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이 세계는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 | 정선 디가 니까야
책 #마음 #지혜 * 참고도서 정선 디가 니까야 - 이중표 *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 써니즈 구독자님 사랑합니다. * 배경음악 https://artlist.io Hammer and Felt by ......
책 #마음 #지혜 * 참고도서 정선 디가 니까야 - 이중표 *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 써니즈 구독자님 사랑합니다. * 배경음악 https://artlist.io Hammer and Felt by ......
@bym9677 18
2021년 7월 31일 09:49부처님 12연기의 가르침. 언제나 놀랍습니다. 무지부터 시작하여... 알았으면 시작되지 않았을 짧은 쾌락과 긴 고의 고리.
불교를 어떤 문화적 측면에서 특별한 종교로 색안경 끼고 해석하시는 분들은 큰 가르침을 잃는 것입니다. 기실 종교의 어원도 으뜸가는 가르침이란 뜻이고 이는 불교에서 나온 말로 어떤 신관에 의한 종교가 아니라 처절한 과학적 시각의 자기탐구학문입니다. 불교는 부처님이 직접 연구한 담마 뿐만이 아니라 그 깨달음을 얻기 위한 사고방법, 명상방법, 생할의 자세까지 치열하게 파고든 학문. 당시 인도의 힌두교나 사문들을 보면 그리스의 다신관, 소크라테스 등으로 대표되는 철학적 논쟁 문화가 그대로 드러납니다. 초기 불교는 그런 차원에서 바라보면 됩니다. 아리안족 문화의 특징. 불교에선 사물과 우주를 바라보는 것 역시 과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데 윤회나 힌두교적 요소들은 부처님이 당시 사람들에게 소화되기 쉽게 법을 설하시려는 노력의 산물이거나 후에 전파를 위해 각색된 포교 장치(신약에 신성을 강화하기위해 구약을 붙여 전파한 자들과 비슷한 타협)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저는 불교를 얕게 이해하였지만 조금이나마 이해가 된다면 예수님도 바로 보입니다. 같은 말씀을 다른 시대와 사회적 환경에 맞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아시겠지만 예수님은 부처입멸 500여년 후 나셨고 그 당시 불교는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넘어 가장 서역까지 번성한 시기. 예수님의 동방박사 설화나 예수님이 지금의 이란 넘어서로 구도를하러 갔음을 아셔야합니다.
실예로 부처님 말씀을 압축한 것중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란 말씀이 있습니다. 이것을 유치하게 부처 자신의 신격화로 해석하는데 그건 대단히 틀린해석. 이 말은 우주에서 나를 구원할 자는 오직 나뿐이고 나의 존귀함과 나를 사랑함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아며 거기서부터 시작이란 것입니다. 이 말은 예수님의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에서 예수님을 신격화하기 위해 "나"의 해석을 예수님에게만 국한하는데 이도 큰 오류. 여기서 "나"는 모두에게 해당하는 "나"입니다. 즉, 깨달음을 향한 수행의 길도 나에게 있고 진리도 결국 내 안에서 체화되며 생명도(참나로 다시태어난 행복하고 주체적인 삶) 나에게서 얻어지는 것임을 말씀하는 것으로 붓다와 예수는 같은 말씀을 하고 계십니다.
@ChristineYJLee 15
2021년 7월 31일 09:127:55
도저히 부정할 수가 없네요. 출발선상 부터가 완전히 다른! 이거야말로 어나더 레벨!
그럼에도 어느 하나는 버리고 어느 하나를 취하고 싶진 않고, 당분간은 동시에 마음에 품어 보고 싶습니다.
오늘도 다 소중하네요. ❤💛💚💙💜
@realmelab 15
2021년 7월 31일 07:46영성, 마음공부를 하면서
많은 영성 서적을 읽고
관련 내용들을 접하다 보면
전체적인 맥락이 조금씩 분명해지고
메커니즘에 대한 인식이 갖춰지면서
본 줄기에서 벗어난 지류들이
무수히 많음을 알게 될 겁니다.^^
영성, 마음공부 초기에는
무엇이 핵심이고 무엇이 곁가지인지
도통 감이 없기에 무작정 휩쓸리기 쉽죠.
