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부동산 소유가 악이 되었는지... 세금 내려고 뼈바지게 일하는게 아닌데... 이상우 대표의 의견은 언제나 정확합니다.. 늘 도움됩니다... 중국인의 부동산 소유만 막으면 될 것 같은데...(중국에서 외국인은 절대 땅 못사요.건물은 살 수 있어요. 그리고 중국정부에서 맘에 안 들면 건물주에게 건물들고 나가라고 하지요.. 미국에서 외국인 땅 사요.. 그 차이랍니다.상호주의)
와 핵심이다..3만불 시대에 다양한 욕구.. 1가구1주택만이 아니라..... 부산에 해변에 아파트 하나 강원도에 별장하나..서울에 집하나가 욕심인가? 인간의 기본적 욕구지.... 국가는 완전 평등하게 집1채만 가지고 살란 얘기...인구는 줄지만 인간의 욕구는 다양화되어 차도 3대 집도 3개 일수 있다..
그래도 요즘 뒤늦게 신대까지 받아서 영끌해서 집사는 분들은, 과거대비 대출 절대금액이 크기 때문에 금리 인상시 부담이 상당할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부부가 혼인신고 안하고 주담대+각종대출+신대까지 몽땅 영끌해서 4, 5억씩 빚지고 매수하는분들 요즘 꽤 보이더라고요. 저도 불과 3년전엔 영끌해서 집사라고 말하던 사람이었는데 그땐 지금 7억하는집 3억일때였고 영끌해도 고정금리로 2억정도라 괜찮았거든요. 지금은 무리하지 말고 감당 가능한선에서 대출받으라고 얘기해요. 비싸고 잘 오를집보다 네가 감당 가능한 집 사라고…
현재 서울에서 임대사업자로 빌라 관리중입니다 영상에서 전세자금대출 받은 사람들만 금리인상의 영향을 받을거라 하면서 해당되는 사람은 미미하게 표현했는데 빌라내에 17세대중 전부 보증금의 80퍼센트 대출받고 계약한 상태 입니다 여기뿐만 아니라 20 30세대분들은 금전의 여유가 없는 서민이 대부분이라 빌라에 거주중인 사람들은 비슷하다고 알고 있네요
주택가격의 수요요인은 조정기 소득증가액인 자산축척, 고급주택의선호, 1인가구증가, 가구당 여유주택요구, 화폐증가액등등 수많은 요소가 있다. 이중 가장 강한 에너지는 개인의 자산축척액이며, 이자율은 수많은 요소중 하나일뿐. 마치 직접적요인으로 생각하는것은 어설픈 지식에 불과하다. 부동산 가격은 조정기의 에너지 추척의 정도가 가장핵심적요소다
말씀에 공감이 많이 갑니다.... 다만, 금리 관련해서 좀더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주위를 보면..정권 중반까지만해도 빛내서 집산사람들이 주변에 대부분입니다.(당시 주택 가격은 약 6~7억수준).....말씀하신 의도가...우리나라는 미국처럼 거의 100프로에 가까운 대출이 아니기 때문에....금리가 올라도 이자를 감당할 수준이기때문에 영향이 없다는 뜻인지요? 워낙 그동안 언론에서 가계대출이 최고수준이다, 영끌이다...이런걸로 가계가위험하다라고 얘기 해와서....그리고 주변에 집산사람들 대부분이 대출로 집을 샀기 때문에,.....아무래도 쉽게 받아들여지지가 않습니다.....좀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는 영상이 있으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 같아요.(15억 이상의 아파트들은 현금 부자들의 영역이므로 논외로...하고....6억 이하 6~9억, 9억 ~15억...구간별로...대출 관련 설명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5억을 한 집을 3억을 대출하여 집을 샀는데 3년이 지나 10억이 되었다.. 그러니 부채비율이 30%가 된것이다라는 논리죠... 자산에 대한 붕괴의 과정은 역으로 갑니다. 즉, 자산 가치가 하락이 된다고 하면 부채비율이 높아지는거죠... APT란 자산의 특수성 (자산 가치와 주거가치)으로 인하여 Risk에 둔해질 수 있으나 이 역시도 마냥 보장된것은 아닙니다. 이 대표께서는 자산의 증가되는 시장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말씀을 하시기에 이와 같은 논리가 나오는 것입니다.. 경제학의 기본도 모른다고 말씀하시는 것 역시 역으론 경제학의 기본인 수요 공급을 무시하시는 거죠...
