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이번영상에서는 30대 구독자분의 질문인,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하는 것과, 또 열심히 모은 전제산을 부동산에 투자해야 할지 에 대한 답하여 보았습니다. 국민연금처럼 안전하게 투자하는 저와 여러분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홍춘욱 패밀리 스터디 : 우리 함께 돈 좀 굴려봅시다]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홍춘욱 박사님의 말은 30대이면 집을 다음 사이클에 사란거 같네요. 어느 자산이던 5만년간 굴곡없이 오른 자산은 단 1개도 없습니다. 그리고 04~06년도 급격한 상승이후 07년 리먼터지기 전부터 부동자산은 가격이 하락되었습니다.
지금 정점에 집값이 올라서 더이상 홍콩처럼 오를거 같지도 않고 지금 들어가서 상방 먹겠자니 상방이 확 열려있는것도 아니고
30대 초반이면 전세 월세 살아도 안 괜찮겠습니까... 제 나잇대는 다 포기했습니다. 살 친구들은 6~7억주고 작년에 서울 구축 아파트 다샀죠. 호가 이제 누가 받쳐줄껍니까?
그래서 제가 만 29세에 공격적 투자로 금방 3억 주식잔고 찍고 한 일이 임장 몇번 가봤더니 푼돈이었고 바로 집와서 빡쳐서 자산배분 해버렸습니다. 지금부터는 달러 1억치 나머지 금융주 그 다음이 SNP500만 가지고있습니다. 사실 VOO가 강남 아파트 집값보다 상승률이 더 높습니다. 10년동안 300%의 이득을 줬으니깐요. 이 금융자산은 보유세도 내지 않습니다. 세금에서 자유로운거죠. 다만 팔때 양도세 22%인데 부동산 양도세에 비하면야...혜자란거죠.
10년간 강남아파트 평균가가 2010~21까지 7억8천에서 20억이더군요.(통계청 21년 초) 하다못해 무적의 강남 은마아파트도 07년가격이 돌고돌아 18년에 다시 오지 않았습니까... 고점에 잘못물리면 어느 자산이던 11년을 굴곡내면서 횡보합니다.
박사님 책을 최근 읽고 신한은행에서 외화보통예금에 가입하였습니다. 현재 환율은 제 생각엔 약간 높다고 생각하여 그냥 만들어만 놓았는데요.. 3만 달러밖에 환전이 안된다는 겁니다. 무제한으로 환전이 가능한 줄 알았는데 너무 당황스럽습니다. 3만 달러 이상으로 환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너무 초보적인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박사님 책과 영상을 보고 이제 걸음마를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박사님의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박사님의 환율 스위칭 전략은 한국 원화를 사용하는 우리나라 투자자들에게 진심 축복 같은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80년대 플라자합의 이후 미국이 강제로 일본 엔화를 절상시켰던 역사를 볼때 만약 우리나라 환율도 플라자 합의 이후의 엔화와 같은 전철이 밟지 않을까 고민해봅니다. 이런 일이 우리나라에도 일어날 개연성은 없을지 박사님 의견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오늘 책받아서 단숨에 읽었습니다. 첫 페이지에 나오는 벼락거지가 바로 접니다. ㅎㅎ 그리고 책을 읽고 궁금한게 생겼는데 정확히 같은 질문이 동영상으로 올라왔네요(놀람!!) 어제의 라이브, 도서 -돈의 역시는 되풀이 된다, 오늘의 동영상으로 저의 전략 수정중입니다. 저도 질문 올리고 싶은데 질문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박사님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질문 하나 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요즘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도 포트폴리오에 채권을 많이 편입하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물론 올웨더라는게, 미래가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골고루 포트폴리오를 가져가자는 컨셉이긴 하지만 채권은 (물론 다른 변수도 많겠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시장금리가 내려가야 가격이 올라가는 상품이잖아요. 근데 더 이상 내려갈 곳이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인 요즘 금리 상황에서 채권을 편입한다는 건 상승 가능성이 별로 없는 자산을 매입하는 것처럼 느껴지고, 실제로 그렇게 얘기하는 전문가들도 있어서요. ('요즘같은 시기에 채권은 사지 마라' 정도의 논조)
질문을 한줄로 요약하자면 '금리가 더 이상 낮아질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채권을 투자해야 하는 이유?'가 될 것 같습니다. 평소에 계속 궁금했던 부분이라... 바쁘시겠지만 답변 주시면 너무 감사할 것 같습니다!
