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할 수 있는 주제인데 제 생각을 너무 편하게 말씀드린 것 같아서 부담이 조금 되네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목표로 열심히 살아오면서 느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 참고만 해주시길 부탁드리고, 혹시 비슷한 목표를 갖고 계신분들은 좋은 정보 공유하면서 함께 성장해나가면 좋겠습니다. 김작가tv의 구독자님들 모두 원하시는 모습대로 살아가시길 기원하고 응원할게요! 화이팅입니다~!!!
이번에 알바하면서 느낀 건데 주변 사람들의 대우와 인정이 학력에 따라 많이 다르다는 걸 느꼈어요 학력을 밝히지 않으면 무시하는 사람도 있는데 학력을 밝혔을 때는 뭐라도 인정해주고 쟤는 뭐든 잘할거야 이렇게 보시는 경우도 있고 대우가 다르더군요 대학을 다니는 4~6년은 어찌보면 자기 인생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시간일 수도 있지만 그 학력이 가져다주는 건 그 이상일 수 있을거같아요 하물며 만나는 사람들도 다르고
나에게 다시 고등학교로 돌아간다면 난 공부해서 대학을갈거같다.. 나는 대학안가고 20살부터 식당업종에 뛰어들어 20대 후반까진 남들보단 빨리 돈모으고 부유하게 살앗는데 30대로 넘어오면서 회사 다니는 친구들과 갭차이가 커지고 딸리기시작하더라.. 남들 쉴때 못쉬고 성과금 보너스 못받고.. 결국 사람들마다 환경마다 다르다고 본다
이게 웃긴게 부모님 친구가 20살때 나한테 대학왜가냐고 요즘 일자리가 넘쳐나는데 쓸떼없이 돈 낭비하지말고 공장가서 일하라고 했던기억이나네요 정작 본인 자식은 결국 나중에 미국으로 대학보내더라구요 근데 지금은 제가 더 잘먹고 잘살고있습니다 모든것엔 노력도있지만 운도 따라줘야 성공합니다
분명 간과한거는 본인은 이미 대학을 가서 이러저러 경험을 다 해봤다는거에서 나오는 말임 만약 뭐뭐 했더라면 만약 어떤때로 돌아간다면 그건 본인이 이미 경험을 했었으니 그 토대로 나올수 있는 말이지 아무경험 없는애가 나올 말은 아니란거죠 자영업을 하시는 분이라면 이 말이 곧이 곧대로 전부 맞는말이 아니란걸 알겁니다.
난 고등학교도 안갔을 것임. 공부자체는 좋았지만 너무 비효율적. 실상 사는데 지식이 필요한때는 취업, 자식 공부가르칠 때. 인성이나 가치관같은 케케묵은게 얼마나 중요한지 모름. 돌아가더라도 정도를 가세요. 학벌은 별거 아니에요. 스스로 정직하면 두려울게 없고, 정도를 가면 주윗 사람이 도와준다는거 잊지마세요.
말도안되는 소리고.. 서울대에서 배운게 있는 사람이 어 생각보다 별거옶네 라는 자위질임 .... 누구나 성공에대한 생각은 간절하고 원해요 그런데 자본주의에서는 누구나 부자가 될수는 없어요. 배우신 분이 겸손함도 갖춰주세요. 대학을 다니며 함께 시간을 보내신 분들에 대한 예의 라고 생각해두져 ㅋㅋ
4:48 가족들하고 편히 사는건 9000억 부자도 이루기 힘든 꿈입니다 ㅋㅋㅋㅋㅋ 되게 소박한 꿈처럼 아무것도 아니고 그거 하나다라고 단순하게 말씀하시는데 일류부자도 그거 이루기 힘들어요. 평범하게 사는게 제일 이루기 힘듭니다 (사건 사고 안터져야 되고 가족이 피해 안끼쳐야되고 질병 없어야되고 모든 운이 따라져야 평범하고 해피해피한 가족 가능합니다)
'그 길로 가야 맞다'라는 프레임에 갖혀서 학위를 마쳤기에 너무나 와닿았습니다. 그래도 그 안에서 꿈을 찾으려 노력해왔고 프레임 밖에서 그 꿈을 펼쳐보려고해요. 자영업의 모든것, 카페에도 가입하여 배우고자 합니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과 통찰 감사드립니다. 두분 구독하고 꾸준히 보겠습니다 :)
댓글 보면 답답한게 분명 되돌아가면 대학을 가지않겠다라는 말을 하시면서 "물론 대학을갔기에 이런 지식들이 쌓였다"라는 말과 그로 인해 알게된 현재 자신의 경험과 지식이 있다면 굳이 대학을 가지않았을것이다 라는 말을 했음해도 말 다 안듣고 서울대 나와서 영상나온거아닌가요, 서울대안나왓음 보지도 않았다 뭐 이런말만 하고있어 ㅋㅋㅋㅋㅋ 이 영상의 주 골자는 맹목적으로 남들 가는길 가지말고 자기가 추구하는 목표에 맞춰서 방향을 잡으라는거 아니냐... 열등감있는애들마냥 왜이리 부정적임 댓글들이?
유튜버님의 인생의 목표가, 가족들하고 자유롭고 행복하게 사는게 목표라고 하셨는데 생각해보면 저 또한 편하고 행복한게 목적이지만 제 진짜 인생의 최종목표는 세상 사람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고 tv에 나오는대로 믿고 속는 세상이 더 이상 안왔으면 하는.. 양심적인 세상을 봄으로서 행복함을 얻는듯 하네요
저사람 조금 깨달은 상태인데, 저상태에서 일벌리면 실패할텐데. 실패해야해. 실패하고서 극복하면서 성장해야한다.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말고 이겨나가. 그러면서 더 많이 깨닫고 성장하면서 시간이 흐르고 나면 당신이 생각하던 곳까지 갈 수 있을 거야. 중요한건 실패했을 때 무너지면 안된다.
개인적으로 대학을 가든 말든 본인의 가치관에 관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가는거고 안가는게 낫다고 싶다면 안가는게 맞습니다. 다만 이 분이 말하고 싶은 내용의 주제는 대학을 왜 가냐. 왜 월급쟁이로 사냐 이런 느낌이 아니라... 본인이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알고 목표나 계획을 구체적으로 정하라는 의미로 들립니다.
