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영광이 오래가지 못한 이유 = '모노즈쿠리 정신' 독이 된 과잉 기술 #미래수업 EP.25 | tvN 210726 방송
티빙 바로가기 : https://dooo.us/CKXXlj #미래수업 #도쿄올림픽 #일본 #티빙에서스트리밍 미래수업 Living the New Normal EP.25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
티빙 바로가기 : https://dooo.us/CKXXlj #미래수업 #도쿄올림픽 #일본 #티빙에서스트리밍 미래수업 Living the New Normal EP.25 tvN 월간기획 뉴노멀 강연쇼 ......
@ztm21 23
2021년 7월 29일 20:14말이 좋아 장인정신이지. 변화와 혁신하지 않는 장인정신은 그냥 옛날기술임!
@mangmang6189 17
2021년 7월 29일 22:15엉터리 내용이네요.
모노츠쿠리가 일본 성장기 시대를 잘 만나건 맞는데요.
그게 장인정신은 아니에요.
'와'라는 사상에 맞추어 반항하지않고, 바뀌지 않으려는 습성에 의해서 그냥 물려받은대로 하는거 뿐이거든요.
그래서 발전이 없고, 효율성이 떨어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품질이 떨어지게 되지요.
문제는 그걸 받들어주는 '와'가 유지되면서 거품이 점점 커지는 거에요.
6개월 걸려서 만든 칼이 있다고 하면 품질이 공장제품보다 떨어지고 비싸기만 한거죠.
@현명한투자자-z6z 17
2021년 8월 22일 23:53한국에 모노즈쿠리 정신 장인정신이라도 있었던 적 이 있었던가?
@uk333000 17
2022년 6월 03일 16:43뭘 잘못알고있는듯한데, 단순히 IT쪽으로만 바라보니 저런 편협한 시선이 생기는듯한데
IT기업이야 뭐 근본없이 장벽이 낮으니 어느나라에서 플랫폼을 먼저 독점하느냐에 따라서
시장이 생기는거지만 일본이 잡고있는, 즉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전세계를 이끄는 기초 제조업은
여전히 힘이 있습니다. 혁신의 아이콘 테슬라는 일본의 화낙이 없으면 안되고
전세계 항공산업을 이끄는 보잉과 에어버스는 일본의 토레이와 야마자키가 없으면 안됩니다.
또 요즘 항상 화두가 되는 자동화시스템에 있어서 전세계 기업들은 일본의 키엔스제품을 찾습니다.
혁신기업선두에 다양한 국적의 기업들이 있지만 그 기업들의 바탕엔 일본기업이 항상 있다는거
이거 진짜 무서운겁니다.
Chrles Kim 17
2021년 7월 30일 09:442020 GDP
한국: ₩1,956조 (10위)
일본: ₩6,057조 (3위)
2021 GDP(추정치)
한국: ₩2,167조 (10위 / 2020대비 3.59% 증가)
일본: ₩6,453조 (3위 / 2020대비 3.25%증가)
2020 PPP
한국: ₩2,772조 (14위)
일본: ₩6,375조 (4위 / 3위는 인도)
2021 PPP(추정치)
한국: ₩2,923조 (14위)
일본: ₩6,702조 (4위 / 3위는 인도)
* PPP: 국내총생산 GDP에서 나라별 환율과 실제구매력을 반영한 지표다. PPP가 높다는건 실질 구매력대비물가가 상대적으로 싸다는 의미가 된다.
언제가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3위의 경제대국이 되어야합니다. 하지만, 아직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은 여전히 독일등 모든 유럽국가들을 크게 앞지르고있는 경제대국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지금 일본이 망해가고 있다고들 하는데 현실은 이런 코로나시기에도 성장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일본에 눈치보면서 살필요도없지만 그렇다고 벌써부터 우리가 곧 일본을 앞지르는양 흥분도 할필요가 없습니다. 조용히 내실을 다져서 언젠가는 꼭 일본을 실제로 앞서는 그런날이 오길 소망해봅니다.
@이동철-d7e 12
2021년 8월 03일 07:38지금은 디지털시대 일본이 적응 못했지요
모노즈쿠리는 산업시대엔 최고였지
디지털시대엔 독이 되었지요
@ဝက်ဝံ-စ၅င 11
2021년 7월 30일 17:53장인 정신 ...
