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짧은 시간 내에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고 두괄식으로 설명해주시는 점이 항상 좋네요. 기존에 주택가격 상승을 꾸준히 이야기하시던 모 교수님도 최근 들어서 2023~2024년에는 조정기가 올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계시는데, 박사님 말씀대로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지금부터 주택 건설 수주가 늘어나는 점과 공공주도 주택 공급이 맞물리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미분양과 신규 주택 착공 수는 직관적이고 또 정확하지만 맹점이 하나 있죠 지역별 격차. 공급이 많아봐야 수요가 높은 곳에 공급이 적으면 ㅜㅜ 물론 홍박사님 비롯 구독자분들이야 잘 아시는 부분이겠지만 다른데서는 모르는 분들도 많은것 같더라고요 지역별 수요는 고려도 안 하고 전체 미분양 수만 보고, 혹은 공급 날짜가 쏠리는 것도 고려 안하고 이러는 분들이 너무 많....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최근 2주택 중 주임사 주택이 아닌 거주 주택을 급매 13억(미친 가격이죠)에 매도했는데 참 힘들게 계약을 했습니다. 깍아달라는 사람들도 많았고 30대 젊은 부부도 많았고요. 집값이 매수자들 입장에서 너무 부담스러운 수준인 것 같았습니다. 경제 지표 분위기는 부동산이 더 갈 것 같은 분위기인데 전반적인 매수 에너지는 따라가지 않고 가물에 콩나듯하는 거래에 호가만 오르지 않을까 싶더군요. 미분양 지표는 분상제 같은 제도로 과거와 달리 분양 받으면 대박이라 낮을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50이 넘어 1주택자가 되면서 돈을 잃지 않는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던 중 박사님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구독신청해서 가장 최근 영상부터 역순으로 보고 있어요. 뜬구름 잡지 않고, 초보자인 저도 따라갈 수 있는 투자 방법인것 같아 실행에 옮겨보려합니다.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오늘부터 읽기 시작했습니다 열심히 배워보겠습니다
@maisa3449 22
2021년 6월 11일 07:12넘 좋습니다. 유투브는 대세 상승론자와 대세 하락론자로 양분화 되어 마음이 급한데.. 선생님 유투브를 들으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객관적으로 변하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w4yi3gs5h 13
2021년 6월 11일 21:17부동산 매수시기를 알수있는 지표들 : 미분양 ,정부정책, 낙찰가율, 주택구입부담지수
@user-wd7xs7rp1e 4
2021년 6월 11일 06:46알림 뜨자마자 왔습니다. 오늘도 좋은 강의 미리 감사드립니다!!
@user-px3wz7zz1s 2
2021년 6월 11일 08:29꿀팁!
구라개영익 2
2021년 6월 11일 07:07어제 주문했던 책이 도착했습니다. 감사하게 잘 읽겠습니다.
@mini_bbyong 2
2021년 6월 11일 07:27믿고 보는 영상!
Free Spirit 2
2021년 6월 13일 14:30춘욱이형은 찐이다..근데 낙찰가율 110퍼가 넘고 미분양이 0에 가까운데다 재건축 멸실이 늘고 2023년까지 입주물량이 씨가말랐는데 퐁낙한다는 등신은 뭔지..ㅋㅋ
@user-do3nl1lc9x 2
2021년 6월 11일 07:54오늘도 좋은 아침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lk6md1og8p 2
2021년 6월 11일 07:06감사합니다
@mirandajung3842 1
2021년 6월 11일 08:01오늘도 꽉찬 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더덜 1
2021년 6월 11일 06:461등
@hyunjin1755 1
2021년 6월 11일 07:33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bf3zc6ik6d 1
2021년 10월 18일 10:43현실적인조언 해주시고 감사해요
@leejuyeonnnn 1
2021년 6월 11일 06:45좋은아침이에요! 일찍일어나셨네요! 영상 잘 보겠습니다. 책도 이미 오는 중이에요 ㅎㅎ 좋은하루되세요
@84sorang 1
2021년 6월 11일 08:13감사합니다!
@Goodday900 1
2021년 6월 11일 07:12영상 감사합니다~
@hoonjea84 1
2021년 6월 13일 02:38진짜 귀한 영상이다.
