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영상 잘봤습니다 박사님🙇🏻♀️27살의 젊음과 마인드가 부러워지는 시간이었어요⏰저는 사회생활을 19살때부터 했는데 그때 박사님 같은 경제 길잡이가 계셨다면 제 통장 잔고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싶네요🥺이제 곧 마흔이지만 늦었다고 생각 하지않고 달러ETF와 한국 주식 잘 투자하고 있어요💸저는 호주 사는데 코로나 종식되서 한국 갈 수 있으면 꼭 박사님 오프라인 강의에 참여하고 싶습니다🎤늘 감사드리고 코로나 조심하세요🤞🏻
안녕하세요 박사님! 2030 직장인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직업이 없어도 가입이 가능하다길래 대학생 때부터 가입하려고 합니다! 만약 박사님께서 직장인에 비해 들어오는 월급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수학학원 강사시절부터 포트폴리오 구성을 한다고 하셔도 위 동영상과 비슷하게 구성하셨을지 궁금합니다!!
박사님 영상 항상 알림설정 하고 잘보고 있습니다. 아이가 이제 6살 쌍둥이인데 미성년자에게 증여 가능한 2천만원씩 증여를 해논 상태입니다. 그리고 10년후에 또 2천만원씩 증여하는게 제 목표기도 하구요. 증권계좌를 개설에서 각 2천씩 넣어놓은 상태인데요 제가 쓸일은 없구요 나중에 아이가 커서 활용할 목적으로 쓰고 싶은데요.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할지 고민입니다.1. 박사님이 젊은 층에 권하시는 달러관련 투자하다 기회가 왔을때 귀족 배당주나 voo와 같은 미국지수와 tiger200지수. 2. 리치고에 나온데로 자산배분. 3. 제 주관적인 판단인데요 맥쿼리와 같은 앞으로도 꾸준할것으로 판단되는 고배당주 등등 앞으로 최소 20년이상은 유지할 예정인데 혹시 기회가 되신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40살인데, 전업주부인 경우 국민연금에 임의가입 최대금액(약 40만원 초반) 으로 노후를 위한 연금을 납입하는게 좋을까요? 연금저축으로 40만원정도 납입해서 알려주신방법으로 운용하는게 좋을까요? 국민연금에 올인하자니 국민연금은 소득재분배 효과가 있다고 해서 국민연금에 올인하는 것보다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으로 병행해서 운영하는게 낫지 않을까 고민스럽습니다.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박사님,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 연금저축펀드를 리밸런싱 해야겠다는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당장 월요일에 하려고 합니다! 궁금한 점은 현재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3개의 펀드상품으로 2천만원 정도 투자 되어있었으며, 말씀하신 국내외 주식/채권형 ETF로 1:1:1:1 로 전환하려고 합니다. 전환시 각각 500만원씩 한번에 매수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이것도 분할 매수를 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현재 매월 34만원씩 연금저축펀드에 입금하고 운영중 입니다!
홍춘욱 박사님 영상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주식형펀드에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와닿네요. 그런데 국내 ETF에 50%를 연금저축에 투자하면 좋다고 하셨는데 코스피200 ETF는 일반계좌에서 해도 수익에 대해 세금이 없는데 연금저축계좌에서 할경우에는 연금을 인출할 시기에 안내도 되는 세금을 납부할경우가 발생하지않을까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제가 현재 매월 연금저축보험으로 10만원(회사지원2만원+월급공제8만원) 납입하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계약되어있는 보험사 납입 시 저렇게 매월 2만원씩 지원을 해주고 있는데 이 혜택을 무시하고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하는 것이 복리적인 측면에서 나을지 고민이됩니다ㅠㅠ!! 조언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이제 막 취업한 29살 사회초년생입니다. 저도 영상 속 질문자처럼 첫월급을 받고나니 어떻게 굴려야할지 고민이되어 질문드립니다. 1. 집도 없고 학자금 대출만 있는 상태인데 고정지출을 제외한 비용으로 한 달에 약 100만원정도 저축하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노후준비로만 34만원씩 연금저축펀트에 투자해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2. 세액공제를 못받는경우에도 연금저축펀드를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추천하지 않을 경우 어떤것을 추천하는지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이런 내용을 10년 전에 알았어야 하는데 전 10년 전에 세금 혜택만 생각 해서 연금보험에 매년 400을 넣어서 현재 4200 있더라구요 정말 20-30대에 도움 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저는 4200을 비율에 맞춰서 투자 하고 매달 50:50 비율을 맞추면 되는 건가요, 들어가는 시점을 고민 하는 건 의미 있는 행동이기는 한 걸까요?
