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공부의 목적을 분명히 하는 게 중요해요. | 화이트래빗님 인터뷰 Ep.02
인터뷰 #마음 #지혜 * 화이트래빗님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a8wnCd7PgB5ohcxwnl5zXw *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 건전한 토론 ok. 욕설은 ......
인터뷰 #마음 #지혜 * 화이트래빗님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a8wnCd7PgB5ohcxwnl5zXw *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 건전한 토론 ok. 욕설은 ......
정연서 37
2021년 8월 13일 07:40이거 뭐 아침드라마도 아니고 다음편 너무 기다려지게 편집하셨어요ㅎㅎ다음말씀 듣고 싶은데 얄궂은 음악만ㅎㅎ어쨌거나 써니즈님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써니즈 : 함께 성장 36
2021년 8월 13일 10:02*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고, 반론, 토론하는 것은 좋습니다. 다만, 욕설이나 비방은 삼가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박하 22
2021년 8월 13일 08:57모든걸 저절로 알게되는 순간이 옵니다. 그건 머리(에고)로는 알수없어요.
변화구 참나영성연구소 21
2021년 8월 13일 07:54영성, 마음공부 수행, 수련은
수영 연습과 같을 겁니다.
수영을 잘 하고 싶다면
반드시 훈련을 거쳐야 하죠.
머리의 이론만으로는
수영을 체득할 수가 없으니까요.
영성, 마음공부의 체화는
수영 훈련보다 훨씬 더 어려운데
그것은 물질계의 특성 때문일 겁니다.
물질화로 고착된 에고의 마음을
역으로 비물질화시키는 것은
시간, 공간의 개념을 벗어난
뇌 회로를 재구성해야 하는
힘든 에너지 변환 작업이기에...^^
(관찰자 모드 가동 중...^^)
김보영 17
2021년 8월 13일 07:52마음공부에 길을 잡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볼수 있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화이트레빗님,써니즈님 감사합니다
나는행복한영혼 17
2021년 8월 13일 13:38항상제가 궁금했던걸 써니즈님이 질문해주셔서 한번씩 깜짝깜짝 놀래요^^
늘잘듣고있어요 힘드실텐데 매일매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써니즈님 이런말 해도될지모르겠지만
보면볼수록
너무귀요미 세여♡♡행복한 하루되세영~
Vivi 15
2021년 8월 13일 07:18끝나는 타이밍이 예술이네요…. 빨리 내일 다음편 보고 싶네요
이유리 15
2021년 8월 13일 07:54써니즈님~콜라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더 내용이 이해가 쉽고 풍부해지는것 같아요
안단테 14
2021년 8월 13일 07:27써니즈님 감사합니다ㆍ덕분에 화이트레빗님도 알게되어서 감사합니다ㆍ행복하세요~~~^^
김시온 13
2021년 8월 13일 07:09항상 영상 보면서 잘 배우고 있어요.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정은지 11
2021년 8월 13일 08:44괴로우세요? 진짜?
나는 괴로운가?
살면서 언젠가 그 순간이 오겠지만
지금은 아닌것 같아요
마음 공부하겠다고 괴로움에 집착할것도 아니고.
그래도 나는 괴로운가? 질문은 좋은 질문 같아요.
고맙습니다.
신재식 11
2021년 8월 13일 11:02깨달음이라는 거, 한번 관심을 갖게 되니 끊을 수가 없습니다.
묘하게 계속 끌어 당기니 거기서 빠져 나올 수가 없네요^^
깨달음, 영성에 관한 책을 많이는 보지 않았지만 그간 읽었던 것들을 보면 추구하는 목적이 다른 거 같습니다.
하나는 나(에고)가 이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행복하고, 평안하고, 성공적인 삶을 사는데 도움을 주는 것들이 있고
다른 하나는 이 세상은 실체가 아니고 이 세상을 사는 나는 진정한 나가 아니니, 여기서 초월한 존재가 되라고 하는 것들이 있더군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진정한 나는 이 세상을 사는 존재, 즉 에고가 아니고 진아가 진정한 나라고 여겨집니다.