잠재적 안정, 규칙적인 수입 때문에 회사 다니는거지. 돈만 보면 블루오션을 독점하거나 레드오션에서 살아남는 자영업이 훨씬 남. 아무리 회사가 좋아도 아직까지 기술직(전문직, 자영업)을 능가하는 직업은 없음. 저 사람도 분명히 세간의 흐름과 사회구조나 시스템을 느끼고 어느정도 굴러가는 판을 알게되서 저렇게 말하는것임. 100% 공감됨. 허름한 옷차림에 변변찮은 외모라고 본능적으로 깔고 봤던 사람들 보면 의외로 잘나가는 사람들 많은걸 보면 우리가 보이는, 보여지는 시각이 상당히 유연하지 못하고 틀에 박힌 시각이라는걸 느낀수 있음
이런걸 보면 대부분의 직장인분들을 농락하는 것 같네요.. 월천이 쉽다고 하고 시간으로 돈버는게 미련하다라는데 사회초년생인 제가 듣기에는 니들은 못하지? 난 이렇게 잘났어, 이런 미련한 노예들아 라고 삐딱하게 들리네요. 월천... 유튜브를 보면 정말 너도나도 할 수있다고 나오는데 그걸 못하는 사람들은 뭔가 나는 저런걸 왜 못하나라는 자신에 대한 실망과 남과의 비교가 더 커지는 것 같습니다. 지금 중요한 것은 저런 다른 길을 보고 나도 해볼까라고 생각하는것 보다는 지금 나에게 필요하고 해야할것 들을 하나씩 해내가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근데 그 미련하게 시간 팔아서 돈 버는 노동자가 없다면 이 사회 무너짐. 누군가는 해야하는 일이고 바꿔 말하면 모든 사람이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없으니 어차피 능력에 따라서 경쟁에서 밀린 대다수의 사람은 알면서도 미련하게 살아야 함. 노력하고 생각해서 경쟁력을 갖추면 되지 않느냐는 말 할 수 있는데 그래봤자 어차피 누군가를 밀어내고 그 자리 꿰차는 거임. 밀려낸 누군가는 여기서 말하는 그 미련한 사람이 되는거임. 그래서 혹자가 말했지. 정의란 강자가 합법적이고 정당하게 약자를 착취하는 거라고.
서울대에 안갔다면 서울대 안갈거라는 생각도 안했겠네. 그러니까 우리는 저분의경험을 수용해서 자신에게 대학보다 더 나은선택지가 있는지 어쩌면 대학보다 자신에게 더 많은걸 가르쳐 줄 수 있는게 있는지 알아보아야 함. 언제나 대학은 인간의 능력적으로 필연적 의무는 아님. 하지만 당신이 아직 무엇이든 간에 인생에 대해 모르는게 있다면 저분처럼 대학나와서 고등학생으로 돌아간다면 대학안갈거라고 답하는사람이 되는것도 미래에 할 수 있다면 그리 나쁜 선택지는 아님
근데 이 분 말도 조금 이해되는게 우리나라는 너나 나나 대학 나와서 사실 대졸 자체는 특별하지 않아요. 다만 이분은 서울대라는 강력한 학벌이 있었을 뿐...물론 일반인이 옆에서 보면 엄~청 부럽죠!
근데 정작 본인은 자신의 생각보다 그 학벌의 힘을 크게 못 받은 것 같다는 생각이 있으신 것 같아요.(12년 빡공하신걸 생각하면 그 심정 충분히 이해됩니다.)
그도 그럴게 막상 대기업 들어가보면 출신지 정말 다양합니다. 일단 요즘엔 서울대 말고 다른 대학 나오신 분이거나 or 고졸 전형으로도 대기업, 공기업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으니까요. (제가 아는 지인 중에는 지방대를 나오셨는데 각종 수상경력으로 대기업에 가신 분도 있습니다.)
대화하시는거 보면 이분은 사실 이론보다는 경험을 더 중요시 여기는 분인 것 같거든요. 공부하느라 아깝게 시간 버리지 말고 일단 부딪혀 봐라! 이런 느낌?
우리가 보기엔 엥, 이게 무슨 헛소리야 하겠지만, 사실 이 생각이 완전히 틀린 건 아니에요. 고졸이여도 성공할 가능성은 정말 많습니다.
찾아보면 유투버, 연예인, 웹툰작가, 요리사 등 유명인 중에서 대학 중퇴하신 분 생각보다 많습니다. 이 분들은 대학을 다니는 중이거나 대학을 다니기 전에 시간을 그 업계에 투자해서 성공하신분 들이 많죠. 대학 가야만 성공하는건 아니랍니다.
실제로 해외 나가보면 해외 직장인들 반이 고졸입니다. 학벌이 전부가 아닌거죠. 오히려 실력주의라고 할까요? 꽃피운 재능과 딱 맞는 적성을 더 중요하게 봅니다.
특히 이 분은 서울대까지 가실 정도로 머리도 좋고 노력파셨기에 더 이런 생각을 많이 하셨을 것 같아요. 자신이 공부한 시간에 내 재능을 키웠더라면 좋았을걸, 이라고 생각해도 무리는 아니죠.
세상엔 한국만 있는게 아니니까, 대학에 가지 않고 해외에 나가서 내 재능을 살려 취업하는 것도 한 방법으로 보셨을 것 같아요. (실제로 IT 배워서 한국에서 나가는 분도 많다고 합니다.) 물론 저 같은 영알못은 도무지 엄두도 못내는 발상이지만요...ㅎㅎ
이해하지 못한다고 이 분을 비난할만한 일은 아닌 것 같아요. 오히려 이 분이 엄청난 노력가이시기에 할 수 있는 의견이라고 봅니다.