나도 몇 달 전에 저거 좀 배워볼라고 일본어로 검색해서 you tube 찾아보니께니,
무슨, 나무로 기둥을 깎는데 3일 걸리더라, 노인 혼자서
기계로 깎으면 하루에 10 개도 깎을텐데
옛날 방식으로, 이마에 띠 두르고, 땀 뻘 뻘 흘려가면서, 입으로 물 뿜어가면서, 기둥 하나 깎으심
3일 내내 깎으심
아이구, 세상에
그게 옛날에는 최선의 방법이었겠지
그런데, 지금처럼 기계로 위이이잉 ~ 깎는 것보다 나무가 더 둥글 둥글하게 잘 깎이는 것도 아니고
더 튼튼한 것도 아니고
니스를 5번씩 발라주는 것도 아니고
...
심지어 가격은 10배인가 더 비쌈
뭡니까, 이게, 예?
나는 제발 우리 대한민국에서
이야아 ~ 일본에는 100년된 가게가 수두룩하다더라, 역시 선진국. 우리도 배우자
이런 소리 좀 안 했으면 좋겠다
그냥 상술일 뿐이라고 봄
남들은 공장에서 기계로 깎은 거 쓰지만
나는 남들보다 10배 비싼 나무 쓴다
그냥 부의 과시
저기서 말한 저 6개월 걸려서 1개 산다는 칼
다이소에서 산 칼보다 더 잘 썰릴까?
저 칼로 사과 깎아먹으면 사과 맛이 100배 더 좋을까?
가격은 100배 쯤 더 비싸겠지?
그냥 자기 과시일 뿐
이 칼은 장인이 만든 칼이야
호온 또오?
6개월 기다렸어?
헤에에에 에에에에 ?
겁나 비싸
스고이 ~ 🎌
@gpgp392 11
2022년 4월 18일 23:28글쎄... 과연 그럴까.... 트렌드는 바뀌니깐 트렌드임 ... 영국 스페인 프랑스 독일 미국 경제 패권이 바뀔때마다 세계 1류 기업도 바뀌어 왔음.
그 나라의 흥할때 세계 1위 기업은 항상 엎치락 뒤치락 했지만
무서운건. 그 패권이 바뀌고 트렌드가 바뀌면서 1등이 계속 바뀌고 있을때 .. 항상 일본은 2등을 하고 있었음 ...
결국 일본의 기초기술과 기초과학은 그 트렌드가 바뀌는 시기에 이겨내는 역량이 되기도 한다고
트렌드는 돌지만
기초학문이 탄탄한 국가는 2등은 할 극복능력이 있음
우리나라 카이스트 목표가 노벨과학상 배출인데
일본은 거의 해마다 노미네이트 되고 있지..
성과위주의 대한민국 사회와
지금 빨리빨리의 트렌드가 맞는 단순한 시기일뿐
우리나라도 기초학문 기초기술 기초과학 부터 탄탄하게 올라가야함
@占쏙옙-r4v 9
2021년 7월 31일 00:40선진국과 개도국의 차이는 자국 인력이 만든 제품을 팔수 있느냐(인건비 높아 가격이 비싸도)인데, 유럽,미국,일본은 비싸게 팔수 있는 물품이 우리와 비교도 안되게 다양해. 그리고, 화장품,의류등 문화를 팔수 있어야 하는데, 우린 없어. 싼 가격으로 동남아와 일본에 소량 들어가는 거는 있겠지, 침소봉대 국뽕영상에 과다 노출되서 잘 모르겠지만, 내 세울 명품도 없고, 글로벌 SPA 브랜드나 편집샵도 없어. 루이비통,유니클로 1년 매출이 20조가 넘어, 먹거리도 마찬가지 우리는 글로벌 프랜차이즈가 없어, 그래서, 우린 글로벌 경제위기에 정말 취약한 국가야.
@lastppta1934 8
2021년 9월 27일 00:13장인기술이 우동 같은 먹는거는 그래도 아직까지 잘 통하는데. 이런건 변화는 거의 없으니까.
전자제품 같은건 진짜 치명타일듯. 20년 유지하는것도 불가능
뭐 미래 상상을 하자면 세상이 바뀌어서 사람이 더 이상 음식을 먹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오면 우동 장인기술도 필요없어 지겠지만.
