㅎ
@AAAE731 1
2019년 9월 08일 02:11책그림형의 공부법은 1,2,3중에 어느것인가요
@저스트북 1
2019년 9월 07일 10:15공부에 단계에 대해 정말 잘 얘기해주셨네요
이제껏 1차원적인 공부를 했습니다. 그러니 지식의 깊이가 얕았습니다
그러다 이래선 안되겠다싶고 재미가 없어서
3차원적인 공부를 즐기며 깊이있게 하려고 노력하는 1인 입니다
책그림님의 요약과 정리 그리고 인싸이트는 언제나 반갑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일 많이 생기는 하루되세요 ~
@minki7509 1
2021년 2월 13일 16:451년 전쯤 영상이지만,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영감 받고 갑니다 ^^ 새해복 많이받으세용!
@2323-e2k 1
2019년 9월 07일 11:48하지만, 설명이 상당히 추상적이네요. 단순히 문제를 찾아내고, 해결하는 방식은 너무나도 다양합니다. 이 부분은 아마도 책에 더 자세히 쓰여 있거나, 우리가 스스로 생각해봐야되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김민정-k2c1v 1
2019년 9월 07일 20:07책그림님은 진짜 공부를 하고 계신거 같아요:)
저도 도전! ㅎㅎ
@kido2616 1
2019년 9월 07일 14:58우리 교육제도가 이를 뒷받침 안해주기때문에 이러한 공부법이 진행이 안되는것같네요, 당장 선생님들만 봐도 공부법을 알려주는게 아니라, 모의고사에서 1개라도 더 나오는 문제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보니 ㅠㅠ
적용할수있는 시기라고는 대학 말곤 없네요 ㅠㅠ
@yubiinsight 1
2019년 9월 08일 12:03좋은 말인것 같긴한데 "하고자 한 말"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다른 내용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억지로 끼워맞춘 느낌"이 강하네요.
내면&경제적자유 나오TV[재테크&행복&북튜버] 1
2019년 9월 23일 14:13영상 잘 봤습니다. 인공지능 나오로봇 4차 산업혁명에 맞는 나오로봇을 통하여 경제적 자유 추구 북튜브를 하면서 3차원 공부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40대 초보유튜버이다 보니 편집프로그램과 포토샵을 생전 배워보지도 않았는데 책을 사서 보고 유튜브를 통해서 공부중에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인공지능로봇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워낙 소요되는 시간이 많다보니 정말 즐거움이 없다면 쉽지 않은것 같아요.^^
좋은하루 되세요
@김태형-v8u 1
2019년 9월 11일 00:22음 이 내용은 4차산업이 아니라도 옛날부터 나온 이야기인듯.... 4차산업에 대해서 중요한 것은 공부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 다같이 살아갈 수 있는 정치적 문화를 만들어야하지 않을까요? 어차피 모두 다 즐겁게 공부해도 일자리는 20%밖에 안남는데...
@상학23세 1
2019년 9월 07일 10:49형 항상 좋은 생각들 전해주셔서 감삼다
@pokerclover5226 1
2019년 9월 09일 03:07저같은 학생이 3차원 공부로 공부하다보니 남들에게 공부못한다 놀림받는데 이는 제가 즐겁게 공부한량의 행복을 넘는지가 궁금해지네요
@김승호-w2w 1
2019년 9월 08일 11:351차원에 선이 하나 더해진 것이 2차원, 2차원에 선을 하나 더 한 것이 3차원이죠. 3차원 공부를 하려면 1,2차원의 공부를 갖추고 해야한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공부를 잘 못 해온게 아니죠. 이제 한 차원 더 넘어서야 하는겁니다. 이 영상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자꾸 미래 공부는 현재까지 한 것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해야한다는 표현이 횡행하는게 아쉽습니다.
@fos_kim 1
2019년 9월 07일 02:183차원 공부 시작하겠습니다! ㅎㅎ
@도도도-q9f 1
2019년 9월 09일 21:49즐기며 길게 공부하는 공부. 자신이 답을 찾는 공부
하늘바람 1
2019년 9월 06일 20:29어제 영상이 사라져서 놀랬..
이선우
2019년 9월 07일 20:2510년뒤면 이 인구절반이 절반을 먹여살려야 하는 시대가 온다고 하죠 보통 돈벌어서는 살기힘든 시대가 올겁니다.
대구 로맨티스트 승준
2020년 4월 28일 18:36책그림님 완벽한 공부법 영상이 사라졌는데 지우신건가요??