매번 유익한 콘텐츠 감사합니다. 박사님은 미국증시 지수 투자는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워런 버핏은 미리 작성한 유언장에 전 재산의 90%를 S&P500, 10%를 미국 국채에 투자하라고 얘기하기도 했구요. 실제로 1965년~2020년 사이 56년동안 연복리 수익률로 10.2%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 초보 입장에서는 달러 투자만큼 S&P500도 안전해 보이고 수익률은 더 좋은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늘 명쾌하고 논리적으로 다양한 자산을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홍박사님 박사님이 자주 말씀하시는것중에 하나가 역사는 반복된다는 것인데 다음 컨텐츠로 영화 국가부도의 날 해석해주시면 안될까요? 박사님 영상보고 다시 영화보니 이해도가 더 높아지긴 했는데 아직 완전히 이해가 어렵더라구요 유아인이 프레젠테이션하는 경제구조나 거래소에가서 사람들 좌절하는모습 보고 달러나 주식살때가 아니라며 채권발행하는데 어떤건지 등등 영화에서도 역사는 반복된다하니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 될듯합니다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50대 입니다. 은퇴하고 연금만으로도 생활이 가능 해서, 401K 는 전액 주식 ETF 만 투자중이고 채권은 전혀 가지고 있지 안습니다. 앞으로도 401K는 전혀 건드릴 계획이 없습니다. 미국채 ETF 분산투자 해야 할까요? 한다면 몇%, 언제 매수 매도 추천 하십니까? 한국에서의 사례처럼 환차익 실현이 가능 할까요? MSCI 채권과 주식에도 투자 추천 하십니까? 오늘 국민연금 분산투자 사례가 가장 안전 할까요?
홍박사님! 저는 박사님 말씀을 듣고 IEF, TLT를 사두는 방법을 쓰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시시한 궁금증이라 죄송하지만, 만약... 주식에 관심이 많고 자주 코스피나 환율을 체크한다는 가정에서는 대부분의 여유자산을 IEF 나 TLT에 넣어두는 것보다. 미국 월배당 ETF에 여윳돈 절반정도 넣어뒀다가 한국 증시지수가 일정수준 떨어질때 일부는 한국주식을 매입하였다가 오르면 다시 스위칭하는것의 기대수익이 좋을것같다는 짧은 생각이 들었는데. 경제위기에 대한 헷징 측면은 더 떨어지지만, 더 잦은 수익실현으로 복리효과의 기회가 있을것같아서요. 혹시 이런 방법의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생각치 못한 위험성이 있을까요? 박사님의 고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사님, 영상 잘 보고 질문이 있어 댓글을 남깁니다. 시간 되실때 답변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미국이나 국내주식의 경우 etf를 통해 골고루 분배가 가능한데, 미국과 국내채권의 경우 단기채(3년 이하)와 장기채(10년 이상)가 나눠져 있어 무엇에 투자해야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채권의 만기에 따라 특성이 다를 것 같은데 여기서 말하는 채권(박사님의 테스트에 사용된)은 어느 정도 만기의 상품인가요?
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 21
2021년 8월 13일 19:34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이번영상에서는 30대 구독자분의 질문인,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하는 것과, 또 열심히 모은 전제산을 부동산에 투자해야 할지 에 대한 답하여 보았습니다. 국민연금처럼 안전하게 투자하는 저와 여러분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홍춘욱 패밀리 스터디 : 우리 함께 돈 좀 굴려봅시다]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바람이머문꽃 12
2021년 8월 13일 22:46실 없는 소리, 1도 안하고, 이렇게 하면 좋지 않겠어요? 라고 다감히 얘기해주세요. 늘 언제나!
오프라인 강의에서는 더 직구입니다. 코로나 종식되면 박사님 모쪼록 오프강의 풍성히 늘려주세요
Jun 9
2021년 8월 13일 23:33박사님의 블로그때부터 책까지 완전 알기쉬운 설명에 항상 감탄을 하고있는 팬입니다. 현재 부동산이 있는데, 달러etf 투자와 담보대출 상환 중 무엇이 우선순위인지 궁굼합니다!
타이완넘버원 8
2021년 8월 13일 20:24홍춘욱 박사님의 말은 30대이면 집을 다음 사이클에 사란거 같네요.
