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말,존댓말 핵심으로보임 한국어는 신분제 어법체계가 바뀌지 않으면 현대사회에서 도태될것으로 보임 수직사회가 탄생하고 꼰대가 탄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임 언어는 뇌를 지배하고 사람을 지배하기 때문에. 1등국가에는 존댓말이 없다는 얘기가 있음 대표적으로 현대사회에서 G2미국,중국만 봐도 반말,존댓말로 언어가 한국어처럼 극도로 나뉘지 않음 한국인들은 반말 존댓말 우물안 사고에서 벗어나기가 힘듬 이래야 예의고.. 저러면 예의가 아니고.. 사실 예의라는건 억양과 태도에서도 나오는것임 상대방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미친듯이 바뀌고 그걸 말할때마다 생각해야하고 비효율적인 한국어는 과거신분제사회에서는 필요했을지 몰라도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에 맞지가 않음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단어도 과거 신분제사회에서 예의라는것을 아랫사람이 윗사람한테 일방적으로 지키는게 예의라고 말할 시절에 나온 단어지 지금 현대사회 개념의 예의에서 맞는 단어가 아님
예의라는 개념도 시대가 달라지면 뜻이 달라지는거임 현대사회에서 상호존중이 상식임 흔히말하는 어른이니까 예의를 지켜야지가 예의가 아니란 말임 그냥 상대방의 인종,성별,나이를 떠나서 예의를 지키는게 현대사회의 예의 개념임 그래서 상호존중이라는 단어가 생기는것이고. 한국어는 갈등유발,소통단절되는 역할을 하고있음 세종대왕은 한글을 만든거지 한국어를 만든게 아님 글자를 만든거지 언어를 만든게 아님 제발 글자와 언어좀 구분들 하시길 심지어 이런 한국어 체계를 세종대왕이 만들었어도 잘못된건 잘못된거임 영원한건없음 시대가 달라지면 도덕도 달라지는거고 우리가 알던 상식이 깨지는것임 한국은 유교에 근거한 변질된 유교문화,갈라파고스 나이문화까지 더해져서 현대사회 문명국이라 보기 힘든 강박적인 연상연하 문화까지 갖고있음 일본만 갈라파고스화라고 욕하지 마시길 영어도 많은 언어들의 성향을 받아들이고 변화하면서 살아남은건데 한국어는 이제까지 그래왔으니 앞으로도 이래야한다는 편견에서 좀 벗어나길바람 그리고 너무 많은 서열을 정하는 호칭도 이제는 변화를 많이 해야함
한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반년정도 근무했었습니다. 각국의 지사중 한국지사는 돈까먹기로 소문났죠. 구글이 직원들이 내는 아이디어를 아낌없이 지원하는것과 비슷한데 문제는 한국문화론 성과가 잘 안납니다. 그리고 직원자르는건 정말 쉽구요. 전 잘리기전에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취준생 및 현직자들은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죠. 외국계 준비하시는분들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나이에 퇴직하게될시 본인이 가진 강점이 아이덴티티가 있는지, 자립이 가능한지 잘 생각해보시는걸 권해요. 마냥 외국계가 좋은건 아니라고 꼭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첫째, 연봉.. 인터뷰에서도 나왔지만 초봉이 약 12만불 수준입니다. 그러니 20만불이 많은게 아니고, 그냥 이제 중산충 수준입니다. 둘째, 서열문화.. 당연히 미국에도 있습니다. 무슨 말도 안돼는.... 한국은 그게 좀 심한거고, 미국은 드러내지 않을 뿐입니다. 셋째, 상호존중... 좋은 기업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미국에서 말 함부로하면 안됩니다. 존대말이 없다는 분... 영어공부하셔야 합니다. 넷째, 학벌... 당연히 미국도 학벌봅니다. 아주 소수의 예외적인 뛰어난 분들이 있습니다. 당연히 삼성도 그렇습니다. 다섯째, 줄서기.. 왜 미국은 없다고 생각하는지.. 마지막으로 말씀드리고 싶은건, 한국보다 미국 문화가 좋다 안좋다를 말하는게 사대주의적 발상입니다. 사람사는 곳인데 뭐가 그렇게 다르겠어요. 좀 차이나는 부분이 있겠지만, 한국보다 우월하거나, 다름에 대해 보는 시각이 너무나 원초적이고 조회수 올리기 정도에 머무르는것 같아보입니다.