이 세상에서 아무리 성공하고 만족하고 행복한 삶을 산다 하더라도 그건 에고의 삶인 것이고 에고의 삶은 깨달음이 아니다라고 할까요.
우리는 사람이 아니라 이 3차원세상에서 사람의 경험을 하고 있는 영이라고 하더군요.
공감하고요. 그 경험이 끝나면 본래의 나인 영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것이 깨달음이고 그것이 목적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Adela 10
2021년 8월 13일 07:27너무 궁금 하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
Oneness 10
2021년 8월 13일 18:13내가 전체인 체험을 하는것이 아니라, 실상은 하나의 전체일뿐인데, 스스로 만들어낸 자의식(에고)를 만들어내어 나와 나아닌것을 분리하여 체험 하는것이다.. 분리된 에고의식 이던, 하나된 본성의식이던, 오로지 우리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 실존으로서 존재하는것이 아니다.. 일체가 마음이 그려내는 경험일뿐 그 어떤것도 존재치 않는다..
티와이 10
2021년 8월 13일 09:33써니즈님, 화이트레빗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주코 9
2021년 8월 13일 09:46물방울이될수도
바다가될수도 있죠♡
감사합니다
시마 9
2021년 8월 14일 02:35써니즈님 우리 함께 성장해 보죠^^
'나는 전체야~ 그 느낌을 한 번 받아보고 싶다'
이 말씀은 어디서 들었거나 읽고서 그럴 수 있을 것 같다고 이해는 되는데 실제로는 안 되니까..
개체성이 초월된 어떤 전체인 듯한 것과 합일 내지 통하는 경험을 하고 싶다는 의미로 이해가 됩니다. 그런가요?
간단하게 말씀 드려본다면, 이런 경험은 마음이 비워질 때 '아주 쉽게' 이뤄집니다.
그럼 마음이 비워진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일까요?
가장 기본적인 마음비움의 구체적 예를 들어 보죠.
몸이 너무 힘들 때 '생존욕구, 고통회피욕구, 불안, 고뇌..' 같은 본능적인 마음작용이 생깁니다.
그 마음을 내려놓아 보는 것입니다. 고통을 받아들이고, 부서짐도 죽음도 소멸도 다~ 되어지는 대로 받아들이는 겁니다.
비록 이 몸이 지독한 고통으로 몸서리치는 와중일지라도, 마음은 평안하고 지극히 편안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마음만 되면 이 몸과 마음이 순식간에 열리게 되는 경험을 하시게 될 것입니다.
이 몸과 마음이 열리면 허공을 가득 채우고 있는 끝모를 파동의 흐름과 합일하게 됩니다.
물론 몸서리치던 고통도 순식간에 다 사라지고 기쁨과 행복과 사랑 등으로 충만한 법열을 경험하게 되죠.
대자연에 이미 가득히 흐르고 있는 어떤 미세한 바람살 같은 파동들이 온 몸을 촘촘히 통과하면 공중에 둥둥 떠 있는 황홀함 같은 것도 느끼게 되죠
'나'라고 하는 것은 보통 '몸과 마음'을 근간으로 형성됩니다.
그 '나'라고 하는 개체성이 열리고 대자연과 합일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하나는 '마음 비움'이고, 다른 하나는 '삼매'이며, 또 다른 하나는 '통찰지혜'라고 하겠습니다.
그 중에 가장 쉬운 '마음 비움'에 대해 얘기 해 봤습니다.
저도 나름 '살며 배우며 사랑하며'(레오 버스카글리아 교수 책 제목에서 인용) 좌충우돌 인생살이 하고 있는 와중이라
우리 함께 성장해 보자는 의미로 이런 댓글도 남겨봅니다. 화이팅^^
문서진 8
2021년 8월 13일 08:49원래 나라는 건 실체가 없다, 는 말이 굉장히 자유롭게 느껴져요.
Kyu 8
2021년 8월 13일 07:52아이엠티브에서 듣던 목소리....
