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공급 이야기는 대부분 알고 있죠 근데 부동산 전문가란 분들은 일반인들이 궁금해하는 금리로 인한 집 값 변화에 대해선 이야기 안하고 늘 앵무새처럼 같은 이야기만 한다는 느낌이 드네요 저금리 영끌로 아파트 구매한 분들 코로나 끝나고 유동성 흡수하기 위해 금리인상하면 분명 엄청난 타격 받을텐데
경기.수도권 많이 오른 상태`~~지금은 서울이 싸 보인다.....대출 막아 논 효과```지금 풍선효과로 오르는 경기.수도권 하락장에 고통 받을거다..91년도 1기 신도시 때는 금리가 10% 이때는 당연히 투기 하기 어려울 때 공급으로 잡았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공급+금리의 효과로 봐야지
이번정부의 부족한 지식으로 양산된 임대사업자 제도는 부동산업자들이나 자산가 투기꾼들에게 임대사업자라는 명목으로 너무 많은 혜택을 줌으로써 임차인을 위한것이 아니라 임대사업자들의 자산형성에 큰몫을 했는데ᆢ임차인들을 위한것이라니..? 임대사업자들이 소형 중형 다 사들이는 바람에 대형까지 밀려 올려 집값이 폭등했다는 생각은 저뿐일까요ᆢ
2기 신도시가 아직 다 입주 안되었네요 3기 공급까지 앞으로 5년뒤부터 이니 겹치는 시기가 생깁니다 하락의 시작점은 외부충격없다면 22년 말부터 있다면 22년 여름입니다 충격은 단기하락인데 일단 10프로 이상의 호가하락이 저명 지역에서 시작되어 심리 무너뜨려 외곽부터 무너뜨려 결국 대세하락 갑니다 하락 시작부터 대세까지 1년 6개월 가량 걸립니다
연쇄반응인데 금융 대출과 관련되어있어요 이미 정부는 세금으로 상승은 막아놓았고 하락은 공급으로 열어놓았으니 대세 하락은 가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3기 신도시 초기 투자는 성공하겠지만 하락이 시작되면 입주까지생각하면 비슷하게 될것같네요
각지역별 대장 아파트 호가 모니터 잘하시고 외곽 신도시 가격 파악잘하시며 경매 물건 추이 살피고 외부충격대비위해 해외주식이나 국내주식의 주가지수파악하시면 될거같네요
거래량 감소 가격 상승은 서민들이 따라가기힘드니 호가가 더올라도 상방이 닫혔어요
2016년 기준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높은곳은 상대적으로 불안해지고 반대인경우는 상대적안정이라봅니다 매가는투자 전세는 실거주라는게 서울의 본질인데 새아파트 입주많이된것에 신경쓰지마시고 평균으로 보시면 답나올듯합니다
앞으로는 서울에는 전세로 버티시던가 안되면 반전세로 버티세요 매매는 이제 딱 1년 입니다 이구간은 약한구간이라 조심해야합니다
제 말이 꼭 틀리길 바라지만 전문가가 많아지는게 정말 2005 부터 2008을 보는듯합니다 그때도 노무현정부 말기가 생각나네요
2030세대가 영끓해서 더비싼가격에 더많이 사줘야 집팔아 노후생활을 해야하는 5060세대의 노후에 도움이 되고, 지자체도 취득세 재산세 많이 걷어 좋고, 은행도 대출장사 잘되고, 떡방도 복비 많이 받아 좋고, 건설사나 아파트 호가가 더오를 수있어서 건설사나 아파트 단지에 좋아....
@이외숙-r5h 16
2021년 6월 20일 23:31지금의 집값 폭등은 세계적인 현상이고 유동성이 풍부해서인데 ...실직적인 체감의 시기가 오면 당연히집값은 떨어지리라 봅니다 임금이 지금을 받혀줄만큼 따라와줄까요? 수급이 부족하다고 하며 없는사람들에게 빚내서 따라사라 당장사라 위험하다고 봅니다
@신부자아빠 12
2021년 6월 20일 21:36사기꾼 같은 소리 아닌가요..
