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가 100으로 소비해야 할 것이 합리적 소비, 편의성이란 이름에 카카오플랫폼이란 무기로 카카오헤어, 카카오택시, 카카오퀵, 카카오대리 등을 통해 80으로 이용하게 됐지만.. 영원한 80이 아니겠죠..
다시 100으로 오를것이고 그럼 20은 어디가느냐 카카오로 갈것이 뻔하죠. 80으로 유지된다고 해도 60이 자영업자로 가고 20은 카카오로 가겠죠. (어쩌다 보면 100 → 80 → 100 → 120이 될수도 있고)
합리적 소비, 편의성이란 무기로 소비자의 현명한 소비를 유도한다지만 자영업자의 소득을 낮추고 결국 소비자에게도 전가될것이 뻔한 구조. (자영업자에서도 큰손, 그사람들은 박리다매로 유지 가능, 정작 우리 엄빠들은 안하자니 힘들고 카카오 하자니 결국 수익은 안나고...제살깍기)
대기업이 각종 규제로 못하는 골목상권을 카카오는 혁신, 편의성이라는 타이틀로 유린하고 있는 것은 자명하고 소비자에게 부메랑이란 것도.. (카카오가 하고 있는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자영업자 골수 빼먹는 문어발식 확장은 문제점이 있지 않나 생각해봣습니다..)
추가
오늘자 뉴스가 또 하나 나오네요(8월1일)_카카오, 전화콜 1위 1577대리운전 품는다..대리업계 반발 기업투자로 카카오가 좋을지 몰라도 그 이익은 결국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에게서 각출된다는게 문제가 아닌가 모르겠네요
@dannyocean139 19
2021년 7월 31일 22:52유튜브가 멜론을 압도하는건 케이팝이 대세가 될 수 밖에 없는 과정과 비슷. 유튜브 없인 지금의 케이팝도 불가능
@BOXINGMASTER0927 17
2021년 7월 31일 20:0411만6천에서 45%수익내고 16만9천에 익절/ 다시 상투잡아 16만3천... 적어도 올해안에 20만은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avocado5298 12
2021년 7월 31일 21:31역시 갓카오!♥
@jinibyun8641 11
2021년 7월 31일 20:48쉽게 집중잘되게끔 설명을 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hmkim8377 10
2021년 7월 31일 20:12한국인이 만족하면 세계에서 어느정도 먹히겠네요 크
제 또래들도 유튜브 내에 채널마다 주제별로 묶어주는 노래를 더 많이 듣는거 같네요🤔
@spielraum7435 10
2021년 8월 01일 07:59에센셜이 벅스가 만든 채널이였다니!!
@해피해피-h1i 9
2021년 7월 31일 21:07유튜브를 대체 할 국내 컨텐츠가 나온다면 좋죠... 설명 감사합니다..
@키오-z7e 8
2021년 8월 01일 07:51마지막말은 좀 다르게 볼수가 있는게
현재 우리가 100으로 소비해야 할 것이 합리적 소비, 편의성이란 이름에 카카오플랫폼이란 무기로
카카오헤어, 카카오택시, 카카오퀵, 카카오대리 등을 통해 80으로 이용하게 됐지만.. 영원한 80이 아니겠죠..
다시 100으로 오를것이고 그럼 20은 어디가느냐 카카오로 갈것이 뻔하죠.
80으로 유지된다고 해도 60이 자영업자로 가고 20은 카카오로 가겠죠. (어쩌다 보면 100 → 80 → 100 → 120이 될수도 있고)
합리적 소비, 편의성이란 무기로 소비자의 현명한 소비를 유도한다지만 자영업자의 소득을 낮추고 결국 소비자에게도 전가될것이 뻔한 구조.
(자영업자에서도 큰손, 그사람들은 박리다매로 유지 가능, 정작 우리 엄빠들은 안하자니 힘들고 카카오 하자니 결국 수익은 안나고...제살깍기)
대기업이 각종 규제로 못하는 골목상권을 카카오는 혁신, 편의성이라는 타이틀로 유린하고 있는 것은 자명하고 소비자에게 부메랑이란 것도..
(카카오가 하고 있는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자영업자 골수 빼먹는 문어발식 확장은 문제점이 있지 않나 생각해봣습니다..)
추가오늘자 뉴스가 또 하나 나오네요(8월1일)_카카오, 전화콜 1위 1577대리운전 품는다..대리업계 반발
기업투자로 카카오가 좋을지 몰라도 그 이익은 결국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에게서 각출된다는게 문제가 아닌가 모르겠네요
100 → 80 → 100 → 120
.
@bravo8881 7
2021년 8월 01일 11:43잘 들었습니다. 흐름을 알고 나니 재밌네요. 네이버와 카카오 참 대단한 것 같아요. 특히 카카오 김범수의장님 너무 멋져요. 잘 벌어서 아낌없이 기부하는 모습은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
@Mikoon3326 6
2021년 8월 01일 01:18그래도 나는 카카오 보다는 네이버가 좋아요~~ㅎㅎㅎ
난 주식을 하니깐요~~~ㅋㅋㅋ
카카오 너무 문어발식 상장하는거 싫어요~~!!