27살에 대단하시네요. 응원합니다. 지금도, 미래도 큰 걱정은 없지만 16년전에 저도 이랬다면 지금 더 여유로운 마음이지 않을까 합니다. 아이가 생기기전까지 할 수 있는만큼 모으세요. 소득이 늘어나도 그때 저축율을 따라 갈 수가 없네요. 은퇴가 10~15년 남아서 요즘 연금에 박차를 가하는중인데, 왜 최근에야 이런걸 알았을까요? ㅜ.ㅜ 요즘 투자노트를 정성들여 만들고 있습니다. 애들 주려고.
그리고 본인이 모르는? 사이에 회사복지차원에서 연금저축이 들어가기도 합니다(부끄럽지만 저도 예전에 입사하고 2년뒤에 알았습니다 연말정산하는데 이게 뭐지? 연봉만 계약했지 월급명세서를 안봤으니까요.). 월급명세서를 잘 보세요.^^ (개인50%부담+회사50%-세액공제는 합으로 받음) 그러는 분이 거의 없지만 , 충격적인건 IRP, 연금저축에 입금만 시키고 세액공제만 받는 분들이 있습니다. 본인이 꼭 운용을 하셔야합니다.ㅋ
연금펀드나 irp 개설하는 증권사마다 구매 가능한 종목이 조금씩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래에셋 기준으로는 미국채10년이나 달러 선물 같은건 없습니다 ㅠㅠ 찾아보니 그 대신으로 미국 채권형펀드 (예를 들어 달러우량중장기채권 신탁) 같은걸 해도 차트 모양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아니면 연금계좌 내에서만 밸런싱 하는게 아니라 전체 자산 기준으로 밸런싱하고, 연금계좌에게는 국내상장 미국 etf를 담당하게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사님 박사님 강의, 책을 보고 듣고 자산분배 하는데 많은 기준을 얻었습니다.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것이 있는데요. 현재 ISA 통장 만들어서 자산분배 해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올 연말도 얼마 안남았고 연금저축의 장점을 깨달아 연금처축도 운용하려고 하는데요 연금저축에 들어가는 ETF 는 어떤걸 추천하시나요?? 연금저축의 특성상 장기투자 하면 좋은 ETF를 넣으면 좋을거 같은데 그럼 단기적인 수익이 나더라도 당장 활용을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니(물론 나중에 제가 쓸 수 있는 제 돈이긴 하지만 부동산이나 이런곳에 활용할수가 없으니 이것도 하나의 리스크인것 같습니다) 코스피200, s&p500같은 지수 펀드 사기에는 뭔가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포트폴리오에 골드, 달러, s&p500, kospi200, 미국채10년, 국채10년 이렇게 가지고 있는데 이중에 연금저축에 넣으면 좋은 자산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아르바이트, 인턴으로 조금씩 돈을 모으고 있는 22살 대학생입니다~ 그저 저축만 하다가 세제 혜택이 있는 연금저축펀드를 가입했습니다! 꾸준한 수입이 있는 건 아니라서 연말에 보유 자산의 10%정도씩 연금저축펀드에 납입할까 고민중인데 이렇게 계획해도 괜찮을까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연금저축보험에서 1000만원 정도를 이 영상을 보고 연금저축펀드로 옮겼는데 알려주신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200만원 씩 5개월에 나눠서 분할매수하는게 나을지 (이렇게 하면 남은 800은 그냥 현금으로 두는 건가요?) 아님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한번에 1000만원을 매수할지 고민입니다
집 없는 30대//연말정산을 위해서 연금저축펀드+IRP 700씩 연금에 납입하는게 맞는지 고민입니다. 순자산 3억정도에 연간 저축(투자)금은 2400정도 됩니다. 그리고 55세 이후 일을 하는 경우 연간 1200만원 연금수령을 하면서 연말정산을 위해서 700씩 연금에 불입하는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저축청약통장도 갖고 있는데 그것도 세액 공제가 된다고 들었어요. 제가 청약 월 10만원씩 들고 있고 연금처축펀드 들고 싶은데 작년 코로나 때문에 1년 쉬어서 근로이력이 없는데 세액공제는 어떻게 산정될까요? 홈텍스에 알아보려해도 작년 근로원천징수가 있어야하는게 아닌지 싶어서 올해 가입을 해야하는지 얼마나 해야하는지 고민입니다
