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맞는말,,, 아이디어도 중요한데 아이디어를 어떻게 실현시킬지가 더 중요한것 같아요. 이건 IT 뿐만 아니라 모든 디자인 하는 사람들이 공감할 것 같아요. 특히나 대기업에서 가장 선호하는 방식의 작업이기도 하구요. 말로 정리를 참 잘해주시고 현실적인 조언도 너무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
5:24 부터 말씀해주시는 설명이 너무 공감되네요.. 저는 웹퍼블리셔 였다가 프론트 개발업무를 하며 백엔드 개발로 전향을 준비하고있는데요, 현재도 그렇고 전에는 퍼블리셔 였다보니 더욱 디자이너 분들과의 의견 조율이나 갈등이 있었는데요 포토샵으로 디자인 하는게아닌 실행되기 까지의 험난한 과정이나 현실가능하냐의 문제를 설명해주시는 것에대해 매우 공감이 되네요.. 특히 편집이 아니라 IT에서 사용될 디자인은 조립에 가깝고 개발도 창의적으로 다 만든다기 보다는 조립에 느낌을 받습니다. 공감되는 이야기를 차분하게 잘 설명해주신거 같아요
모든걸 자기가 스스로 자기주도적으로 결정하고 평가하고 결과를 내야하니 다양한 아이디어와 창의성이 생길수밖에 없을것 같아요 그러면서 많은 실패와 도전으로 인한 결과물 책임감이 생기면서 구글은 계속 성장하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빨리 이런 문화가 구축되어야 미래시대 리더가 되지않을까요..
솔직히 한국에선 창의성 쫒다가 인생 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일을 대체로 위험이 따르는데 한국 고유의 조직 문화 및 징병제가 그것을 증폭 하죠.
기술 교과서에서는 창의성을 "엉뚱 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라고 뜻하는데 , 사회 생활에선 불리하게 작용하는 부분들이죠. 특히,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전체주의, 수직관계 문화가 강한 조직일수록 나이들면 그냥 관리자로 변신하는게 최고라 생각하는 문화라던지...창의성과 개성을 죽이고 조직의 규율과 문화에 맞게 적응하는것이 우선이라는 식의 문화...당장 눈앞에 있는것만 보는 문화...출세지향형 사람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사회...기타등등 이 모든 것들이 사실은 진정한 SW개발과는 잘 맞지 않는 특성들이다...
대한민국에서 이공계 해외 인재 누출 원인 중 하나가 한국 조직의 고유 문화때문이라는 통계도 있더라고요.
미국도 아예 없진 않지만 개인주의를 인정해주고, 서로 다름을 인정을 하고 한국만큼 그렇게 심하지가 않는게 큰 차이죠.
@DongHo96 33
2020년 1월 08일 21:241:45 커뮤니티가 아니라 committee인듯?
@wondrousgrace4450 25
2020년 1월 16일 23:46진짜 맞는말,,, 아이디어도 중요한데 아이디어를 어떻게 실현시킬지가 더 중요한것 같아요. 이건 IT 뿐만 아니라 모든 디자인 하는 사람들이 공감할 것 같아요. 특히나 대기업에서 가장 선호하는 방식의 작업이기도 하구요. 말로 정리를 참 잘해주시고 현실적인 조언도 너무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
@mipingcampus 21
2020년 1월 09일 16:49아이디어보다는 실행력 -> 실행력보다는 실현력이네요!! 감사합니다^^
@othniel0000 15
2020년 1월 13일 10:44실행력은 기술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기술력 위에서 라이프를 디자인하는것이 구글같네요.