실리콘벨리 왠만한 모든 기업들은 performance 안나오면 나름 쉽게 짜르기도 하기에 항상 (뛰는게 아니라) 날라다녀야 한다고 봅니다. 제 주변서도 뜬금없이 today’s my last day 아니면 effective immediately so and so is no longer employed..이러고. 나름 베네핏도 좋고 comp도 좋지만 그만큼 잘해야한다는 압박감은 매일 받는거 같네요. 그리고 그게 drive 이기도 하고.
구글은 아니지만 저도 미국동부와 서울에서 일해본 경험으로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하고 한국식 기업문화가 별로다 이런건 아니라 생각해요. 말씀하신것처럼 언어가 그 문화를 확실히 보여주고요. 미국도 상위 핵심인재가 기업을 끌고 갑니다. 정말 뛰어난 재능을 갖고 발현시킬수 있는 적극성이 있다면 해외취업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그런사람은 어느곳이든 많지 않구요.
확실한건 구글은 실력위주의 집단이기때문에 실력이 없으면 학력으로 들어갔더라도 도중에 나오게 되는데 한국은 학력으로 들어가면 어떻게든 가르쳐서 냅두는 조직구조가 많다고 생각함. 대신에 구글같은 경우는 학력에 상관없이 들어가는 케이스도 적지않게 볼 수 있는데 한국은 학력이 일단 안대면 1~2명을 제외하고는 못들어 간다고 봐야함.
진짜 모르는 분이네요. 유튜브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유튜브 dnn이라고 추천 논문을 구글에서 공개를 해놨습니다. 인공신경만 기반의 알고리즘은 있고 정해진 레이블을 실시간 수집된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서 꾸준히 학습해서 추천 영상이 계속 바뀌게 되어 있습니다. 나중에 구글 ai sw engineer 분도 좀 모셔주세요. 개발자는 연봉이 300만불 받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한국은 끼리끼리 이간질 하는 놈이 밑에서 숨어 있어서......그런놈이 자기들쪽이 아니면 이간질 모함으로 다 쫓아낸 다음 조직장악해서 오너 대표와 대립관계를 설정한다음 회사 직장을 좌지우지 하는거지....그래서 구글문화? 불가...일찍퇴근? 재택근무? 한들 수시로 조직안에서 보고 연락을 수시로 해야 이간질 하는것도 가능하고 이간질 당하는것도 방지하고 그런 연속
미국취업이 어려운 이유는 사실 비자 때문입니다. 평범한 한국 토박이라고 해도 구글에서 필요한 경력이 5년이상 되고 영어를 꾸준히 관심가지고 공부 하면 엔지니어나 디자이너 같은 실무적인 분야는 운대가 맞으면 충분히 합격할수 있습니다. 문제는 비자입니다. 한국사람은 미국 취업비자 받기가 사실상 매우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구글에서 데려오고 싶어도 데려올수가 없는 것이조. 미국에서 대학교를 나오면 1년짜리 졸업생비자 같은게 나와서 그 기간안에 취업해서 회사 스폰서를 받아서 H-1B 로 넘어가야 하는데 여기서 추첨을 해야 하니 확률은 30% .전공은 무조건 이공계로 해야 하고요. 한국토박이도 전공하고 경력 되는 사람은 비자 문제를 해결할수만 있다면 미국에서 취업의 기회는 많아요. 처음엔 조그만 기업이라도 들어가면 거기서 경력쌓고 옮기다 보면 구글 애플 아마존 테슬라 같은 회사에 취업하는게 그렇게 어려운일만도 아니예요. 그럼 현실적인 방법은 ? 미국 시민권자와 결혼을 하거나 아니면, 호주나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하면, 미국 취업 비자인 E-3 비자라는게 쉽게 나옵니다. 만약 다음과 같은 경력의 두가지 경우라면? 1) 비자 없음, 미국대학졸업, 학력 좋고 영어 네이티브 VS 2)미국 취업비자 취득가능, 한국토박이,영어 중하 -> 2)번이 뽑힐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최근에 학부 졸업했습니다. 질문할게 좀 많은데 개인적으로 이메일 해도 될까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보통 마스터 이상만 지원이 가능해서 아예 지원도 못하네요.. benjilee0919@gmail.com 입니다. 이메일 한번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bay area에 거주중입니다.