30대 초반 직장인입니다. 박사님의 책을 읽고 너무나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뭔지도 모르고 가입해두었던 회사 DC형 퇴직연금 상품이 정기예금 이더라구요 ㅠㅠㅠ 수익금이 1년 반동안 1만5000원 난걸 보고 이대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미 개인적으로 매월 20만원씩 연금저축펀드를 들고있고 해외주식 투자도 하는 중입니다만, 이렇듯 수익률이 너무나도 낮은 회사 퇴직연금 상품도 연금펀드상품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하실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는 21살 대학생으로 직장인이 아닌데 이런 상황에서도 개인 연금 투자로 세액공제 혜택?(60만원 말씀해주신 것)을 받을 수 있는 것일까요? 현재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저 세액공제 혜택은 펀드 운용을 통해 얻은 이익에 대한 세금을 공제해 주는 것이라 넘겨짚었는데 이것이 올바른 해석일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그리하여 결론적으로 제 현재 상황에서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는 것이 나을지 직장을 가지고 나서 가입하는 것이 나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10년 전 보험회사의 권유로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하여 지난 10년 동안 적립을 시작하여 올해까지 적립금납입이 완료되었습니다. 10년 동안 불어난 이자는 약 5%로 연평균이자율은 1%미만 입니다. 그래서 10년 적립기간이 끝난 올해 2021년 7월부터 연금저축펀드로 계좌 전환하여 적립금 4천만원을 직접운용하고 있습니다.
@user-hm5zn8tw9t 34
2021년 8월 18일 19:33사연자님 대단한 분이네 저런 생각을 할 수 있다니
투맨부 31
2021년 8월 18일 21:4720~30대라면 S&P 500 TR / 나스닥100 TR 2개 5대5로 하시면되고 40~50대라면 안전자산인 채권좀 섞으시면됩니다 ㅎㅎ
@chunukhong 24
2021년 8월 18일 20:05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사회초년생인 27살 구독자분의 연금저축펀드에 대한 질문에 답해보았습니다. 20,30세대 라면 적극 권하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홍춘욱 패밀리 스터디 : 우리 함께 돈 좀 굴려봅시다]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user-sv9vy6oh8i 22
2021년 8월 18일 19:31박사님, 연금저축펀드와 비슷한 irp에 대해서도 한번 영상으로 다뤄주시면 감사드립니다
@allapluslim3388 18
2021년 8월 18일 19:41연금저축펀드, irp를 잘 몰랐다가 올해 처음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걸 옛날에 알았다면 지금은 더 자산이 많아졌을텐데 하는 생각이 들지만 올해부터 차곡차곡 쌓고 있습니다.
@jenniferjung9970 17
2021년 8월 19일 10:2020대때 돈 모으기가 쉽지가 않은데 이거 하나라도 잘 넣어두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되지요.. 기특합니다 ^^
포론 17
2021년 8월 18일 19:09저는 특정 전략을 정해서 연 400채우면서 나름 잘 운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뿌듯합니다ㅋㅋ
아 그리고 연금저축'보험' 이랑 헷갈리면 큰일납니다!