그런 경험 역시 불필요한 게 아닌
자신의 영혼의 체험을 위한
필연적인 과정이니 아무 염려마시길...^^
(관찰자 모드 가동 중...^^)
@티와이-ty 13
2021년 7월 31일 08:43법망경 엄청 궁금합니다 ㅠㅠ
오늘도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jinlee186 12
2021년 7월 31일 12:29마음공부, 진리, 깨달음 공부를 하다보면
점차적으로 불교,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귀결됨을 느낍니다
종교적인 구분이 아니라 깊이 있게 들어갈수록 방향이 이쪽으로 흐르는것 갑습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아는 불교는 힌두교적 색책가 많이 채색되어 있지만
그 안에서 본래 뜻이라고 할수 있는 가르침은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그리 길지도 않은 짧은 경이지만
읽을수록 새롭고
읽을수록 이해가 되지않으며
읽을수록 깊은 사색에 빠지는경이
반야심경과 금강경이라 생각됩니다
그 분량도 짧고 깊이 있는 가르침이라
이럴때 저럴때 언제 읽어도 새로운 경
시간되시면 한번씩 읽어들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읽는 다고 이해되는건 아니지만
읽을수록 새로움을 느낍니다
암송 독송 염불을 말하는것이 아니라
원어를 한국어로 해석된 부분을 앍어보시길 바랍니다
의역하여 해석된것 말고
저자가 해설 주석을 달아놓은거 말고
원문에 가깝게 해석된 부분을 읽어 보심을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나만의 해석도 해보고
그 후에 여러스승분들의 해설도 읽어 보시길
@user-happysmaile기쁜 12
2021년 7월 31일 14:03부처님께서는 인간이란
오온의 쌓임이다 라고
하셨습니다
마음공부 하시는 분들은
부처님의 깨달음인 오온
육근에 대해 책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듯 합니다
아인슈타인이 21세기의
종교는 불교라고 한 이유가
다 있는듯 합니다
@parkpark2830 11
2021년 7월 31일 14:33지구살이가 실증날 때쯤
신을 만나게되는 듯
이제 그만 딴데로 가고싶어
근데
사실은 딴데는 없고
항상 여기였으며
여기가 실증난게아니라
과거 미래
정신체의 관념적 시간놀이가 실증난거였다
난
바로 여기 이순간 말고는
사실
갈곳도 존재할곳도 없다
하지만 원한다면,
모든곳에 있을 수 있다
감사합니다~
@zoobackPark 10
2021년 7월 31일 09:52안다고 말하면 모르는것 모른다고 말하면 진정 제대로 알았다는것 뭔 봉창 뚜드리는 소리인가할수도 있지만 말에걸려 넘어지지말라 말로는 무엇이든 제대로 설명 할 수가 없습니다 그저 지금 느껴지는 것들에대한 근본 원인만을 집중적으로 파다보면 말은 그저 말일뿐이라는 것을 느낍니다 개가 짖는소리나 새 지저귀는소리 비오는소리나 크게 다르지 않기에 말에 이끌려 다니지않게됩니다 필요한것만 골라내 취할뿐 심장이 저절로 뛰듯 눈뜨면 앞이 그냥 보이듯 저절로 소리가 들리듯 내 삶또한 저절로 일어나 이루어져간다는것을 배웁니다
트리스탄 10
2021년 7월 31일 07:09역시 아침의 시작은 써니즈! 😏❤ 😳👍
오늘 이야긴 촘 어렵군요. 그래두 아침은 써니즈!
@chamchambird 9
2021년 7월 31일 07:01모두 행주!!! ^^
@crimsonpig9782 9
2021년 7월 31일 08:14그대
미.로.를 찾는가
찾아서 miro를 만드는가
그대는
올라가는가
내려가는가
그대
말을 벌였는가
지혜를 버렸는가
달달함의 끄치 어디인가
고도리가 바다를 낚았네
.
@129-b1o-x8v 8
2021년 7월 31일 17:28한마디로 요약하면 "인간은 지멋대로 착각하고 믿는다" 입니다.
@michellelee8081 8
2021년 7월 31일 08:47오늘도 써니즈님의 고요하면서 잔잔한 음성으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acorn87 7
2021년 7월 31일 07:53아침에 커피 마시면서 써니즈님 영상 보는 게 저에겐 긍정적으로 하루를 여는 방법이에요 ㅎㅎ 항상 감사합니다.
@sjp99999 6
2021년 7월 31일 09:45불교의 출발점을... 저리 확언 해 놓다니...
붓다란 말이 산스크리트어이고
거기서도 저리 출발점을 놓고 있지 않을텐데...
@picolrosancho8528 6
2021년 7월 31일 09:09붓다가 깨우친 것이 완전히 깨우친 것이었을까?
yongchang park 6
2021년 7월 31일 11:06노사우비고뇌 아닌가요? 우비노뇌는 뭐죠?