미국의 테크 기업뿐만 아니라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기업들중에 채용규정에 예외 사항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대학 학부 석사출신은 아니지만, 특출하게 뛰어나거나 역량이 우수할 경우 기업들이 스카웃 제안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MS 창업주 빌게이츠도 고교시절 유명 기업으로 부터 스카웃 제안을 받았다고 하며, 현재 가치로는 수백만 달러의 연봉이라고 하죠.
페이스북 창업주 마크 주커버그도 하버드 대학 입학하기전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미국 동부 사립고교, 연간 등록금 5천만원) 재학당시
테크 기업에게 스카웃 제안을 받은 적이 있죠.
기업의 인사규정(채용규정) 항목 내용과 정보를 참고하면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 월가 금융회사들도 주식트레이더의 경우 주식트레이더라는 면허 라이선스가 존재하며, 주식트레이더 면허를 취득한 어느 평범한 고졸이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의 금융회사에서 트레이더로 몸담고 있는데, 알다시피 월가와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탈리스트, 샌프란시스코의 서부 월가의 경우 출신학교 학력보단 실력중심의 구조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실력이 충족하지 못할 경우 하버드 컬럼비아 스탠포드 MBA 출신들도 정리해고되거나 구조조정으로 내몰리거나 적성 맞지 않다면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하거나 직업을 바꾸는 등 공정성이 일상적으로 많죠.
금융회사로 알려진 골드만삭스의 인사 채용 규정을 보면, 특출한 인재나 역량이나 능력이 있을 경우 학력에 상관없이 경영자 권한으로 스카웃을 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고졸도 가능하다는 거죠.
공정성에 대해 한말씀 드린다면은 미국에는 유명 다국적 로펌들이 있죠. 로펌 소속 변호사들의 출신 학교들을 보면 특정 학교의 솔림이나 의존현상보단 각양각색이고 평범한 사립대학 로스쿨 주립대학 로스쿨 출신들이 많습니다.
@zrc247 133
2020년 1월 07일 19:55반말,존댓말 핵심으로보임 한국어는 신분제 어법체계가 바뀌지 않으면 현대사회에서 도태될것으로 보임 수직사회가 탄생하고 꼰대가 탄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임 언어는 뇌를 지배하고 사람을 지배하기 때문에. 1등국가에는 존댓말이 없다는 얘기가 있음 대표적으로 현대사회에서 G2미국,중국만 봐도 반말,존댓말로 언어가 한국어처럼 극도로 나뉘지 않음
한국인들은 반말 존댓말 우물안 사고에서 벗어나기가 힘듬 이래야 예의고.. 저러면 예의가 아니고.. 사실 예의라는건 억양과 태도에서도 나오는것임 상대방에 따라 동사의 형태가 미친듯이 바뀌고 그걸 말할때마다 생각해야하고 비효율적인 한국어는 과거신분제사회에서는 필요했을지 몰라도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가치에 맞지가 않음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단어도 과거 신분제사회에서 예의라는것을 아랫사람이 윗사람한테 일방적으로 지키는게 예의라고 말할 시절에 나온 단어지 지금 현대사회 개념의 예의에서 맞는 단어가 아님
예의라는 개념도 시대가 달라지면 뜻이 달라지는거임 현대사회에서 상호존중이 상식임 흔히말하는 어른이니까 예의를 지켜야지가 예의가 아니란 말임 그냥 상대방의 인종,성별,나이를 떠나서 예의를 지키는게 현대사회의 예의 개념임 그래서 상호존중이라는 단어가 생기는것이고.
