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을 가진 인재가 필요하다는 말씀 참 좋아요. 한국에서 공부한 학생이 하버드대학 수학과 입학성적이 1등 인데..장학생 선발에서 제외 되었다. 처음에는 너무 억울하고 분해서 미쳤다고.....1년을 같이 공부해 보니 자기가 장학생 선발이 안된 이유을 알수 있었다고 합니다. 생각하는 수학을 해야 하는데 한국은 문제풀이 수학만 했던 것이..결국 수학자의 길을 포기하고 경제학을 전공 했다고 합니다.
앞으로 고교학점제가 시작되므로 예전처럼 동료를 경쟁 상대로 보지 않을 겁니다 본인이 원하는 과목을 시간표로 짜서 학점 따게 됩니다 수업 자체도 팀 수업이 많아질 예정이니 학군지도 똑같아요 이 제도 아래서는 학생에게 자율성과 주체성이 많이 주어지므로 준비되지 않은 학생들은 적응이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내 진로에 대해 한번도 심각하게 고민해 본적이 없다면 시간표조차 짜지 못할 겁니다 그리고 학군지라고 모두가 과하게 공부하지 않습니다 결론은 어디서든 잘 지내면 될 것 같습니다 지나가다 도움될까 해서 댓글 남깁니다 근데 동영상 보고 탈대치 러시 생기는거 아닌가요 ㅎㅎ
다 보고 나서 들었던 느낌이 제가 읽어보지는 않았으나 사티아 나델라의 'Hit Refresh'의 내용하고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맞춰지는 것으로 맞을까요?
☞ 이소영 이사님과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공통점
→ 혼자서 전체를 이끌고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시대는 끝났다 → 현재의 세상은 혼자서가 아니라 같이 협력하는 시대다 → 이제는 새로운 발상과 아이템이 나오는 새로 고침의 시대다 → 경쟁의 시대가 아닌 부서 간의 협력을 요구하는 시대다 (즉, 전임 마이크로소프트 CEO의 스티브 발머의 직원과 부서 간의 경쟁이 아닌 직원과 부서가 서로 협력하여, 모든 것을 배우고 공부하면서 현재 살아가는 사회 및 세상을 새로고침을 시도하는 것이다. ☞ 내부의 적을 만들기보다는 서로 협력해서 단합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다른 타 회사와 경쟁할 수 있는 조건을 같이 만드는 것)
Samuel Kim 53
2021년 7월 23일 12:23성공의 기본은 관계에 있음을 배우고 갑니다.
Minsuk YANG 32
2021년 7월 23일 13:44솔직해지자 자녀를 우수한 인재를 만들려고 강남에 가나? 경쟁에 이겨서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지. 그점에서 강남의 전략은 그동안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우수한 인재가 되기에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지만.
마흔혁신 30
2021년 7월 23일 13:01폴리매스를 연상케하는 영상이네요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에 오랜기간 매몰되어 있다보니 새로운시대가 도래하는 시점에서 어쩔줄 몰라 방황하듯보이는 현재를 꼬집는 듯한 뼈때리는 영상 감사합니다.
션 29
2021년 7월 23일 14:17지방에서 올라와 잘되는 사람 많습니다
kate Wang 26
2021년 7월 23일 15:23문제집 풀이로 배움을 학습한 인간은 ai로 다 대체된다는 말.
Forest Black 26
2021년 7월 23일 12:53주변에 지방출신이 많은건 나이가 40세보다 많은거라서 그런거 아닌가요?
그런데 학력도 수도권쏠림현상이 2000년 중반이후 더 심해서 20대신입사원,30대초반 사람들 출신지 조사하면 달라질걸요?
임쭈텔라 23
2021년 7월 23일 13:47마이크로소프트 이사님 이시라구여. ㄷㄷㄷㄷㄷ 영광입니다. 그때 그때 긍정적인 생각이 늘 필요합니다. 그리고 겸손도 해야하구여.
오렌지 퓨마 21
2021년 7월 23일 16:03지방출신 특히 시골 출신들 중 스트레스에 강한 분들 많더이다. 정신력이 강한건가? 잘 모르겠네
MZ 17
2021년 7월 23일 16:27돈되는데로 가겠지.
이제는 한국도 다양성을 받아들이는 문화로 바껴야 진로 모색을 잘할듯.
스터디언 17
2021년 7월 23일 12:00📔이소영님의 "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 있는가?"를 소개합니다.
