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의견에 동의 합니다. 현재 방법은 그냥 이명박정부 시절 진행했던 무한 공급밖에 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남아 돌아도 더 짓고 더 짓는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거 이외에 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 정부는 자신들의 정책실패를 인정하기 싫어서 대규모 아파트 공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 서울은 뉴욕같이 정말 극단적인 양극화의 도시가 될까 걱정됩니다.
부동산 주제로 부드러우면서도 날카롭게 분석하셨던 홍춘욱 박사님을 이때 영상으로 처음뵈었는데 영혼까지 끌어모을 정도로 부동산 매매를 부축이는 이 현 상황이 해결되지 않아 너무 아쉬워요ㅠ 그래도 이 상황에 이름까지 어렵다며 유머를 구축하신 홍춘욱 박사님덕분에 웃으며 영상을 봅니다. 감사드려요!
박사님 맞는 말씀 이십니다 ^^ 경제를 생각으로만 만들어 가려는 정부 입안자들이 보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하나 아파트공급하면서 집사라고 정부에서 할때는 집값이 이렇게 상승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공급은 하지 않으면서 집사면 안되 세금 올릴거야 집사지마 ... 하고 정부에서 난리를 피우니 거꾸로 집값이 상승하는거 아닌가요 참 답답한 마음 어찌해야 할까요 ? 젊은이들은 앞으로 직장도 주택도 걱정이 태산 입니다 얼마를 모아야 하는지.. 그래도 종자돈 모으고 재태크 해야 겠지요 잘보고 감사합니다 ^^
그렇죠. 공급이 없으니 적은 수요라도 몰리고 상승시키게 되겠죠. 임대주택을 많이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퀄리티의 문제도 해결하면 더욱 좋겠죠. 건설사가 지어 놓은 다주택을 매수하는 방법도 좋겠지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매수하는것인가도 생각해볼수 있겠구요. 퀄리티가 좋다면, 임대아파트,다주택빌라들에 수요가 없을수 있을까하는데요.
국가에서 장려하는 수출산업이 역사상 최대 호황입니다. (반도체. 자동차. 선박) 국내 대기업들중에 지금 워크아웃을 하고 있는 곳은 없습니다. 한국의 방역은 상대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죠. 박사님 방송에서도 언급하셨지만 부채 연체라던가 자영업자 대출 상환 연체율도 역대급으로 낮은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20대 초반의 정규직 취업이 어렵고 청년들의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진입은 고질적이지만 이런 저런 돈들로 커버가 되는것 같아보입니다. 사람들의 불만처럼 돈을 버는 사람만 버는 사회인것도 체감할때가 많습니다. 2+2 전세제도의 2년살이를 마친 주택 실수요자들이 당장 이번 연말 지나면 쏟아져 나올것 같아보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택 시장을 잡는게 과연 가능할까요. 양극화에 대한 불안심리가 주택시장에서 표출이 아니라 폭발행정을 반복하는 운전중인 엔진의 피스톤 같습니다.
문제는 그럴의지도 능력도 없다는거죠. 주변에 열심히 사는 사람들 많고 저도 열심히 살고 있지만 참 어렵네요.. 최근 더 좋은 회사로 이직에 성공해서 연봉이 1.5배 이상으로 뛰었지만 그럼에도 서울은 여전히 쳐다도 못보는 수준이고 대기업, 공기업 연봉만으로는 도저히 집을 사기 어려운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지금이야 직장인 된지 7개월 정도라 뭐 아무것도 가진게 없지만 변화가 없다 싶으면 끌어모아서 영끌이라도 하려고요 변화가 없다면 앞으로도 너무 힘들것 같습니다.. 요즘 현차 연구직 친구들도 성과급 불만으로 다 드러눕던데 사회 초년생들은 전부 누워야 하는건 아닌지.. 뭐 이모티콘으로 표현은 안하지만 이런 상황이니 비혼도 늘고 출산율도 뭐... ㅎㅎ 그래서 어차피 집은 쳐다도 못보니 다들 YOLO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홍춘욱 박사님 코로나에 저가매수로 대응하셨다고 하셨는데요. 같은 매수로 대응하셨던 정 대표님의 페이스북을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코로나때 투자를 놓쳤던 이유는 제 주변에 장기적으로 보시는 분이 없으셨던 것도 일부 있던 것 같아요.. 20대 사회초년생인데 잘 공부해서 박사님처럼 위기에 잘 대응하고 싶습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미국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지난 10년간 신규주택수가 부족하다보니 코로나 전에도 오르고 있었지만 코로나 이후 풍부한 유동성과 낮은 모기지 금리로 가격이 하루하루 다르게 오르고 있죠. 