한국어는 갈등유발,소통단절되는 역할을 하고있음 세종대왕은 한글을 만든거지 한국어를 만든게 아님 글자를 만든거지 언어를 만든게 아님 제발 글자와 언어좀 구분들 하시길 심지어 이런 한국어 체계를 세종대왕이 만들었어도 잘못된건 잘못된거임 영원한건없음 시대가 달라지면 도덕도 달라지는거고 우리가 알던 상식이 깨지는것임
한국은 유교에 근거한 변질된 유교문화,갈라파고스 나이문화까지 더해져서 현대사회 문명국이라 보기 힘든 강박적인 연상연하 문화까지 갖고있음 일본만 갈라파고스화라고 욕하지 마시길 영어도 많은 언어들의 성향을 받아들이고 변화하면서 살아남은건데 한국어는 이제까지 그래왔으니 앞으로도 이래야한다는 편견에서 좀 벗어나길바람 그리고 너무 많은 서열을 정하는 호칭도 이제는 변화를 많이 해야함
fkd gh 113
2020년 4월 06일 02:50고졸로 취업한 사람은 대학을 못간게 아니라 '안' 간것 뿐이다..
@nhbank6296 67
2020년 1월 18일 04:06한국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반년정도 근무했었습니다. 각국의 지사중 한국지사는 돈까먹기로 소문났죠. 구글이 직원들이 내는 아이디어를 아낌없이 지원하는것과 비슷한데 문제는 한국문화론 성과가 잘 안납니다. 그리고 직원자르는건 정말 쉽구요. 전 잘리기전에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취준생 및 현직자들은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죠. 외국계 준비하시는분들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나이에 퇴직하게될시 본인이 가진 강점이 아이덴티티가 있는지, 자립이 가능한지 잘 생각해보시는걸 권해요.
마냥 외국계가 좋은건 아니라고 꼭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렛츠오케이 65
2020년 1월 07일 21:01와 ...’ 일단 실패하고 봐라’ 구글 다시한번 대단한 기업인걸 느꼈어요 넘사벽 일 수 밖에 없네여... 한국에 있는 많은 기업이 본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그래-l1j 50
2020년 1월 21일 15:02학력은 고졸이되 경력은 고졸이 아니어야 된다 이런거지 뭐 ㅋㅋ
@봄여르 39
2020년 1월 07일 23:012:12 안주한다는 개념 자체가 우리나라와 다른게 신기하다
우리나라는 안주하면서도 연차쌓이고 경력쌓이면 올라가긴 하니까..
안주하면 12년차에도 대리인..ㅋㅋ
사실 그게 맞는거지
우리나라는 나이로, 짬으로 올라가는게 아직도 너무많음
@연쇄삽입마-s1e 29
2020년 1월 08일 02:24이정훈해커가 고졸로 구글간걸로안다
데프콘에서 우승 하고 폰투오운에서 익스플로러등 해킹해서 우승한것도있고
@zrc247 23
2020년 1월 07일 18:54고졸로 구글취업 멋있다
@ostnamy8566 23
2020년 1월 21일 03:17한국의 기업들은 리스크를 생각해서 섲불리 시도를 못하게 하는데
구글은 대카테고리를 상사가 정하고 그 안에 작은 카테고리 내용은 직원들이 자유롭게 만드는거군요!
쉽게 생각하면 '브레인스토밍,식의 방식이네요!
@musnmal 22
2020년 1월 10일 00:45저 33큐브 18초면맞추는데 제가 구글 입사에서 보여드리겠습니다 기다리세요 선배님^^
@임소현-v9k 18
2020년 1월 21일 11:21천정명 많이 닮으셨네
말하는것도 좀 비슷한듯
@gogozena 16
2020년 1월 07일 21:56바틈업 문화가 정말 좋은거같아요~ 디자인은 100% 정답이 없는 분야인데 (물론, 틀린 답은 있지만) 팀장이 의사결정 해버리면 그 팀장의 취향만 반영되기 다반사인데...구글 다녀보고싶네요 ㅎㅎ
@김하늘이-d8p 16
2020년 1월 14일 18:55고졸이 아니라 중졸이라도 엄청난 자기만의 대단한것이 있다면 알아서 구글이든 나사든 연락옵니다.