투자하는 입장과 실수요자의 입장 자본이 많이 있는사람들은 세금을 많이 내고 투자하면 됩니다. 서민들은 꿈에도 생각할 수 없는 투자는 세금과 관련이 있기때문데 투기가 아니면 정당하게 세금내고 하면 됩니다. 팔때 조금 덜 벌고 생활의 여유를 가지면 그만인데 투자 투기의 목적이하면 정당성이 크게 훼손된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에 살면서 혼자 잘나서 사업이 잘 되었다면 무인도에서 사업차리고 하면 됩니다. 수입이 있으면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합니다. 불로소득으로 세금도 안내고 불노소득을 한다면 사고싶다는 자체가 투기입니다. 투자가 투기가 차이가 없는 것입니다. 무주택자들이 돈 많은 현금자산의 투기세력의 밥이 되는 것은 원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이 1주택 실수요자들에게 혜택을 주는 정책으로 강화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대출도 좀 늘려주고 쉽게 해주고 금리도 낮춰주는 정책이 뒤따르면 정부 정책의 실수요자 중심의 1주택자들에게 많은 실요성을 거둘것이라 봅니다.
@봄봄-s9l 184
2021년 7월 29일 20:15이래서 똑똑한 사람이 좋음.인과관계가 명확함
@행복파티중 171
2021년 7월 29일 20:06비난했었는데.. 결과론적으로 죄송합니다. 당신의 뷰가 맞았습니다.
@여름쯤 163
2021년 7월 30일 17:29어쩌다.. 부동산 소유가 악이 되었는지... 세금 내려고 뼈바지게 일하는게 아닌데...
이상우 대표의 의견은 언제나 정확합니다.. 늘 도움됩니다...
중국인의 부동산 소유만 막으면 될 것 같은데...(중국에서 외국인은 절대 땅 못사요.건물은 살 수 있어요. 그리고 중국정부에서 맘에 안 들면 건물주에게 건물들고 나가라고 하지요.. 미국에서 외국인 땅 사요.. 그 차이랍니다.상호주의)
zzomju 139
2021년 7월 30일 08:29이명박근혜때 70프로이상 대출땡겨 집샀던 사람들. 그 70%가 지금 집값의 코딱지 수준이라..전혀 타격 없을듯...
@자유시장-g4i 127
2021년 7월 29일 19:28이상우님은 정말 너무 스마트하신듯
@김부경-k4j 103
2021년 7월 30일 17:32내가 돈이 없지, 사람들은 돈이 많다.
@HelloHi-nq7um 83
2021년 7월 30일 00:45전체 인구는 줄고있지만, 인프라가 잘갖춰진 수도권인구는 늘고 있다.
사람들 소득/소비 수준의 향상이 주택시장에 영향을 준다.(자동차를 여러대 소유하거나 더 좋은 자동차를 사는 것처럼 돈많은 사람이 얼마나 있냐가 중요)
GW 78
2021년 7월 29일 22:35밑에분 말에 공감 우리나라 집값 올린 또하나의 이유가 외국인(특히 중국인)들인데 거기에 대한 규제가 전혀 없음.
@user-mapo1199 75
2021년 7월 29일 23:41출산률을 증대시키려면 경험해보지 못한 복지를 무분별하게 만들지말고 중국큰손 당장 막아야 합니다 대만사람에 80프로는 자기집마련을 한 상태입니다. 부동산 정책을 올바는 방향을 제시해야할때 입니다.
