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의 확장 저자 천영록 두물머리 대표 2.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직무 : 마케터 3. 제조업을 영위하는 업체의 8% VS 마케터 수수료로서의 8% 4. 근로소득, 투자소득 차이 = 시간을 판매하는것 5. 근로 여부와 상관없이 돈을 불려나가는것 6. 시급 높이기 게임 측면(시간당 5~6만원) 7. 유형자산 & 무형자산 축적 -> 노하우 개발 8. 대기업의 업무도 3D가 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냉철하게 바라보고 결정을 내려야겠네요 ㅎㅎㅎ 결정에 대한 책임은 온전히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김작가님^^
모두가 이렇게 살 순 없어요. 한정된 부를 모두가 점유할 수도 없고요. 막연하게 시도도 하지 않는 건 어리석은 짓일지 모르지만 분명히 알아야 해요. 세상을 버티게 하는 힘은 개인이 부를 점하는 방식으로 돌아가는게 아니에요... 옳은 말이지만 늘 옳은 말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원초적으로만 봐도 내가 아침마다 싼 똥을 누가 치워주나요. 왜 아무도 하지 않으려는 일에 대해서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시급을 후려치는지도 솔직히 의문이기도 하고요. 저도 속물이고 돈도 좋아하고 이렇게 돈 버는 거 부럽지만 마음속 깊은 곳의 그 거부감은 어쩔 수가 없네요 ㅠ 아무튼 다들 부자되세요.
마지막 포커얘기는 지금 제 상황과 맞아떨어지네요. 전 작년에 거의 대학교를 10년가까이 다니다가 겨우 졸업을 하고 그냥저냥한 스펙을 쌓고 취준을 하고 있었는데 이건 아무래도 경제적자유도 주지 못하고 제 인생을 불행하게 만들 패인것 같아서 10년가까이 쌓아온 패를 버리고 온라인사업을 시작했습니다.
모든 유튜버들이 직원생활을 그만두라는듯이 말하고 시급을 받고사는 인생이 발전되지 못한 삶인듯 말한다. 모든이들이 사업소득자가 된다면 직원은 누가하나 서빙은 누가하고 알바는 누가하는가 영상을 보고깨어나는 사람도 있겠지만 직장생활을 하는 분들의 현재 삶이 부족하고 못난삶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경험이 생겨야 사업소득자가 될 수도 실패하지않는 투자소득자도 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한떄는 이런 부자되는 방법에 엄청 집착했습니다. 성공방법이나 재테크 책 많이 사다 읽었고 유튜브도 많이 봤죠. 그런데 욕심은 끝이 없습니다. 한달에 남들의 연봉도 벌어봤지만 언제나 목마른 샘마냥 더 큰 것을 원하게 되더군요.. 삶의 목적이나 잣대가 돈이 되어버리니 뭘해도 행복하지 않습니다. 벤츠E클을 타도 S클을 보면 부럽고 타고 싶어지기 마련이죠. 돈이 삶의 잣대이자 목적인 사람은 돈이 많이 들어오면 행복하다고 착각하고 돈이 사라지면 목숨까지 끊습니다. 돈이라는 허상에 속아 삶의 가장 중요한 가치를 잃는거죠. 요즘엔 명상을 취미로 하고 마음공부하고 있습니다. 훨씬 마음이 편안합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많이 나누며 살다보니 더욱 마음이 넉넉하고 행복합니다. 돈은 허상입니다. 죽을때 10원 하나 들고가지 못합니다.
포커로 비유해주신 게 굉장히 잘 와닿았습니다. 넣은 돈이 아무리 크더라도 이번 라운드에서 그 이상의 손해가 예상되면 과감히 버리는 게 맞습니다. 아무것도 없느냐, 조금이라도 남아있느냐의 차이는 크니까요. 우리는 인생과 싸우고 있고, 추가적인 바이인이 없는 상황에서 한라운드에 올인을 하는 건 어리석은 일입니다.