@valuepark1907 14
2021년 8월 18일 22:58정말 친절하고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nvestorc9764 9
2021년 8월 18일 18:50홍춘욱 박사님 항상 양질의 영상 감사합니다^^
@user-pk7lu5bh7n 9
2021년 8월 19일 20:56박사님의 이해하기 쉬운 설명 덕분에 오늘도 많은 도움을 얻고 갑니다.
연령대 마다 적합한 자산 배분 비율이 있을텐데,
나이가 들어갈 수록 이 비율을 어떻게 조정하면 좋을지도 나중에 한번 다뤄주시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hv3zo2yc8m 8
2021년 8월 18일 22:52오늘도 영상 잘봤습니다 박사님🙇🏻♀️27살의 젊음과 마인드가 부러워지는 시간이었어요⏰저는 사회생활을 19살때부터 했는데 그때 박사님 같은 경제 길잡이가 계셨다면 제 통장 잔고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싶네요🥺이제 곧 마흔이지만 늦었다고 생각 하지않고 달러ETF와 한국 주식 잘 투자하고 있어요💸저는 호주 사는데 코로나 종식되서 한국 갈 수 있으면 꼭 박사님 오프라인 강의에 참여하고 싶습니다🎤늘 감사드리고 코로나 조심하세요🤞🏻
kang하늘 6
2021년 8월 19일 00:51박사님 자산배분의 가르침 덕분에 이번 주식시장 조정장에 조금이나마 위안을 삼았습니다 주식 미국채달러 50대50을 목표로 미국채 모아가던 중 국내 주식시장 조정오는 바람에 좀 아쉬웠지만~ 자산배분의 중요성을 피부로 느낀 경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Nstarwind 5
2021년 8월 18일 20:33가려운 곳 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Bryce 5
2021년 8월 18일 19:58밸런싱의 전문가
내려놓고 즐겁게 4
2021년 8월 19일 02:38강의 잘보았습니다
초3 둥이 키우는 엄마입니다
10세까지 2천씩 증여된다고? 들은듯요
주식이 좋을까요?? 아님 말씀하신 연금이 좋을까요?? 아이도 가능한거죠? 너무 초급적인 질문죄송합니다
현재는 아이들 보험들어주고 대학자금으로 10만원씩 적금 대신 저희부부 보험들었어요
10년 납입이고 환급형으로 들었어요~
뭔가 잘못된듯도하고ㅜㅜ감사합니다
@dino6162 4
2021년 10월 02일 15:08안녕하세요 박사님! 2030 직장인을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직업이 없어도 가입이 가능하다길래 대학생 때부터 가입하려고 합니다! 만약 박사님께서 직장인에 비해 들어오는 월급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수학학원 강사시절부터 포트폴리오 구성을 한다고 하셔도 위 동영상과 비슷하게 구성하셨을지 궁금합니다!!
@hightogo6935 4
2021년 8월 18일 18:47좋은 정보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mn6ou4cn1k 3
2021년 8월 18일 20:53박사님 영상 항상 알림설정 하고 잘보고 있습니다. 아이가 이제 6살 쌍둥이인데 미성년자에게 증여 가능한 2천만원씩 증여를 해논 상태입니다. 그리고 10년후에 또 2천만원씩 증여하는게 제 목표기도 하구요. 증권계좌를 개설에서 각 2천씩 넣어놓은 상태인데요 제가 쓸일은 없구요 나중에 아이가 커서 활용할 목적으로 쓰고 싶은데요.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할지 고민입니다.1. 박사님이 젊은 층에 권하시는 달러관련 투자하다 기회가 왔을때 귀족 배당주나 voo와 같은 미국지수와 tiger200지수. 2. 리치고에 나온데로 자산배분. 3. 제 주관적인 판단인데요 맥쿼리와 같은 앞으로도 꾸준할것으로 판단되는 고배당주 등등
앞으로 최소 20년이상은 유지할 예정인데 혹시 기회가 되신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책먹는 여우 아저씨 3
2021년 8월 21일 16:23박사님 40살인데, 전업주부인 경우 국민연금에 임의가입 최대금액(약 40만원 초반) 으로 노후를 위한 연금을 납입하는게 좋을까요? 연금저축으로 40만원정도 납입해서 알려주신방법으로 운용하는게 좋을까요? 국민연금에 올인하자니 국민연금은 소득재분배 효과가 있다고 해서 국민연금에 올인하는 것보다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으로 병행해서 운영하는게 낫지 않을까 고민스럽습니다.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user-tv4wf6fn9o 3
2021년 8월 19일 13:19홍교수님!