찌아오디앤
2019년 9월 09일 16:00ㅎㅎ
@peachcho-uq1vy
2021년 11월 09일 22:55틀에 박힌, 암기 위주의, 절대적인 양을 따져 효율적인 공부법으로 정해진 지식만을 습득하고 1차원을 넘어서 2차원의 성격을 요하는 입시에 진절머리나고 입시의 진정한 이유를 찾지 못해 우울증까지 겪는 등 정신적 스트레스가 너무 심했어요. 남들이 다 하고 강요하는데 나 혼자 뒤떨어진 오리같아 힘들어서 다 포기할까도 생각했었어요.
사실, 이런 말 하기 부끄럽지만 저는 창의력이 뛰어난 아이이고,(어린이 영재 테스트 상위 0.1이었었네요) 창의력을 이용한 일들을 하기를 원하고 좋아했지만, 중학교 떄부터 입시의 길로 접어들며 맞지 않는 옷을 입은 듯 너무 힘들었어요.
현재 고2인데, 수능 딱 1년 남은 지금, 입시와 4차 산업 혁명을 대비한 기술 배우기 및 재테크 공부, 책을 읽어 창의력 키우기 및 정보 수집 등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공부를 할지 갈림길에 서 있었어요.
입시를 하다 이건 전혀 미래를 위한 공부가 아닌 것 같아 입시를 하다말다 하다말다를 반복했었는데, 오늘 딱 이 영상을 보고 생각을 굳혔습니다.
대학과 입시는 마치 1차 산업혁명 때서의 노동자들을 양성하는 수단과 방법 중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 것 이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과연 ai는 간단하게 도출하는 값을 인간이 죽어라 공부해 서민들끼리 우위를 가르는 것이 정말 의의가 있을까요?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기술과 창의력이 답이라고 생각해요. 기술 위에 군림하고 기술의 방향성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실력자가 진정한 실력자 입니다.
@Gaon_lee.O_O
2019년 9월 06일 21:34잘 봤습니다 책그림님.
히지Hiji_
2019년 9월 23일 16:16중고등학교 내신, 대학교 시험, 공무원 시험, 각종 자격증 시험 보시는 분들은 1차원적인 공부방법으로 해야 가장 시간을 아끼면서 빠르게 합격합니다.
위 시험들은 다 답도 있고 단순암기로 100점 가능한 문제들이죠.
시험에서 합격하기 위해서는 딱 그만큼만 공부를 해야 가장 효율적으로 빠르게 합격합니다.
시험 공부를 여기서 말하는 3차원방식으로 공부하는건 시험합격이 주가 아니라 이론 그 자체를 공부하는 바보같은 공부방법이죠
이런 영상을 보더라도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보세요
수능은 그나마 2차 80% 3차 20% 정도인것 같고 나머지 내신 자격증 공무원 등등은 그냥 1차원이 잴 빠릅니다.
judy Park
2019년 9월 09일 23:36항상 영상 꼬박꼬박 챙겨보고 있는 고3 학생입니다! 책그림님 메일 한번만 봐주시면 너무 감사드릴 거 같아요 ㅠ_ㅠ 감사하고 부탁드리겠습니다!
judy Park
2019년 9월 07일 20:26오늘도 소중한 영상 잘 봤습니다!! 책그림님 혹시 메일 한번 만 봐 주실 수 있으신지요?
jiyun oh
2022년 2월 16일 13:15진짜느낀게 첨에 다이소에서 무인계산기하더만 이제는 마트에서도 무인되서 이런게 현실로 다가옴
@아르키메데스-z7j
2020년 8월 29일 19:57영상에 나온 내용은 2차원 공부까지 잘 했다고 정신 승리하고 있지 마라, 4차 산업혁명이 되어 현재 가지고 있는 직업군이 사라져서 새로운 직업을 가지게 됐을 때 살아남는 핵심은 지식이 알려지지 않은 것을 연구해서 학습하는 능력을 가지라는 겁니다. 아무도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이 없으니까요. 왜냐? 아무도 그 직업을 가져 본 적이 없어서 모르니까요.
봄날
2019년 9월 06일 21:09재업로드 된건가요? ㅎㅎ
김민수
2019년 9월 07일 02:18재업하셨네요. 작가분 성씨를 잘못 녹음하셔서 재녹음하신거 맞죠? 수고하셨습니다
J O Yu
2019년 9월 06일 20:24저번에 이영상이 올라와졌다는 알림받았는데 그때 왜 삭제 했어요?
Various Y
2020년 9월 15일 15:45혹시 이 영상 출처를 보고서 쓰는데 참고해도 되나요?
강태익
2019년 9월 07일 21:11숙독
ᄅᄃ
2019년 9월 07일 23:17지금 내가 하고 있는게 3차원공부가 되어가는 과정이었구나
조성민
2019년 9월 06일 22:56내일부터 뭔가 시작해야겠네요
@cofeeelover5877
2019년 9월 08일 20:42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느루-o7q
2019년 9월 16일 10:26글쓰기가 좋은 방법이죠.