와...제가 요즘 부에 관련한 책들을 많이 읽는데, 말씀해주시는 내용이 여러 책에서 읽었던 내용과 정말 공통점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어떻게 보면, 사업이나 투자소득 등 더 부를 이루려면 캐시플로우를 간과하지 말고, 가능성을 더 만들어가기 위한 꾸준한 스텝을 밟아야 하는 것 같아요. 한 때 이 부분을 간과해서 힘들었거든요. 그리고 무형자산을 쌓을 수 없는데 유형자산만 쌓이는 대기업에 다니며 고민 끝에 퇴사를 했는데, 원하는 방향으로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분야로의 이직도 성공할 수 있게 되어, 이런 결정을 내리길 잘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나가야 할 방향을 다시 정리하면서 흐름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훌륭한 인사이트 너무 감사드립니다😀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야겠어요.
프로그래밍만 하더라도 월급 200만(+복지 기타 수당)받는 사람 잘 비벼넣으면 한사람당 800도 받음. 근데 프리로 뛰면서 회사 시스템 없이는 그런 일을 구하기가 어려우니 수수료로 600 회사에 주면서 자기는 여전히 200만 받아가는데. 그걸 스스로 할 수 있다면 비용 빼고도 월 500 600쯤은 건지는게 가능.
물론 어디까지나 방법으로 '존재한다'는게 포인트. 그게 쉽지는 않고, 다만 불가능하지도 않음.
무엇보다도 자신이 재미있고 몰입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합니다. 의사나 약사하시는 분들은 돈 빨리버는 법 몰라서 30살까지 공부하는게 아니에요. ‘돈 빨리버는법 찾는게 재밌고 신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한테 “내가 시키는대로만 하면 나처럼 돈벌 수 있다”고 유혹하는 일들이 요즘 많은데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경제발전이 상징적인 나라라서 더욱 더 성공의 기준을 돈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저런 말을 들으면 흔들리기 쉬운 것 같아요.
컨텐츠가 주는 울림이 있어서 오랜만에 댓글을 남기네요 ㅎㅎ.. 사회 초년생도 아닌, 26살 4학년에게 너무 좋은 컨텐츠 였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용돈을 벌고있지만, 천영록 대표님이 말씀하신 그대로 '묵여있다'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영상을 접하기전에 '신사임당' '강대리' 등 비슷한 종류의 컨텐츠를 소비하고 있었지만, 이 영상을 계기로 제대로 시간을 투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상을보고 댓글을 죽 내려보니, 아래쪽에 감사하는 댓글이 많았지만 위에 있는 댓글은 어쩔수없다, 혹은 컨텐츠에대한 비판이 아닌, 이상하게 딴지를 거는 비생산적인 의견들이 눈에 띄더라구요, 아직 사회의 맛을 보지못해서 건방진 생각일지는 모르겠지만, 어쩔수없다는 없는것 같습니다. 월급이 따박따박 들어오는 상태로 지내다보면 마음이 편안하지만, 좀더 노력하고, 공부하고 연구하면 'Cash Flow' 를 구축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좋은 컨텐츠를 제공해주신 작가님과 대표님께 감사드리고, 모두들 대박나셨으면 좋겠습니다.
현대 사회의 문제는 자본가냐 노동자냐의 문제가 아니라 이들이 모두 '자본'으로 자신을 채우려고 한다는 동일성의 문제다. 돈을 어떻게 벌던지 그건 스스로의 기준에 달려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 그 누구도 비판할 수 없다.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의 삶을 무시해선 안되고 노동자들은 스스로의 진짜 본인의 가치를 찾아나갈 필요가 있다.
경제적 자유 이전에, 자유가 주어져도 안락과 쾌락만을 추구하며 스스로를 부자유로 밀어넣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대기업 30년 종사해도 남는게 없는게 사실이죠. 일부 부서 연구개발쪽은 간혹 이직하는 선.후배님들 있지만.. 보통의 경우 20년 30년 근무한 과장.차장님들 은퇴전에 회사를 원망합니다. 결국 자기개발 그리고 자본 소득 못 만들어놓은 본인 탓인데.. 그런 선배님들 볼때마다 다시한번 다짐합니다. 나는 자본 소득을 꼭 만들어 행복한 은퇴를해야겠다.