투미부동산[투미TV] 75
2021년 7월 29일 23:39정말 최고의 전문가 이상우 대표님
좋은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기철이네 75
2021년 7월 30일 18:22라이트하우스 보는 사람들 안타깝다..
부자되는채널:KIND TEACHER JANE 74
2021년 7월 29일 23:06가난하면 마음까지 가난해집니다..이상우 대표님이 부동산 시장을 역사를 통해서 정확하게 보셨네요..도움이 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꽃쁄라 70
2021년 7월 29일 22:07✨이상우✨님께 진심 감사드려요. 덕분에 맘고쳐먹고 작년에 적극 매수에 힘써서 집장만했어요. 지금은 맘이 편합니다💖
jeoung hyun park 67
2021년 7월 29일 21:04이분의 주택시장에 대한 뷰는 항상 여유가 잇고 소득이 높은 사람들의 시선이에서 보는거 같내요
@nayoungson9826 66
2021년 7월 29일 21:51이분은 찐이지
@사운드오브뮤직-y7w 64
2021년 7월 29일 21:06와 핵심이다..3만불 시대에 다양한 욕구..
1가구1주택만이 아니라.....
부산에 해변에 아파트 하나 강원도에 별장하나..서울에 집하나가 욕심인가?
인간의 기본적 욕구지....
국가는 완전 평등하게 집1채만 가지고 살란 얘기...인구는 줄지만 인간의 욕구는 다양화되어 차도 3대 집도 3개 일수 있다..
팟캐스타 55
2021년 7월 29일 22:24이걸 듣고있는 2030은 어찌해야될까요 ㅠㅠ 무주택 입장에서 1주택자분들 너무 부러움 😭
@TV-dc4ip 55
2021년 7월 29일 19:48많은 분들이 과거 사례로 쉽게 미래를 전망할때, 더 고민하고 더 분석하신 분.
@김경희-s8j 54
2021년 7월 31일 12:52인상은 카리스마 넘치시는데
말씀은 정말 하나하나
아주 상세하고 차분하게
듣기편하고 이해하기 쉽게 해주시니 더 좋으네요
@sophie_yoo 54
2021년 7월 30일 15:26사람들의 욕망과 삶에 대해 정말 잘 이해하시는 분! 믿고 보는 대표님입니다.
@그럼351 52
2021년 7월 30일 08:28부동산 전문가중 이분이 제일 믿을만합니다. 장사꾼 마인도도 아니고
좋은분 섭외하셨네요
@Guy-cz7rt 49
2021년 7월 30일 02:08이분 예지력은 탑 입니다!
Seouk Yoon 48
2021년 7월 30일 07:42역시 갓상우. 쪽집게임
@katelee7421 45
2021년 7월 29일 20:26진짜 부동산 하면 이분임...
@moduda132 44
2021년 7월 30일 13:29우리나라는 대출을 안해주고 없는편 맞습니다.
제가 2019년 미국서 집살때 은행서 90%대출해주며 하는말이 95%도 가능해 네가 원한다면 ...
어머나 진짜야?
한국은 집을 산날부터 집값이 무지 오르는데 대출은 40~70%밖에 안해주는지라 매우 건전한거 맞지요.
원리금 균등상환이라 이자도 싸고
하현의 달 43
2021년 7월 30일 15:03문재인정부 초반부터 부동산 잡겠다 했을때 저분 혼자만 소신있게 몆 년전부터 아주 계산적으로 분석해서 집값 하락할 이유를 하나도 못찾겠다고 하신분.