미래로 갈수록 문명 변화가 더 빨라지니까 이제는 장인정신 보다는 빨리 적응하고 그에 맞는 기술과 제품을 확보하는게 더 중요한 시대가 될 것 같음
@mikebig1593 7
2023년 4월 12일 21:09일본 노벨상이 많은것도 사실 장인정신 문화가 한몫 했습니다. 한 분야만 깊게 파면서 그 정도로 뛰어난 기술들을 많이 개발했으니까요.
@김광희-c8m 6
2021년 8월 27일 15:23교도소 가면 장기수들이 진정 장인정신을 가지고 있지 돌로 체스판을 만들고 변변한 도구없이 일본문화 장인정신의 민낯이 교도소 장기수와 같다 할 수 있는게 한정된 사회 강력한 통제의 나라
타이거k 5
2021년 7월 30일 02:08일본을 그래도 간과하면 안되는게 기초기술을 일본이 보유한 원동력이 바로 이 모노쯔꾸리 때문임...지금 시대에는 좀 안맞더라도 다시 부각될 상황이 올 것임
@funevil82 5
2021년 9월 12일 10:25그래도 저렇게 삽질해도 내수시장이 탄탄하고 기술자를 우대해서 아직까지 일본 경제는 짱짱하다는건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음
@hybridcloud4994 5
2022년 6월 14일 20:44끽해야 사례 몇개밖에 없지 나머지는 유지하고 근데 그거 특수사례로 영광이 오래가지 못한이유 ㅇㅈㄹ 떨면서 어그로 끄는 모습이 빡치냐 왤케
@yish5388 5
2022년 4월 17일 20:42원래 성공이란게 다 그렇지 뭐... 도전해서 성공하면 자수성가다 장인정신이다 등 좋은말은 다 붙는거고 실패하면 외골수다 똥고집이다 등 안좋은 수식어 다 붙는거다. 다만 모노즈쿠리는 그게 더 극대화 된 것일뿐... 일례로 우황청심원 광고로 유명한 최씨고집. 실패했다면 최씨아집이었을겁니다.
@도래샘-o4o 5
2021년 8월 24일 21:53남한은 내수시장 포화상태임~ 인구에서 일본에 안되니..ㅜㅜ 북한아~ 경제개방 좀 하자.
정우영 4
2021년 7월 30일 00:18최근에 터진 ‘방배동 족발’ 사건 봐… 발 닦던 수세미로 무 닦는거 보고 토 나올 뻔했다…장인정신에 대해서 변화가 느리다고 까는데, 먼저 우리나라부터 보고 얘기하자;;;
@Rich-u1f 4
2021년 8월 15일 13:50드릅게 짤라서 올리네
하얀마음김백구 3
2021년 8월 24일 09:35그렇지만 현실은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이 나라들은 조상들이 원천기술을 다 잡고 있어서 그 자손들은 죽을 때까지 먹고 산다.
@dasoosam2027 3
2023년 4월 22일 07:02일본 노벨상이 몇 명이나 되는지...알기나 할까?
@인간자체가강하다 3
2022년 3월 08일 11:22일본입장에선 뭐라생각할까 ㅋㅋㅋ
@오오오오오쿠오오 2
2023년 1월 04일 23:43볼펜만 만져봐도 일본이 한수위인데 무역적자국중 대표적인게 일본아님?
1위가 사우디고 2위가 일본이던데
사우디야 뭐 원료 특히 석유사와서 그런거고 일본은 지금도 부품소재 팔아먹어서 그런거아님?