@galapagoshenjun 447
2020년 1월 28일 09:09워렌 버핏: 잠잘 때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을 만들지 못한다면 죽을때까지 일을 해야할 것이다.
랄랄라 219
2020년 1월 27일 17:34누군가는 시급제 일을 할 수 밖에 없음.........결국은 경쟁에서 이긴자만이 자본가가 됨.........
@Citursjuice 126
2020년 1월 27일 18:41자본가가 되기위해 누군가는 오늘도 창업을 한다
하지만 누군가는 오늘도 폐업을 한다.
근로자는 안정적이지만 저자본이고
자본가는 불안정이지만 고자본이거나 아예 알거지가 될 수도 있다.
모두가 성공할 수 있다면 자본가가되겠지.
Tom Yoo 95
2020년 1월 28일 00:02연봉 4억 아니라고 자기 입으로 얘기하는데 버젓이 제목으로 어그로 끄네?
강민호먹튀 93
2020년 1월 28일 03:11누군가는 해야하는게 현실
@user-yb1yf8pq1d 73
2020년 1월 29일 07:47자본주의사회에서 돈을벌기위해 노력하는건 나쁜게 아니다
@user-he1df9pn5j 66
2020년 1월 27일 18:48목소리가좋은데
말투는 더 좋다 투자계의 성시경
@lifechanger_motivator 52
2020년 1월 27일 22:061. 부의 확장 저자
천영록두물머리 대표2.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직무 : 마케터
3. 제조업을 영위하는 업체의 8% VS 마케터 수수료로서의 8%
4. 근로소득, 투자소득 차이 = 시간을 판매하는것
5. 근로 여부와 상관없이 돈을 불려나가는것
6. 시급 높이기 게임 측면(시간당 5~6만원)
7. 유형자산 & 무형자산 축적 -> 노하우 개발
8. 대기업의 업무도 3D가 될 수 있다
자신의 패를 냉철하게 바라보고 결정을 내려야겠네요 ㅎㅎㅎ
결정에 대한 책임은 온전히 본인에게 있으니 신중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김작가님^^
@tangokilo1400 48
2020년 1월 27일 17:09영상 감사합니다. 직장 8년차인데 역량도 부족한 것 같고 돈도 별로 못 모았고 나오기엔 두렵고 ㅠㅠ 하아 ... 😨🤔
@YMFC2 47
2020년 1월 28일 13:16어르신 말씀이 생각나네 "그럼 소는 누가 키우나"
저녁은삼겹살 44
2020년 1월 30일 02:53어차피 누군가는해야됨...새치기하는법을 가르쳐주기보단 새치기가없는 삶을하게해줘야됨 ㅠㅠ
y y 40
2020년 1월 27일 22:02부의 내용을 들으러 왔다가
목소리에 빠지고 갑니다 ㅋㅋㅋ 성시경 ?? 느낌납니다.
@tv-3076 38
2020년 1월 27일 17:48과거 아버지들 세대에선 쏟아부은 시간 만큼 돈을 벌었죠. 그래서 야근,특근.. 오로지 노동을 통해서 돈을 +로 벌었다면. 요즘은 근로소득 으로 투자를 해서 돈을 x로 벌어야 하죠..
d 38
2020년 1월 27일 17:10모두가 이렇게 살 순 없어요. 한정된 부를 모두가 점유할 수도 없고요. 막연하게 시도도 하지 않는 건 어리석은 짓일지 모르지만 분명히 알아야 해요. 세상을 버티게 하는 힘은 개인이 부를 점하는 방식으로 돌아가는게 아니에요... 옳은 말이지만 늘 옳은 말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원초적으로만 봐도 내가 아침마다 싼 똥을 누가 치워주나요. 왜 아무도 하지 않으려는 일에 대해서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시급을 후려치는지도 솔직히 의문이기도 하고요. 저도 속물이고 돈도 좋아하고 이렇게 돈 버는 거 부럽지만 마음속 깊은 곳의 그 거부감은 어쩔 수가 없네요 ㅠ 아무튼 다들 부자되세요.