@이은우-c1x 431
2019년 12월 28일 01:26서울대를 안나왔다면 서울대가 갈 필요가 없다는 생각도 못하고 서울대나 상위 대학세 가기위해 발버둥 쳤을것 같네요
결국 최고를 찍어본 그 자체가 경험이죠
@정상호-y8p 389
2019년 12월 26일 12:03서울대 안나왔으면 이 인터뷰 못했을듯...........ㅎ;;
@100-y1s 250
2019년 12월 23일 22:09교육이 잘못됨은 서울대 출신이 지적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공부못해서 열등감에 까내리는 거에 불과하다고 무시당하니까요ㅋㅋㅋㅋㅋ
@jamo_JonPark 196
2019년 12월 24일 12:02민감할 수 있는 주제인데 제 생각을 너무 편하게 말씀드린 것 같아서 부담이 조금 되네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목표로 열심히 살아오면서 느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 참고만 해주시길 부탁드리고, 혹시 비슷한 목표를 갖고 계신분들은 좋은 정보 공유하면서 함께 성장해나가면 좋겠습니다. 김작가tv의 구독자님들 모두 원하시는 모습대로 살아가시길 기원하고 응원할게요! 화이팅입니다~!!!
@꾠대님 181
2019년 12월 23일 19:38굉장히 맞는말씀이세요. 근데 서울대 졸업했는데 안간다는건 ....🤣
시간을 팔아 사는 삶은 아무리 잘해도 노동자의 삶이죠. 부자란 돈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시간을 자유롭게 운용하는 자 라고 생각합니다
@bbiyong_bbiyong 179
2020년 1월 30일 16:23서울대 안간다고 하는 순간 조차
서울대 출신 덕을 톡톡히 보네?ㅋㅋㅋ
이정도면 기만아니냐?ㅋ
@TheMay1Be0 148
2020년 1월 29일 04:08여러분들 이래서 공부를 해여 하는겁니다. 개소리를 해도 서울대면 믿어주니까요
@marspark6351 128
2019년 12월 28일 18:22왜 박진영이 생각나지
@kokumawalls 97
2019년 12월 24일 17:25아이러니 하게도 서울대 라고 제목을 쓰고 있음. ㅎㅎㅎ 전부터도 그랬고. 서울대 억대 졸업생이라는 설명까지. ㅎㅎㅎ
@user-nv1mn9lu5l 86
2019년 12월 27일 12:35이번에 알바하면서 느낀 건데 주변 사람들의 대우와 인정이 학력에 따라 많이 다르다는 걸 느꼈어요 학력을 밝히지 않으면 무시하는 사람도 있는데 학력을 밝혔을 때는 뭐라도 인정해주고 쟤는 뭐든 잘할거야 이렇게 보시는 경우도 있고 대우가 다르더군요 대학을 다니는 4~6년은 어찌보면 자기 인생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시간일 수도 있지만 그 학력이 가져다주는 건 그 이상일 수 있을거같아요 하물며 만나는 사람들도 다르고
@곰곰-o3f 84
2019년 12월 30일 10:30고졸이거나 대졸이거나 중요한건 사람인듯. 그 사람 자체가 똑똑하고 수완있는 사람들. 뭘해도 성공할 수 있을것 같은 사람들이 있음.
자기 스스로가 그런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경험과 멘토들로부터 배워야함.
hyuk 75
2020년 1월 30일 23:46목소리부터 외모까지...jyp...제왑삐
@sowhat8126 73
2019년 12월 23일 17:25ㅎㅎ 어찌보면 당연한 거지만 대학을 가봤으니 안가야한다는 마음이 생기지 않을까요.
운 60
2020년 1월 05일 13:55대학 안가는 것이 정답도 아니고 대학 가는 것도 정답은 아니에요 정답은 아무것도 없어요 나의 가치관이 어디냐에 따라 본인만의 정답이 달려있겠죠
@건강올림 53
2019년 12월 26일 14:56미련하진 않아요 ㅋ 행복의 기준은 다르고 주어진 재화의 범위도 한정되 있으니까요 ㅋㅋ
모두가 다 억대로 벌수는 없음 ㅋㅋ 사회가 굴러가도록 주어진 위치에서
열심히 사는 분들이 사실 나라를 이끌어 가고 있으신 분들임
@Owl7480 51
2019년 12월 27일 01:13저게 본인이 대학을 나왔기 때문에 할수있는말이지. 더더욱 간단히 표현하면 (학교는 성공의 필수조건이 아니라 충분 혹 선택조건이다 정도로 생각해야지.)
@변경사항 46
2019년 12월 24일 15:05나에게 다시 고등학교로 돌아간다면 난 공부해서 대학을갈거같다.. 나는 대학안가고 20살부터 식당업종에 뛰어들어 20대 후반까진 남들보단 빨리 돈모으고 부유하게 살앗는데 30대로 넘어오면서 회사 다니는 친구들과 갭차이가 커지고 딸리기시작하더라..
남들 쉴때 못쉬고 성과금 보너스 못받고..
결국 사람들마다 환경마다 다르다고 본다
@티모-b5b 40
2020년 1월 09일 13:13우리는 이걸 알아야 합니다
서울대 못간다가 아니라 안간다 입니다
@gjfdskl 40
2019년 12월 25일 11:43이게 웃긴게 부모님 친구가 20살때 나한테 대학왜가냐고 요즘 일자리가 넘쳐나는데 쓸떼없이 돈 낭비하지말고 공장가서 일하라고 했던기억이나네요 정작 본인 자식은 결국 나중에 미국으로 대학보내더라구요 근데 지금은 제가 더 잘먹고 잘살고있습니다 모든것엔 노력도있지만 운도 따라줘야 성공합니다
@wjdtmdghjay6291 40
2020년 1월 07일 13:38아니 누가 몰라서 시간으로 돈 버나.... 그게 그렇게 쉽게 되겠습니까
@korin-E 39
2019년 12월 24일 17:34분명 간과한거는 본인은 이미 대학을 가서 이러저러 경험을 다 해봤다는거에서 나오는 말임 만약 뭐뭐 했더라면 만약 어떤때로 돌아간다면 그건 본인이 이미 경험을 했었으니 그 토대로 나올수 있는 말이지 아무경험 없는애가 나올 말은 아니란거죠 자영업을 하시는 분이라면 이 말이 곧이 곧대로 전부 맞는말이 아니란걸 알겁니다.