@ditto7 1
2021년 6월 11일 17:45완전 깔끔한 강의 쪽집게 강의
@user-yl3cg4go5l 1
2021년 6월 11일 07:40예전과 다르게 중국 등 외국인들의 매수, 고령화 등의 인구감소,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의 변화로 1인가구 증가 등,
현시대가 겪고 있는 다양한 변수들도 알고 싶습니다
@user-he2tr7kr7v 1
2021년 6월 11일 10:25미분양, 정부정책, 낙차가율, 주택구입부담지수를 확인해보자!
감사합니다!
@chichi-pv6wv 1
2021년 6월 12일 13:51이사실을 몇년전에 알앗더라면..ㅜㅜ
@lapita4075 1
2021년 6월 18일 22:48우우와아아아...링크까지 다 걸어주시고ㅠㅠ 너무 감사합니다
@asdfadsfa672 1
2021년 6월 13일 13:42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짧은 시간 내에 '객관적인 근거'를 가지고 두괄식으로 설명해주시는 점이 항상 좋네요. 기존에 주택가격 상승을 꾸준히 이야기하시던 모 교수님도 최근 들어서 2023~2024년에는 조정기가 올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계시는데, 박사님 말씀대로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지금부터 주택 건설 수주가 늘어나는 점과 공공주도 주택 공급이 맞물리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user-ht4xr9kt2g 1
2021년 6월 11일 09:59책주문해서 오늘 받아요. 목차보니 기대가 됩니다.
@user-bj4in6fe4l 1
2021년 6월 12일 16:06선생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소액으로 1억 굴리기 편에서 달러 선물 etf를 추천하셨는데 장기로 들고 간다는 입장에서 달러 선물 레버리지에 투자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user-ui3es3tn9d 1
2021년 6월 13일 13:25인프레이션은 국가입장에서도 빨리 잡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도 늦어도10월엔 본격적으로 금리가 오를거같고 미연준도 fomc봐야알겠지만 테이퍼링이 빨라질거같다고 합니다.
이건 금리인상이 아직은 멀었다가 아니라 당장 눈앞에 보이는거같은데요 주식이야 포트폴리오를 수정도하고 떨어져도 내성이 빨라서 다시 반등할거같은데 부동산은 한번포지션을 잡으면 반등하기 힘드니깐 고민되네요
공급에대한부분도 2022년보다 2023년에 늘러날거구요
단순히 전세값이 올라간다 매물이잠겼다 라고래서 집값이 올라갈지 걱정이네요 교수님은 이러한부분이 아직 영향을 미치는게 미미하다고 생각하시는지?
@noaano1391 1
2021년 6월 12일 03:05미분양과 신규 주택 착공 수는 직관적이고 또 정확하지만 맹점이 하나 있죠 지역별 격차.
공급이 많아봐야 수요가 높은 곳에 공급이 적으면 ㅜㅜ 물론 홍박사님 비롯 구독자분들이야 잘 아시는 부분이겠지만 다른데서는 모르는 분들도 많은것 같더라고요 지역별 수요는 고려도 안 하고 전체 미분양 수만 보고, 혹은 공급 날짜가 쏠리는 것도 고려 안하고 이러는 분들이 너무 많....
@kwonedward6691 1
2021년 6월 12일 05:18금리는 어찌 되나요?
@user-ww6ub5kh4x 1
2021년 6월 12일 13:52우리집은 11억이 안돼에~~~짜증나
@user-wq1cr1fg4h
2021년 6월 14일 18:01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홍춘욱님 영상 많이 보고 있는데 달러 투자를 권해주시더라구요 혹시 s&p500 등 인덱스 etf가 아니라 달러투자를 권하시는게 지수에도 거품이 있다고 보시기 때문이신지요?
JADE SHIN
2021년 6월 12일 19:43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최근 2주택 중 주임사 주택이 아닌 거주 주택을 급매 13억(미친 가격이죠)에 매도했는데 참 힘들게 계약을 했습니다.
깍아달라는 사람들도 많았고 30대 젊은 부부도 많았고요.
집값이 매수자들 입장에서 너무 부담스러운 수준인 것 같았습니다.
경제 지표 분위기는 부동산이 더 갈 것 같은 분위기인데 전반적인 매수 에너지는 따라가지 않고 가물에 콩나듯하는 거래에 호가만 오르지 않을까 싶더군요.