@Buja_Hacker 38
2020년 1월 27일 16:33한번뿐인 인생~ 무형의 자산에 대해서 다뤄주셨군요~
근로 -> 사업 -> 투자에 대해서 많은 공감이 갑니다.
유형의 부보다 자신의 가치를 오릴 수 있는
무형의 자산에 대해서 잘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cg7tx1xq6x 37
2020년 1월 30일 09:15하지만 시급제 노동자가 없이는 자본주의시장이 돌아가지 않는다. 누군가는 쳇바퀴역활로 희생해야 자본주의가 돌아가는 법
골든리플 34
2020년 1월 27일 21:00마지막 포커얘기는 지금 제 상황과 맞아떨어지네요. 전 작년에 거의 대학교를 10년가까이 다니다가 겨우 졸업을 하고 그냥저냥한 스펙을 쌓고 취준을 하고 있었는데 이건 아무래도 경제적자유도 주지 못하고 제 인생을 불행하게 만들 패인것 같아서 10년가까이 쌓아온 패를 버리고 온라인사업을 시작했습니다.
LDAKFJALK 34
2020년 1월 28일 07:14이 사람이 하는 말 다 맞는말
이걸 보고 화를 내면 그 사람 인생은 딱 거기까지
보고 뭔가 깨달음이 있으면 한걸음 더 나아가고
늘푸른 31
2020년 1월 27일 18:04세계 5천명 부자들이 전세계 60억명을
월급주고 있습니다
@jhc0928a 28
2020년 2월 01일 14:34남의 돈 따먹는 것도 좋지만 적은 노력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과 소득 분배의 기준을 바꾸어서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과학하고 정치가 그것이죠
@user-ee4xr6el7h 26
2020년 1월 28일 11:16모든 유튜버들이 직원생활을 그만두라는듯이 말하고 시급을 받고사는 인생이 발전되지 못한 삶인듯 말한다.
모든이들이 사업소득자가 된다면 직원은 누가하나 서빙은 누가하고 알바는 누가하는가 영상을 보고깨어나는 사람도 있겠지만 직장생활을 하는 분들의 현재 삶이 부족하고 못난삶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경험이 생겨야 사업소득자가 될 수도 실패하지않는 투자소득자도 될수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ny6og7ub7k 26
2020년 1월 29일 06:58행복하기 위해 돈을 벌지만 정작 돈은 행복을 지불해야 얻을수있음
@bbd2941 26
2020년 1월 27일 17:09눈감고들으니까 성시경목소리가 들리네요ㅋㅋㅋㅋㅋㅋ
후니후니 24
2020년 1월 27일 20:00정작 본인은 연봉받으며 일하지?? 그렇게 잘알면 부자되면될것을ㅋㅋ연봉4억인지 인증한것도 아니고ㅋㅋㅋ
josef bloke 23
2020년 2월 08일 16:58어릴때 국영수 점수에 집착하고 수능에, 대학교에 목매단게 모두 허상같네
김치수 22
2020년 1월 27일 18:17일단 유명해져라 그러면 당신이 똥을싸도 사람들은 박수 칠 것이다.
Terry Lee 20
2020년 1월 29일 12:52말은 좋은 조언이나 현실에 서는 전혀 도움이 안되는게 다른사람의 어드바이스. 모든 일은 자신이 직접 해결하는게 세상 의 법
@user-dg6je2qn7i 19
2020년 1월 29일 00:49그건 맞음 시간제 노동은 자기의 삶의 일부분을 파는 것이죠 그런데 그건 자본주의안에서 생존하기 위한 몸부림이라고 생각하지만 때로는 여가시간도 있기 마련입니다
짜장바ᄇ 19
2020년 1월 28일 14:47유튜브로 사람 지원 받아서 한명 뽑아가지고 연봉 1억 만드는 컨텐츠좀 해주세요. 대박날듯요
이종혁 18
2020년 2월 01일 12:59밎는 말이지만 한쪽 측면만 있네요.
시급제. 자본가. 투자가. 단계 맞고 윗단계가 더 돈 많이 버는게 맞죠.