@dd-js4ls 32
2019년 12월 24일 20:43대학을 나오면 평균값을 올려주죠. 대학 나온다고 무조건 성공하는건 아니지만... 실패할 확률을 줄이는 느낌..?
@태박이-p4x 30
2019년 12월 27일 18:35가난=트라우마 맞는말 같아
돈많이 벌고싶다 =자유
나는 할수 있다.
@최병훈-t9t 28
2020년 1월 31일 16:15좋은대학 나왔으니 좋은기회가 온것죠 정보의질이 틀리니까 거기서 교류를 통해서 돈벌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거죠
Bumsub Song 27
2020년 2월 04일 09:14갓울대는 입학만 하면 됨
자퇴를해도 갓울대 타이틀이기 때문에
Johaness shen 24
2019년 12월 30일 21:44지금의 당신이 오기까지 서울대생의 과정이 있었다면 서울대를 안 갔다면 서울대 안가요라고 당당히 말하는 당신도 없었을듯.
@개굴개굴-r2n 24
2020년 1월 30일 23:59남의 시간을 살 돈이 없으니 내 시간을 파는거지
@훈비네김 23
2019년 12월 27일 13:17지금 내 뇌를 가지고있다면 나는 유치원도 안다녔을거다..
@fos_kim 22
2019년 12월 24일 04:55전에 경험한 것들이 있기에 지금의 내가 되었다. 라는 말이 위안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TV-bb1gl 20
2019년 12월 25일 01:05인생에 정답은없다. 획일적인 길을 걸으라는 교육은 참으로 없어져야한다. 특히 군대식같은 문화..
이현우 20
2019년 12월 23일 17:45유튜브 영상 교육이 공교육을 앞서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합니다. 대다수 사람들이 대학교는 물론이고 고등학교도 진학을 하지 않는 상황이 와서 한국 교육체계가 정신 좀 차려서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프랭크 18
2019년 12월 23일 18:52난 고등학교도 안갔을 것임. 공부자체는 좋았지만 너무 비효율적. 실상 사는데 지식이 필요한때는 취업, 자식 공부가르칠 때. 인성이나 가치관같은 케케묵은게 얼마나 중요한지 모름. 돌아가더라도 정도를 가세요. 학벌은 별거 아니에요. 스스로 정직하면 두려울게 없고, 정도를 가면 주윗 사람이 도와준다는거 잊지마세요.
@미국주식읽어주는남자 17
2020년 1월 31일 07:44자신감 건강이 있어야한다
가난= 트라우마=불행
시간으로 돈을 버는 사람이 가장 미련한 사람이다.
다시고등학생으로 돌아가면
대학안가겠다
식당에서일하겠다
자영업하면서
공부해라
기본적인거는
by 자영업의 모든것
박세범 대표
남들과 체면 신경쓰는데
행복하지 않다.
다른 세상을 아에 보지 못한다
본인의 꿈과 목표를 향한
방향을 찾고 쫒아라.
나는 행복하다.
박현우 16
2019년 12월 26일 23:37칭찬 댓글만 좋아요 누르네 ㅋㅋㅋ
김문일 15
2020년 1월 31일 02:01대체 댓글들은 왜 저 사람이 느껴서 대학이 필요 없다 라고 말하는거를 뭐 그리 열받아서 부들대는거임..? 다들 대학가지말라는게 아니라 나는 그럴거다 라는 건데 왤캐 훈수질..
초이티비CHOITV 15
2019년 12월 23일 18:09나도 대학 안갑니다. 무조건 할수있다는
자신감!!
천하무직 14
2020년 1월 09일 14:00썸네일이 어그로인지는 모르겠는데. 직업대부분이 시간당으로 소득을 얻고있는데 에혜.. 저렇게 말은 누가 못함??
@OneWaykh 14
2020년 1월 22일 02:35네. 허세킹 인따뷰 잘봤습니다! 누구나 성공하면 할 수 있는 말이네요~
물어남TV 14
2019년 12월 23일 17:35우리나라 교육에 문제점이 많죠...그걸 타파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김희조 13
2020년 1월 07일 06:43고등학생으로 돌아가면 경제공부부터했을듯...
@bmtv94 13
2020년 1월 07일 12:50저만 박진영이 생각나나요?
JYP???
Pluggy 10
2019년 12월 25일 11:26국가에게 2년동안 시간을 바쳐야한다는게 ㅈ같다
@dharma4583 10
2019년 12월 23일 21:14배운게 어디 가나요
배운걸 바탕으로 오늘의성공이 있는거죠
공부도
일도
너무열심히 하면 되돌려진다는거
오일이 10
2020년 1월 01일 03:12서울대형님 말씀하시는것과 생김새가 JYP?를 많이 닮은것같습니다
서울대심리학과수석졸업 10
2019년 12월 29일 19:57그래도 서울대 졸업장은 무조건 중요할듯... 특히 사업하는 사람은 인맥이 어디서 터질지 모르는데 서울대 출신인게 큰 힘이 될거임.
@전정인-m3n 10
2019년 12월 30일 15:20알바하면서 딱느낀 썸네일,, 얘기하는게 부의추월차선이랑 비슷한 mindset이다
부자on 온코치TV 9
2019년 12월 23일 22:49본질을 바라 보며,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들려주신 자모님의 인터뷰 잘 봤어요 ^^ 깊이있게 질문 포인트를 잡아주신 김작가님도 멋지시고요ㅎ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항상 응원합니다 🤗🎶🌟
Tj LIFE 9
2019년 12월 23일 21:21원하는 특정 전문 분야를 살려주는게 아닌 이것 저것 주입만 하려는 교육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황세웅 9
2020년 1월 31일 23:31저정도 말을 당당하게하려면 억대연봉이 아니라 구글부사장은 되야하지않음?
NH KIM 9
2019년 12월 23일 23:52가난이 컴플렉스라 유학다녀온 걸 후회하는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시네요.. 하고싶은 게 있다면 바닥부터 배우는 걸 시작해야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학벌없이 그렇게 성공한 사람들에 대한 시선이 그렇게 달갑지만은 않은 것도 한국의 실태죠.. 인식의 문제인 것 같아요.
