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9 이게바로 공부를 잘하는방법의 핵심입니다. 어느분야 어느시험을 막론하고 우리나라 시험과 학원의 고질적인 문제인데 이렇게 벌써 상위클래스들은 이런 핵심을 꿰뚫고 시험준비를 한다는거... 괜히 엘리트가 아닙니다. 다른 공부잘하는방법의 영상을 수없이 봐왔지만 이렇게 현실적이고 정확한 내용은 없었습니다. 이영상은 진짜입니다.
올해 27살인데요, 천영록 대표님이 말씀하신 '나쁜 패를 빨리 버려야한다'라는게 정말 와닿습니다. 대학만 가면 공부안하고 네 맘대로 해도 된다라는 부모의 말을 맹신해서 학창생활 12년을 부모의 감시속에 친구도 안만나고 공부만 하다가 사회성 결여로 군대에서 엄청 욕먹고 정신 차려서 남은 대학생활을 제가 잘하는게 뭔지 찾는데만 보냈습니다. 지금은 전산회계 1급을 준비하고 있어요.
직업 비하다, 다 너처럼 생각하면 누가 시급받고 일하겠냐라는 엇나간 비판도 무릅쓰고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저 스스로 뭔가를 시도한적이 거의 없어서 작은 도전을 하더라도 항상 불안해지는데 저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이 잘 되는걸 볼때마다 힘이 됩니다!
동영상 너무 잘 보고 가요! 근데 이번 편에 자주 나오는 부분이라서 말씀드리고 가요 ㅎㅎ 저도 예전에 너무 헷갈려서 찾아봤었는데 '정답을 맞히다' 입니다~ 맞추는 건 초점을 맞추다, 너와 나의 답안지를 맞춰보다 이런 느낌으로 쓰시면 됩니다! 정답을 맞추다는 틀린 말이라고 해요! 보통의 시험은 오지선다잖아요. 다섯 개 보기 중에서 답을 골라내는 건 답을 '맞히다' 입니다!! (참고로 과거형은 맞혔다 입니다~)
마지막에 하는 얘기 리처드 파인먼이 칼텍에서 교수할 때 똑같이 하던데. 칼텍 안에선 하위 50프로일지 몰라도 졸업하고 밖에 나가서 취업하는 순간 다시 최상위권이 될 수 있다고. 소수정예 안에서도 특출난 천재들이랑 자기를 비교하면서 오기 부리는 건 인생 낭비하는 지름길이라고 하더라구요
사법연수원에서 다함께 공부한 사람중에 판사, 검사, 변호사로 나눠진다는 사실이 우리나라의 사법농단의 기초라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처럼 학연, 지연을 따지는 나라에서 2년 동안 같이 공부한 사람중에 판,검,변호사로 나눠진다면... 공정한 재판이 이뤄지기가 상당히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yjhong78 295
2020년 1월 22일 21:27인생에도 기출이 있어요. 그래서 역사를 공부하고 꾸준히 독서를 해야하는 것을 나이가 들어가면서 느낍니다.
@ketchup4987 206
2020년 1월 28일 02:17변호사 합격한게 아니라 사법고시 합격하셨네요 이 말이 와닿네요ㅋㅋㅋㅋ
@San-gr3vl 177
2020년 1월 22일 21:30"내가 80점이 목표다 하면,
'80점을 얻겠다'가 아니라
'20점에 해당하는게 뭘까'를 생각하고 계속 지우는거다"
@duwbduwe9203 153
2020년 1월 23일 15:55사시붙은 사람들이 했던 명언
진짜 전쟁터는 사법연수원 이다....
@San-gr3vl 143
2020년 1월 22일 21:26이 분 영상을 보면서 느껴지는건..
그동안의 공부법을 얘기하는 모든 영상들은
무언가 수양하고 도를 닦는 듯한 분위기였는데
이 분은 뭔가 게임공략을 설명하는 듯한 분위기다.