어느 자산이던 5만년간 굴곡없이 오른 자산은 단 1개도 없습니다.
그리고 04~06년도 급격한 상승이후 07년 리먼터지기 전부터 부동자산은 가격이 하락되었습니다.
지금 정점에 집값이 올라서 더이상 홍콩처럼 오를거 같지도 않고
지금 들어가서 상방 먹겠자니 상방이 확 열려있는것도 아니고
30대 초반이면 전세 월세 살아도 안 괜찮겠습니까...
제 나잇대는 다 포기했습니다. 살 친구들은 6~7억주고 작년에 서울 구축 아파트 다샀죠.
호가 이제 누가 받쳐줄껍니까?
그래서 제가 만 29세에 공격적 투자로 금방 3억 주식잔고 찍고 한 일이
임장 몇번 가봤더니 푼돈이었고 바로 집와서 빡쳐서 자산배분 해버렸습니다.
지금부터는 달러 1억치 나머지 금융주 그 다음이 SNP500만 가지고있습니다.
사실 VOO가 강남 아파트 집값보다 상승률이 더 높습니다.
10년동안 300%의 이득을 줬으니깐요. 이 금융자산은 보유세도 내지 않습니다.
세금에서 자유로운거죠. 다만 팔때 양도세 22%인데 부동산 양도세에 비하면야...혜자란거죠.
10년간 강남아파트 평균가가 2010~21까지 7억8천에서 20억이더군요.(통계청 21년 초)
하다못해 무적의 강남 은마아파트도 07년가격이 돌고돌아 18년에 다시 오지 않았습니까...
고점에 잘못물리면 어느 자산이던 11년을 굴곡내면서 횡보합니다.
다음사이클을 기약합니다.
마토사쿠라 7
2021년 8월 13일 19:41사실 이건 30대 초 or 30대 후 / 기혼 or 미혼이냐에 따라 답변이 극단적으로 갈릴수도 있다고 봐요
Sungguk Lim 7
2021년 8월 13일 19:52코로나터질때 주식 채권 금 다 빠졌죠.. 올웨더도 빠짐 위기때는
뀨 6
2021년 8월 13일 22:13홍춘욱님은 너무 솔직하게 자기 이익이 아닌 현실을 말해쥬셔서 믿음이 간다. 구독.!!!@
동백꽃 4
2021년 8월 13일 19:44박사님 달러를 사놓으니
오늘같은 폭락장에
쳐다만 봐도 위로가 되었습니다.
돈의역사 책이 도착했습니다.
꼭꼭꼭 실천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A`rbol 4
2021년 8월 13일 21:43100%동의 합니다
다음 사이클
저도 기다립니다
서울삼촌 4
2021년 8월 14일 23:23작가님을 통해 재테크의 뼈와 살이되는 양분을 잘 공급받고 있습니다.
나이가 좀 들긴 했지만, 차분한 마음으로 하루하루 준비해 나가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Almighty 3
2021년 8월 13일 23:26아.... 영끌을 계속 고민했었는데 한창 자산 운영해야하는 30대 초반에 왜 몰빵을 하냐는 말에 뼈맞은듯한 느낌입니다. 임장은 다니겠지만 더 깊이 생각해야겠군요... 감사합니다.
John Locker 3
2021년 8월 13일 21:06국내자산에도 분산투자하라는 말씀이 신선하네요 감사합니다
2022 all in 3
2021년 8월 13일 22:46집 고점에서 잡으면 10년은 이자갚고 살아야 합니다. 몇년전에도 하우스 푸어가 큰 문제가 됬는데... 지금은 글로벌 자산에 투자해야쥬.
Jay J. Yang 2
2021년 8월 14일 12:19너무 좋은 컨텐츠 입니다
목소리만이라도 더 자주 들려주세요
TORRES 2
2021년 8월 14일 01:34박사님 책을 최근 읽고 신한은행에서 외화보통예금에 가입하였습니다.
현재 환율은 제 생각엔 약간 높다고 생각하여 그냥 만들어만 놓았는데요..
3만 달러밖에 환전이 안된다는 겁니다.
무제한으로 환전이 가능한 줄 알았는데 너무 당황스럽습니다.