징징 8
2019년 12월 23일 23:01자모님이 더 형이라는게 소름ㅋㅋ
책 속 두줄, 두줄까페 : 책소개 8
2019년 12월 24일 13:23멀리가보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ㅋㅋ
Eric Grace 6
2019년 12월 27일 06:35건강이 최고다 진짜
Mason Harace 6
2020년 1월 02일 17:43이분 약간 jyp 같은 느낌이 든다.
삼백이 6
2020년 1월 01일 12:47이분아직철이덜든것같은느낌.. 교육문제와 취업문제는 현실적으로 달라도너무다른데..
이슬기 5
2019년 12월 24일 18:261:30
형이요?
치킨런 5
2019년 12월 29일 01:27교육에 대한 말씀 공감합니다ㆍ
정말 바뀌어야 합니다ㆍ
박성규 5
2019년 12월 25일 20:01말도안되는 소리고.. 서울대에서 배운게 있는 사람이 어 생각보다 별거옶네 라는 자위질임 .... 누구나 성공에대한 생각은 간절하고 원해요 그런데 자본주의에서는 누구나 부자가 될수는 없어요. 배우신 분이 겸손함도 갖춰주세요. 대학을 다니며 함께 시간을 보내신 분들에 대한 예의 라고 생각해두져 ㅋㅋ
@진공관-e5w 5
2020년 1월 21일 22:57오늘의 한줄평..
포기할수 있는 용기와 지성도
멀리 보면 오히려 멋진 지혜가 된다..
십만전자 5
2019년 12월 27일 23:29사회자님 킴성태 닮앗노
tjwn789 4
2019년 12월 26일 13:58서울대간 경험과 지식이 내 머리안에 있으니 굳이 갈 필요가 없다.(졸업장은 필요 없다) 는 뜻
Bo kki 4
2019년 12월 31일 10:20서울대를 가봤으니까 저런말을 하는거지. 인생2번 못산다.
빡빡이가세상을구한다 4
2019년 12월 23일 19:38되게 열심히 쓸 데 없는걸 배워서..
@jaeyoonkimm 4
2019년 12월 29일 21:524:48 가족들하고 편히 사는건 9000억 부자도 이루기 힘든 꿈입니다 ㅋㅋㅋㅋㅋ 되게 소박한 꿈처럼 아무것도 아니고 그거 하나다라고 단순하게 말씀하시는데 일류부자도 그거 이루기 힘들어요. 평범하게 사는게 제일 이루기 힘듭니다 (사건 사고 안터져야 되고 가족이 피해 안끼쳐야되고 질병 없어야되고 모든 운이 따라져야 평범하고 해피해피한 가족 가능합니다)
Licht und Wasser Южная Корея 4
2020년 1월 06일 07:35저는 재태크와 부동산을 공부하고 있지만 누구나 주식한다고해서 성공하는것도 아니고 그 중에서 95%가 돈을 잃습니다. 마찬가지로 자영업도 폐업률이 90%이상입니다. 그러므로 선택은 본인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성공할 확률보다 실패할 확률이 높으니까요.
이기다 - 성공이야기 We_win 4
2019년 12월 23일 20:03'그 길로 가야 맞다'라는 프레임에 갖혀서 학위를 마쳤기에 너무나 와닿았습니다. 그래도 그 안에서 꿈을 찾으려 노력해왔고 프레임 밖에서 그 꿈을 펼쳐보려고해요. 자영업의 모든것, 카페에도 가입하여 배우고자 합니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조언과 통찰 감사드립니다. 두분 구독하고 꾸준히 보겠습니다 :)
윤수환 3
2019년 12월 25일 17:56백번 공감하는게 저도 대학가서 버릴시간에 돈버는게 백배좋다고생각함
Minseon Gwak 3
2019년 12월 27일 01:16인터뷰어 질문 클라스가 대단하십니다!
김의주 3
2020년 1월 08일 17:45내시간을 위해 다른사람의시간을산다-> 그 시간을산사람이 돈을벌어 나중에 다른사람의시간을산다 -> 반복 반복반복
@최태풍-t8g 3
2019년 12월 27일 22:34댓글 보면 답답한게 분명 되돌아가면 대학을 가지않겠다라는 말을 하시면서 "물론 대학을갔기에 이런 지식들이 쌓였다"라는 말과 그로 인해 알게된 현재 자신의 경험과 지식이 있다면 굳이 대학을 가지않았을것이다 라는 말을 했음해도 말 다 안듣고 서울대 나와서 영상나온거아닌가요, 서울대안나왓음 보지도 않았다 뭐 이런말만 하고있어 ㅋㅋㅋㅋㅋ 이 영상의 주 골자는 맹목적으로 남들 가는길 가지말고 자기가 추구하는 목표에 맞춰서 방향을 잡으라는거 아니냐... 열등감있는애들마냥 왜이리 부정적임 댓글들이?
이로운 3
2019년 12월 27일 10:18서울대 나와서 이런말도 할수있는거임ㅋㅋ
Gabriel Martiner 3
2020년 2월 17일 16:08공부생각이 있으면 대학가야죠. 억지로 가는게 문제.
뉴뉴뉴123 3
2019년 12월 27일 11:59자 이제 어디서도들을수있는 이론적인말은 다 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떤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버시나용?
@mihj4511 3
2020년 1월 17일 01:57김작가님 퀄리티있는블들 섭외 진짜 잘하시네요~
@itvkoreaview3598 3
2020년 2월 15일 07:25멀리가야 보인다는말 ..명언이네요 멀리가기전에 알고싶네요
@phy7 2
2019년 12월 30일 19:28유튜버님의 인생의 목표가, 가족들하고 자유롭고 행복하게 사는게 목표라고 하셨는데 생각해보면 저 또한 편하고 행복한게 목적이지만 제 진짜 인생의 최종목표는 세상 사람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고 tv에 나오는대로 믿고 속는 세상이 더 이상 안왔으면 하는.. 양심적인 세상을 봄으로서 행복함을 얻는듯 하네요
@thebrad1840 2
2020년 1월 26일 06:44김작가님 말씀잘하시네요.질문만 하시는데도 설득력도있고
이주호 2
2020년 1월 11일 23:56박진영이 보이는 것은 기분 탓인가..