바이든 정부는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신규주택 공급을 공격적으로 할거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설마 민주당에서 대규모 주택공급 몰라서 안하겠습니까? 일부러 그러는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재난지원금 88%지원같은 황당한 짓보면 몰라서 그럴수도 있지 않나하는 오싹함도 들긴합니다만..;;; 아름다운 서울을 위해서 저층아파트로만 짓고 건폐율을 낮추고...재개발 억제하고 이익은 환수하고???;;;;
박사님 질문이 있습니다. 최근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시중은행들은 COFIX금리를 기준금리로 사용중이고, 주담대의 경우 보통 금융채 5년물을 사용해서 기준금리 인상과 큰 연관성이 없어보입니다. 그러면 경제기사에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1%p 인상 시 11조 8천억원이 증가한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가 맞나요? 앞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준금리는 단기물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나마 코픽스금리와 금융채 6개월물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금융채 5년물에는 큰 영향을 못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Matou-Sakura 27
2021년 6월 30일 08:09앞으로 5,6년간의 주택공급 청사진을 보니 정말 암담하더군요. 거의 없다시피 하네요. 3기 신도시도 2027년쯤에나 입주가능하다던데, 정책까지 안바뀌면 다음 정권에선 정말 헬게이트가 열릴것 같습니다
@pongkyukim5503 26
2021년 6월 30일 07:36혹박사님 눈치 보느라 하기어려운 얘기 항상 시원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agejoTruck 18
2021년 6월 30일 08:19폭등론자라고 욕먹느시는 게 안타깝네요 이렇게 데이터 베이스로 객관적으로 설명하시는데.. 확증편향이 이래서 무섭구나 싶기도 하구오
@SnghoJeong 10
2021년 6월 30일 09:54눈부신 발전으로 너무나 복잡해진 경제 시스템을 정치논리로 자꾸 망가뜨리는 것 같습니다.
항상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강철대오민중의승리 7
2021년 6월 30일 07:105년동안 "부동산만은 자신있다 "면서 집값폭락한다고해서..믿고 집판사람 ㅠㅠ평생 벼락거지 월셋방살이 임대거지로ㅠㅠ 나 앉았네 대깨들아 😢
@user-eu1xi7oq1z 7
2021년 7월 04일 23:35경제 공부가 참 어려웠는데 요즘 영상 하나하나 보면서 배우고 있습니다. 불사조 채널에서 주식 공부하다가 경제공부도 함께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하고 있는데 항상 초보의 마음으로 열심히 배우려고 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한프로 6
2021년 6월 30일 10:09저도 책 샀어요~ㅋ
책 읽으면서~ 꼭 유튜브 듣는 느낌이 들어요~ㅋ
어느새 6
2021년 6월 30일 10:45동감입니다
고양 창릉에 임대 보다는 33평형 저렴하게 대규모 아파트 공급이 필요합니다
그럼 서울 집값 잡을수 있습니다
민주당 그리고 청와대 문통령님 정신 차리삼
뻘짓거리 그만하고
내평생 당신들 지지했지만 지금 하는 짓거리 절대 용서 못합니다
@user-dh7xu7iv5w 5
2021년 6월 30일 07:23서울과 지방의 차이가 점점커지네요, 영상잘봤습니다
오지발굴단 5
2021년 6월 30일 08:07집값 떨어진다고 반대하겠죠.. 어짜피 정책을 집값올리는 용도로 쓰는데
@TV-ds3ce 4
2021년 6월 30일 10:40박사님 유튜브 강의를 접하고, 돈 공부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광화문 교보 문고에 나가서
“돈의 역사” 1,2 &
“돈의 역사는 되풀이 된다” 구매 했습니다.
@expedition80 3
2021년 6월 30일 07:00명쾌한 원인을 알게 된 것 같습니다!
2017년부터 확연한 주택공급 감소
임대차3법 적용 타이밍
다음 정권이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을까요?