👉 https://han.gl/lysDt
돈버는기술 업사이트 16
2021년 7월 23일 12:50상생과 연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입니다 😌
귀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
매성엄프 15
2021년 7월 23일 13:59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아이들을 경쟁사회에 내몰기보다 아이가 좋아하는 또는 아이가 갖고있는 장점에 대한 역량을 키워줄수 있는 부모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restart 15
2021년 7월 23일 12:36자녀들의 미래의 삶을 생각하며 늘 혼자서
생각에 골똘해 있는 시간이 많아지네요
좋은 질문과 정보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국태호 12
2021년 7월 25일 18:34다양성을 가진 인재가 필요하다는 말씀 참 좋아요.
한국에서 공부한 학생이 하버드대학 수학과 입학성적이 1등 인데..장학생 선발에서 제외 되었다. 처음에는 너무 억울하고 분해서 미쳤다고.....1년을 같이 공부해 보니 자기가 장학생 선발이 안된 이유을 알수 있었다고 합니다.
생각하는 수학을 해야 하는데 한국은 문제풀이 수학만 했던 것이..결국 수학자의 길을 포기하고 경제학을 전공 했다고 합니다.
맨해튼 11
2021년 7월 23일 14:14이사님! 말씀에 박수를 보냅니다.
맞아요. 아이의 인생은 행복한지 아닌지 자신이 알고 있는 거겠죠. 성공적인 자녀법이란 말은 맞지 않는다고 저도 생각해요~
파도 9
2021년 7월 23일 12:01감사합니다
yh ha 8
2021년 7월 31일 11:38요즘 의사들은 자신의 전공 분야만 잘 알지 조금만 벗어나도 통합적으로 환자를 보는 눈이 거의 없으시더라고요. 오히려 과학기술이 덜 발달되었을때에는 의사들이 통합적으로 환자의 문제에 접근했던 그런 차이가 느껴져요.
jm y 8
2021년 7월 23일 17:35공부는 경쟁적으로 하되 심리적 교육이 뒷받침되면
더 좋겠네요.
어쨌든 기본 파워가 중요한건 과거나 현재나 불변의 조건이니까요.
Jeong Suk Hwang 8
2021년 7월 24일 01:18시대은 빠르게 변화하는데 교육은 아직도 시대 흐름을 따라가질 못하네요
kyu 8
2021년 7월 23일 14:22왜당연한얘기를 하는거지
Ostin Lee 7
2021년 7월 24일 16:39톤 좀 낮춰주시죠 좋은 내용인데 미안하지만 유투브로 듣기엔 귀가 아프네요 홈쇼핑 쇼호스트들 솔톤.
집밥하는고양이catlovemom 7
2021년 7월 23일 12:03제목에서 부터 다르네요
zero 6
2021년 7월 23일 20:40아 그보다 인간에 대한 공부도 필요 합니다. 문명은 발전하는데 인류의식의 발전은 없네요.
정가랑 6
2021년 7월 23일 13:13두 책은 꼭 사서 읽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daldal 5
2021년 8월 01일 02:37소위 말하는 강남 8학군 - 명문대 졸업 후 10년이 넘는 경쟁에 지치고 그에 보상은 받고 싶고 돈 많이 버는 길은 내 길은 아니다싶어 몇 년째 방황중인데 이사님 말씀 구구절절 공감합니다ㅠㅠ 잘 듣고 갑니다
강탐라대왕 4
2021년 7월 23일 16:58수도권에서는 안전한 곳이 거의 좋은 학군과 일치하는 것같아 씁슬합니다
어인마니tv 4
2021년 7월 23일 14:39얘기 잘 들었어요
노다지마을 4
2021년 7월 24일 18:19이소영이사님의 진솔한 이야기 잘 보았습니다. 변화하는 시대에 아이를 키우는 자세. 대비하는 마음가짐이 의미있게 다가왔습니다 감사합니ㅏㄷ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4
2021년 7월 23일 16:34마이크로소프트 ㄷㄷ
디아몽 4
2021년 7월 28일 09:18많은 책을 읽고, 쓰고 말하는 공감능력이 있어야 한다 . AI 와 같이 살아가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
남윤주 3
2021년 7월 23일 15:12정말 옳으신 말씀이예요~
너무 너무 공감이 갑니다~^^
에벤엣셀 3
2021년 7월 23일 18:53실전은 다르져 확실히 멘탈과 사회성도부족하더라구여 정말 뛰어난 인재가아니라면 몰라도 사랑도못받고 뒤에서 왕따당하져 정작 본인들은 잘난맛에살고 몰라영
joy Pre 3
2021년 7월 23일 18:52작년여름에 우연히 읽고 느끼는바가 컸습니다. 감사해요. 생각을 전환하는데 큰 도움을 주셨어요 🙏
Apple See 3
2021년 7월 23일 23:2910:55 미래의 의사는 이 책을 읽어야하겠습니다. #최악을극복하는힘
ᄇᄎᄀ 3
2021년 7월 26일 19:53단지 수도 首都라는 상황에서 서울 입니다 물론 서연고 인서울 대 나오면 학연 직연의 잇점은 있습니다 그러나 직장 이든 사업 이든 기본은 관련 학력 전공에 대한 지식이 필수 이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일에 대한 열정 태도 성격 대인관계 가정교육들이 먼저 입니다 ~
서동욱 2
2021년 7월 26일 09:50방송내내 표정이 밝으심에 존경합니다.