박진짜
2019년 9월 06일 20:021등이닭
@캡스-z7c
2019년 9월 26일 23:52미국식의 주입식 교육에서 유럽식으로 천천히 제대로 배울수 있도록 해야지
@리상민-h9e
2020년 6월 24일 13:22과연 그럴까요? 저는 일부만 그렇게 될거라고 생각하네요. 3차원적인 공부를 실현하고 남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결국 2차원적인 공부가 동반될 수 밖에없죠. 특히 우리나라는 완전암기하고 얼마나 암기를 잘했는지를 물어보는 시험이니깐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고 그 암기를 완벽하게 잘 하지 못해내면 사회에서는 결국 쳐다봐주지도 않으니깐 어쩔수 없죠
BE LC
2019년 9월 10일 08:422차원 공부법으로 대학 가면 그 이후는...
이수안
2019년 9월 07일 00:432:12 글의 내용을 어떤식으로 활용하고 응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알고계신분들은 예시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USIJAK
2019년 9월 07일 00:153차.. 재밌다 이거.
23 23
2019년 9월 07일 11:53영어는 좀 예외인것 같습니다. 이미 정해진 언어의 문법과 영어단어를 계속 외워야하니까요.
@wan182jr
2019년 9월 12일 18:10감사합니다
쬡정훈
2020년 9월 06일 02:29고3 이과생인데 그래서 무슨 과를 진학하는게 맞는거죠?? 컴공을 생각중인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싶습니다.
심광현
2019년 9월 13일 12:19크리에이티브가 없는 이 나라 교육...의 한계지.
@미카엘-b2y
2019년 9월 07일 21:02동영상이 삭제 되어서 무척 아쉬웠는데 다시 올라왔네요.
감사합니다^^
HA Yi
2019년 9월 06일 21:36헤르바르트의 내면적 흥미, 다면적 흥미가 떠오르네요.
@younghwanchae1422
2019년 9월 07일 05:56ㅎㅎ 책그림, 당신이 지금 얼마나 짧은시간에 제게 신선한 충격과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주었는지 알게되면 놀랄겁니다...
Hy A
2021년 3월 06일 22:104차 산업혁명이 밀려오면 일단
500백만명 일자리들 잃게 되는데
30%가 일을해서 70%를 먹여 살려아하는 구조로 바뀐다
●인터넷을 통하여 스마트팩토리에서 공장 움직여지고
● 건설현장 3D프린터 인터넷으로 움직이고
●무인식당 무인요리사
로봇이 하는시대
●무인자동차 트럭 택시 버스운전사 필요없는시대
●택배 드론택배회사 나왔고
●로봇 가장친절한 간호사 간병인 나올테고
●사무직도 타격이 엄청날거고 각계 분야가 확 바뀐다 어쩔 수 없는 4차 산업시대를 맞이해야 한다
이시점에서 경제천재 허경영 총재님이 나오셔서 국민배당금제 18세이상 국민이면 배당금 통장으로 본인 아니면 절대 빼서 쓸 수 없는 시스템으로 평생지급 국민은 국가의 주주로서 태어나자 마자 14억짜리 국가증권을 받는다 매매는 안됨
여기에 예산은 증세 안 해도 다 계획 되어있고 경제천재 허경영 총재님 은 무한대 두뇌에서 나오는 이미 설계된 세계 최초의 기술들 내놓고 전세계가 절대 따라서 할 수 없는 영성기술은 지금 국민들이 모르지만 지지자들 만 알고 있는데 이 어마어마 한 기술을 보지 못한 사람들은 이상한 허구적인 사람으로 지금 외면하지만 전세계 사람들이 찾아왔다
중국과 일본은 본토인들이 찾아와 경험
meme k
2019년 9월 07일 19:15난 전형적인 1차원 학습자였네..
지금은 그조차도 안하고...ㅡ.ㅡ;;
@매일독서매일인사이트
2019년 9월 09일 22:31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젊은 세대에서 이러한 공부법으로 큰 인재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일본 같은 건 올려다 보지도 못할 나라로 성장~! ^
@ikooya
2019년 9월 06일 21:05제가 요즘 고민하는 내용들이네요~^^
이동준
2019년 9월 06일 20:04?
@jdaddy81
2019년 9월 07일 14:37읽은책이 소개되니 오 ㅐ제가 뿌듯할까요? ㅎㅎ
@asmr7235
2019년 9월 07일 23:16결국 지속적으로 정보를 접하고 가까이하는 전제조건이 있네요 어느 차원이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