@박상혁-w9l 9
2021년 6월 21일 09:28지금 경기도가 많이 올라서 서울과 별차이가 없는데 무조건 10년을 보면 서울을 사야지
@폴리곤-u5d 9
2021년 6월 20일 19:50강서 등촌가양 요즘 엄청 핫합니다
@버거코치 8
2021년 6월 21일 06:57수요 공급 이야기는 대부분 알고 있죠
근데 부동산 전문가란 분들은 일반인들이 궁금해하는 금리로 인한 집 값 변화에 대해선 이야기 안하고 늘 앵무새처럼 같은 이야기만 한다는 느낌이 드네요
저금리 영끌로 아파트 구매한 분들 코로나 끝나고 유동성 흡수하기 위해 금리인상하면 분명 엄청난 타격 받을텐데
@junseoul5025 6
2021년 6월 21일 10:29경기.수도권 많이 오른 상태`~~지금은 서울이 싸 보인다.....대출 막아 논 효과```지금 풍선효과로 오르는 경기.수도권 하락장에 고통 받을거다..91년도 1기 신도시 때는 금리가 10% 이때는 당연히 투기 하기 어려울 때 공급으로 잡았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공급+금리의 효과로 봐야지
@주연-f5v5h 6
2021년 6월 20일 23:54이번정부의 부족한 지식으로 양산된 임대사업자 제도는 부동산업자들이나 자산가 투기꾼들에게 임대사업자라는 명목으로 너무 많은 혜택을 줌으로써
임차인을 위한것이 아니라
임대사업자들의 자산형성에 큰몫을 했는데ᆢ임차인들을 위한것이라니..?
임대사업자들이 소형 중형 다 사들이는 바람에 대형까지 밀려 올려 집값이 폭등했다는 생각은 저뿐일까요ᆢ
@Dhiviebsodhbre17 6
2021년 6월 20일 19:59ㅋㅋ 당분간은 아님. ㅋㅋㅋ
전세가 대비 월세가격이 대략 2~3프로인데. ㅋㅋㅋㅋ
한은 금리 두번 올리면 현 전세금을 예적금들어서 나오는 이자가 월세보다 많아.
이럼 세입자가 전세대신 반전세나 월세 들어가려고 하는데. 동맥경화 일어니면 한국 부동산은 어딘가에서 터진다. 흑자부도 두세번 반복되면 담보물 가격 하락 나오면서 더 충격오고 . 아직은 아님. 아직은.
한번더의 법칙 5
2021년 6월 20일 23:37전세살지 않고 하루라도 내집마련해야 내재산 지킬수 있었네요.
@ruxmia 5
2021년 6월 20일 22:52국회를 그냥 지방으로 이전시키자...