Jinkyeong Choi 6
2021년 7월 31일 07:40안녕하세요! 자꾸 (니가 니꺼야) 들려요 ❤️🧡💛
미안합니다
용서하세요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써니즈님과 구독자님들이 너무너무 좋아요 !
오늘 하루도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miraclevictory 6
2021년 7월 31일 10:32정녕 이게 니꺼야 ㅋㅋㅋㅋ
@twospot1873 6
2021년 7월 31일 07:14🙏
@a55354954 5
2021년 7월 31일 15:55형이상학적 질문에대해 부처님은 고 해결에 아무런도움이 되지않으니 생각지알라고 하셨슴다~
@vera8612v 5
2021년 7월 31일 15:53영상에서 계속해서 펼쳐지는 다양한 바다의 모습들이 시이원해서 좋아요 🌊🏝🏖 😎
후반부에 마련된 구독자분들의 사진과 영상을 보니.. 써니즈 사랑방에 계시던 몇몇 작가분들이 떠올라 추억에 잠기네요 🐶,🐸🐈⬛,🐇,🐌,🐡. 😊💓
@finegap6243 5
2021년 7월 31일 11:49흔히들 촉이 좋다 라는 표현을 쓰는데 그 말이 니까야에서 나온거였군요.
촉(觸) 〔촉만[총-]〕
「명사」『불교"
「1」십이 연기의 하나. 주관과 객관의 접촉 감각으로, 근(根)과 대상과 식(識)이 서로 접촉하여 생기는 정신 작용을 이른다.
「2」신근(身根)에 의하여 접촉되는 대상.
@yorijori-pong 5
2021년 7월 31일 15:10성경은 중고등학교를 미션스쿨에 다녀서 어느정도 알고있는데 불교도 궁금하네요~~ 뭐가 많아보이고 어려워서 제대로 알아듣고 있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써니즈님이 설명해주셔서 그래도 수월하게 접해볼 수 있겠어요! :)
@하지영-l5s 4
2021년 7월 31일 11:369:58 헉 이거 제주도 사진인가요? 제가 너무 좋아하는 꽃인데ㅠㅠ 제주도에서도 피는군요!
@hope_evelyn희망연꽃 4
2021년 7월 31일 07:48주말엔 쉼이 필요해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오늘도 즐겁게
빛나는하루
보내세요~🍰🥤
화이팅~🍀
@조정미-i4f 4
2021년 7월 31일 10:11오늘도 써니즈님! 잘 들었습니다
마지막 고양이님! 심쿵! ❤ 했네요^^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이서윤-t2y1v 4
2021년 7월 31일 07:29감사합니다 !
@Bunny_r_r 3
2021년 7월 31일 17:06고맙습니다 :)
@suyounkim3507 3
2021년 7월 31일 07:57써니즈님 감사드려요 좋은 아침 즐거운 하루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
@아달콤해 3
2021년 7월 31일 10:58고마워용 모닝 써니즈!
@object6711 3
2021년 8월 01일 21:48정선 다가 니꺼야?
@tv-rs4fv 3
2021년 7월 31일 13:04항상 감사합니다
supreme sutra 3
2021년 8월 01일 01:39마지막 열반경 설하시기 전 법화경도 추천드립니다
방편과 비유를 들어 모든 사람의 근기에 맞게 설되어 있어 각자 보는 이의 근기에 맞게 이해되요
@Adela-m6p 3
2021년 7월 31일 08:25감사합니다 🙏
좋은하루 되세요 ~^^
@아예뻐 3
2021년 7월 31일 10:53범망경!!
@최정화-w5d 2
2021년 8월 04일 04:37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해바라기-t6k 2
2021년 8월 02일 22:09감사합니다 ❤써니즈님
@장재하-c5n 2
2021년 8월 03일 19:19좋아요
@먹고싶다삼겹살 2
2021년 8월 01일 01:22다음 편이 너무 기대됩니다~^^
오늘 내용 너무나 유익했어요! 영상 마지막 부분도 참 마음이 평화롭고 따스해지네요. 써니즈님 영상 보며 늘 도움 받으며 깨달음 얻어가며 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오로라-z8o 1
2021년 8월 17일 12:49그물에 걸리지않는 바람 보다
그 그물을 만들지않는 바람이 되는
촉!! 오~~~~~
@anosuh 1
2021년 8월 09일 01:25마지막에 나오는 노래 따뜻하고 좋네요. 노래 정보좀 공유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