Lua 12
2020년 1월 11일 14:495:24 부터 말씀해주시는 설명이 너무 공감되네요.. 저는 웹퍼블리셔 였다가 프론트 개발업무를 하며 백엔드 개발로 전향을 준비하고있는데요, 현재도 그렇고 전에는 퍼블리셔 였다보니 더욱 디자이너 분들과의 의견 조율이나 갈등이 있었는데요 포토샵으로 디자인 하는게아닌 실행되기 까지의 험난한 과정이나 현실가능하냐의 문제를 설명해주시는 것에대해 매우 공감이 되네요.. 특히 편집이 아니라 IT에서 사용될 디자인은 조립에 가깝고 개발도 창의적으로 다 만든다기 보다는 조립에 느낌을 받습니다. 공감되는 이야기를 차분하게 잘 설명해주신거 같아요
@리마인드피씨 12
2020년 1월 09일 03:28대부분 잘못 알고 있는데 창의성은 전에 없던, 뭔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던 것들을 어떻게 연결하느냐가 창의성입니다. 이 창의성의 대가가 바로 스티브 잡스였습니다. 지금 애플은 폭망이지만.......
@bleach5064 9
2020년 1월 08일 18:57정말 주옥같은 말씀들입니다. 아이디어가 고평가되고 실행력이 저평가 되고 있다. 비즈니스가 본질인 것 같네요.
@K부동산월드 9
2020년 1월 10일 05:56미국의 기업문화와 한국의 기업문화의 차이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창의성, 아이디어보다도 실행과 어필에 의한 인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롭게 이해하였습니다.
마케팅과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는 뜻으로 받아들여지네요~
@food_marketer7 8
2020년 1월 08일 19:07생각에만 그치지말고 경험을 통해 아이디어를 극대화 시킨다.
@이도형-f1q 7
2020년 1월 08일 20:036부 빨리내주세요~~~~~~~~~~
@사진-h4m 6
2020년 1월 08일 17:36무언가 하나가 중요해서 그거 없으면 안되는게 아니라 전반적으로 다 필요하죠...ㅠㅠ 현실은 쉽지않음
KOR muscleman 5
2020년 1월 10일 19:39창의성은 피라미드 위에서 더 필요하죠
@vinajung.designer 4
2020년 1월 08일 21:28고객이 지금 딱 원하고 있는 창의성과 혁신 정도면 되는거죠~^^
@김동현-t6k 4
2020년 1월 15일 09:00진부한 생각이더라도 실행하는게 중요한거죠?
@junyeongjeong3900 4
2020년 1월 25일 03:00일을 잘 해야하고 이게 왜 관심을 받아야 하는지 잘 설명해야 하고 다른 사람과 잘 화합해야 한다...
@김경운-l8f 4
2020년 6월 28일 19:51정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도 일반 회사원인데 지금 말씀해주시는 내용 들으면서 제가 평소에 느끼던 답답한 것의 해답을 얻는 느낌이네요 김작가님도 좋은 인터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amiebyun1231 4
2020년 1월 16일 07:39미국에서 막 유학생활을 끝내고 취업한 신입 유엑스 디자이너로써 배울점이 많은 컨텐츠네요! 특히 화합하면서 일하는 (soft skills)게 제일 어렵다고 느끼는 중인데 그래서 더욱 공감됬던것 같아요.
에바 3
2020년 6월 18일 23:51그렇군.. 요즘은 참신한게 하도 많으니 차라리 이 참신함을 이용해 편리성을 더 업그레이드 시켜서 실행이 되고 실현이 되는게 나은 것 같다 이말인거쥐?
이화섭 3
2020년 6월 25일 21:01강한자가 이기는게 아니라 이긴자가 강한자다. 이말이 떠오르네
@yama-e7h 2
2021년 6월 04일 11:51모든걸 자기가 스스로 자기주도적으로 결정하고 평가하고 결과를 내야하니 다양한 아이디어와 창의성이 생길수밖에 없을것 같아요 그러면서 많은 실패와 도전으로 인한 결과물 책임감이 생기면서 구글은 계속 성장하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빨리 이런 문화가 구축되어야 미래시대 리더가 되지않을까요..
@Surgicalprep 2
2020년 2월 03일 11:35뉴질랜드 의사 정재현 입니다. 전문직 일 하는 저에게도 좋은 도움 되는 말씀 주셔서 감사합니다. 계속 좋은 컨텐츠 만들어주세요!