냥이뇽이K 42
2021년 7월 29일 23:29그래도 요즘 뒤늦게 신대까지 받아서 영끌해서 집사는 분들은, 과거대비 대출 절대금액이 크기 때문에 금리 인상시 부담이 상당할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부부가 혼인신고 안하고 주담대+각종대출+신대까지 몽땅 영끌해서 4, 5억씩 빚지고 매수하는분들 요즘 꽤 보이더라고요. 저도 불과 3년전엔 영끌해서 집사라고 말하던 사람이었는데 그땐 지금 7억하는집 3억일때였고 영끌해도 고정금리로 2억정도라 괜찮았거든요. 지금은 무리하지 말고 감당 가능한선에서 대출받으라고 얘기해요. 비싸고 잘 오를집보다 네가 감당 가능한 집 사라고…
@한레오-l5o 42
2021년 7월 30일 17:49부동산계의 파바로티다. 좀 하는 전문가 몇명있지만 압도적 1인이지. 휴가철에 딴짓말고 집사라
@qaqa848443 40
2021년 7월 30일 13:15와 저도 가평에 하나 강릉에 하나 집이 더 있었으면 좋겠어요~
닥치고 돈벌기-Shut up and Earn 40
2021년 7월 30일 02:45찐이다..금리를 어마무시하게 올리지 않는한 집값은 금리보다는 사람들 소득수준에 비례한다고 봐야겠지..
MOONSTER 39
2021년 7월 29일 22:15외국인 부동산 투자 규제는 없고....자국민만 규제...ㅎㅎㅎㅎ
@왕새우-f4y 39
2021년 7월 29일 20:47부동산은 이분이 제일 찐인듯~
@생각글책 39
2021년 7월 29일 22:44대표님 덕분에 2년 전 신혼집 매수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인생재테크황금기tv 37
2021년 7월 30일 09:34아파트 공긍량 증가 -> 재건축 규제 완화 -> 재건축 아파트 보유자(부자들) 떼돈 범 -> 서민들 화남 (정권유지가 어려워짐)
공급량 막고 수요를 세금정책으로 막으려함 -> 공급에 비해 수요 초과 -> 아파트가 다같이 오르는 현상 -> 세금 올림 -> 세수 확보, 정권 유지에 도움
걍 욕을 먹더라도 공급량 막고 수요로 세금정책 해서 세수확보하고 집있는사람 죄악시 해서
집없는사람 vs 집있는사람 대결구도로 가서 정권유지에 활용하는 것
@user-wjpp 37
2021년 7월 29일 20:14굳이 사업이 아니라도 향후 비대면, 재택과 ai시대에 부산 강릉 서울 여수 등에 집을 가지고 (또는 자유롭게 팔고사며) 어디서든 원하는 곳에서 일을 하고 있을수도 있을듯
@포도포도-t5z 36
2021년 7월 29일 19:32좋는내용감사드려요
이상우대표님최고
@소금돌이 36
2021년 7월 29일 21:01이 분은 찐이다,,,,
@ra9094 35
2021년 7월 29일 20:45결국 이분 말씀이 지금까지 다 맞았네요.
@neonarang_너와나의모든 33
2021년 7월 29일 20:41너무 납득 할만한 내용이에요. 이번주 아파트 갈아탔는데 제 선택에 더 확신이 드네요.
@khisuh 33
2021년 7월 29일 21:333만불시대를 원한다면~
다양한 욕구를 인정하자~
주거 이전의 자유가 박탈당하는 시대~
가렴맹어호ㅡ호랑이보다 무서운 세금
조정일 31
2021년 7월 29일 21:00영식이 아빠 생각나네요 ㅋㅋㅋ
이태윤 29
2021년 7월 29일 19:27KBS 라디오 소신인터뷰 인상깊었는 데 여기서도 나오시네요
@건강한부자되기 29
2021년 7월 30일 23:19여기는 지방입니다.
회사때문에 급한대로 이사는 와있는데
1가구1주택 관련때문에 집이안팔려 돌아버릴 지경입니다.
@구름길 29
2021년 7월 29일 22:15대출 비율이 다른나라보다 적다고
금리 인상시 충격이 없는게 아니라 다른나라에 비해 적은 거겠죠
거기다 기축국이 아니라 금리인상시 인상비율이 커지는데
예를들어 10억에 대출을 비교시
미국 80프로 8억. 우리나라 50프로라 5억이라면
미금리 1.5프로 인상시 한은이 3프로 인상되면 미 이자8억의 1.5프로 1400 우리나라는 1500지불해야는데
이게 안전하다고 할 수있는건가 싶습니다
@onestock8478 28
2021년 7월 31일 01:11요즘 가전들 종류(슈즈/스타일러, 식세, 공기청정기, TV, 정수기, 드라이어, 로봇청소기 등) 많고 싸이즈 크게 나오는데 왜 집은 아직도 84m2 가 기본인지 절대 이해안감.