@무명-d8t 6
2021년 8월 01일 10:48카카오가 대단한건 알겠는데 그렇게 가치가 높은건진 모르겠음...
요즘은 글로벌로서 한 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경쟁하여 성공해야하는데 유튜브나 넷플리스마냥
근데 국내에서만 꼼냥꼼냥해서 딱 그 수준인것 같음
@saebyok2019 5
2021년 7월 31일 20:02캬... 이거죠 이거...
@애플파이-d7o 5
2021년 7월 31일 21:18SM은 어디로~?
@김종혁-r9e 4
2021년 7월 31일 21:57감사합니다.
@jimmy6412 4
2021년 8월 02일 23:44문어발식이라고 욕하는애들있는데 카카오톡이라는 한국에서 제일 강력한 플랫폼이 있는걸 무시하네ㅋㅋㅋㅋㅋ
@좋은습관의노예 4
2021년 8월 01일 07:54홍신세 시간 정말 유익합니다!!
@hoaschool7 3
2021년 7월 31일 23:09아주 좋은 내용이네요
@kimkyoungsoo99 3
2021년 7월 31일 22:22알찬 내용과 매무리 잘듣고갑니다
@이게재능 3
2021년 8월 01일 01:06영상 잘봤습니다 ㅎㅎ
@ifeelfunnyjb 3
2021년 8월 01일 03:43책 감사히읽겟습니다 궁금햇던 주제인데 🙏
@_englishlab5259 3
2021년 7월 31일 22:38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ㅎㅎ
@무명-d8t 3
2021년 8월 01일 10:36멜론이 유튜브를 어떻게 이겨 ㅋㅋㅋㅋ 차라리 유튜브를 투자하지 ㅋㅋㅋ
@소금돌이 3
2021년 7월 31일 23:27좋은 내용이네요 ㅎㅎ
@KS-gq8hw 2
2021년 8월 03일 06:02김범수를 다 믿지마라
@wealth_time 2
2021년 8월 01일 00:14저는 유튜브, 바이브, 멜론 다 써요 ㅋㅋㅋㅋ
@띠띠까까-g6t 2
2021년 7월 31일 22:36규제가 .?
@anton_e 2
2021년 8월 01일 01:05노래를 찾아들을 때는 유튜브를 자주 이용하는 편인데 이유는 검색 결과가 정말 다양하고 1분미리듣기같은 제한이 안 걸린다는 점이 크죠 은근 유튜브뮤직은 오류도 많고 검색기능이 부실해서 찾아들을 땐 유튜브를 이용하게 되네요
@매리미리 2
2021년 8월 01일 04:45카카오엔터는 언제 상장해요??
@조옥경-v4o 1
2021년 8월 04일 06:56카카오는 나쁜 기업이다.
@뿅뿅-d7h 1
2021년 8월 03일 07:09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기자님 목소리 엄청 카랑카랑 하시다!
@yestrfg47 1
2021년 8월 01일 15:41유튭, 유튭뮤직, 멜론, 지니 다 있지만 유튭으로 음악 듣게 되는 건 음악을 본다는 개념보다 그놈의 치밀한 알고리즘이 가장 최적화된 취향과 길이의 음악을 무한 추천해주기 때문.. 일할 때 쵝오
유튭뮤직은 음악 찾기 불편..
@유군자-j5h 1
2021년 8월 01일 09:09참잘한다 팟팅
@栗振 1
2021년 8월 03일 19:59감사합니다👍
@lee-wt7nn
2021년 8월 06일 18:04멜론 넘 비싸요..ㅡ.ㅡ 해지한다고 하면 할인해주요
@Chosima
2021년 8월 02일 03:41곰황차~~~
@soohyun-tv9es
2021년 8월 10일 19:40아~~~재밌다
@돈잘법니다
2021년 8월 07일 10:44들을수록 카카오 공매도 치고싶다
@무명-d8t
2021년 8월 01일 10:39에센셜리스트가 벅스뮤직이었다고??? 헐. .......................
@마도진-p3h
2021년 8월 10일 23:48카카오의 독점으로 소비자들의 편리성은 높아진다. 다만 이런 편리함이 공정하지 못한 관계에서 이뤄진 것이라 결국에는 시장에 악영향을 미친다.
독점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기업이 부를 얻는 것이 최근 글로벌 빅테크(대형 IT 기업)의 수익 모델이다. 하지만 이는 리나 칸 미국 연방 거래위원회(FTC) 위원장에 의해 '잘못된 행동'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기업이 독점적 지위로 저렴한 서비스를 주기 위해서는 결국 협력업체나 관련 노동자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리나 칸은 '아마존의 반독점 역설'이라는 논문을 통해 국제 사회에 빅테크의 독점에 대해 경고했다.
21세기는 플랫폼 시대다. 플랫폼을 장악한 기업이 시장을 지배한다. 자연 각국 정부도 플랫폼을 보는 눈초리가 매섭다. 미국은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이 독점력을 남용하지 못하도록 수시로 제동을 건다
@bpbp233
2021년 9월 01일 14:38설명 잘하신당 물흐르듯 이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