콜리졸리 2
2021년 7월 31일 11:16자녀에대한 가치관이 너무 멋지십니다! 어떤 양육서보다 많은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코인캠퍼스 2
2021년 7월 26일 16:32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노가영 2
2021년 7월 26일 06:48앞으로 고교학점제가 시작되므로 예전처럼 동료를 경쟁 상대로 보지 않을 겁니다 본인이 원하는 과목을 시간표로 짜서 학점 따게 됩니다 수업 자체도 팀 수업이 많아질 예정이니 학군지도 똑같아요 이 제도 아래서는 학생에게 자율성과 주체성이 많이 주어지므로 준비되지 않은 학생들은 적응이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내 진로에 대해 한번도 심각하게 고민해 본적이 없다면 시간표조차 짜지 못할 겁니다 그리고 학군지라고 모두가 과하게 공부하지 않습니다 결론은 어디서든 잘 지내면 될 것 같습니다 지나가다 도움될까 해서 댓글 남깁니다 근데 동영상 보고 탈대치 러시 생기는거 아닌가요 ㅎㅎ
Jung ws 2
2021년 7월 25일 13:13서울 인구가 1000만 이라고 해도 나머지 지방이 4000만인데 당연히 지방출신 비중이 높으니 성공하는 사람도 당연히 많아질 수 밖에 없음. 그리고 인터넷이런 인프라가 잘 안돼있던 과거면 몰라도 꼭 서울와야 공부를 잘하고 그런 시대는 아닌데 잘못된 생각이신듯.
눈꽃 1
2021년 7월 25일 00:57맞는 말이지만 어려워요~~^^
Summer Breeze 1
2021년 7월 23일 12:59근무조건도 영향을 많이 주겠죠. 갑질도없고 과도 초근도 없는. 대학때 과외해봤으니 집이 강남인 애들은 본인아파트 안에서 과외가 다 커버되는데 소득도 차이가 없나보지요. 교육이나 학벌이 비생산적인건 공감합니다만 사측도 원인있을듯요.
이준성 1
2021년 8월 08일 22:58최근 성공과 관계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영상 그리고 책이 너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김에리카 1
2021년 7월 23일 18:38정치를 하려면 지방 출신이 유리하죠
su-yeon Jun
2021년 8월 04일 05:45마이크로소프트 인터뷰 봤을때가 생각나네ㅎ
블레이더영혼
2022년 7월 05일 22:03우연찮게 검색을 하다가 보게 되었는데요.
다 보고 나서 들었던 느낌이 제가 읽어보지는 않았으나 사티아 나델라의 'Hit Refresh'의 내용하고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맞춰지는 것으로 맞을까요?
☞ 이소영 이사님과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공통점
→ 혼자서 전체를 이끌고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시대는 끝났다
→ 현재의 세상은 혼자서가 아니라 같이 협력하는 시대다
→ 이제는 새로운 발상과 아이템이 나오는 새로 고침의 시대다
→ 경쟁의 시대가 아닌 부서 간의 협력을 요구하는 시대다
(즉, 전임 마이크로소프트 CEO의 스티브 발머의 직원과 부서 간의 경쟁이 아닌 직원과 부서가 서로 협력하여, 모든 것을 배우고 공부하면서 현재 살아가는 사회 및 세상을 새로고침을 시도하는 것이다. ☞ 내부의 적을 만들기보다는 서로 협력해서 단합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다른 타 회사와 경쟁할 수 있는 조건을 같이 만드는 것)
※ 제가 느낀 그대로 쓴 댓글의 내용이 맞는 지 모르겠습니다^^;;
eun young lee
2021년 7월 23일 16:01인터뷰 중 나왔던 서울대 교수님의 책이름이 정확히 어떤책인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