하지만 리스크는? 실패한 자본가 투자가는 시급제 밑바닥보다 못합니다.
@mebu1278 18
2020년 1월 28일 21:00나도 시급제 아니고 싶다 ㅜㅜㅠㅠㅠㅠ 마음대로 되나 그게 ㅜㅜㅜㅜㅠㅠㅠㅠㅠㅠㅜ 우선은 살아야지 그래도 우선은 일어나야지 드러워도 오늘도 최선을 다합니다
@user-kx4el3qy3e 18
2020년 1월 30일 10:04저도 한떄는 이런 부자되는 방법에 엄청 집착했습니다. 성공방법이나 재테크 책 많이 사다 읽었고 유튜브도 많이 봤죠. 그런데 욕심은 끝이 없습니다. 한달에 남들의 연봉도 벌어봤지만 언제나 목마른 샘마냥 더 큰 것을 원하게 되더군요.. 삶의 목적이나 잣대가 돈이 되어버리니 뭘해도 행복하지 않습니다. 벤츠E클을 타도 S클을 보면 부럽고 타고 싶어지기 마련이죠. 돈이 삶의 잣대이자 목적인 사람은 돈이 많이 들어오면 행복하다고 착각하고 돈이 사라지면 목숨까지 끊습니다. 돈이라는 허상에 속아 삶의 가장 중요한 가치를 잃는거죠. 요즘엔 명상을 취미로 하고 마음공부하고 있습니다. 훨씬 마음이 편안합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많이 나누며 살다보니 더욱 마음이 넉넉하고 행복합니다. 돈은 허상입니다. 죽을때 10원 하나 들고가지 못합니다.
@user-tu7fj7qh7d 17
2020년 1월 27일 21:03포커로 비유해주신 게 굉장히 잘 와닿았습니다. 넣은 돈이 아무리 크더라도 이번 라운드에서 그 이상의 손해가 예상되면 과감히 버리는 게 맞습니다. 아무것도 없느냐, 조금이라도 남아있느냐의 차이는 크니까요. 우리는 인생과 싸우고 있고, 추가적인 바이인이 없는 상황에서 한라운드에 올인을 하는 건 어리석은 일입니다.
@jglch4249 15
2020년 1월 27일 18:31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신입 4개월인 저에게는 아직 구체적으로 와닿진 않지만, 이 방향을 염두하여 나아가겠습니다!
@user-fy1jf1vb2b 14
2020년 1월 28일 09:58성시경 님 인줄 알았네요
목소리 매력있으세요~~
@user-sk1hp4hn4c 12
2020년 1월 27일 22:15와... 엄청 좋은 영상이네요. 천영록 대표님 인터뷰 중 이번 영상이 특히나 더 백미인듯요.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eu9do2gh3j 12
2020년 1월 28일 22:26내용이 진짜좋네요.좋은질문을하는 작가님도 대단하신것같아요: )
책 사서읽어보고싶어져요~~영상아 빨리올라와라~~
한남도태된 11
2020년 1월 29일 07:51이런건 참고용에 불과함 진리가 아님
@user-kd8hi1dm7b 11
2020년 1월 30일 11:38와...제가 요즘 부에 관련한 책들을 많이 읽는데, 말씀해주시는 내용이 여러 책에서 읽었던 내용과 정말 공통점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어떻게 보면, 사업이나 투자소득 등 더 부를 이루려면 캐시플로우를 간과하지 말고, 가능성을 더 만들어가기 위한 꾸준한 스텝을 밟아야 하는 것 같아요. 한 때 이 부분을 간과해서 힘들었거든요.
그리고 무형자산을 쌓을 수 없는데 유형자산만 쌓이는 대기업에 다니며 고민 끝에 퇴사를 했는데, 원하는 방향으로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분야로의 이직도 성공할 수 있게 되어, 이런 결정을 내리길 잘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나가야 할 방향을 다시 정리하면서 흐름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훌륭한 인사이트 너무 감사드립니다😀 포기하지 않고 나아가야겠어요.