실제로 저희 사촌 형님은 나사에서 스카웃 제의가 왔었는데 거절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멀어서~"
구구 16
2020년 1월 07일 20:21그래도 이렇게 구글 다니시는 분 얘기듣고 간접경험하는것도 재밌네요
@김묻더-f4z 15
2020년 2월 27일 16:45괜히 초강대국 미국이 아닌듯
저런사람 기업들이 모이고 인재들을
빨아들여서 남들보다 앞서나갈수있는
동력인거같네요
@yisangho717 15
2020년 2월 04일 14:44첫째, 연봉.. 인터뷰에서도 나왔지만 초봉이 약 12만불 수준입니다. 그러니 20만불이 많은게 아니고, 그냥 이제 중산충 수준입니다.
둘째, 서열문화.. 당연히 미국에도 있습니다. 무슨 말도 안돼는.... 한국은 그게 좀 심한거고, 미국은 드러내지 않을 뿐입니다.
셋째, 상호존중... 좋은 기업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미국에서 말 함부로하면 안됩니다. 존대말이 없다는 분... 영어공부하셔야 합니다.
넷째, 학벌... 당연히 미국도 학벌봅니다. 아주 소수의 예외적인 뛰어난 분들이 있습니다. 당연히 삼성도 그렇습니다.
다섯째, 줄서기.. 왜 미국은 없다고 생각하는지..
마지막으로 말씀드리고 싶은건, 한국보다 미국 문화가 좋다 안좋다를 말하는게 사대주의적 발상입니다.
사람사는 곳인데 뭐가 그렇게 다르겠어요. 좀 차이나는 부분이 있겠지만, 한국보다 우월하거나, 다름에 대해 보는 시각이 너무나 원초적이고 조회수 올리기 정도에 머무르는것 같아보입니다.
pong Pong 13
2020년 1월 22일 02:14저게 정상인데. . 고졸이라고 좋은데
못가고 싹다 차별받는건 우리나라뿐이다.
@강진우-p6e 11
2020년 7월 09일 21:33진짜 현실을 고려한 이상적 기업인 것 같네요.
@sunny-gz5tn 11
2020년 2월 03일 10:55정말 유익한 방송들이네요
여러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간접적으로
듣는것만으로 좋습니다
J O Yu 11
2020년 1월 20일 12:29고졸이라도 구글에 들어가려면 머리가 아주 좋아야되거나 아니면 그만큼 노력해야되는군요ㅎㅎㅎ... 분발하겠습니다!
@walkingmom1302 11
2020년 1월 07일 21:29인상도 좋으심
@whp5324 10
2020년 1월 12일 22:37천인지 원리 관점에서, 구글의 문화가 천의 문화네요. 자유로운 시도와 실패의 허용. 저렇게 하이테크 기술위주 지의 기업이. 천과 지 에너지가 아주 크군요. 구글에서 일해보고 싶네요. 기업문화가 정말 궁금해요.
@skytom88 10
2020년 1월 14일 16:57실리콘벨리 왠만한 모든 기업들은 performance 안나오면 나름 쉽게 짜르기도 하기에 항상 (뛰는게 아니라) 날라다녀야 한다고 봅니다. 제 주변서도 뜬금없이 today’s my last day 아니면 effective immediately so and so is no longer employed..이러고. 나름 베네핏도 좋고 comp도 좋지만 그만큼 잘해야한다는 압박감은 매일 받는거 같네요. 그리고 그게 drive 이기도 하고.
@윤대영-c4x 9
2020년 1월 20일 14:54그 데이터를 사람이 못넣지. 기계가 데이터 수집하면서 가중치 조절해 나가는거지. 근본적인 알고리즘은 일반인은 듣는다고 알 수 있는것도 아니고.