3만 달러 이상으로 환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너무 초보적인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박사님 책과 영상을 보고 이제 걸음마를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조찬규 2
2021년 8월 13일 21:26환차익 투자 위해서 달러예금, 선물 etf 추천하셨는데 달러rp와 달러발행어음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Yuriko 2
2021년 8월 14일 09:464억있으면 월세살면서 전세끼고 사두고 전세금 올려받은 돈으로 투자하는게 훨씬 안정적일 것 같아요 사실 10년 내 언제 부동산이 하락할지도 모르겠고 특히 서울은 거의 불가능 아닌지요
열혈남아 이팀장 2
2021년 8월 13일 20:00감사합니다
Byounghoon Ji 2
2021년 8월 13일 19:37박사님의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박사님의 환율 스위칭 전략은 한국 원화를 사용하는 우리나라 투자자들에게 진심 축복 같은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80년대 플라자합의 이후 미국이 강제로 일본 엔화를 절상시켰던 역사를 볼때 만약 우리나라 환율도 플라자 합의 이후의 엔화와 같은 전철이 밟지 않을까 고민해봅니다. 이런 일이 우리나라에도 일어날 개연성은 없을지 박사님 의견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philip Chung 2
2021년 8월 13일 22:56박사님, 감사합니다. 요즘 원화 약세가 강해져서 그 이야기가 궁금했어요.
승빈 2
2021년 8월 13일 19:41감사합니다.
긍결 2
2021년 8월 13일 21:39박사님 오늘 책받아서 단숨에 읽었습니다. 첫 페이지에 나오는 벼락거지가 바로 접니다. ㅎㅎ
그리고 책을 읽고 궁금한게 생겼는데 정확히 같은 질문이 동영상으로 올라왔네요(놀람!!)
어제의 라이브, 도서 -돈의 역시는 되풀이 된다, 오늘의 동영상으로 저의 전략 수정중입니다.
저도 질문 올리고 싶은데 질문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득 1
2021년 8월 13일 23:43미국채권에 투자하려면 꼭 미국계좌가 아니더라도 tiger미국채10년선물 사도 되는거 맞죠? 어차피 환노출상품이니
AHJ 1
2021년 11월 15일 19:50영상마다 다시 보기로 계속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이패뜨 1
2021년 8월 13일 21:59포트폴리오 구성할때는 kodex200. 국채 etf 같은 etf로 구성 해도 될까요?
인간성기자코코몽34호 1
2021년 8월 13일 21:48부릅다 ㅠㅠ 30대에 4억이라니 ㅠㅠ 인제 학자금 갚았는데ㅠㅠ
유대관 1
2021년 8월 24일 00:52올웨더 보다 나은 포트폴리오 듣기만해도 멋있어요. 수익성과 안전성을 골고루 갖춘!! 한국주식이라고 해서 무조건 푸대접하면 안되겠어요~
허준원 1
2021년 8월 14일 10:58박사님 강의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캠핑은다좋아 1
2021년 8월 15일 15:04감사합니다 강의덕에 돈벌었습니다 번돈으로 책사서 읽어볼께요
정성중 1
2021년 8월 13일 22:43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당 ^♡^
엘시에더리 1
2021년 8월 14일 00:58쉬운 설명 감사해요 박사님
forest better 1
2021년 8월 14일 06:48👍 박사님 짱. 이 채널을 이제야 보다니..
최고네요
책읽는북(Book)극곰 1
2021년 8월 14일 06:35신간 돈의역사는 되풀이된다 잼있게 잘보았습니다ㅎㅎ이번 영상도 감사합니다.
미스터킴 1
2021년 9월 22일 17:24선생님~ 문득 든 생각이 있습니다. 예문은 4억이었지만 수십억 자산을 연금포트폴리오 처럼 운용할때 리벨런싱하면 중간중간 차익에 대한 세금을 엄청 낼것 같은데..그런걸 감안해도 괜찮은 전략인가요?
mac eve 1
2022년 1월 02일 22:00박사님 너무 좋은 동영상 잘보앗습니다^^ 두가지 궁금한점이 생겻는데요 동영상에 국내주식 25프로 국내채권 25프로 미국주식25프로 미국채권25프로 투자하라고 하셧는데 채권은 장단기채권중 어떤것을 어떤비율로 사는게좋을까요? 그리고 지금은 금리가 올라가서 채권가격이 하락할추세일텐데 채권으로 주식헷지가 가능한가요? 답변부탁드려요~!