그래서 대박이 나는듯.
@user-tf9hf2yr3v 111
2020년 1월 23일 16:24이 분 책에 있는글귀
같은 지능이고 같은 노력한 사람에게는 지지말자.
하늘바람 108
2020년 1월 22일 18:02공정하고 누구도 반박할수 없는 사시를 왜 폐지한건지
@kjsps2dvd 56
2020년 1월 30일 17:106:39 이게바로 공부를 잘하는방법의 핵심입니다.
어느분야 어느시험을 막론하고 우리나라 시험과 학원의 고질적인 문제인데
이렇게 벌써 상위클래스들은 이런 핵심을 꿰뚫고 시험준비를 한다는거... 괜히 엘리트가 아닙니다.
다른 공부잘하는방법의 영상을 수없이 봐왔지만 이렇게 현실적이고 정확한 내용은 없었습니다. 이영상은 진짜입니다.
@sub-eh4zi 49
2020년 1월 24일 13:51나올확률이 높은문제부터 학습해가는거네 진짜 당연한소린데 중요한듯
@user-st4bo5bp7r 42
2020년 1월 24일 23:36책도 읽어 봤습니다만 확실히 이분은 글로써 전달하시는 것보다 말로 설명하시는게 더 파장이 크게 다가오네요..! 감사합니다.
@user-fp2dz3mc6o 41
2020년 1월 24일 14:38기출문제를 완벽하게 이해한다는의미는 답을 고르는게아니고 그부분을 기본서로 돌아가서 입체적으로 공부하는겁니다 그러면 재미도 있답니다.
아이니아으아아아아 24
2020년 2월 01일 11:58교과서의 한페이지가 토시하나 안틀리고 이미지로 외워지는 사람은 대체 어떤 기분일까...상상조차 안된다 진짜 ㅋㅋㅋㅋ
@hoomin8747 22
2020년 1월 23일 18:17와 의대시험이랑 사시랑 진짜 비슷한듯
의대도 양이 워낙 많아서 버릴건 버리고 왕출 무조건 챙기고 출 base공부해야하는데
하지만 탑티어들은 진짜 다 외워버리고..ㄷㄷ
호라이즌 20
2020년 1월 24일 05:40역시 우리나라는 공부 잘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시험을 잘보는게 진짜 중요한거 같네요
ㅇ
San 20 19
2020년 1월 22일 21:23우리도 문제위에 정답률 퍼센테이지 표시하는 문화를 퍼뜨려야 할 거 같네요
정부에서는
사교육 줄이려면 이런걸 해야지...
@user-zo7ig8tr3s 19
2020년 1월 26일 20:12문제집 다샀대서 너무 돈 비싸겠는데 싶었는데 기회비용 얘기에서 저절로 머리가 끄덕여진다. 사시합격할 정도로 노력량도 대단하긴 한데 말빨이나 설득력도 보통 아닐듯ㅋㅋㅋㅋ
@takewisdom 18
2020년 1월 24일 21:16이 영상 보고....갑자기....인공지능 알고리즘개발자와 컴퓨터 프로그래머가....위대해 보이기 시작했다..