@블루민-t3q 5
2021년 6월 22일 02:322기 신도시가 아직 다 입주 안되었네요 3기 공급까지 앞으로 5년뒤부터 이니 겹치는 시기가 생깁니다 하락의 시작점은 외부충격없다면 22년 말부터
있다면 22년 여름입니다
충격은 단기하락인데 일단 10프로 이상의 호가하락이 저명 지역에서 시작되어 심리 무너뜨려 외곽부터 무너뜨려 결국 대세하락 갑니다 하락 시작부터 대세까지 1년 6개월 가량 걸립니다
연쇄반응인데 금융 대출과 관련되어있어요 이미 정부는 세금으로 상승은 막아놓았고 하락은 공급으로 열어놓았으니 대세 하락은 가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3기 신도시 초기 투자는 성공하겠지만 하락이 시작되면 입주까지생각하면 비슷하게 될것같네요
각지역별 대장 아파트 호가 모니터 잘하시고 외곽 신도시 가격 파악잘하시며
경매 물건 추이 살피고
외부충격대비위해 해외주식이나 국내주식의 주가지수파악하시면 될거같네요
거래량 감소 가격 상승은 서민들이 따라가기힘드니 호가가 더올라도 상방이 닫혔어요
2016년 기준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높은곳은 상대적으로 불안해지고 반대인경우는 상대적안정이라봅니다 매가는투자 전세는 실거주라는게 서울의 본질인데 새아파트 입주많이된것에 신경쓰지마시고 평균으로 보시면 답나올듯합니다
앞으로는 서울에는 전세로 버티시던가 안되면 반전세로 버티세요 매매는 이제 딱 1년 입니다 이구간은 약한구간이라 조심해야합니다
제 말이 꼭 틀리길 바라지만 전문가가 많아지는게 정말 2005 부터 2008을 보는듯합니다 그때도 노무현정부 말기가 생각나네요
삶을 우선으로 실거주만 생각하셔야할 시기입니다
@넝쿨-i6z 4
2021년 6월 20일 23:34서울은 이제 넘사벽이고, 경기도에서 아직 덜 오른 지역 중 유망한 곳도 부탁드립니다.. 영상 잘 봤습니다.
Renee Han 3
2021년 6월 20일 20:33저분 심리전문가이신가. 통찰력도 좋으시네..
just 3
2021년 6월 21일 03:092030세대가 영끓해서 더비싼가격에 더많이 사줘야 집팔아 노후생활을 해야하는 5060세대의 노후에 도움이 되고, 지자체도 취득세 재산세 많이 걷어 좋고, 은행도 대출장사 잘되고, 떡방도 복비 많이 받아 좋고, 건설사나 아파트 호가가 더오를 수있어서 건설사나 아파트 단지에 좋아....
한명의 희생적인 신고가 매수로 국가사회가 살찌고 덕읇 본다...
제발 믾이들 사라~~
@천재천재-y2u 3
2021년 6월 21일 23:21말이쉬워 10년이지 10년을 버틸수있는 사람은 많이 없습니다..
@주택관리사 3
2021년 6월 20일 22:4803:30 질문하는사람들의 특징은 2014년 집값처럼 저점을 알려달라는거에요 ㅋㅋ. 그러니까 웃긴거죠 그걸 누가 맞출수있다고.
@jinhakim3984 2
2021년 6월 20일 23:22내 생각에는 10년안으로 가상 오피스가 활성화되면 서울 살 이유가 없어지고 결국 집값은 하락의 시작일것이다. 출근해야되니까 강남이 비싼건데 기업들도 비싼 땅에서 임대하며 서울에 있을지 않을거고..
호이짜 2
2021년 6월 20일 20:30간단하게 물가가 계속 우상향 하듯이 결국 집값도 영혼이 우상향~ 국가가 망하지 않는 한... 고민할것이 있나~ 단타치는것도 아닌데~
@진혜경-m5f 2
2021년 6월 21일 19:40국가,기업,개인 서로 이익만 추구하니
집값은 안 잡히고 서로 뒤엉켜
시장이 자폭하지 않으면
상승각이네요~
현실적인 강의 감사합니다.
@lynn4955 2
2021년 6월 20일 22:08엄청 도움되요 감사합니다
@김행복-z1b 1
2022년 5월 03일 23:47별도움이 안됩니다
@임병숙-g8j
2021년 6월 27일 17:04,,,,
@kjn7605
2023년 5월 09일 21:21집값을 잡는 유일한 방법은 계속 공급하는겁니다.
반포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십년동안 계속 새아파트를 공급했기때문입니다. 잉,?
@soldier_ant_trader
2021년 6월 20일 20:50영상 잘 보았어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똑띠아줌마
2021년 7월 03일 06:08아파트 가격과 수요공급을 연관지어 생각하며 영상을 보니... 비교적 쉽게 가격을 누를 수 있는 청약시장에 수요가 몰릴 수 밖에 없는거였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