다수서민안정보다 특정소수의 이익과 대물림을 원하는
사회. 암울하다. 세상이야 어떻게든 돌아가겠지만
@asdfadsfa672 3
2021년 6월 30일 13:06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최근 미국이 2단계에 걸쳐 테이퍼링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미국의 테이퍼링이 한국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궁금합니다.
@user-yq8ki1cj2o 3
2021년 6월 30일 10:34좋은말씀이고 이정부에서 할수있는 최선인거 같습니다. 죄송하게도 가끔 태클댓글도 달지만 위축되지 않으셧으면 좋겠네요 홍박사님 생각듣는것도 좋아하거든요
@user-hv7hi3hr2t 3
2021년 6월 30일 08:37박사님.. 저도 공급부족이 문제라고 생각은 합니다 그런데.. 공급과잉은 어느 정도 로 생각 하세요?
@user-mt4hz5mj7d 2
2021년 6월 30일 12:32그렇군요 이런 이야기가 정부 정책에 반영되면 좋겠네요~ 우리모두 힘을 모아~ 읏샤~~
차돌배기 2
2021년 6월 30일 19:39서울 100억, 1000억 되든 말든 딴 나라 이야기임. 평생 서울 살 이유가 없으니.
@user-mk4hp5bo9c 2
2021년 6월 30일 07:06감사합니다 박사님ㅎㅎ
@alogic721 2
2021년 7월 01일 00:31"균형발전"이라는 말도 안되고 얼토당토 않는 정책을 미는 정당인데 그게 가능할리가
@user-bp4fy7zw7r 2
2021년 6월 30일 11:02최고의 강의 늘 감동입니다 👍👍👍👍👍
박사님 강의 국회로 보낼수없을까요 ? 으으으
@user-rq9mb5zm3w 2
2021년 7월 04일 21:17박사님 의견에 동의 합니다. 현재 방법은 그냥 이명박정부 시절 진행했던 무한 공급밖에 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남아 돌아도 더 짓고 더 짓는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거 이외에 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 정부는 자신들의 정책실패를 인정하기 싫어서 대규모 아파트 공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가 서울은 뉴욕같이 정말 극단적인 양극화의 도시가 될까 걱정됩니다.
@user-rn9dx3hh5q 2
2021년 6월 30일 08:11항상경제 공부 잘하고있습니다
이주노 2
2021년 6월 30일 06:57정권을 바꾼다고 정책을 바꿀지 의문이네요
@user-of8ct1bb4o 1
2021년 7월 01일 21:24도대체 정부공무원들은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있는건지 궁금하네요. 그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에는 눈과 귀를 막고있는것같아 너무 마음이 아프네요. ㅠㅠ
@mirandajung3842 1
2021년 6월 30일 22:53부동산 주제로 부드러우면서도 날카롭게 분석하셨던 홍춘욱 박사님을 이때 영상으로 처음뵈었는데 영혼까지 끌어모을 정도로 부동산 매매를 부축이는 이 현 상황이 해결되지 않아 너무 아쉬워요ㅠ 그래도 이 상황에 이름까지 어렵다며 유머를 구축하신 홍춘욱 박사님덕분에 웃으며 영상을 봅니다. 감사드려요!
@user-if3ey8jy6d 1
2021년 7월 04일 11:16카페에서 돈역되 읽고 있는데 건너편에서도 한 분 읽고 계시더군요 ㄷㄷㄷ 책이 참 알기 쉽게 잘 쓰여져 있어서 많은 가르침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sun7211 1
2021년 7월 11일 13:56박사님 맞는 말씀 이십니다 ^^
경제를 생각으로만 만들어 가려는 정부 입안자들이 보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하나 아파트공급하면서 집사라고 정부에서 할때는 집값이 이렇게 상승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공급은 하지 않으면서 집사면 안되
세금 올릴거야 집사지마 ... 하고 정부에서 난리를 피우니 거꾸로 집값이 상승하는거 아닌가요
참 답답한 마음 어찌해야 할까요 ?
젊은이들은 앞으로 직장도 주택도 걱정이 태산 입니다
얼마를 모아야 하는지..