승현 2
2020년 2월 01일 08:58이 뇌를 그대로 가지고 20대로 돌아가면 대출 다 끌어서 비트코인 사야지
EMPIRICISM 경험주의 2
2019년 12월 27일 01:56멀리 가야 느낄 수 있다~~~~~★
은자라이프 2
2019년 12월 24일 14:57형...이라구요??
이야 2
2020년 1월 12일 11:19뭔가 박진영하고 톤이라고해야되나 목소리가 비슷하다
Angela 2
2019년 12월 23일 18:16목소리 넘 스윗하셔요❤
플래쉬맨 2
2019년 12월 24일 00:37제목 잘 뽑
신용철 2
2019년 12월 27일 05:30한달에 천만원...ㅋ ㅠㅠ
수상한Daddy 2
2020년 1월 02일 21:09잘 보고 갑니다.. 시간에 대한 극공감 팩트!! 감사합니다.
남재현 2
2020년 1월 02일 18:26이래서 뉴질랜드 TAB를 도입해야 한다
쥴라이 2
2019년 12월 23일 22:02ㅎㅎㅎ 그 시간을 거쳐서 열심히 했기에 저 위치가 가능한 겁니다. 교육은 계속 기회를 주는 겁니다. 교육을 무시해서 지금 같은 비정상적인 입시제도가 생긴겁니다.
우우우 2
2020년 1월 10일 01:35서울대를 나와서 저 정도 생각과 마인드가 생긴거라고 생각하는데 .. 주변에 서울대 친구들과 어울리고 환경이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환경이니 저렇게 커가신거지 고졸 후 바로 일했으면 저런 깊이의 생각하기 힘들어짐 애초에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함
우아빈 2
2019년 12월 24일 00:53꺄~~~~~자모님 넘 좋아요🤗🤗🤗😆🤭
이상한 나라의 졔리쓰 2
2020년 1월 01일 16:03너무 공감가는 말씀들이네요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Aguero 2
2019년 12월 28일 23:34마냥 열심히 살아야된다고 강요받는 사회가 아니라,
열심히 살아야 되는 이유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음.
덤벨로퍼TV 2
2019년 12월 25일 21:11자신이 중요하세 생각하는 가치를 알고 그레 대한 방향 설정이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sifjebwifbsis_7 2
2019년 12월 25일 18:54초청하신 분 이야기를 끌어내는거보다 작가님 생각이나 말씀이 더 많은 거같은 개인적 느낌이네요...
장수 1
2020년 9월 06일 00:48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자모 화이팅
@HaemiPD 1
2020년 1월 29일 19:33다들 즐겁게 사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면 좋겠다. 학벌이나 외모 명예에 집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서로서로를 힘들게 한다.
나의 ,하루영상일기 1
2020년 3월 06일 16:10레버리지 최근에 자주듣는 얘기라 귀담아 들었네요~~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victoria moon 1
2019년 12월 26일 15:33김작가님의 유쾌한 에너지 늘 고맙습니다 화이팅욥!!💪💪
777 SG 1
2020년 1월 31일 19:55저사람 조금 깨달은 상태인데, 저상태에서 일벌리면 실패할텐데. 실패해야해. 실패하고서 극복하면서 성장해야한다.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말고 이겨나가. 그러면서 더 많이 깨닫고 성장하면서 시간이 흐르고 나면 당신이 생각하던 곳까지 갈 수 있을 거야. 중요한건 실패했을 때 무너지면 안된다.
주천 1
2019년 12월 28일 11:15진영이형..
@고니_TV 1
2019년 12월 29일 12:36개인적으로 대학을 가든 말든 본인의 가치관에 관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가는거고 안가는게 낫다고 싶다면 안가는게 맞습니다. 다만 이 분이 말하고 싶은 내용의 주제는 대학을 왜 가냐. 왜 월급쟁이로 사냐 이런 느낌이 아니라... 본인이 뭘 좋아하고 잘하는지 알고 목표나 계획을 구체적으로 정하라는 의미로 들립니다.
@7sgwt3ss6 1
2020년 1월 05일 21:18경험했기에 필요성, 불필요성을 알게 됩니다. 그건 주관적이죠. 내가 그랬으니 너도 그래라가 아니라 내가 이랬으나 이런게 있드라~ 각자의 경험과 깨달음은 다 다릅니다. 우린 다양한 경험을 보고 느끼면서 내것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요?
슈팅가드동굴이Shooting-guard Donguri 1
2019년 12월 25일 08:20너무 맞는 말들이네요
henry hwang 1
2020년 2월 05일 09:12공부라도 잘 해서 다행이네요ㅋㅋㅋ
WH투자연구소 1
2019년 12월 24일 13:23영상 잘 보고 갑니다.
이모션 1
2020년 6월 04일 20:03와.. 서울대 학사편입..
@QUEEN_CRAB 1
2020년 1월 09일 16:46잠재적 안정, 규칙적인 수입 때문에 회사 다니는거지. 돈만 보면 블루오션을 독점하거나 레드오션에서 살아남는 자영업이 훨씬 남.
아무리 회사가 좋아도 아직까지 기술직(전문직, 자영업)을 능가하는 직업은 없음. 저 사람도 분명히 세간의 흐름과 사회구조나 시스템을 느끼고 어느정도 굴러가는 판을 알게되서 저렇게 말하는것임. 100% 공감됨. 허름한 옷차림에 변변찮은 외모라고 본능적으로 깔고 봤던 사람들 보면 의외로 잘나가는 사람들 많은걸 보면 우리가 보이는, 보여지는 시각이 상당히 유연하지 못하고 틀에 박힌 시각이라는걸 느낀수 있음
@홍길동-t4i6p 1
2020년 2월 08일 21:40자영업을 한다면 고졸 아니라 국졸이라도 무관하겠죠.
다만 이 사회에서 조금이라도 대우를 받을려면 서울대 아니 대학졸업장이 필요하기때문에 대학대학 하는거겠죠.
이 사회가 대졸자를 우대하지 않는 사회라면 졸업장은 무의미했을거니까요.