@깏봉달 28
2021년 7월 31일 06:06현재 서울에서 임대사업자로 빌라 관리중입니다 영상에서 전세자금대출 받은 사람들만 금리인상의 영향을 받을거라 하면서
해당되는 사람은 미미하게 표현했는데
빌라내에 17세대중 전부 보증금의 80퍼센트
대출받고 계약한 상태 입니다
여기뿐만 아니라 20 30세대분들은 금전의 여유가 없는 서민이 대부분이라 빌라에 거주중인 사람들은 비슷하다고 알고 있네요
테북 27
2021년 7월 29일 19:43어머! 갓상우님은 꼭 알현해야해!
Doo Doo 24
2021년 7월 30일 21:51진짜 찐 이상우님.. 계몽에 앞장서주세요 ㅌㅋㅋㅋ
네이마어 24
2021년 7월 30일 21:17다른 출연자 100 명 방송보다 이상우 대표님 방송 하나에서 얻어가는 게 많은 것 같습니다 진심.
아이라잌 캠핑 24
2021년 7월 29일 19:40대표님 말씀처럼 똑똑한 사람은 다 알거예요 대신 그걸 역으로 매번 패턴이라는 규칙을 정해서 이용해 먹겠죠
@럭키운수대통 22
2021년 7월 30일 17:39이상우는 찐이다
@ME-rb4zb 21
2021년 7월 30일 01:57미래를 앞서가네요...울 부부가 요즘 하는 소리인데...나이들어 자영업 정리하면 지방에 테라스 딸린 아파트서 주말 보내고 (별장은 손 볼 일이 아주 많아 싫음ㅠ )주중은 서울서...^^ 생각만 해도 좋으네요 ㅎㅎ
Money Pipeline, 루지TV 18
2021년 7월 29일 21:44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레전드!
@이미숙-m9y2c 16
2021년 7월 31일 16:53맞아요 저희도 사업때문에 서울 지방2개. 이렇게 집이 세채에요 투기가 아니거든요
@김경선-w6m2w 16
2021년 7월 31일 13:55한채를 갖던지 열채를 가지던지 세금만 내면되는데 뭐가 문제지?
바른몸바른정신 15
2021년 7월 30일 06:55아 정말 공부잘했습니다 감사합니다
Soyeong Park 15
2021년 7월 30일 07:20오~ 진짜가 나타나셨네요. 여기 신사임당채널에서 뵙게되네요 랜선친밀감.
인생쿨팁 by 인생PD 14
2021년 7월 30일 13:24이상우대표님 이야기 잘들었습니다.
@탁한광베쇼니 14
2021년 7월 29일 21:37주택가격의 수요요인은 조정기 소득증가액인 자산축척, 고급주택의선호, 1인가구증가, 가구당 여유주택요구, 화폐증가액등등 수많은 요소가 있다. 이중 가장 강한 에너지는 개인의 자산축척액이며, 이자율은 수많은 요소중 하나일뿐. 마치 직접적요인으로 생각하는것은 어설픈 지식에 불과하다. 부동산 가격은 조정기의 에너지 추척의 정도가 가장핵심적요소다
@ulawyer96 13
2021년 8월 01일 11:17인구가 줄어도 수도권 집중화가되면 지방은 빠지고 수도권은 더올라감
@황준집 12
2021년 7월 31일 20:56한국인 다주택자들이 내는 세금, 외국인도 동일한게 내나요?