아홉열 8
2020년 1월 20일 00:10말을 조리있게 잘 하시고,
어떤한 경험에서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본인의 처신을 어떻게 가져가야하는지 잘 아시는 분 같네요! 덕분에 유익하고 재밌었습니다 :) kwon_hy@nate.com
기회가 된다면 메일로 연락드려보고 싶습니다.
@tnsdjq777 8
2020년 1월 19일 20:11알고리즘을 확실히 파긴했네요. 나한테 갑자기 뜨네
@eorkghdjd 8
2020년 1월 14일 12:09구글은 아니지만 저도 미국동부와 서울에서 일해본 경험으로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하고 한국식 기업문화가 별로다 이런건 아니라 생각해요. 말씀하신것처럼 언어가 그 문화를 확실히 보여주고요. 미국도 상위 핵심인재가 기업을 끌고 갑니다. 정말 뛰어난 재능을 갖고 발현시킬수 있는 적극성이 있다면 해외취업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그런사람은 어느곳이든 많지 않구요.
@콜라곰-j7t 8
2020년 1월 19일 00:10구글이 다 좋은데 사람을 너무 쉽게 잘라요. 뭐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다 그렇지만 페이하고 대우가 좋은만큼 리스크도 좀 있는거 같아요. 물론 구글러 정도 실력이 있으면 구글 나오더라도 잘 살긴 하겠지만..
J14 7
2021년 4월 11일 13:17캐나다에서 관세사로 일했었는데 북미의 대체적인 기업문화가 저렇습니다. 그냥 타이트하게 자기 일 해내면 됩니다. 정말 아무생각 안하고 일 열심히하고 4시 칼퇴해서 가족과 시간 많이 보냈던 기억이 나네요.
짤털이범 6
2020년 4월 08일 02:45확실한건 구글은 실력위주의 집단이기때문에 실력이 없으면 학력으로 들어갔더라도 도중에 나오게 되는데 한국은 학력으로 들어가면 어떻게든 가르쳐서 냅두는 조직구조가 많다고 생각함. 대신에 구글같은 경우는 학력에 상관없이 들어가는 케이스도 적지않게 볼 수 있는데 한국은 학력이 일단 안대면 1~2명을 제외하고는 못들어 간다고 봐야함.
Default 6
2020년 1월 07일 19:19작가님 아직 술이 혀에 남으신 것 같은데 기분탓이겠죠~ :)
@user-mother82mw120 6
2020년 1월 07일 19:44고졸로 구글에 취업하는 건 희박한 걸루~
@올라영 6
2020년 1월 08일 01:48오 저도 미국 국제학교에서 일하는데
뭔가 비슷하네여!
한커리 6
2020년 1월 13일 23:56진짜 모르는 분이네요.
유튜브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유튜브 dnn이라고 추천 논문을 구글에서 공개를 해놨습니다. 인공신경만 기반의 알고리즘은 있고 정해진 레이블을 실시간 수집된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서 꾸준히 학습해서 추천 영상이 계속 바뀌게 되어 있습니다.
나중에 구글 ai sw engineer 분도 좀 모셔주세요. 개발자는 연봉이 300만불 받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diana8558 6
2020년 1월 18일 14:30대학교를 미국에서 다니면서 과정을밟거나,그냥 고졸이면
그분야에서 매우매우뛰어나서
들어가던가 이말이네요.
영상을보고나니
구글은 모든사내계층들이
머리를 뒤지게많이쓰는거같습니다.
위에서는 큰그림짤려면 예산,프로젝트의 상호작용변수,
그시장분석데이터 등등
그냥 한국처럼 인사평가준비하려고
대충대충ㅈ도도움안되는일들 시키지않고 helpful하고알찬 프로젝트를 꾸려가네요.
역시 구글은 미쳣어
@SixChicken 5
2020년 1월 07일 19:59구글 들어가구싶다앙 ㅠ.ㅠ 구글 취직하겠습니닭!!
@1742ti 5
2020년 1월 20일 10:15고졸로 들어간다:특목고출신
ᄋᄋ 5
2020년 5월 12일 02:11"학력은?''
"고졸''
"푸흡...! 그럼 직업은?''
