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02학번인데요. 제가 입학할때만 해도 '이공계기피현상'이 심했습니다. 물론 그런 현상들이 닷컴 버블등과 연관이 되어있을 것 같기도 하고요. 인력시장의 탄력성이 부족하다보니 (당시에 일시적으로 억압되었던) 이공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것 같기도 합니다. 저도 정말 관심있는 주제인데 훌륭한 데이터들로 설명해주신 조귀동 작가님과 홍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조귀동 1. 공매도 금지로 한국이 ftse 경고장 받앗다고 허위보도 2. 지트리비앤티 검찰고발됫다는 완전히 '허위'사실 보도로 시총 3천억 이상 증발 3. 엘비가 하지도 않은 공시가지고 허위공시라 하며 수십페이지에 걸친 맥락다 삭제하고 단어 fail 만 쏙 따와서 시총 몇조 증발시키기(임상 fail 이 아니라 일부 통계적 유효성이 애매햇음) + 증선위 기밀사항 유출
아주 의도를 가지고 자극적인 허위보도로 특정주식 하한가 만드는 조선일보 기자 클라스 ㄷㄷ 어디서 뭘 받고 이래쓰는건지 ㄷㄷ
@김단테 15
2020년 2월 04일 14:31저는 02학번인데요. 제가 입학할때만 해도 '이공계기피현상'이 심했습니다. 물론 그런 현상들이 닷컴 버블등과 연관이 되어있을 것 같기도 하고요. 인력시장의 탄력성이 부족하다보니 (당시에 일시적으로 억압되었던) 이공계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것 같기도 합니다. 저도 정말 관심있는 주제인데 훌륭한 데이터들로 설명해주신 조귀동 작가님과 홍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간헐적폭식-x8t 14
2020년 2월 02일 14:55여기서 조국 전 장관얘기가 왜 나옴? 부모찬스 더 심하게 쓴 놈들 다 빼고?
kc ht 13
2021년 2월 19일 21:46조귀동
1. 공매도 금지로 한국이 ftse 경고장 받앗다고 허위보도
2. 지트리비앤티 검찰고발됫다는 완전히 '허위'사실 보도로 시총 3천억 이상 증발
3. 엘비가 하지도 않은 공시가지고 허위공시라 하며 수십페이지에 걸친 맥락다 삭제하고 단어 fail 만 쏙 따와서 시총 몇조 증발시키기(임상 fail 이 아니라 일부 통계적 유효성이 애매햇음) + 증선위 기밀사항 유출
아주 의도를 가지고 자극적인 허위보도로 특정주식 하한가 만드는 조선일보 기자 클라스 ㄷㄷ
어디서 뭘 받고 이래쓰는건지 ㄷㄷ
앤써니 10
2020년 2월 02일 17:36최근 한국사회가장문제점임. 사다리자체를 걷어차버려서 자기들의 자리를 공고히하고 되물림하는현상이. 그게좌파가 유독심해서 졸라싫어함. 개천에서용날수있는사회를 만들어줘야함 도랑이 가재로 내새끼들이 산다고생각하면 누가 애를 낳을까?
@이상희인류진화 6
2020년 2월 03일 12:52한숨 푹푹 쉬면서도 감사히 잘 봤습니다. 아직도 “대학은 취업하기위해 가는 곳이 아니지!” 학과 정원에 대해 말도 못꺼내게하는 교수들입니다. 자신은 평생직장이 있으니까 숭고한 얘기만 해도 되죠 ㅠㅠ
@rlatvdyd8411 3
2020년 2월 02일 07:38한국작가가 쓰신 책이네요 ..읽어봐야겠군요
오늘은 골목의 전쟁 읽으려는데..집중이 잘됐음 좋겠습니다^^
@이용욱-q3z 3
2020년 5월 05일 22:13조국을 두둔할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만 조국뿐 아니라 국회의원을 부모로 둔 자녀, 유력 정재계의 인사들 모두가 이문제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것인데 조국만 특이 부각되는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손제민 3
2021년 6월 26일 08:57허위공시: 상장 회사가 허위로 공시를 적시한것.
허위기자: 허위로 기사를 유포한 기자.
허위작가: 허위로 책을 집필한 작가.
머리부터 발 끝까지 허위네.
@Deserttt8 3
2020년 2월 02일 09:26잘 봤습니다. 통계로 많은 것들을 알수있네요. 우리 회사도 문과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sapphire4409 2
2021년 2월 01일 23:19문과가 학문이 좋아서 간 사람이 별로 없죠 ㅋ 솔직히 이과 어려워서 간건데 이공계가 근간인 나라에서...자업자득이라고 봅니다
손제민 2
2021년 6월 26일 09:062.16 허위기사 다큐보는데 여러명 죽었네...
극단적인 선택도 하고...
살인마네 조귀동 ㄷㄷ
팬대굴리며 사람을 죽이는게 이런거구나..ㄷㄷ
@tropical72 1
2020년 2월 04일 12:55엄마/아빠찬스 쓸 수 있는 소수와 그러지 못하는 다수의 얘기.... 문제라는 것은 동의합니다. 하지만 찬스를 쓸 수 있는데도 걷어차라고 할 수 있는지. 답을 할 수 없는 어려운 얘기 입니다. 좀 더 방송 들어보죠..
허재원 1
2020년 2월 02일 20:47좋은 책 소개 고맙습니다. 2편 기대합니다!
@jhc6670 1
2020년 2월 02일 12:34혹시 유튜브에서 말씀해주신 KDI 보고서 제목을 말씀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한번 찾아서 읽어보고싶네요.
@jason1682
2020년 2월 03일 00:03격공
@carpediem1549
2021년 3월 25일 21:56이 책 진짜 통계로 패버리는 책... 꼭 읽어보세요 꼭. 대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