코인육 11
2021년 7월 29일 22:38최종 승자는 정부였음 ㅋㅋㅋㅋ
수연도현아빠 11
2021년 7월 31일 10:2117:05 한숨포인트
MOONSTER 11
2021년 7월 29일 22:37세상에 돈 많은 사람들 많고 100-300만원짜리 신발,패딩 등등 소비하는 세상이라고 이야기하면 극소수의 소비행태를 일반화 시킨다고 개 쌍욕 먹음.ㅎㅎㅎㅎ
@lovercf7736 11
2021년 7월 31일 14:54말씀에 공감이 많이 갑니다.... 다만, 금리 관련해서 좀더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주위를 보면..정권 중반까지만해도 빛내서 집산사람들이 주변에 대부분입니다.(당시 주택 가격은 약 6~7억수준).....말씀하신 의도가...우리나라는 미국처럼 거의 100프로에 가까운 대출이 아니기 때문에....금리가 올라도 이자를 감당할 수준이기때문에 영향이 없다는 뜻인지요?
워낙 그동안 언론에서 가계대출이 최고수준이다, 영끌이다...이런걸로 가계가위험하다라고 얘기 해와서....그리고 주변에 집산사람들 대부분이 대출로 집을 샀기 때문에,.....아무래도 쉽게 받아들여지지가 않습니다.....좀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는 영상이 있으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 같아요.(15억 이상의 아파트들은 현금 부자들의 영역이므로 논외로...하고....6억 이하 6~9억, 9억 ~15억...구간별로...대출 관련 설명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김코코 10
2021년 7월 31일 16:43조곤조곤 말씀하시는데 참 와닿게 설명을 잘하시네요 ^^
떼껄룩 10
2021년 7월 29일 22:45헉 갓상우님 나오셨네요! 정주행 하겠습니닷!!!!!
부자되는 이야기_김소년 10
2021년 7월 29일 22:43이상우 대표님
매번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두도미 10
2021년 7월 30일 08:41자나깨나 건강조심 사임당님 화이팅!^^
단밤맛 10
2021년 7월 29일 21:30본질이 뭔지아시는분,, 폭락론자하는얘기들보면 도대체 근거도 모르겠고 복잡하고 이해도 안감
부자가되고싶은행복하자언니 9
2021년 7월 30일 19:31똘똘한 갓 이상우님~멋지세요
good buster 9
2021년 7월 29일 21:34부동산 업계의 지드래곤
김씨 9
2021년 7월 30일 11:562부는 언제 업로드 하세요~? 몰라서요~! 2부 기다려 집니다~~~!
박선이 9
2021년 7월 30일 08:42목소리완전좋으세요
DJ cow 9
2021년 7월 29일 20:17좋은
정보 입니다 !!!!!!
홍길동 9
2021년 7월 29일 20:00이상우 대표님 말씀은 믿을 수 있지!!!
정하연 8
2021년 7월 30일 23:23부동산 미래를 정확하게 예언하는
부동산미래예언자 이상우대표님!
사람은 역쉬 두뇌가 명석하고 봐야됨
팩트에 의한 정확한 예측!
응원합니다~
강명진 8
2021년 8월 08일 18:495억을 한 집을 3억을 대출하여 집을 샀는데 3년이 지나 10억이 되었다.. 그러니 부채비율이 30%가 된것이다라는 논리죠... 자산에 대한 붕괴의 과정은 역으로 갑니다. 즉, 자산 가치가 하락이 된다고 하면 부채비율이 높아지는거죠... APT란 자산의 특수성 (자산 가치와 주거가치)으로 인하여 Risk에 둔해질 수 있으나 이 역시도 마냥 보장된것은 아닙니다. 이 대표께서는 자산의 증가되는 시장이라는 가정을 가지고 말씀을 하시기에 이와 같은 논리가 나오는 것입니다.. 경제학의 기본도 모른다고 말씀하시는 것 역시 역으론 경제학의 기본인 수요 공급을 무시하시는 거죠...