그럼 지금도 원천기술은 일본이 몇수위라는 얘기고
@Bonjour-vh7sc 2
2021년 8월 27일 10:23소니가 뻘짓 많이 했지. 표준 안따라가고 지들이 선도하려고 메모리 스틱같은 독자 규격 제품 이상한거 만들어서
시간 지나니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도너리 2
2022년 4월 17일 01:11아유 이러 등딱같은 방송 ㅋㅋㅋ, 한국 코가 석자야 ㅋㅋ
@강왕발 1
2022년 12월 28일 03:08흔히 들어본 ‘일본의 장인정신’ 이런것도 일본이 한 국가 브랜딩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 장인이 왜 없나요? 있습니다 다만 미디어나 우리가 관심이 너무 적을 뿐이죠 한국에도 장인이 있냐는 말은 우물안 개구리라 생각합니다.. 집 근처 대한민국 명장 목칠공예가가 계십니다 대대로 하셨구요 그리고 일본 문화가 대를 이어야한다 이 고집에 ‘장인 정신’이란 말로 이어지는 거겠지만 글쎄요.. 어려운 길 자식한테 고집하고 싶지 않은게 부모 마음이기도 합니다 이런 문화가 일본엔 있다 이정도로 끝내면 되지 뭘또 우리나라엔 없다며 자국 비하하시나요 대한민국 ‘명장’에 관해 한번 찾아보세요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설화수 화장품과 콜라보로 여럿 아시는 나전칠기 공예, 지미유가 머리에 꽂고 나온 매듭장분도 계시구요(40년 넘게 이어오고 계십니다) 생각보다 여러군데 존재하십니다~
우상향은과학 1
2021년 9월 19일 22:033:39 대한민국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 460조, 일본 시총 1위 도요타 350조
박철우 1
2021년 7월 30일 01:51일본이 망한건 순전히 미국때문이지 일본 내부의 문제로 보기는 힘들죠. 사실상 전세계경제를 지배하다 싶이한게 일본이었는데도 저런 말들이 계속 나오는건 미국기득권세력의 뇌속에 아직 일본이 두렵다는 생각이 남아있다는 반증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플라자합의 이후 미국은 일본기업을 파산시키기 위해 그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짓들을 다해왔습니다. 플라자합의 후 해마다 수십만개씩 파산하던 일본기업들은 그들이 잘못해서 파산 한것이 결코 아닙니다.....
@김하준-l7m 1
2021년 9월 27일 13:27과유불급!
@승리-f3v 1
2024년 7월 04일 20:03일본사람들이 이거 보면 어이없겠다ㅋㅋ
@유느1 1
2022년 2월 27일 16:05그냥 삽질이죠.
장인 정신이라면 최고의 품질을 만드는건데
일본에서 크게 변질되었지. 한가지로 오랫동안 하는걸로.
@CHURIHADA
2023년 1월 16일 18:02노벨상 추가요
@김사랑-p5f
2023년 9월 07일 04:492:23
@overkill6403
2024년 9월 23일 22:27혁신 60% 장인정신 40%가 가장 밸런스가 좋음 혁신만 추구하고 빨리빨리만 하면 그것도 문제고
일본처럼 변화를 추구하지 않고 장인정신 기술기술만 해도 문제임
@박씨-i8x
2022년 5월 23일 08:22저는 예전에 일본에 옛날 가게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overkill6403
2024년 9월 23일 22:17참고로 반도체는 미국이 소니한테 무상으로 제공한 기술이고 워크맨도 독일이 최초로 만들었슴 근데 소니가 자기네들이 최초로 만들었다고 구라쳤지
@overkill6403
2024년 9월 23일 22:32자꾸 일본의 기술력 운운하는 사람들 있는데 혁신이 이루어지면 낡은 제조업 기술은 무용지물이 됨
일본의 제조업은 거의 1980~1990년대에 멈춰 있슴
@싸이판괌
2022년 4월 28일 07:46콘고구미는 백제 성덕태자가 세운 회사지요!!!
Chrles Kim
2021년 7월 30일 09:442020 GDP
한국: ₩1,956조 (10위)
일본: ₩6,057조 (3위)
2021 GDP(추정치)
한국: ₩2,167조 (10위 / 2020대비 3.59% 증가)
일본: ₩6,453조 (3위 / 2020대비 3.25%증가)
2020 PPP
한국: ₩2,772조 (14위)
일본: ₩6,375조 (4위 / 3위는 인도)
2021 PPP(추정치)
한국: ₩2,923조 (14위)
일본: ₩6,702조 (4위 / 3위는 인도)
* PPP: 국내총생산 GDP에서 나라별 환율과 실제구매력을 반영한 지표다. PPP가 높다는건 실질 구매력대비물가가 상대적으로 싸다는 의미가 된다.
언제가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3위의 경제대국이 되어야합니다. 하지만, 아직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은 여전히 독일등 모든 유럽국가들을 크게 앞지르고있는 경제대국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지금 일본이 망해가고 있다고들 하는데 현실은 이런 코로나시기에도 성장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일본에 눈치보면서 살필요도없지만 그렇다고 벌써부터 우리가 곧 일본을 앞지르는양 흥분도 할필요가 없습니다. 조용히 내실을 다져서 언젠가는 꼭 일본을 실제로 앞서는 그런날이 오길 소망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