정말 필요했던 보물같은 정보들만 쏙쏙! 넘넘 감사해용♡
참...교수님...
2008년 리먼사태이후 달러의 유동성과 지수를 비교했을때 현 2021년 8월을 2010년 8쯤과 비교하면 될까요?
필기하며 봅니다.넘넘 감사드려요.
@user-td4xf1nf1h 3
2021년 8월 21일 19:52박사님, 이번 영상도 잘 봤습니다! 연금저축펀드를 리밸런싱 해야겠다는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당장 월요일에 하려고 합니다! 궁금한 점은 현재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3개의 펀드상품으로 2천만원 정도 투자 되어있었으며, 말씀하신 국내외 주식/채권형 ETF로 1:1:1:1 로 전환하려고 합니다. 전환시 각각 500만원씩 한번에 매수하는게 좋은지, 아니면 이것도 분할 매수를 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현재 매월 34만원씩 연금저축펀드에 입금하고 운영중 입니다!
@Asri-pension 2
2021년 8월 26일 09:30홍춘욱 박사님 영상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주식형펀드에 투자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와닿네요.
그런데 국내 ETF에 50%를 연금저축에 투자하면 좋다고 하셨는데 코스피200 ETF는 일반계좌에서 해도 수익에 대해 세금이 없는데 연금저축계좌에서 할경우에는 연금을 인출할 시기에 안내도 되는 세금을 납부할경우가 발생하지않을까요?
Van Park 2
2021년 8월 19일 16:06캬 뼈가 되고 살이되는 감사합니다
@user-bp4fy7zw7r 2
2021년 8월 18일 21:13늘좋으신 말씀 감동입니다 감사합니다 👍✌🌹⚘
@fridaynomad9156 2
2021년 8월 18일 20:05연금저축펀드라는 개념을 잘 모르는 사회초년생입니다. 잘 배워갑니다. 바로 주식 연금계좌도 개설했네요 ㅎㅎ
벗 2
2021년 8월 18일 20:08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1. 국내주식 etf 일반계좌에서는 비과세인데 연금계좌에서 차후 연금수령할때 과세한다고 합니다. 그럼 연금계좌에서 하는게 손해일것 같아요..
2. 금etf는 수수료와 롤오버(?)비용등이 발생하더라도 금etf가 좋을까요?
@janus_wu7297 2
2021년 8월 18일 18:56정기적으로 돈을 넣는 입장에서 리밸런싱을 어떻게 해야할까? 오늘 아침에 고민하고 출근했는데 퇴근하면서 이 영상을 볼 수 있다니!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바다고래 2
2021년 9월 27일 15:59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제가 현재 매월 연금저축보험으로 10만원(회사지원2만원+월급공제8만원) 납입하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계약되어있는 보험사 납입 시 저렇게 매월 2만원씩 지원을 해주고 있는데 이 혜택을 무시하고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하는 것이 복리적인 측면에서 나을지 고민이됩니다ㅠㅠ!! 조언부탁드립니다
@user-je4in2mu1z 2
2021년 8월 19일 08:40감사합니다.언제나 도움주셔서
2,30대뿐만이 아닌 직장인 모두가
들어야할 내용이네요^^
@user-ho5ny4wg9x 2
2021년 8월 19일 21:57교직원공제회에 복리이자 3.74프로 적용이 되는 연금상품이 있는데 개인연금보다는 이 연금에 돈을 좀더 넣는게 좋을까요? 연금상품 두개 유지하는건 힘들것 같아서요. 오늘 수업도 재미나게 들었습니다^^
@kimlunaikos9032 2
2021년 8월 18일 19:18박사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비율을 나누어 투자하고...정기적 리밸런싱..인상깊었습니다. 말씀하신 비율대로 대체투자로 리츠상품을 투자하고 싶은데 어떤 etf를 선택해야하는지요? 아무리 검색해도 잘 모르겠습니다ㅜㅜ
@firstpayyourself 2
2021년 8월 18일 23:03박사님한테 질문 어떻게 하나요??