왜 그런지는...잘 모르겟다....진짜 존경스럽다....알고리즘개발자...프로그래머등등...난 이 생애에는...그냥 암기만 하고 살아야 긋다..ㅠㅠ
오원택 17
2020년 1월 26일 03:19공부 못하는사람 특징 집중못하고 주변의식 많이함 소리에 예민함~
@user-ct4go2kk9w 17
2020년 1월 24일 11:47말 잘하네
인정합니다
합격 인생 17
2020년 1월 22일 20:30와..지금까지 본 유튜브 영상 중에 제일 최고네요👍
@TV-re4wp 16
2020년 1월 22일 20:06항상 유익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anamyaonge 16
2020년 1월 22일 22:57이윤규변호사님 유튜브도 챙겨보고 강연도 듣고있어요~~~꿀팁 감사합니당👍👍👍
@freedomofspeech6396 16
2020년 3월 24일 11:41처음 한 1분만 보고 끄자고 생각했는데 13분 내내 다 봤네요 ㅎㅎ 이윤규씨 목소리가 사람을 집중케 하는 마력이 있네 ㅎㅎ
@fany880305 15
2020년 1월 22일 19:49간지나시네 ㅋ
@user-vf6dm1dv2l 15
2020년 3월 06일 23:20아..그러고보니 기출을 파라는거 조금 공감되는게 입시 논술 1주일 벼락치기했단적이 있었어요 학원다니면서 나름 열심히하다가 마지막날에 지망하던 대학 몇년치 기출을 보면서 모범답안들 공통점, 흐름? 을 생각해두고 실제시험때도 거기에 짜맞추듯이 논술했더니 붙었어요 ㅎㅎ 깊이 파면 보이더라구요
@user-yi3jx5fg8v 15
2020년 1월 24일 23:40법조계속 이야기 책읽어보세요 법조인이 꿈이라면 정말 추천해주고 싶은 책입니다 최규호변호사 저자
@qwertbvczz 15
2020년 1월 23일 15:47제가 좋아하는 이윤규 변호사님이 여기 나오셨네요!
@maestro9978 14
2020년 1월 28일 23:32말씀 진짜 잘하시네요, 목소리도 너무 좋으시고,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성이름 13
2020년 1월 25일 17:31말 ㅈㄴ잘하노
김필 12
2020년 1월 27일 18:56이분은 변호사인가요?
@user-dh3sf4cr3x 10
2020년 1월 28일 12:43범위가 정해져 있는 국가자격시험은 기출문제 분석이 90퍼센트다
sigo trabajando Lee 10
2020년 1월 22일 18:18좋아요를 한 번 밖에 못 누르는게 너무나도 아쉽습니다.
@King-pj9qr 10
2020년 1월 27일 23:42기사 시험 준비시 기출로 조지기
@user-sk6ci8ty2g 10
2020년 2월 03일 13:41질문하면 말이 술술 나오는게 의식의 흐름이 엄청 궁금하다.
@San-gr3vl 9
2020년 1월 31일 08:54어쩌다 보니
제가 김작가님 채널에서
하트를 가장 많이 받은 사람이라고 나오네요 ㅎ
@user-hi8nq8jh3b 9
2020년 1월 29일 14:54올해 27살인데요, 천영록 대표님이 말씀하신 '나쁜 패를 빨리 버려야한다'라는게 정말 와닿습니다.
대학만 가면 공부안하고 네 맘대로 해도 된다라는 부모의 말을 맹신해서 학창생활 12년을 부모의 감시속에 친구도 안만나고 공부만 하다가
사회성 결여로 군대에서 엄청 욕먹고 정신 차려서 남은 대학생활을 제가 잘하는게 뭔지 찾는데만 보냈습니다.
지금은 전산회계 1급을 준비하고 있어요.
직업 비하다, 다 너처럼 생각하면 누가 시급받고 일하겠냐라는 엇나간 비판도 무릅쓰고 목소리 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저 스스로 뭔가를 시도한적이 거의 없어서 작은 도전을 하더라도 항상 불안해지는데 저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이 잘 되는걸 볼때마다 힘이 됩니다!
@sarahshim5884 9
2020년 1월 22일 17:55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user-wt6kf5ye3n 8
2020년 2월 21일 00:23이분 어디서 봤나했더니 너목보 출신이네요. 멋져부러
@user-vw4po4hl6i 8
2020년 1월 27일 18:45마지막에나온 27장까지 기억한다는사람 인터뷰한영상도있나요?있다면링크나 영상제목좀 ㅠㅠ
오리미누 7
2020년 1월 28일 17:16작가는 킴성태 닮았네요 ㅋㅋㅋ
jeff 7
2020년 1월 23일 12:11천재는 무에서유를 창조하는게 천재지
김희정 6
2020년 2월 05일 21:31ㅁ
변호사님 덕분에 잘못된공부를 깨달았고, 다시 기출분석부터 시작합니다.