@고남철-c4s 1
2020년 8월 02일 20:44이런걸 보면 대부분의 직장인분들을 농락하는 것 같네요.. 월천이 쉽다고 하고 시간으로 돈버는게 미련하다라는데 사회초년생인 제가 듣기에는 니들은 못하지? 난 이렇게 잘났어, 이런 미련한 노예들아 라고 삐딱하게 들리네요. 월천... 유튜브를 보면 정말 너도나도 할 수있다고 나오는데 그걸 못하는 사람들은 뭔가 나는 저런걸 왜 못하나라는 자신에 대한 실망과 남과의 비교가 더 커지는 것 같습니다. 지금 중요한 것은 저런 다른 길을 보고 나도 해볼까라고 생각하는것 보다는 지금 나에게 필요하고 해야할것 들을 하나씩 해내가는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웩 1
2019년 12월 24일 16:29palace yeah : 이 미련한것아...!!!!!!
이수민 1
2019년 12월 24일 16:15나는 다필요없고 머리만 뛰어나게 좋아보고싶다
@jkl6791 1
2020년 2월 20일 13:57근데 그 미련하게 시간 팔아서 돈 버는 노동자가 없다면 이 사회 무너짐. 누군가는 해야하는 일이고 바꿔 말하면 모든 사람이 자유로운 삶을 살 수 없으니 어차피 능력에 따라서 경쟁에서 밀린 대다수의 사람은 알면서도 미련하게 살아야 함. 노력하고 생각해서 경쟁력을 갖추면 되지 않느냐는 말 할 수 있는데 그래봤자 어차피 누군가를 밀어내고 그 자리 꿰차는 거임. 밀려낸 누군가는 여기서 말하는 그 미련한 사람이 되는거임. 그래서 혹자가 말했지. 정의란 강자가 합법적이고 정당하게 약자를 착취하는 거라고.
MinS Jang 1
2020년 1월 07일 18:01'이 뇌를 그대로 가지고 가면'
Matt Slade 1
2020년 2월 14일 08:25본인이 서울대학교 나와서 할 수 있는 얘기네요 ㅠㅠ
n cltrn 1
2019년 12월 27일 17:39짱재영 ㄷㄷㄷ
장영진 1
2020년 1월 10일 05:49기억이 유지된다면! 이니까 정말 100프로 그때로 돌아가면
같은길을 갔겠네
2Park 1
2020년 2월 03일 23:08빌게이츠, 마크 주커버그 등 유명 CEO들은 세계명문대 중퇴자들임 진짜 아무것도 없이 부자되거나 성공한 사람 과연 몇이나 될까?
ᄋᄒ 1
2019년 12월 25일 14:46시간이 변하지 않는다면
나는 다른행성가서 살겠어!
크크큭
찬민 1
2021년 8월 15일 07:33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대학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는것을 깨닫게 해주시네요
토토로 1
2019년 12월 29일 23:10확실히 서울대 나와서 논리적이고 신빙성있는 말씀이네요
써니 어디가? Sunny where are you going?
2019년 12월 25일 06:22'무조건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자신이 만들어 놓은 지식/경험/노하우가 쌓여있을 때 나오는 말이죠. 인생 살면서 대학졸업장이 꼭 필요한 시대는 아니지만(하버드 중퇴생 마크 저커버그 등등등) 나의 꿈을 위해서 배워야 할 게 있다면 '고등 교육?'을 받아야 겠죠.
sh y
2020년 2월 01일 00:42굳이 자영업하면 대학이 필요없다 생각하고 동감합니다. 저도 인문계열은 대학이 무슨 필요가 있나 생각하고 공학도 단순 3교대는 최첨단산업 빼고는 굳이 대졸자를.... 문과쪽은 대학이 굳이 필요하나 생각되는 1인입니다
박얍얍
2019년 12월 31일 21:54시청자들에게 이런말을 해주고싶구나
세상에 머리로만 돈을버는 사람만 있다면 세상은 존재하지않는다 몸으로 일하는 사람도 존재해야 된다 그래야 세상도 돌아가고 우리가 존재할수도 있는것이다 지금 그자리에서 행복을 찾기바란다
보직운영
2020년 1월 21일 22:58하지만 자영업으로 성공하는데 있어서 좋은 대학과 좋은 직장을 다녔던 경험이 분명 밑거름이 되었으리라 봅니다.
나르젠스튜디오
2020년 2월 04일 13:03저도 느끼는 건데..
공부도 일종의 테크닉인데....
공부 잘하면 모든게 된다는 게....................ㅠ
궁극의푸른눈의샌즈엑조디아TV
2020년 1월 07일 16:29JYP
사자의심장abraham
2020년 2월 04일 20:18학력을 중시여기는 부분을 비판하는 것에는 공감하지만
서울대에서 열심히 공부하신 것에 대해서는 깎아내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거기서도 열심히,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셨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Leonard Choo
2020년 1월 20일 12:42몇 댓글들을 보니 마음이 아프네요. 이 영상에 요지는 돈을 버는 것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을 이야기한거지 대학을 못가거나, 안가거나, 시간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을 무시해도 된다는 말이 아닙니다. 타인에 대한 존중과 아픔에 대한 공감력을 좀 더 가져주셨으면 합니다.
허언증완치자
2020년 1월 01일 22:32서울대에 안갔다면 서울대 안갈거라는 생각도 안했겠네.
그러니까 우리는 저분의경험을 수용해서
자신에게 대학보다 더 나은선택지가 있는지
어쩌면 대학보다 자신에게 더 많은걸 가르쳐 줄 수 있는게 있는지 알아보아야 함.
언제나 대학은 인간의 능력적으로 필연적 의무는 아님. 하지만 당신이 아직 무엇이든 간에 인생에 대해 모르는게 있다면 저분처럼 대학나와서 고등학생으로 돌아간다면 대학안갈거라고 답하는사람이 되는것도 미래에 할 수 있다면 그리 나쁜 선택지는 아님
Kayrn colly
2020년 2월 05일 22:32아침 7시에서 11시까지 공부했던 경험이 있었으니 성공한듯...