Singing English Teacher 노래하는 이티 1
2021년 8월 13일 23:50영상 잘 보았습니다^-^
망고젤리
2021년 8월 17일 00:17너무 알고 싶은 정보네요
박명희
2021년 8월 13일 21:07감사합니다
Ocean
2021년 8월 13일 20:44최고!
Chance Park
2021년 8월 14일 01:00박사님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질문 하나 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요즘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도 포트폴리오에 채권을 많이 편입하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물론 올웨더라는게, 미래가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골고루 포트폴리오를 가져가자는 컨셉이긴 하지만
채권은 (물론 다른 변수도 많겠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시장금리가 내려가야 가격이 올라가는 상품이잖아요.
근데 더 이상 내려갈 곳이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인 요즘 금리 상황에서 채권을 편입한다는 건
상승 가능성이 별로 없는 자산을 매입하는 것처럼 느껴지고,
실제로 그렇게 얘기하는 전문가들도 있어서요. ('요즘같은 시기에 채권은 사지 마라' 정도의 논조)
질문을 한줄로 요약하자면
'금리가 더 이상 낮아질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채권을 투자해야 하는 이유?'가 될 것 같습니다.
평소에 계속 궁금했던 부분이라... 바쁘시겠지만 답변 주시면 너무 감사할 것 같습니다!
Daejoon Kim
2021년 8월 14일 13:02박사님. 변액유니버셜보험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 참고하여 변액유니버셜보험을 국내 성장주식 25%, 미국주식 25%, 국내 채권 25%, 미국 채권 25% 이렇게 추천해도 괜찮을 지 여쭙니다.
아님 변액유니버셜보험을 해지하고 국내, 미국 주식과 채권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좋을지 의견 여쭙니다.
Napa Valley
2021년 8월 15일 17:29매번 유익한 콘텐츠 감사합니다. 박사님은 미국증시 지수 투자는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워런 버핏은 미리 작성한 유언장에 전 재산의 90%를 S&P500, 10%를 미국 국채에 투자하라고 얘기하기도 했구요. 실제로 1965년~2020년 사이 56년동안 연복리 수익률로 10.2%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 초보 입장에서는 달러 투자만큼 S&P500도 안전해 보이고 수익률은 더 좋은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늘 명쾌하고 논리적으로 다양한 자산을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윤희
2021년 8월 13일 20:55감사합니다
Dawoon Chung
2021년 8월 14일 01:30감사합니다, 박사님. 그렇찮아도 계좌를 너무 자주 들여다보는데, 참겠습니다. ^^
jm a
2021년 8월 14일 16:30홍박사님 박사님이 자주 말씀하시는것중에 하나가 역사는 반복된다는 것인데
다음 컨텐츠로 영화 국가부도의 날 해석해주시면 안될까요?
박사님 영상보고 다시 영화보니 이해도가 더 높아지긴 했는데 아직 완전히 이해가 어렵더라구요
유아인이 프레젠테이션하는 경제구조나 거래소에가서 사람들 좌절하는모습 보고 달러나 주식살때가 아니라며 채권발행하는데 어떤건지 등등
영화에서도 역사는 반복된다하니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 될듯합니다
때굴때굴
2021년 8월 15일 17:24박사님 달러 매수에 관한 영상은 어떤건가요? 달러 관련된 영상이 여러개라서요
J
2021년 8월 14일 01:06감사해요 박사님
로디드
2021년 8월 14일 09:35지금 신혼집을 알아보고있는 30대 예비신랑입니다
둘이 합쳐서 현금화가능자산 (주식포함) 3.5억
3년후 현금화가능 자산 2억 입니다.
모두 현재가치구요
3.5억중 1억정도는 주식으로 그대로 두고
남은 금액 + 신용2억으로 갭투자
저는 전월세를 살려고합니다
너무 위험한 생각일까요..!?
임옥선
2021년 8월 24일 14:47안녕하세요, 애독자 입니다.다음에 혹 기회가 되시거나 테마가 있으시면 유럽에 관하여 다뤄주실수 있는지 궁금해서 이곳에 적습니다. 유로 환율, 부동산, 증시, 국채 등등...
감사합니다.
Lands End
2021년 8월 14일 02:05샌프란시스코에 사는 50대 입니다. 은퇴하고 연금만으로도 생활이 가능 해서, 401K 는 전액 주식 ETF 만 투자중이고 채권은 전혀 가지고 있지 안습니다. 앞으로도 401K는 전혀 건드릴 계획이 없습니다. 미국채 ETF 분산투자 해야 할까요?