이건용 10
2020년 1월 30일 03:49누군가는 해야하고 그렇게라도 시간을 벌어야할 때도 있는거죠
@avimudine 9
2020년 1월 28일 20:57너무나 공감하고 이미 알고있는 이야기인데, 실천할 능력과 방법이 없다는게 참 서글프다
TANGO KILO 9
2020년 1월 27일 17:06은행업이 대표적인 3D 겠군요. 아무것도 할게 없는 ...
777 SG 9
2020년 1월 31일 18:39돈은 도구고.. 인생의 목적이 무엇인지 명확해야 한다. 대부분의 인간은 죽음을 생각하고 살 지 않아. 삶이 명확해지면 돈과 사람은 생기게 된다.
흙흙형님 8
2020년 1월 30일 11:13조선시대는 상업을 너무 천대했죠...
사기열전을 필독인데 왜 화식열전은 개무시였는지...
Smile happi 8
2020년 2월 01일 00:13목소리꿀이네
snowdeer 7
2020년 1월 28일 19:06프로그래밍만 하더라도 월급 200만(+복지 기타 수당)받는 사람 잘 비벼넣으면 한사람당 800도 받음.
근데 프리로 뛰면서 회사 시스템 없이는 그런 일을 구하기가 어려우니 수수료로 600 회사에 주면서 자기는 여전히 200만 받아가는데.
그걸 스스로 할 수 있다면 비용 빼고도 월 500 600쯤은 건지는게 가능.
물론 어디까지나 방법으로 '존재한다'는게 포인트.
그게 쉽지는 않고, 다만 불가능하지도 않음.
Mr.양 7
2020년 1월 27일 19:52이분 스펙궁금해요
@user-gk6rl4yu6i 7
2020년 1월 27일 16:59감사합니다ㆍ솜결
@nowwhen6350 7
2020년 1월 27일 21:36매일 보는게 낙이 되었어 ㅠ
@smaII_head 7
2020년 1월 29일 00:22돈머리가 좋다는건 노력으로 되는게 아니라 타고난, 탁월한 감각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은 그게 아니니 어쩔 수 없이 남들이 다하는 노동시장에 뛰어들어 본인의 시간을 푼돈에 바치며 살죠..
그레이트강 6
2020년 1월 30일 11:14시급제는 자기의 노동력을 시간단위로 계산해서 파는 것입니다. 시간을 파는 것이 아닙니다. 노동력을 파는것이지요.
@sulmaenya 6
2020년 1월 31일 11:03무엇보다도 자신이 재미있고 몰입할 수 있는 일을 해야 합니다. 의사나 약사하시는 분들은 돈 빨리버는 법 몰라서 30살까지 공부하는게 아니에요. ‘돈 빨리버는법 찾는게 재밌고 신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한테 “내가 시키는대로만 하면 나처럼 돈벌 수 있다”고 유혹하는 일들이 요즘 많은데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경제발전이 상징적인 나라라서 더욱 더 성공의 기준을 돈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저런 말을 들으면 흔들리기 쉬운 것 같아요.
@user-hs7fp4sc6w 6
2020년 1월 27일 19:59김작가님, 이번 천대표님 영상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윤호 6
2020년 2월 01일 09:46유튜브에 이딴 주제로 뭐가 도움이 될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nar2829 6
2020년 1월 31일 13:54돈 싫어하는 사람 없는건 맞는데
돈욕심도 천차만별이고 소소하게 보람느끼고 일하는 노동자도 있는건데 무의미하다고 얘기하는건 좀 역겹네요
@user-oj1hu9rv3f 6
2020년 1월 29일 07:072:56 링크 달았나 안 달았나 내려서 확인해봄 ㅋㅋㅋㅋ
@calmdesk 5
2020년 3월 26일 20:33안 좋은 패 들고 있는 것과
직장 오래 다닌 것 비교한
말씀 너무 뼈때려요. 감사합니다.
@dogpig5882 4
2020년 6월 15일 23:16'근로소득은 자기의 시간을 파는 것'
But, 근로소득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야.