MBC청룡 8
2021년 8월 04일 18:49주식은 갓세익, 아팟은 갓상우
@장영환-u4g 8
2021년 8월 07일 17:15우리나라 집 산사람들이 빚이
없어 금리가 오르더라도
큰충격이 없을거라니 도저히
공감 제로, 1,700조 가계부채
가 그럼 전부 자영,전세자들
거란 얘긴가?
hm 7
2021년 7월 29일 23:33그런데 왜 대출 많이 해준다는 미국보다 대출 안 해줘서 건전하다는 한국이 가계부채가 훨씬 심각한건가요?
조정일 7
2021년 7월 29일 21:19차 가전제품 전부 대형인데 집만소형 3기신도시 소형임대주택 때려박내요~~
혼자사는인생 7
2021년 7월 29일 23:42그동안 집값 하락도 없었지만
인구 하락도 없었죠
낮은 경제 성장률은 덤..
최은숙 7
2021년 7월 31일 21:32좋은 야기 너무 감사합니다
김귀리 사회초년생 재테크 7
2021년 7월 29일 20:22오 이 영상으로 처음 뵙는데 이상우 대표님 좋은 인사이트 감사드립니다!
양톰 6
2021년 7월 29일 19:27이상우 ㅋ
성성군 5
2021년 7월 29일 21:21난 나중에 집을 가지고 다니겟음
임민택 5
2021년 7월 29일 21:00갓상우
@gracefirst5597 5
2021년 8월 01일 20:206억짜리집이면2~3억이빛이던데~~~원금이자모두내려면이자가엄청나거든요~~대출이적다구요???
@hjlee2437 5
2021년 9월 07일 21:41이상우 이분 주위에는 현금이 많은 사람 만 계신가봐요??제 주위 사람들 전부 은행끼고 집을 구입하는데.....부동산이 금리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의문 스러운 내용이네요?
@Scottie790128 5
2021년 8월 13일 07:20가계에 빚이 없다는 말은 어떻게 받아 드려야 할지 ... 대출을 많이 해서 영끌 아닌가요?
pizza0722 4
2021년 8월 12일 01:13모든 (자칭) 부동산 전문가들이 집값 떨어진다 기다려라고 할때 지금이 제일싸다고 말씀하신 갓상우님
박기용 4
2021년 7월 29일 20:06좋은 컨텐츠에 감사드립니다.
이진혁 4
2021년 7월 29일 19:25못참지
@sjj8364 3
2021년 8월 01일 12:33투자하는 입장과 실수요자의 입장 자본이 많이 있는사람들은 세금을 많이 내고 투자하면 됩니다. 서민들은 꿈에도 생각할 수 없는 투자는 세금과 관련이 있기때문데 투기가 아니면 정당하게 세금내고 하면 됩니다. 팔때 조금 덜 벌고 생활의 여유를 가지면 그만인데 투자 투기의 목적이하면 정당성이 크게 훼손된다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에 살면서 혼자 잘나서 사업이 잘 되었다면 무인도에서 사업차리고 하면 됩니다. 수입이 있으면 세금을 내는 것은 당연합니다. 불로소득으로 세금도 안내고 불노소득을 한다면 사고싶다는 자체가 투기입니다. 투자가 투기가
차이가 없는 것입니다. 무주택자들이 돈 많은 현금자산의 투기세력의 밥이 되는 것은 원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정부 정책이 1주택 실수요자들에게 혜택을 주는 정책으로 강화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대출도 좀 늘려주고 쉽게 해주고 금리도 낮춰주는 정책이 뒤따르면
정부 정책의 실수요자 중심의 1주택자들에게 많은 실요성을 거둘것이라 봅니다.
IHRD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3
2021년 7월 30일 00:23매년 물가상승률이 최소 3%라면 10년뒤 30%아닌가여? 근데 왜 집값이 떨어질수있죠? ;;;
집을짓는 윈자재는 매년오르는데 집값은 떨어질거다? 정부는 왜 거짓말을 계속하는거죠?