청년우대청약통장 넣어가고있는데 1주택이라 의미가 있나 싶어서 이걸 해제하고 그냥 ief 나 vnq o spyg qqq 에 넣을가 고민이 되네요...
@user-br6yj6xp9o 2
2021년 10월 25일 08:59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이제 막 취업한 29살 사회초년생입니다.
저도 영상 속 질문자처럼 첫월급을 받고나니
어떻게 굴려야할지 고민이되어 질문드립니다.
1. 집도 없고 학자금 대출만 있는 상태인데 고정지출을 제외한 비용으로 한 달에 약 100만원정도 저축하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노후준비로만 34만원씩 연금저축펀트에 투자해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2. 세액공제를 못받는경우에도 연금저축펀드를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추천하지 않을 경우 어떤것을 추천하는지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user-sh3gw1no8v 2
2021년 8월 18일 19:44이런 내용을 10년 전에 알았어야 하는데
전 10년 전에 세금 혜택만 생각 해서 연금보험에 매년 400을 넣어서 현재 4200 있더라구요
정말 20-30대에 도움 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저는 4200을 비율에 맞춰서 투자 하고 매달 50:50 비율을 맞추면 되는 건가요, 들어가는 시점을 고민 하는 건 의미 있는 행동이기는 한 걸까요?
@user-em9lt9ip3n 1
2021년 8월 26일 08:28년400을 못넣을 경우에는 어떻게 되나요? 제가 알기로는 덜 넣어도 과세이연이 되기 때문에 상관없는거로 알고 있는데
가능하다면 ETF 와 연계해서 할 수있는 전략포트를 짜고 싶습니다.좋은영상 감사합니다.
Don Draper 1
2021년 10월 24일 17:51어떤 경우에서도 '필수'라는 단어의 사용은 신중해야합니다.
nara Han 1
2021년 9월 10일 16:264:00부터 해외상품 투자할때 H라 기재된 상품은 환헤지하는 상품이므로 하지말것
@user-vc7di8gl2s 1
2021년 9월 29일 08:27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강의보고 연금저축보험에있던 자금을 연금저축펀드로 이전을 했습니다. 이런저런 선생님 댓글을 보고 성장형 배분기준으로 매입을 하려 준비중인데요.
한가지 궁금한게 연금저축펀드도 주식과 같이
시장 상황을 보고 매도 매입 (일명 물타기?;)등의 방식으로 관리를 해야되는건가요?...아니면 주식과는 다르게 그냥 꾸준히 들고가면서 1년에 2번정도 리밸런싱하면서 배분율만 마추는식으로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최정화 1
2021년 8월 27일 11:57정말 감사합니다 박사님♡
저희 애들한테도 알려줘야겠어요
@user-ke2fr7sf6j 1
2021년 10월 30일 11:02안녕하세요
올해 20세 되는 대학생입니다. 취업을 하지 않아 월34만원 등의 금액은 조금 부담스러울거 같아요.. 적은돈이라도 지금 부터 월5만원이라도 개인연금에 저축을 하는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직장다니면 그때 개인연금저축하는게 좋을까요?