뭔가로 자기의 시간을 팔아서 돈을 쌓아가면서 캐쉬플로우를 만들어야.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시급 높이기 게임이라 생각'
'뭘 해야 시급 5만원 나아가 10만원 more 이 되지?'
그것을 통해 얻어야 할 것 두 가지.
1. 유형자산;현금
2. 무형자산
미스타츄 4
2020년 1월 28일 19:03부자들이 말하는 자유의 계념은
시간으로 부터 완전한 자유라는 말이 생각 난다
@chocoli8757 3
2020년 1월 27일 19:07잘 들었어요~
새라뭉 3
2020년 1월 29일 16:565:40
49 .0. 3
2020년 2월 07일 08:15목소리가 너무 좋으시네요 ㅋㅋ 다른 분들보다 제일 일리있게 들려요
@user-pq4dq1wk9z 3
2020년 2월 01일 16:00키야 제가 생각하고있던 마인드 들과 세상살아가는 인생관이 이영상내용에 담겨있네요
@satagmc 3
2020년 1월 30일 21:10관념을 살짝만 바꿔도 생각이 꽤 많이 달라지게 되네요. 잘봤습니다
Kim 2
2020년 1월 28일 08:20이채널은 맨날 돈돈돈 돈얘기만하넹
@sunnywhereareyougoing5410 2
2020년 2월 13일 14:53천영록 대표님은 언제나 목소리가 너무 듣기가 좋아요~
96년생,제태크 2
2020년 1월 31일 01:55실질적으로 내가 원하는 일인지,,아니면 이미 투자한 돈과 시간때문에 지금 일을 억지로 끌고 살고있는지 돌아볼수있는 기회였네요
jin jin 2
2020년 2월 02일 22:26나쁜패를 버리고 다른 무형자산을 쌓고싶은데 무슨 무형자산을 쌓아야 할지 막막해요 뭐부터 시작해야할까요
Qkdlskfxm 2
2020년 1월 28일 07:49그러니까 역시 답은 로또 토토군요
이관우 2
2020년 1월 28일 21:54아~~~~~ 아~~~~~하는것좀 바꿔주세요... 자꾸 신경쓰여요..ㅠㅠ 리액션을 하는건 좋은데 너무 길지않나 싶네요
채수영 1
2020년 1월 27일 21:14저기서말하는걸 이루기위한 잠깐의 시급제는 필요하지
@S2LK 1
2020년 1월 29일 13:37트레이더님 외모처럼 생각하시는게 다르네요 대단합니다.
@user-ek1wl2ld8m 1
2020년 2월 09일 10:07아..정신이 번쩍드네요 감사합니다
@user-pk8nl9yf8l 1
2020년 3월 18일 03:42노력은 열매는 쓰고 그 열매는 달죠 선택인거같아요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는것도 괜찮을거 같고..😅
@user-vh9ld9vi6s 1
2020년 3월 15일 23:47컨텐츠가 주는 울림이 있어서 오랜만에 댓글을 남기네요 ㅎㅎ.. 사회 초년생도 아닌, 26살 4학년에게 너무 좋은 컨텐츠 였습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용돈을 벌고있지만, 천영록 대표님이 말씀하신 그대로 '묵여있다'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영상을 접하기전에 '신사임당' '강대리' 등 비슷한 종류의 컨텐츠를 소비하고 있었지만, 이 영상을 계기로 제대로 시간을 투자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상을보고 댓글을 죽 내려보니, 아래쪽에 감사하는 댓글이 많았지만 위에 있는 댓글은 어쩔수없다, 혹은 컨텐츠에대한 비판이 아닌, 이상하게 딴지를 거는 비생산적인 의견들이 눈에 띄더라구요, 아직 사회의 맛을 보지못해서 건방진 생각일지는 모르겠지만, 어쩔수없다는 없는것 같습니다. 월급이 따박따박 들어오는 상태로 지내다보면 마음이 편안하지만, 좀더 노력하고, 공부하고 연구하면 'Cash Flow' 를 구축하는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좋은 컨텐츠를 제공해주신 작가님과 대표님께 감사드리고, 모두들 대박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승원 1
2020년 1월 31일 14:50할렐루야
@dianafit93 1
2020년 1월 28일 09:48저는 현실에 안주하고 뭉개고 있었던것 같아요~ 다음편으로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
@sol3yul 1
2020년 1월 28일 12:17좋은 영상 언제나 감사합니다.!^^
Jae Hoon Jo 1
2020년 2월 06일 20:51ㅋㅋ 제 얘기네요
Jiwon Kim 1
2020년 2월 13일 21:50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내용에 집중이 안됨
@racheldays8092 1
2020년 1월 28일 16:29좋은 영상 감사해요 천대표님 영상이 직장인으로서 많이 공감되네요
@John_Taiwan 1
2020년 2월 02일 15:43김작가 님으로 활동하시는군요, 전에 컨설팅 회사서 뵈었는데 여러 대외활동으로 스펙 쌓으며 활동했었는데 이제 유튜버 시군요. 암튼 반갑습니다.