Gracias 8
2021년 8월 13일 07:04감사합니다 ^^
嵐 8
2021년 8월 13일 10:36나와의 동일시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나와 '거리두기'로 저는 이해하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감정을 잘 들여다보고
자신을 객관화시켜서 보는 거죠...
"화가 올라오고 있구나!
괜찮아 괜찮아~"
처음에는 안 되고 또 화를 내고 속상하고 분석하고...
근데 '거리두기' 를 실천할 수록
나는 내 감정을 바라보고 전에 화냈던 패턴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것을 느껴요~
결국은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 패턴을 깨는 과정인 것 같아요~
이미 빚어놓은 도자기를 자기 손으로 깨부수는 도예가처럼...
레인보우샤벳 7
2021년 8월 13일 10:31아상을 죽이려고 해서 죽일 수 있었으면.....ㅎㅎ여기 댓글 다 읽어봤는데 저도 불법은 몰라서 그런가.. 쓰신 분도 계신데 배워보고 싶네요. 저는 명상도 기도도 별거 다 해봐도 내 에고를 끌어안고 사랑하는 것 말고는 답이 없더라고요..ㅎㅎ
대행스님도 팥죽이 참나이면 보글보글 끓어오르는 거품이나 방울은 번뇌나 망상이라 했어요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가야지 잘못하면 더 집착하게 된다고요..ㅎㅎ
유아임 I’m you 7
2021년 8월 13일 10:34저도 화이트레빗님 영상을 보고나서 파도와 바다에 비유를 알게 되었어요
저는 마음 공부를 한지 이제 1년도 아직 안 되었어요
써니즈님 영상을 매일 아침에 시청하고 배우는 것도 많고 느끼는것도 많았어요
요즘 드는 생각이 내가 마음 공부를 시작한게 행복해지고 싶어서였고, 괴롭기 싫어서였는데
지금은 행복해도 되고 행복하지 않아도 되고
괴로워도 되고 괴롭지 않아도 되고
상관없어~!
뭐든 한쪽에 치우치지만 않으면 그게 진정 내가 바라는거였다는 걸 느끼고 있어요
그동안 어설프게 배워서 행복만 좋다고 잡아 당기고
괴로움은 싫다고 밀어냈었는데 이제는 그냥 오는 그대로를 받아드리고 마음은 좋든 싫든 상관없어! 라고 4글자 한마디만 해주니 뭔가 그동안 끈적거리면서 잘 풀리지 않던게 고작 한올이지만 풀리기 시작하는게 느껴지는게 신기하더라구요
앞으로도 써니즈님과 함께 가운데에 머물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갈수 있게 좋은 영상 부탁합니다
써니즈님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복동이 누우나 7
2021년 8월 13일 11:55사실 전 마음공부 하기 전에도 난 너무 행복하고 축복받은 삶을 살고 있다고 믿으며 살아왔어요. 무한 긍정으로 ‘진짜 내면의 상태’는 감추고 살아왔던 것이죠. 그러다가 이건 진짜 행복, 존재하는 상태가 아니었단 걸 깨닫고 말았습니다...🥲 ‘분리된 나’로서 느끼는 행복은 신기루처럼 사라져 버린다는 걸 모든 사람들이 느끼며 살고 있을 거예요. 다만 그걸 의식해서 알아차리며 살고 있는 지의 차이일 뿐.. 마음공부는 그걸 의식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거라고 생각해요 물론 가끔 길을 잃었다는 느낌이 들거나 뭔가 잘 안될 때도 있지만, 사실 우리는 이미 다 깨달은 존재들이니까 그것마저도 너무나 멋진 경험이라고 여깁니다!
Picolro Sancho 7
2021년 8월 14일 09:56괴로운것 즐거운 것 등 희노애락은 빛이 무지개로 보이듯 드러나는 다양한 것중의 한가지일뿐
그냥 다 같은 느낌일뿐. 좋고 나쁨도 다른 색깔일뿐 같은 빛이라는 것을 알아가는 것.
느낌으로 생각을 떠올리는 것도 나의 여러가지 다른 모습의 하나일뿐 그것이 분별되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럴 필요도 없는것.