그래도 종자돈 모으고 재태크 해야 겠지요
잘보고 감사합니다 ^^
@user-if5yw9rt3c 1
2021년 7월 04일 16:44그렇죠. 공급이 없으니 적은 수요라도 몰리고 상승시키게 되겠죠. 임대주택을 많이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퀄리티의 문제도 해결하면 더욱 좋겠죠. 건설사가 지어 놓은 다주택을 매수하는 방법도 좋겠지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매수하는것인가도 생각해볼수 있겠구요. 퀄리티가 좋다면, 임대아파트,다주택빌라들에 수요가 없을수 있을까하는데요.
@user-yu7cy3rk4z 1
2021년 6월 30일 06:49감사합니다.
@user-iy4bs9zd1e 1
2021년 6월 30일 12:11흔히 이야기 되지 않는 팩트를 짚어 주시는 것이 너무 좋습니다..
@user-ie2qc6vl2p 1
2021년 7월 01일 06:59제가 이제 서른으로 투자 5년차인데 결국 투자 공부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 쓸모가 없더라고요. 가장 쓸모 있는 공부는 금융역사입니다. 과거는 무조건 반복됩니다. 돈의역사는되풀이된다는 너무 시의적절한 책인 것 같네요 ㅎㅎ
@user-to4eg9uc6s 1
2021년 6월 30일 12:59이 영상을 여당 의원과 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봐야할텐데 말입니다...
@user-vj1sy3vh8q 1
2021년 6월 30일 07:10감사합니다
나야 1
2021년 6월 30일 07:31수도권 인구쏠림.. gtx와 같은 인프라쏠림..
수도권에 인프라가 쏠리고 일자리가 쏠리니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갈수밖에..
정치논리는 언제 꺼질까요??
Vt D 1
2021년 7월 03일 04:20공급은 외치는데 '저렴'하게 아무도 공급안한다는게 문제네요ㅜ 임대주택은 절대 노답이라 보구요. 가처분소득도 줄어들고 월세를 못내는 상황이 발생하면 생존이 불가능해지지요..
정치적 해결이 하나의 대안이라고 보는데요. 공급하는 기업과 국가(고위공무원(선출,임명직포함), 지역기득권들의 유착이 너무나 심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광주건물붕괴 사건만 보더라도요.
혁명21정당의 제1정책 평당 700만원 이하(국유지+원가건축+모기지이자,시세차익불가,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감안) 국가가 지어서 판매하는것이 답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아파트별로 건축원가 공개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Andrew Bae 1
2021년 6월 30일 08:24제목에 '블'이 빠진 거 맞죠?ㅎ
@user-oe9mo6mi9b 1
2021년 6월 30일 07:50굿굿굿
@4114tom
2021년 7월 04일 15:21Gtx와 지하철을 통한 경기도 접근성을 올여야 합니다
서울은 주요 도시에 비해 2~3배 좁습니다
그러기에 경기도를 묶어서 가야합니다
서울시장이 서울에 공원 더 만들고 너후지역 유지하는 오직 서울 중심으로 사고해서는 안됩니다
@ohjunsu5610
2021년 7월 01일 00:41국가에서 장려하는 수출산업이 역사상 최대 호황입니다. (반도체. 자동차. 선박)
국내 대기업들중에 지금 워크아웃을 하고 있는 곳은 없습니다.
한국의 방역은 상대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죠.
박사님 방송에서도 언급하셨지만 부채 연체라던가 자영업자 대출 상환 연체율도 역대급으로 낮은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20대 초반의 정규직 취업이 어렵고 청년들의 저출산 문제와 고령화 사회 진입은 고질적이지만 이런 저런 돈들로 커버가 되는것 같아보입니다.
사람들의 불만처럼 돈을 버는 사람만 버는 사회인것도 체감할때가 많습니다.
2+2 전세제도의 2년살이를 마친 주택 실수요자들이 당장 이번 연말 지나면 쏟아져 나올것 같아보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택 시장을 잡는게 과연 가능할까요.
양극화에 대한 불안심리가 주택시장에서 표출이 아니라 폭발행정을 반복하는 운전중인 엔진의 피스톤 같습니다.
그런 심리를 다독일수 있는 방법이 과연 있을까요.
@user-ry3vp2tq1s
2021년 7월 04일 11:41말씀하신 방법은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문제는 10년후에 더큰 문제가 될겁니다.