공공주택도 주변시세를 기준으로 분양해서 장사하고 있는데;; 진짜 이해가 안되네;;;
DANIEL SONG 3
2021년 8월 05일 15:06갓상우님.^^
젬gemme 3
2021년 8월 01일 10:28늘 말투가 냉정했는데 달라지셔서 듣기 편하네요
@miracle-ef6ne 2
2021년 8월 10일 12:25좋은정보주시네요
쉽게 이해시켜주셔서 고맙습니다 ㅡ
임대주 악인이다 ㅡ
현재 1억 미만 아파트 불장이랍니다.
이런 악덕을 말하는겁니다 .
부자는 강남 별장많이 갖게해주셔야겠네요ㅡ
있는자들끼리 머리터지게 싸우라고 정부가 끼어들어봤자 두어지게임이네요ㅡ
이명화 2
2021년 8월 01일 05:28이상우님 좋은얘기 감사합니다
종무 허 2
2021년 7월 30일 00:45대출은 많지 않지만 전세보증금이 집주인 입장에선 잠재부채가 아닐까하는 우려도 있습니다
@신부인 2
2021년 10월 02일 17:16와~~ 이상우대표님 말씀 처음 들었는데 너무 이해가가는 말씀이네요~~
3만불시대 살고있는데 80년대 주택소비패턴을 강요하면 안되죠~~
완전 핵공감!!
조하늘 아빠 2
2021년 7월 29일 23:19정답! 국민들 소득이 증가한다고 생각하시면 집사시고 소득이 줄어든다고 생각하면 알아서 하시고...
폭락한다는 분들은 양극화가 심해져서 사람들이 가난해진다고 생각하는 거고 판단은 내가....결과도 내거
행운의티케 2
2021년 7월 29일 22:23엇 이분은 땅집고 - 집값 2배씩 뛴 것 빼곤 다 똑같다 편에서 셀프 정지화면으로 계셨던 그분이시네요 ㅎㅎ
@HM-wu4tf 1
2021년 9월 03일 07:51다주택자가 팔게되는 물량과 대출이 막혀 살수없는 물량 등등 결국은 누가 다 받아먹고 있는지요, 중국인이나 외국인들이 부동산 가격을 더 올리고 집주인이 되서 한국인들을 전부 세입자로 만들고 있는거 같네요
블루스카이 1
2021년 8월 01일 15:30감사합니다^^
로즈 1
2021년 8월 30일 10:51말씀 하나하나 와닿습니다 명먼이시네요
@hw3956 1
2021년 8월 31일 13:02말투가 듣기불편했었는데
차분히 팩트설명조근조근.
편안하네요
지민제이 1
2021년 7월 30일 00:07오 엄청잘맞추신다는 그분!!!!!!
삼민짱 1
2021년 9월 04일 10:03말씀을 진짜 조근조근 ... 지렸다
아미타 1
2021년 8월 07일 14:43항상 이상우님 근거 지론에 공감합니다
@숭이-hm3 1
2021년 8월 29일 10:03우리나라가..대출이 없다니;;;;
의견이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상위 5프로 초고소득층 분들의 상황과 니즈만 반영하여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율빠TV 1
2021년 7월 31일 23:01홍대에서 강남까지.. 존경합니다. 향후 신사임당 존경의 의미로 헌정영상 만들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hj kanzy 1
2021년 8월 05일 20:02예리하고 정확하고 빠른 솔직한 의견 본중 가장 심플하고 맞는 의견으로 보여요~
깨꿍
2021년 8월 11일 20:13너무 유익하네요
사라
2021년 7월 30일 00:25주기론을 믿지마라
J R
2021년 7월 30일 02:57나랑 똑같은 생각을 하는군요 ㅋ
사라
2021년 7월 30일 00:36주택담보대출 높지 않아요?? 없어요?
FUN KIT
2021년 8월 03일 16:33차분하게 이야기해주시니까 이해가 쏙쏙들어오네요
끝과다시시작
2021년 7월 29일 20:00ㅎ
김선규
2021년 10월 16일 13:18결론은 민간이 훨씬 앞으로 나아가있는데 정부가 발목만 안잡으면 빨리더 상위선진국으로 갈수있다는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