Dream Witch 7
2021년 8월 13일 09:43그렇다면 인간은 왜 동물보다 번뇌가 잘 생기게 태어난걸까요?처음부터 고양이 처럼 번뇌를,느끼지못하게 태어났다면 모두가 더 행복하지 않았을까요?
쏭 6
2021년 8월 13일 17:04나탐님과도 인터뷰해쥬시면안됄까요?
너무나 기대됩니다ㅜㅜ
나루토 5
2021년 8월 13일 16:46마음공부 탐험하는거 같네요 ~ 괜히 제가 더 흥미진진하고 다음편도 너무 기대됩니다!!
기다리고있습니닷 ~~~~☆☆☆☆☆
쥴스 5
2021년 8월 13일 11:41써니즈님 영상들 정말 너무 귀합니다. 마음공부 하눈 사람들을 위해 큰 역할 해주시고 있으세요. 감사합니다.
김민숙 5
2021년 8월 13일 09:25감사합니다!!
송마마 5
2021년 8월 13일 07:57나에게 갇혀 있는거 또한 남을 탓 하는 것에서 벗어남이 고통에서 조금은 자유가 ...
shatin96 5
2021년 8월 13일 08:27화이트래빗님, 써니즈님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리쮸용 5
2021년 8월 13일 12:45아직 고양이만큼은 아니지만 문제를 붙들고 있는 시간이 점점 짧아지는 것 같아요.그러면서 삶이 조금씩 가벼워지고요~감사합니다♡
축복받은 여신 5
2021년 8월 13일 11:12직장다니시면서 채널을 운영하신다니
이렇게 멋진 또다른 내가 있었어 ~~^^
화이트래빗님 감사합니다 🙏
인터뷰해주신 써니즈님 무한감사요 💕
해바라기 4
2021년 8월 13일 09:52감사합니다 ❤ 써니즈님
너는나다 4
2021년 8월 13일 10:45아 그리고 어제 칼질 하다가 손가락을 2센치 넘게 베였어요
처음에는 평소 다쳤을때와 같이 놀라서 손가락을 부여잡고 고통과 내가 하나가 되었는데 몇 초 뒤라도 뒤늦게 몸이 내가 아니고, 이 고통도 내가 아니다, 여기에 몰입하지 말고 그냥 보자 라고 생각하고 부여잡은 손가락도 풀고 그냥 관찰하니까
정말 신기하게도 고통은 느껴지지만 뭐랄까 응 아프구나
피가 철철 흐르지만 아 피가 나는구나 같이 뭔가 심각함을 느끼지 않더라구요
손가락을 베여도 되고 안 베여도 되고
베여서 아파해도 되고 안 아파해도 되는데
밀어내는 마음과 당기는 마음이 그 순간 몇번이 일어나더라구요
이걸 나중에라도 스스로 느끼게 되니까 정말 재밌었어요 ㅎㅎ
다른 시청자 분들도 비슷한 경험이 있는지 궁금해 지내요
잡초 4
2021년 8월 14일 07:09일단 그것을 제대로 이해 하려면
물질의 집착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내가 왜 행복해지려 하는가?..
그러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한가?..
혹시 당신은 위의 사항에서..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물질에 치중된 건 아닌가요?..
예시로.. 난 30억이 있으면 행복할수
있어!!
이런 마음을 버리는 겁니다...
행복은 지금의 소중함을 아는 겁니다
허나 당신이 지금 행복하지 않고 괴롭다
면.. 물질에 집착하고 또 그것을 통해
안정을 이루고 싶은 마음이 크기에..
말은 참 쉬워요..
그러나 이것은 경험을 통한 이해가
없다면.. 절대 계산적인 생각으로
알수 없습니다..
햄콩야옹이 3
2021년 8월 13일 18:43번뇌가자꾸 나를괴롭혀서힘들었는데 다르게생각하니 내가 번뇌를 깨운게아닐까생각이드네요 내가 번뇌가저절로 생겨도 그저 거기에 나의 에너지주지말고 내할일하면그만인걸
구지 번뇌에 내에너지를 싣고 몸집만 더키워지게한게 아닐까하네요
애벌레급인 번뇌를 내가 날잡아먹게하는 괴물로 만든것같네요 .