김영진 6
2020년 7월 03일 20:29사법 고시 치는 사람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지만... 도덕성도 중요 하다고 생각 한다. 정직하고 법을 지키며... 공평 하게 판단을 하고. 뇌물을 안먹는 검사.. 정의의 사도...그런데... 정치적으로 보면. 항상 검사들은 뇌물에 중심에 있음..
캔들리 5
2020년 2월 24일 21:43킴성태가 왜여깃누
RyanSB 5
2020년 1월 24일 04:2427장 암기 ㅋㅋㅋㅋㅋㅋㅋ
@user-zn6tv3kh3z 5
2020년 1월 23일 18:56역시 변호사님 남다른관점
@user-nz2qe1pg1c 5
2020년 1월 30일 14:56오~썸네일 슬리피가 사시 합격했다는줄ㅋㅋ
@user-gt9wy7xo9f 5
2020년 1월 22일 19:20감사합니다
@hyunj1230 5
2020년 2월 05일 22:17이 분은 진짜 머리가 좋으시다
@user-ek8ru6mg1c 5
2020년 1월 22일 18:15잘봤어용
Fr Ccn 4
2020년 1월 23일 20:42모든 기출을 풀기전에 기본부터 탄탄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정은 4
2020년 1월 24일 16:05모든 시험이 다 원리가 똑같은것 같아요
@KAIKAIYOJP 4
2020년 1월 25일 23:588:58 진짜 ㅋㅋㅋㅋㅋㅋㅋ
@user-jh9wn7zj2u 4
2020년 2월 06일 10:56사랑합니다 당신의 목소리와 말도 조리있게하는거보고 매력에 빠져버림
Hyungjin Kim 4
2020년 7월 23일 17:273:42
공터뷰 4
2020년 2월 02일 00:37김작가님 질문 최고예요👍 이윤규변호사님 말씀에 더 집중하게 됩니다!!! 너무 좋은 두분입니다~😆
@habinlee8705 4
2020년 1월 29일 20:04목소리도 쏙쏙 귀에 들어오고 좋습니다^^!
@vivianenglishclass 3
2020년 1월 31일 10:24동영상 너무 잘 보고 가요! 근데 이번 편에 자주 나오는 부분이라서 말씀드리고 가요 ㅎㅎ
저도 예전에 너무 헷갈려서 찾아봤었는데 '정답을 맞히다' 입니다~
맞추는 건 초점을 맞추다, 너와 나의 답안지를 맞춰보다 이런 느낌으로 쓰시면 됩니다!
정답을 맞추다는 틀린 말이라고 해요!
보통의 시험은 오지선다잖아요. 다섯 개 보기 중에서 답을 골라내는 건 답을 '맞히다' 입니다!! (참고로 과거형은 맞혔다 입니다~)
@soo_cow6879 3
2020년 3월 04일 23:19우와 변호사님 빠져들거같아요. 변호사선생님의 영상을 작년 수능 300일전에 봤더라면 ㅠㅠ😥
@user-og8lk6xi7k 2
2022년 2월 06일 12:33공부할때 기출이 중요합니다 저도 말한것처럼 공부해서 계획 실행 기출등으로 해서 공인중개사 경비지도사 행정사 주택관리사 경영지도사 한번에 합격했습니다
뽀옹 2
2020년 2월 22일 13:23김작가님 안경벗으심 더 멋지실것같아요 ㅋㅋㅋ
Sang-su Ban 2
2020년 1월 27일 16:37^^ 공부법
태촌 2
2020년 3월 27일 23:31이 영상만 보고 서울대 목표 수능만점 목표 하겠습니다
@user-fe2tk9sk1o 2
2020년 8월 29일 01:59마지막에 하는 얘기 리처드 파인먼이 칼텍에서 교수할 때 똑같이 하던데. 칼텍 안에선 하위 50프로일지 몰라도 졸업하고 밖에 나가서 취업하는 순간 다시 최상위권이 될 수 있다고. 소수정예 안에서도 특출난 천재들이랑 자기를 비교하면서 오기 부리는 건 인생 낭비하는 지름길이라고 하더라구요
@user-yj3kd2ql9c 2
2020년 4월 29일 03:36좋은팁입니다. 학교다닐때 저런요령 알았다면, 도움 많이 되었을것인데.. ㅎ
@user-in2mm8gs7b 2
2020년 1월 23일 20:36반성합니다
@jerrykim4837 2
2022년 2월 05일 14:51공부와 합격은 결국 스킬입니다. 좋은 영상입니다
stefanet 2
2020년 1월 27일 22:55변호사보다 학원원장을 하시면 더 성공할 분!