@라임잎
2020년 1월 16일 05:06근데 이 분 말도 조금 이해되는게 우리나라는 너나 나나 대학 나와서 사실 대졸 자체는 특별하지 않아요. 다만 이분은 서울대라는 강력한 학벌이 있었을 뿐...물론 일반인이 옆에서 보면 엄~청 부럽죠!
근데 정작 본인은 자신의 생각보다 그 학벌의 힘을 크게 못 받은 것 같다는 생각이 있으신 것 같아요.(12년 빡공하신걸 생각하면 그 심정 충분히 이해됩니다.)
그도 그럴게 막상 대기업 들어가보면 출신지 정말 다양합니다. 일단 요즘엔 서울대 말고 다른 대학 나오신 분이거나 or 고졸 전형으로도 대기업, 공기업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으니까요. (제가 아는 지인 중에는 지방대를 나오셨는데 각종 수상경력으로 대기업에 가신 분도 있습니다.)
대화하시는거 보면 이분은 사실 이론보다는 경험을 더 중요시 여기는 분인 것 같거든요. 공부하느라 아깝게 시간 버리지 말고 일단 부딪혀 봐라! 이런 느낌?
우리가 보기엔 엥, 이게 무슨 헛소리야 하겠지만, 사실 이 생각이 완전히 틀린 건 아니에요. 고졸이여도 성공할 가능성은 정말 많습니다.
찾아보면 유투버, 연예인, 웹툰작가, 요리사 등 유명인 중에서 대학 중퇴하신 분 생각보다 많습니다. 이 분들은 대학을 다니는 중이거나 대학을 다니기 전에 시간을 그 업계에 투자해서 성공하신분 들이 많죠. 대학 가야만 성공하는건 아니랍니다.
실제로 해외 나가보면 해외 직장인들 반이 고졸입니다. 학벌이 전부가 아닌거죠. 오히려 실력주의라고 할까요? 꽃피운 재능과 딱 맞는 적성을 더 중요하게 봅니다.
특히 이 분은 서울대까지 가실 정도로 머리도 좋고 노력파셨기에 더 이런 생각을 많이 하셨을 것 같아요. 자신이 공부한 시간에 내 재능을 키웠더라면 좋았을걸, 이라고 생각해도 무리는 아니죠.
세상엔 한국만 있는게 아니니까, 대학에 가지 않고 해외에 나가서 내 재능을 살려 취업하는 것도 한 방법으로 보셨을 것 같아요. (실제로 IT 배워서 한국에서 나가는 분도 많다고 합니다.) 물론 저 같은 영알못은 도무지 엄두도 못내는 발상이지만요...ㅎㅎ
이해하지 못한다고 이 분을 비난할만한 일은 아닌 것 같아요. 오히려 이 분이 엄청난 노력가이시기에 할 수 있는 의견이라고 봅니다.
jay hwang
2020년 1월 29일 15:54인생은 혼자 사는게 아니고 상위층에 올라갈수록 인맥이 도움이 되므로, 돈으로 살 수 없는 인간관계에 관하면 서울대는 갈 수 있으면 가는게 맞는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hearerrr
2020년 1월 31일 19:16영상에서 말하고자 하는바는 하나도 관심없고 욕하기에 바쁘네요. 현실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얘기들이네요.
Leonard Choo
2020년 1월 20일 12:50영상 잘 보았습니다만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내가 열심히 해서 다른 사람의 시간을 산다. 다른 사람을 이용한다”라는부분이 계속 마음에 걸립니다. 제 성공을 위해 다른 사람의 희생이 필요하다는 것에 모순을 느낍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ᄋᄋ
2020년 2월 02일 03:56미련한 사람들이 있어야 세상이 돌아가죠.
ᄋᄋᄋ
2020년 2월 04일 01:30대학 꼭 가세요 .. 대학 안나오고 성공 쉽진않아요 뭐든지 때가 있는법..
@이연휴-y1j
2020년 6월 18일 11:59사람은 경험에 의해
바뀌지요
선천적으로는 부모님의 유전자를 물려 받았고
그 유전자 또한 부모님이 할머니할아버지 유전자를 물려 받아 부모님의 경험이 함축된 유전자 이지요
내가 아무리 내려 놓는다고 한들
사회가 돈없는 사람들 무시하고
돈 있는 사람들 실없이 치켜세워주고
예쁜사람들 치켜 세워주고 하면
결국 이런 사회가 전체적으로 우리 모두의 평균적인 자존감을 떨어뜨리게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실없는 칭찬과 비난들이
정말 중요한게 뭔지 놓치게 하지요
그래서 우리는 사회에 관심을 기울이고 바뀌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합니다 광범위한 노력이 아니더라도
그냥 실없는 말 안하고 용기있게 살아가기만 해도 훨씬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스스로 생각하는 습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영향력있는 소위 성공한 사람들의
말이라도 의구심을 품구요
실제로 우리의뇌도 어떤것을 받아들일 때 스스로 재구성해야 더 발달된다고 합니다
진짜 성장 진정한 독립을 위해서라도 불필요한 의존성은 만들면 안된다고 생각하구요
세상에 진정한 진리라는게 있는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근데 만약 진리라는게 있다면
적어도 멀리보고 모든사람이 다 그렇게 됐다고 가정할 때 그게 맞으면 그게 진리에 가까운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 모든 자영업자가 부자가 되는 사회가
세상 모든 자영업자가 상위 10프로 안에 재력을 가지는 사회가
맞다면 이 영상을 추천드리고 싶지만 그게 아니라면
jw p
2020년 2월 04일 08:11예전에 공대나 상대에 꼭 있는 삐쩍 마르고 공부열심히 하는 선배같이 생겼는데, 서울대 물리학과 나와서 여유가 생겨서 다른 방향의 얘기를 쉽게 할수 있는거 같다.
@Hdhjnodasd
2022년 10월 02일 10:31가난은 목숨을 위협하는 것입니다. 당해본 사람들은 알쥬. 겸손과 성장을 배우는것이기도 하고
up just
2020년 9월 01일 22:344:40 명예 돈 욕심이 없고, 내 가족들과 재밋게 지내는 것이 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