"The 16th President of Korea"
@archive4947 3
2020년 7월 28일 10:52천정명
@이링-c8i 3
2020년 1월 18일 09:08알바몬 키고
구글 번사 청소부로 이력서 넣으세요 ^^
@100억의사나이-g5o 3
2020년 1월 12일 13:43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호호네냥이하우스 3
2020년 1월 19일 16:06킴성태가 여기서왜나와?
@조영욱-t5i 3
2020년 1월 24일 00:43월급이나밚이받아요1조이상달라고해요 최소8000억이상 구글임데쥐고리만큼주네 1조이상벌어와요
@닥터플레그 2
2020년 4월 30일 21:00고졸 학점 망한 저는 안돼겠군요
@yama-e7h 2
2021년 6월 04일 11:30코로나때문에 타의적으로 한국기업도 재택근무를 하는데 괜찮다고 하더라구요 낭비하는 시간도 없고..
@bleach5064 2
2020년 1월 07일 22:56소중한 경험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hurigoTV 2
2020년 1월 11일 14:48양현석닮으신듯 ㅎ
@oyazine 2
2020년 6월 28일 18:03한국은 끼리끼리 이간질 하는 놈이 밑에서 숨어 있어서......그런놈이 자기들쪽이 아니면 이간질 모함으로 다 쫓아낸 다음 조직장악해서 오너 대표와 대립관계를 설정한다음 회사 직장을 좌지우지 하는거지....그래서 구글문화? 불가...일찍퇴근? 재택근무? 한들 수시로 조직안에서 보고 연락을 수시로 해야 이간질 하는것도 가능하고 이간질 당하는것도 방지하고 그런 연속
Lee Arthur 1
2020년 6월 09일 09:47미국취업이 어려운 이유는 사실 비자 때문입니다. 평범한 한국 토박이라고 해도 구글에서 필요한 경력이 5년이상 되고 영어를 꾸준히 관심가지고 공부 하면 엔지니어나 디자이너 같은 실무적인 분야는 운대가 맞으면 충분히 합격할수 있습니다. 문제는 비자입니다. 한국사람은 미국 취업비자 받기가 사실상 매우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구글에서 데려오고 싶어도 데려올수가 없는 것이조. 미국에서 대학교를 나오면 1년짜리 졸업생비자 같은게 나와서 그 기간안에 취업해서 회사 스폰서를 받아서 H-1B 로 넘어가야 하는데 여기서 추첨을 해야 하니 확률은 30% .전공은 무조건 이공계로 해야 하고요. 한국토박이도 전공하고 경력 되는 사람은 비자 문제를 해결할수만 있다면 미국에서 취업의 기회는 많아요. 처음엔 조그만 기업이라도 들어가면 거기서 경력쌓고 옮기다 보면 구글 애플 아마존 테슬라 같은 회사에 취업하는게 그렇게 어려운일만도 아니예요. 그럼 현실적인 방법은 ? 미국 시민권자와 결혼을 하거나 아니면, 호주나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하면, 미국 취업 비자인 E-3 비자라는게 쉽게 나옵니다. 만약 다음과 같은 경력의 두가지 경우라면? 1) 비자 없음, 미국대학졸업, 학력 좋고 영어 네이티브 VS 2)미국 취업비자 취득가능, 한국토박이,영어 중하 -> 2)번이 뽑힐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Benjaminlee0919 1
2020년 1월 14일 18:06최근에 학부 졸업했습니다. 질문할게 좀 많은데 개인적으로 이메일 해도 될까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보통 마스터 이상만 지원이 가능해서 아예 지원도 못하네요.. benjilee0919@gmail.com 입니다. 이메일 한번만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bay area에 거주중입니다.
Doyoung Kim 1
2020년 4월 14일 01:31미국 학교 이수는 교환학생도 포함이 되나요?
한라산기능사 1
2020년 6월 06일 21:29한국은 구글처럼 노동시간이 적어질수가 없습니다. 주52시간 네이버뉴스 댓글만보면 보수지지자들이 경쟁해야되는데 52시간 가지고 무슨 성과가 나오겠냐 라고 하죠. 근대 구글을보면 망해야합니다.