이준호 1
2020년 1월 28일 12:54코성태형 여기왜있지?
@ellively7887 1
2020년 1월 28일 19:32깊이있게 알고 숙고한 사람의 이야기는 뭔가 다르네요
@moingable 1
2020년 1월 31일 19:30굿
J K 1
2020년 2월 06일 21:07돈이 있어야 행복하지만...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뭐 그리 돈돈 하니~
@blackbox565755675
2020년 1월 30일 12:40무엇이 문제인가 보단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가 더 큰 고민이죠.
어떤것을 해서 부를 확장하고 축척할지를
생각해보는게 핵심이라 봅니다.
또또르
2020년 2월 04일 00:20제목만 봤는데 이 영상을 보는것도 자신의 시간을 유투버의 돈으로 만들어주는일임
@supermaybdo
2020년 1월 30일 07:40그래서 그 좋은 패는 어떻게 얻는건가요? 그리고 그게 좋은패라고 확신할수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요로코롬
2020년 2월 04일 21:53펭수같은 캐릭터하나 키워서 억대수입..
하고싶은건꼭하고살자후회없는인생
2020년 3월 02일 03:50그만큼 제조보다 더 힘든게
어디서 어떻게 파는지가 더 힘드니
생도백서
2020년 2월 05일 22:50현대 사회의 문제는 자본가냐 노동자냐의 문제가 아니라 이들이 모두 '자본'으로 자신을 채우려고 한다는 동일성의 문제다. 돈을 어떻게 벌던지 그건 스스로의 기준에 달려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 그 누구도 비판할 수 없다. 자본가들은 노동자들의 삶을 무시해선 안되고 노동자들은 스스로의 진짜 본인의 가치를 찾아나갈 필요가 있다.
경제적 자유 이전에, 자유가 주어져도 안락과 쾌락만을 추구하며 스스로를 부자유로 밀어넣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요로코롬
2020년 2월 04일 21:51저도 직장인인데여 쉬운일이 더 급여가 쎄더라구요 그리고 투잡도 해봤는데요 잘찾아보면 쉬운거 많습니다. 온라인세상이라서 ....그럼에도 귀찮아서 잘안하게된다능.ㅜ 부자는 하늘이 내리는게 맞다는.
Ellie Mom
2020년 2월 03일 23:25미국에서 전문직은 거의 다 시급제로 책정하는데 ㅋㅋㅋ... 일부러 적은 시간, 시간당 일하고 버는 돈이 연봉제보다 더 비싸게 책정되는 ㅎㅎㅎ
@Fier9225
2020년 1월 30일 02:56목소리 진짜 좋으시다
kj yoo
2020년 9월 30일 10:51대기업 30년 종사해도 남는게 없는게 사실이죠. 일부 부서 연구개발쪽은 간혹 이직하는 선.후배님들 있지만.. 보통의 경우 20년 30년 근무한 과장.차장님들 은퇴전에 회사를 원망합니다. 결국 자기개발 그리고 자본 소득 못 만들어놓은 본인 탓인데.. 그런 선배님들 볼때마다 다시한번 다짐합니다. 나는 자본 소득을 꼭 만들어 행복한 은퇴를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