미분양 지표는 분상제 같은 제도로 과거와 달리 분양 받으면 대박이라 낮을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kimlee7981
2021년 6월 18일 13:40완전 도움이 많이되는 연상이네요. ^^
@Konggongya
2021년 6월 11일 10:29불꽃 업로드 !! 부지런히 움직이는것도 탤런트인거 같습니다 ㅠ.. 갖고있기만 오르길 바라는 사람심리 ;)
@josch3483
2021년 6월 15일 00:27홍팀장님. 좋은 의견 감사한데요...문제가 정부의 정책을 뒷바침하는 데이타를 신뢰할 수 없을 때는 어떤 것을 봐야 할까요? 국가 통계가 특정 정책 입안자에 의해 따라 오염될 때....그때 말입니다.
@rittenify
2021년 6월 13일 21:022014년에 아파트 경매 알아보다가 마포구 199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 1억 7천 낙찰가율이 60~70% 였을 겁니다. 그 때는 다 썩은 아파트가 뭐가 이렇게 비싸? 했는데 지금 7억이네요 ㅋㅋ
@MrJaehokim
2021년 11월 10일 10:57낙차가율이 낮을때 주택구입하라는 뜻인가요?
Buse06
2022년 3월 05일 01:3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css3963
2021년 6월 18일 01:51잘보고있습니다
@ejp9485
2021년 6월 11일 08:11책 읽고있는 중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집값은 당분간 잡힐걱 같지는 않네요..
@user-iw8uv3gu4n
2021년 6월 11일 10:22항상 감사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건강하세요~
@user-iy4bs9zd1e
2021년 6월 11일 13:11항상 감사합니다!
@user-fc6qv2uk9s
2021년 6월 11일 13:31책샀어요~ 응원합니다
@scottkim2489
2021년 6월 12일 22:42돈의 역사 6부2장에서 1987년 9월 미국의 금리인상을 시장은 미국달러 약세 저지로 인식. 10월은 사상최대의 무역적자로 달러약세에 대한 기대강화.
서로 상반되는것같은데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user-vl1mu1bh7x
2021년 6월 16일 06:45자녀가4명인데 노후대책도 있어야하구 어디에 투자를 해야할지 ᆢ모르겠어요 ᆢ감사합니다~~
@user-sh3gw1no8v
2021년 6월 11일 11:14삼프로에서 주저하시면서 말씀하시던걸
홈그라운드라고 딱 잘라 정리해주시니 너무 좋습니다
@user-wt9er3ft6r
2021년 6월 11일 09:58감사합니다. 좋아요 클릭후 무한반복해서 듣고 있습니다.
이윤희
2021년 6월 12일 09:11감사합니다
@user-gx8gq4wf8h
2021년 6월 12일 10:11박사님 감사합니다
땡선생
2021년 6월 11일 07:45어제 책이 도착해 오늘부터 읽어나갈 생각입니다~ㅎㅎ 항상 감사합니다^^
@TeaBlack-yq8nf
2021년 6월 24일 07:35지금 시기에 1주택자는 집사기는 부담이네요…재개발은 어떨까요?
@user-ol8dt6lk4t
2021년 6월 11일 19:29영상 마무리에 꼭! 기억해야 될 요점정리~감사합니다^^
@user-ew7ew3jo5b
2021년 6월 16일 00:17안녕하세요 교수님~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30대 무주택자로, 영끌&패닉바잉보다는 달러자산을 사고싶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다들 저랑 비슷할것같아요.
서울 경기도에 공급이 ...있을까요 ㅠ
@user-yp3ms6ii9p
2021년 7월 17일 23:4250이 넘어 1주택자가 되면서 돈을 잃지 않는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던 중 박사님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구독신청해서 가장 최근 영상부터 역순으로 보고 있어요.
뜬구름 잡지 않고, 초보자인 저도 따라갈 수 있는 투자 방법인것 같아 실행에 옮겨보려합니다.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오늘부터 읽기 시작했습니다
열심히 배워보겠습니다
Anna L.
2021년 6월 18일 14:04전문가가 되라는 말씀?
모두다 전문가됨 재미없잖아요?
전문가님께서 매수 매도시기 알려주심 안되나요?
아~~!!
인생엔 공짜가 없다구요?
@user-bp4fy7zw7r
2021년 6월 11일 09:13최강 감사합니다 🙏
@user-wu5fm2kk8m
2021년 6월 11일 10:06좋은정보 고맙습니다 ^^😀
@user-gk6rl4yu6i
2021년 6월 11일 19:53영상감사합니다ㆍ솜결
@JD-tc5ur
2021년 6월 11일 09:39선생님 국내 국고채채권펀드 구매하면 가격, 수익률 변동에 상관없이 구매 했던 시점의 금액에서 표면이자만큼 지급일때 받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