조효연 3
2021년 8월 13일 11:09감사합니다~^^*
남은정 3
2021년 8월 14일 09:31감사합니다 ^^
꾸망 3
2021년 8월 13일 13:52저는 가랑비에 옷 젖듯이 생각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예요 마음공부 초반엔 몰랐는데 공부 할수록 이놈의 에고가 이 내용 참 마음 편하다, 저내용은 불안해! 이게 맞을까 저게 맞을까? 저 영성가가 말 하는 고요가 이걸까 아닐까? 나 오늘 명상이 잘 안된것 같아 등등 분석하고 있더라구요 에휴 어차피 이 모든것또한 에고의 속삭임... 사람이 질병이나 다른 상황으로 더는 어찌할수 없는 한계에 다다르면 이 에고도 조용해지는것 같아요 그때 체험하는 분들도 계신것 같아요 붓다께서 수행이란 무언가를 얻는게 아니라 모두 버리는것이다 란 말씀처럼 깨달음에 너무 집착하기보다는 늘 여여하게 깨어있는 존재임을 잊지않고 자각하면서 에고가 좀더 조용해지고 지혜로워질수 있도록 평소 생각들을 구분하지않고 그냥 지켜보는 연습을 죽는날까지 해야할 것 같아요 그렇게해서 에고보다는 1퍼센트라도 더 참나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게 수행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에고의 습관을 바꾸는게 쉽지가 않아요 ㅠㅠ 하지만 노력하다보면 언젠가는 생각과 마음너머에 있다는 사랑자유평화로움 을 저절로 느끼고 있지않을까 해요 오늘도 감사해요
strawberrymoon_ 3
2021년 8월 14일 02:27너무너무 공감되는 부분이고, 현재 이 부분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있고,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 힘드네요ㅠㅠ '나'에 대한 집착이 왜이렇게 강한건지.. 진짜 한심하게 느껴져서 힘들어요 스스로가 ㅠㅠ 이 영상 보니깐 조급해하지말고.. 하나의 과정이니 하며 지나가야겠어요. 영상 감사합니다 :)
숨멍TV 3
2021년 8월 13일 09:12그 체험 하시라고 스승님을 찾고, 프로그램 권유드려본거에요~^^ 책으로 머리로 아는것이 가슴과 만나라고...
뚜뚜AJ 3
2021년 8월 13일 10:00아니엠티비, 써니즈 응원합니다~ 유익한영상 감사해요!
뷰리플동안 3
2021년 8월 13일 12:05천천히 알아 가고 있고 신기한 경험들을 하고 있어요 감사 합니다
Bruce Choi 3
2021년 8월 14일 11:34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Freely 2
2021년 8월 18일 06:46써니즈님, 제가 요즘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이것을 마음수행의 기회로 삼으려고 했지만 잘 되지않아 울고싶었어요. 명상은 당연히 발 안되고, 뭐라도 들으면서 생각을 돌려보려고 하고 있어요. 시원한 영상으로 잠시 내 현실에서 도피라도 되면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시간이 지나면 이또한 또 지나갈텐데,,, 나는 이 고통을 어떻게 교훈으로 삼을 수 있을지,,, 사람에 상처받아서 홀로 남으니, 이것도 가슴이 쓰리네요.
space in 2
2021년 12월 31일 19:05써니즈님 영상 감사합니다. 극한 정신적 고통의 끝에서 명상으로 하루 하루 버티고 있는데, 님의 진실된 영상이 길을 보여주셔서 큰 힘이 되고있습니다. 🙏
–Jiwon– 2
2021년 8월 13일 16:17오늘도 감사합니다!
mi 2
2021년 8월 15일 21:15써니즈님 마음공부 채널 멘토님들 인터뷰 진짜 감사감사 합니다😍
Gracias 2
2021년 8월 15일 04:55마음공부를해도 똑같이 통증은 느끼지만 나와 내몸 마음과 동일시 분리 에서 벗어나는것!