@어른왕자-i4i 2
2020년 1월 16일 09:42그렇네요 아이디어는 밑그림이었군요
내 가게 100호점 만들기, 장백TV 2
2020년 1월 08일 17:19창의성도 중요하지만 실행력도 중요한거 같아요~
@aroy-aroy 2
2020년 1월 08일 18:40아이디어와 실행력도 중요하고 제 생각에는 그것을 실행한 시기가 사람들이 받아들일 준비가되어있는것도 중요한거 같아요
@범범-u4d 1
2021년 3월 28일 19:47이런 영상이 조회수가 이정도 밖에 안되다니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leonheart7576 1
2020년 1월 09일 12:12승진에 Peer Evaluation 가 포함된 덕분에, 승진한 상관들 중에 이상한 사람이 없어요
토레스 1
2020년 1월 08일 19:16디자이너가 실행력을 검증 한다고? 이빨은ㅋㅋㅋㅋㅋㅋㅋ
@imshining 1
2020년 1월 08일 22:50한승헌 디자이너님 말씀도 뭔가 정말 위트있게 재미있게 쉽게 설명을 잘 해주셔서 5부가 순삭이었습니다. 잘 배웠습니다~
@GuitarChoi 1
2020년 1월 15일 00:04내용이 멋있네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토레스 1
2020년 1월 08일 19:19디자이너가 개발을 논한다고?ㅋㅋ
@carry_the_success 1
2020년 1월 08일 17:18데이터로 증명 / PR / 분기별로
판단시에 매우 효율적!!
@몽블랑-f9x 1
2020년 1월 09일 00:19이 죽일놈의 창의성
그냥 전세계의 IoT와 AI를 모두 없애버려야 한다
@leeanpark4364 1
2020년 1월 08일 21:53궁금했던 평가시즌 이야기ㅋㅋㅋ !!
@tshd4B2ZNWS 1
2020년 3월 11일 11:03구글 디자이너로 일하시는 분들은 많은데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개발쪽으로 일하시는분은 많이 안보이네요
@비호제 1
2020년 1월 09일 03:176부!!!!!!!!!!!!
@Lalala-zo2tn 1
2020년 2월 11일 10:36실행이란 단어 참 와닿네요♡
@구자건-z7u
2021년 1월 13일 22:34한국 광고시장에서는 오너가 갑이라서 전혀 어울리지 않은 이야기네요~, 영화 베터랑이 훨씬 어울리는 것 같네요~
@앙-z9v
2020년 1월 19일 23:47실행 가능성 또한 아이디어인데?
myway
2020년 6월 28일 10:52가치있는 창의성이란,1%의 천재급의 이야기이고,
일반인들에겐,실행력이 더 중요한듯함^^괜찮은 아이디어를 실행력이없어서,생각으로 끝내는경우가 많음:나부터 그럼^^;
kang davi
2020년 1월 28일 19:51유익한 영상이네요! 무엇보다 2014년부터 도전하셔 끝내 이루신 의지와 노력에 감탄합니다! 배우고 갑니다!
@카이트-c8y
2020년 10월 13일 10:36솔직히 한국에선 창의성 쫒다가 인생 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일을 대체로 위험이 따르는데 한국 고유의 조직 문화 및 징병제가 그것을 증폭 하죠.
기술 교과서에서는 창의성을 "엉뚱 하고 기발한 아이디어"라고 뜻하는데 , 사회 생활에선 불리하게 작용하는 부분들이죠. 특히,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전체주의, 수직관계 문화가 강한 조직일수록
나이들면 그냥 관리자로 변신하는게 최고라 생각하는 문화라던지...창의성과 개성을 죽이고 조직의 규율과 문화에 맞게 적응하는것이 우선이라는 식의 문화...당장 눈앞에 있는것만 보는 문화...출세지향형 사람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사회...기타등등 이 모든 것들이 사실은 진정한 SW개발과는 잘 맞지 않는 특성들이다...
대한민국에서 이공계 해외 인재 누출 원인 중 하나가 한국 조직의 고유 문화때문이라는 통계도 있더라고요.
미국도 아예 없진 않지만 개인주의를 인정해주고, 서로 다름을 인정을 하고 한국만큼 그렇게 심하지가 않는게 큰 차이죠.
@hurigoTV
2022년 11월 02일 07:36그래도 월급쟁이보단 조그만 사장이 더 멋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