@user-sy1wp8wd3x
2021년 7월 01일 11:48고밀도 개발과 고속전철 연결이 답이다.
@user-wh2rq7wn6y
2021년 7월 06일 16:52동의함!!!
정레기들 만 사라지고,
당연히 모피아들도 사라지면!!! #다~ 해결됨! #다~ 해결됨!
@user-qf1ld7er3q
2021년 7월 05일 20:47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어느 정권에서 만약 주택의 초과 공급을 진행시켜 자산가격이 급격하게 빠지는데 그 다음 정권에 청산주의자들이 집권하면 어떻게 될까요.. ?
@percentone1325
2021년 7월 09일 02:31도대체 후분양제로 전환은 언제쯤 될지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처럼 선분양하는 나라가 있는지 궁금
Yong-Won Seo
2021년 6월 30일 15:37오늘 제목이 짤렸습니다ㅎㅎ
@21jm18
2021년 7월 02일 03:11사실 미국 금리인상 1년이후에나 서울 부동산값 떨어질텐데 이건 뭐 어쩔수없는거 같습니다 대량 공급도 바로 되는것도 아니고
program operation
2021년 7월 10일 19:30임대만 맨날 늘리는 정확한 이유가 뭔가요? 거품에 대한 공포감인가요? 아니면 여당의 토지공개념?같은 이념 때문인가요?
미주라[MJR] 시즌2 -장기투자 인사이트
2021년 7월 03일 20:48방법을 몰라 안하는 것이 아님을...
가을따라.
2021년 6월 30일 19:03안 봐도 비디오. 공급해야한다.
0707 jhey
2021년 7월 14일 21:37좋아요 꾹~~^^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물론 책도 다 사서 잘 읽고 있습니다~ 앞으로 2년이 폭등 클라이막스 일까요! ?ㅋㅋ
@aaaalss
2021년 7월 01일 07:50정책개선 바램만
내집마련 분양 당첨후 코앞에 두고 답답하네요
어떤결정을 해야되는지
m jin
2021년 7월 27일 00:01반갑습니다
@kwangmookkim3274
2021년 7월 01일 07:52완전 공감합니다!!!
SSD HDD
2021년 7월 10일 18:54문제는 그럴의지도 능력도 없다는거죠.
주변에 열심히 사는 사람들 많고 저도 열심히 살고 있지만 참 어렵네요..
최근 더 좋은 회사로 이직에 성공해서 연봉이 1.5배 이상으로 뛰었지만 그럼에도 서울은 여전히 쳐다도 못보는 수준이고
대기업, 공기업 연봉만으로는 도저히 집을 사기 어려운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지금이야 직장인 된지 7개월 정도라 뭐 아무것도 가진게 없지만 변화가 없다 싶으면 끌어모아서 영끌이라도 하려고요
변화가 없다면 앞으로도 너무 힘들것 같습니다..
요즘 현차 연구직 친구들도 성과급 불만으로 다 드러눕던데
사회 초년생들은 전부 누워야 하는건 아닌지..
뭐 이모티콘으로 표현은 안하지만 이런 상황이니 비혼도 늘고 출산율도 뭐... ㅎㅎ
그래서 어차피 집은 쳐다도 못보니 다들 YOLO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kyriefy
2021년 7월 01일 06:12서울만 주택 대출 금리 올릴 순 없을까여
투기과열지구는 지역별로 제한하면서 ..
@user-cq5vq3sk5n
2021년 7월 03일 14:06박사님 귀중한 조언 감사합니다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책 구입했어요 ㅎㅎ
Minsu Choi
2021년 7월 14일 12:53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서성용
2021년 7월 04일 16:57우리나라 부동산 전문가
전혀 신뢰가 .....
듀퐁,w st
2021년 7월 02일 01:00세종으로 대거 옮겨야죠
yy h
2021년 6월 30일 08:10ㅠㅠ
크로노스
2021년 6월 30일 08:28결국 당연히 물량이 문제
오와우 진짜 감동했다
2021년 6월 30일 06:51주택 가격 계속 올라 갈 것입니다~
정치논리에 의해서 ㅎ
말로만 잡는다고 할 것임
On the pale blue dot
2021년 6월 30일 08:10경기도가 저평가인 근거가 뭔가요?