한다면 몇%, 언제 매수 매도 추천 하십니까? 한국에서의 사례처럼 환차익 실현이 가능 할까요? MSCI 채권과 주식에도 투자 추천 하십니까? 오늘 국민연금 분산투자 사례가 가장 안전 할까요?
sw Y
2021년 8월 14일 08:19박사님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개인이 쉽게 따라할 방법이 있을까요? 리밸런싱도 해야하고
세부 전략은 따라가기가 쉽지않아 보이네요
Volkan Isler
2022년 3월 05일 01:3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엘시에더리
2021년 8월 15일 04:26홍박사님! 저는 박사님 말씀을 듣고 IEF, TLT를 사두는 방법을 쓰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시시한 궁금증이라 죄송하지만, 만약... 주식에 관심이 많고 자주 코스피나 환율을 체크한다는 가정에서는 대부분의 여유자산을 IEF 나 TLT에 넣어두는 것보다. 미국 월배당 ETF에 여윳돈 절반정도 넣어뒀다가 한국 증시지수가 일정수준 떨어질때 일부는 한국주식을 매입하였다가 오르면 다시 스위칭하는것의 기대수익이 좋을것같다는 짧은 생각이 들었는데. 경제위기에 대한 헷징 측면은 더 떨어지지만, 더 잦은 수익실현으로 복리효과의 기회가 있을것같아서요. 혹시 이런 방법의 현실적인 어려움이나 생각치 못한 위험성이 있을까요? 박사님의 고견이 궁금합니다.
송아리
2021년 8월 14일 18:05박사님 항상 감사합니다
근데 장기 투자라 하면 보통 몇년인건가요?
VUVUGA
2021년 8월 14일 10:43와 내가 사연 쓴 줄..
홍박사님 말씀 들어보니 해답 또한 비슷한!!
다만 저는 연 복리 10%이하는 너무 적다고 생각해서
채권 빼고 미국 한국 금 4 : 4 : 2네요
수입이 있으니 MDD보단 수익률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만
이렇게 해서 집값 상승 따라 갈 수 있을까요?!
지난 2년은 수도권 집값 상승한 만큼 수익률 뽑아 냈지만
언젠가 있을 조정장이 집값 조정보다 높은 확률로 클텐데..
장기적으로 따라 잡을 거란 확신이 희미해지는 요즘 입니다 ㅠㅠ
코덱스
2021년 8월 14일 21:54그 나이대에 4억 있는게 대단하다
Mehmet Kaya
2022년 3월 05일 01:3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Taeho Lee
2021년 8월 20일 23:53안녕하세요 박사님, 영상 잘 보고 질문이 있어 댓글을 남깁니다. 시간 되실때 답변 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미국이나 국내주식의 경우 etf를 통해 골고루 분배가 가능한데, 미국과 국내채권의 경우 단기채(3년 이하)와 장기채(10년 이상)가 나눠져 있어 무엇에 투자해야하는 것이 좋을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채권의 만기에 따라 특성이 다를 것 같은데 여기서 말하는 채권(박사님의 테스트에 사용된)은 어느 정도 만기의 상품인가요?
HamZa official
2022년 3월 05일 01:35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No Name
2021년 8월 19일 14:02교수님 지난번 말씀하신 영상이랑 달라서 혼란스럽습니다. 실거주할 집도 투자이고 자산이 40억이든 4억이든 방향은 같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잘 아시다시피 30억 아파트는 조정을 받지 않고 10억 아파트는 조정받는 것도 아닐텐데요.
풍경소리
2021년 8월 15일 14:51달러 etf, 10년물 미국채 etf 둘중에는 무엇을 사는게 나을까요?
이영호
2021년 9월 18일 07:26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국민연금처럼 투자하려고하는데 연기금 포트폴리오는 1년뒤에나 볼 수 있던데 지금 투자를 어떻게하고있는지 알 수 없을까요
Eğlen Bizimle
2022년 3월 05일 01:35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차현
2021년 8월 14일 07:59생각이 없다가 추천하시는 거 보고 해봐야겠다 생각하는데 그냥 꾸준히 10년 이렇게 보고 소액 투자를 미국달러선물 etf 에 하는게 좋을까요?
김명규TV
2021년 8월 14일 11:17감사합니다. 홍 박사님~~♡
멧돼지꿍이
2021년 8월 13일 22:12행님 감사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