@재이-b9u
2021년 6월 26일 10:160:43 옆자리분 혹시 김종민님 아니세요..??!!
@김세은-k5d
2020년 3월 22일 16:11구글 들어가려면 꼭 학교를 해외로 나와야하나요..
무탁
2020년 9월 04일 16:34그냥 고졸하고 놀고먹다가 나도 구글 입사하겠지? 이러는 새끼들은 노가다 일이나 알아봐라
@77seeyou96
2020년 1월 18일 17:37어려서부터 특성화 되면 가능
Mark Valley
2020년 10월 06일 16:57미국의 테크 기업뿐만 아니라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기업들중에 채용규정에 예외 사항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대학 학부 석사출신은 아니지만, 특출하게 뛰어나거나 역량이 우수할 경우 기업들이 스카웃 제안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MS 창업주 빌게이츠도 고교시절 유명 기업으로 부터 스카웃 제안을 받았다고 하며, 현재 가치로는 수백만 달러의 연봉이라고 하죠.
페이스북 창업주 마크 주커버그도 하버드 대학 입학하기전 필립스 엑시터 아카데미(미국 동부 사립고교, 연간 등록금 5천만원) 재학당시
테크 기업에게 스카웃 제안을 받은 적이 있죠.
기업의 인사규정(채용규정) 항목 내용과 정보를 참고하면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 월가 금융회사들도 주식트레이더의 경우 주식트레이더라는 면허 라이선스가 존재하며, 주식트레이더 면허를 취득한 어느 평범한 고졸이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의 금융회사에서 트레이더로 몸담고 있는데, 알다시피 월가와 미국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탈리스트, 샌프란시스코의 서부 월가의 경우 출신학교 학력보단 실력중심의 구조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실력이 충족하지 못할 경우 하버드 컬럼비아 스탠포드 MBA 출신들도 정리해고되거나 구조조정으로 내몰리거나 적성 맞지 않다면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하거나 직업을 바꾸는 등 공정성이 일상적으로 많죠.
금융회사로 알려진 골드만삭스의 인사 채용 규정을 보면, 특출한 인재나 역량이나 능력이 있을 경우 학력에 상관없이 경영자 권한으로 스카웃을 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고졸도 가능하다는 거죠.
공정성에 대해 한말씀 드린다면은 미국에는 유명 다국적 로펌들이 있죠. 로펌 소속 변호사들의 출신 학교들을 보면 특정 학교의 솔림이나 의존현상보단 각양각색이고 평범한 사립대학 로스쿨 주립대학 로스쿨 출신들이 많습니다.
다시 말해 공정한 실력중심이죠.
@wine_mama
2020년 1월 07일 20:50오, 구글 12년차!!멋지세요.
Tuggu5 stfht
2020년 8월 01일 23:24안믿겨요...
@bbeu3870
2020년 8월 05일 17:46미국에잇는 학교에서 프로그램을 이수하라는게 어떤 프로그램인지 더 알고싶어요! 취업은 미국을 목표로하는데 대학을 한국대학으로 갈지 미국대학을 갈지 많이 고민중이라!ㅠ
BamBa Ba
2020년 1월 10일 16:28해커스잡 취업인강,합격자료집 무료로 배포한다네요
http://iryan.kr/t6bii97ked
뭐더라
2021년 2월 16일 19:07전문대는 제한있나요?ㅜㅠ
@마던-t6j
2021년 10월 09일 18:25한국사람들은 구글직원들처럼 프로잭트를 오너쉽으로 진행할수 있는 능력을 갖은 사람이 거의 없음
동북아시아의 한계이기도 함
@Gffhg-u8t
2020년 1월 19일 02:26ㅜ 구 우 발음을 잘못하시네요
@user-jihan175
2020년 1월 31일 03:51유일하게 저런케이스 고졸이어도 특별밑 잘해서 대기업간사람은 대도서관말고는 없었는듯. 어떻게 뭘해야 고졸로 특별케이스로 대기업취직이되는지..
@jeonsul
2020년 1월 22일 00:51디자이너에게 알고리즘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