역사적 저평가라는 경기도는 수도권 제외한 경기도인가요?
st flux
2021년 6월 30일 07:44제목이 선정적임. 진짜 진실은 알고 있는지 ...
기축통화국이 우리들에게서 계속 삥뜯어 가는한 집값은 하락하지 않는다. 기축통화국 버불이 터지는날 같이 폭낙할 것이다.
@9damalshr8ih88
2022년 3월 05일 02:10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ncsmusic3967
2022년 3월 05일 02:10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Saint Marie Dumont
2021년 8월 02일 15:55선배님처럼 배운사람들이 문재인 이재명한테 대놓고 저능아들이라고 욕할수있는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가 되길 바랄뿐입니다. 자신의 표한장의 무게를 이제 저능아들이 깨닫길 바랄뿐입니다
60대40마켓타이머
2021년 7월 08일 12:12홍춘욱 박사님
코로나에 저가매수로 대응하셨다고 하셨는데요.
같은 매수로 대응하셨던 정 대표님의 페이스북을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코로나때 투자를 놓쳤던 이유는 제 주변에 장기적으로 보시는 분이 없으셨던 것도 일부 있던 것 같아요..
20대 사회초년생인데 잘 공부해서
박사님처럼 위기에 잘 대응하고 싶습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몬스터에너지울트라
2021년 7월 29일 17:592030이 흐름을 잘 파악하고 있네요
@leepark292
2021년 7월 13일 07:40미국도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지난 10년간 신규주택수가 부족하다보니 코로나 전에도 오르고 있었지만 코로나 이후 풍부한 유동성과 낮은 모기지 금리로 가격이 하루하루 다르게 오르고 있죠. 바이든 정부는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신규주택 공급을 공격적으로 할거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레드 코끼리
2021년 6월 30일 06:53감사합니다
@uikyusong
2021년 6월 30일 09:10홍박사님, 지역별 주택구입 부담지수 산출시 사용되는 소득은 지역별 소득일까요, 아니면 전국민 평균 소득일까요? 서울거주 인구는 타지역 대비 소득이 높을텐데 이런 게 감안된 건가 해서요
KH Choi
2021년 9월 30일 10:53설마 민주당에서 대규모 주택공급 몰라서 안하겠습니까? 일부러 그러는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재난지원금 88%지원같은 황당한 짓보면 몰라서 그럴수도 있지 않나하는 오싹함도 들긴합니다만..;;; 아름다운 서울을 위해서 저층아파트로만 짓고 건폐율을 낮추고...재개발 억제하고 이익은 환수하고???;;;;
LipeK1ng
2022년 3월 05일 02:10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Şahin Şixkerimov999
2022년 3월 05일 02:10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user-ux5mg2ov5w
2021년 8월 05일 10:28현실적이고 서민의 입장에서 이웃처럼 쉽고 리얼하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해요.♥
@kimkimkim9350
2021년 7월 01일 20:20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중산층이 살고싶은 주택공급이 부족해서 문제인것 같은데 임대주택 비율만 계속 높이는 주택 정책을 보니, 지금집 팔면 큰일 나겠네요. 이 정부들어 집값이 2배 이상 불어나서 차익실현 욕구가 있었는데
@user-cr7mz1ki7i
2021년 7월 03일 12:33저도 홍박사님 신간 책 샀습니다^^
잘 읽겠습니다 ㅎ
@shark-j
2021년 7월 02일 16:23예전엔 월세에 대한 안좋은 인식이 있었는데 월세 살면서 그돈으로 집값이 폭락 할때까지 주식, 채권, 달러고 자산을 계속 불리면서 기다려야 겠어요
@OyunGezginiYT
2022년 3월 05일 02:10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furkanciftci8511
2022년 3월 05일 02:10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asdfadsfa672
2021년 7월 04일 01:17박사님 질문이 있습니다. 최근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시중은행들은 COFIX금리를 기준금리로 사용중이고, 주담대의 경우 보통 금융채 5년물을 사용해서 기준금리 인상과 큰 연관성이 없어보입니다. 그러면 경제기사에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1%p 인상 시 11조 8천억원이 증가한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가 맞나요? 앞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기준금리는 단기물에 영향을 미치므로 그나마 코픽스금리와 금융채 6개월물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금융채 5년물에는 큰 영향을 못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