내가 괴로운 것에서 벗어나서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사는 것이 마음공부목적~! 본질인바다 파도에대한영상과
두분 이어지는 콜라보영상 진심감사드립니다👍💚💕🍀
서은숙 2
2021년 8월 14일 20:34화이트 래빗님과의 만남인터뷰.
감사합니다
anne Choi 2
2021년 8월 13일 11:35화이트레빗님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우상민 2
2021년 8월 13일 13:28감사합니다!
hyeju eo 2
2021년 8월 13일 17:15감사해요. 많은 도움 받고 있어요. 써니즈 님. 정말 잘 하고 계신듯해요. 잘 모르지만요..화이팅
Soul Walker 2
2021년 8월 19일 16:00래빗님은 추상적이고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항상 명확하고 쉽게 알려주시는 것 같네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신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Jinkyeong Choi 1
2021년 8월 13일 17:47오늘도 감사드립니다🌻
BasicEng 1
2021년 11월 03일 19:07요즘 명상 하면서 느낀 점은 저항 하지 않으려는 마음도 큰 에너지가 필요하더라구요.왜냐면 저항은 습관처럼 이미 나의 몸에 체화가 대서 신호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오더라구요.그러면 이 저항하는 힘을 멈추는 힘이 필요한데 그 힘을 키우는게 수행이 아닐까 싶어요.
김김 1
2021년 8월 23일 20:33화이트 래빗님은 군더더기 없이 말씀하시지만 그 안에 중요한 내용이 알차게 들어있어서 정말 좋아하는 분입니다.써니즈님과 함께하니 시너지가 더 많이 나네요^^
BsJ 1
2021년 8월 23일 13:14화이트레빗님을 여기서 만나서 참 좋네요 ㅎㅎㅎ
李哲洙 1
2021년 8월 19일 11:40감사함니다 고맙습니다 🙏
예정원 1
2021년 8월 13일 17:55이런 인터뷰 좋아요👍
걷는사람
2021년 8월 13일 08:49행복해지기 위해서 마음공부를 한다? 그럼 공부는 더 안된다고...행복을 추구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
행복해지기 위해서 뭐든하면 더 고통스러워 진다고요, 무슨 마음공부 해보지도 않은사람들이, 본인 생각으로 다 한다고,
그리고 이걸 또 사람들 보라고 영상을 올린다고 무책임하게...사람들 헤갈리게만 하는거지 이건 무슨 지도해주는것도 아니고
아무것도 아니에요, 본인이 해서 깨치고 자신이 있을때 말을 해야지 어디서 함부로 뭐가 어떻네 이러네 저러네..
본인 자랑이지 이런게,
이거봐요 행복해지려하면 오히려 더 고통스러워진다고요, 왜? 그 마음 밑바닥에는 고통을 싫어 하는 마음이 있기에
고통을 못벗어나요...왜려 고통이 올때 고난 역경이 왔을때 이게 난 싫다 벗어나고 싶다 하면 왜려 더 못벗어나요..
고통이 올때 감사합니다 하는 마음, 그때 고통이 쉽니다 사라집니다. 왜 고통이 본디 없기때문에...
범소유상은 개시허망이라 본디 없는걸, 여러분 모두 행복해 지고싶죠? 행복이 어디 있나요?
그런게 없어요 애초에..하 참나..책읽고 내좁은 소견과 생각으로 하는게 마음공부가 아니에요..
걷는사람
2021년 8월 13일 08:39놀고들 있네, 얘 아직도 마음공부합네 하고있나? 내가 일치감치 말했지 마음공부란 책보고 하는게 아니다.
늘 책보고 마음이 이렇다 저렇다 썰푸는게 공부가 아니다,
마음공부가 뭐요? 도대체가..자네 마음이 안바뀌는데 무슨 공부? 내 아상 죽이는게 공부라는건데, 건 놔두고..
늘 머리로 생각으로 책보고 함 해보라고 그게 되나? 화이트래빗? 이분도 공부된분이요? 무슨공부? 머리로? 하 참...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해보라고 늘..참 어이가 없어서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