@yoonsanghun 2
2020년 1월 27일 02:35이윤규 변호사님이다.
링링 2
2020년 2월 01일 12:59오늘도 예쁘고 귀엽다
@hanbum11 2
2020년 1월 24일 07:16멋지다
@creatvkatrina 2
2020년 1월 25일 19:49인터뷰로 뵈니 더 반갑네요 변호사님~~~!
Chong Kim 1
2020년 1월 24일 15:27사법시험 1차 합격해도 2차에서 인성검사 하고 연수과정에서 또다시 적성및인성검사를 하여 최종합격 결정해야 청렴한 법조인이 될것이다.
우스시오 1
2020년 6월 25일 09:00출제위원이 이걸봐서 앞으로 이상하게 내면 어떡하지
홍도발 1
2020년 2월 18일 21:58말도 잘하고 공부도 잘하고 대단쓰..
조주부잔소리 1
2020년 1월 28일 13:06정말 노력하는 천재는 이길 수 가없음.
심플리 블랙Simply black 1
2021년 4월 20일 12:10어휴 얼굴이 훈훈하다ㅎ
권도영 1
2020년 3월 08일 14:221% 영감, 99% 노력!
천대 에디슨도 인정했다!
천재는 사법고시 안됨!
불굴의 노력파가 합격함
@Jaemmin90 1
2020년 1월 29일 06:211:30 .....공인노무사는 직장폐쇄를 3년 연속 냈습니다...8대 전문자격사이지만 너무 예외 중의 예외. 기출문제는 한번 다 훑어 보고 문학판검 까지는 아니더라도 훑어봐야합니다.
나누나누 1
2020년 2월 03일 15:22시험문제가 저런식으로 내면 진짜 인재를 뽑기보다는 시험을 잘보는 사람을 뽑을 가능성이 크겠네요
vv k 1
2020년 1월 25일 20:52도움많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Nam Family
2020년 5월 17일 03:15사법연수원에서 다함께 공부한 사람중에 판사, 검사, 변호사로 나눠진다는 사실이 우리나라의 사법농단의 기초라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처럼 학연, 지연을 따지는 나라에서 2년 동안 같이 공부한 사람중에 판,검,변호사로 나눠진다면... 공정한 재판이 이뤄지기가 상당히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Bumsub Song
2020년 1월 23일 20:46학자로서 공부는 어떻게 해야하는가
경기도
2020년 1월 29일 08:47수능 기출 다 외워도 한번 꼬아서 내면 틀리는 나란....
알라딘
2020년 2월 04일 10:00저분은 인강안듣고 공부하셨다는건가요?
소크라테스
2021년 3월 02일 11:04암기 잘하는게 천재는 아닐텐데 ㅋㅋ
@user-wd1wj6pi8o
2020년 11월 14일 03:39역사는 반복된다. 기출은 언제나 옳다. 미래는 과거로부터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