@user-nh1gz8zt4x 1
2021년 8월 18일 19:20연금저축펀드하고 IRP를 같이 운용하는게 더 좋겠죠?? 아님 두개 다 할 여권이 안된다면 뭘 더 하는게 좋을까요??
박익명 1
2021년 8월 18일 22:04사정상 세액공제를 받지않는 사람들도 연금저축펀드가 좋을까요??
@user-bz6qg2gk9d 1
2021년 8월 20일 15:35일정 소득이 없어서 연말정산, 공제를 받지 않는데 해외 직투보다 연금저축펀드가 더 좋을까요??!
@TV-xw4ge 1
2021년 9월 02일 00:05감사합니다~박사님!! 교육방송~경제방송~^^
Forest Black 1
2021년 8월 23일 17:0427살에 대단하시네요. 응원합니다. 지금도, 미래도 큰 걱정은 없지만 16년전에 저도 이랬다면 지금 더 여유로운 마음이지 않을까 합니다. 아이가 생기기전까지 할 수 있는만큼 모으세요. 소득이 늘어나도 그때 저축율을 따라 갈 수가 없네요.
은퇴가 10~15년 남아서 요즘 연금에 박차를 가하는중인데, 왜 최근에야 이런걸 알았을까요? ㅜ.ㅜ 요즘 투자노트를 정성들여 만들고 있습니다. 애들 주려고.
그리고 본인이 모르는? 사이에 회사복지차원에서 연금저축이 들어가기도 합니다(부끄럽지만 저도 예전에 입사하고 2년뒤에 알았습니다
연말정산하는데 이게 뭐지? 연봉만 계약했지 월급명세서를 안봤으니까요.). 월급명세서를 잘 보세요.^^ (개인50%부담+회사50%-세액공제는 합으로 받음)
그러는 분이 거의 없지만 , 충격적인건 IRP, 연금저축에 입금만 시키고 세액공제만 받는 분들이 있습니다. 본인이 꼭 운용을 하셔야합니다.ㅋ
@olclocr 1
2021년 8월 18일 20:38연금펀드나 irp 개설하는 증권사마다 구매 가능한 종목이 조금씩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래에셋 기준으로는 미국채10년이나 달러 선물 같은건 없습니다 ㅠㅠ
찾아보니 그 대신으로 미국 채권형펀드 (예를 들어 달러우량중장기채권 신탁) 같은걸 해도 차트 모양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아니면 연금계좌 내에서만 밸런싱 하는게 아니라 전체 자산 기준으로 밸런싱하고, 연금계좌에게는 국내상장 미국 etf를 담당하게 해도 될 것 같습니다.
@tomekkk93 1
2021년 8월 29일 08:01안녕하세요 박사님, irp 계좌에서 tdf는 추천하지 않으시나요? 지금 tdf2050 넣고 있는 20대인데 영상에서 정리해주신 포트폴리오대로 리밸런싱을 해야 하나 고민이 되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Nerong0530 1
2021년 8월 19일 17:15박사님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
연금저축펀드로 해외펀드상품을 사는것이 가능한가요? 그냥 국내에 상장된 해외투자 상품만 살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snowjohn6814 1
2021년 9월 05일 15:40안녕하세요 박사님 박사님 강의, 책을 보고 듣고 자산분배 하는데 많은 기준을 얻었습니다.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것이 있는데요. 현재 ISA 통장 만들어서 자산분배 해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올 연말도 얼마 안남았고 연금저축의 장점을 깨달아 연금처축도 운용하려고 하는데요 연금저축에 들어가는 ETF 는 어떤걸 추천하시나요?? 연금저축의 특성상 장기투자 하면 좋은 ETF를 넣으면 좋을거 같은데 그럼 단기적인 수익이 나더라도 당장 활용을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니(물론 나중에 제가 쓸 수 있는 제 돈이긴 하지만 부동산이나 이런곳에 활용할수가 없으니 이것도 하나의 리스크인것 같습니다) 코스피200, s&p500같은 지수 펀드 사기에는 뭔가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포트폴리오에 골드, 달러, s&p500, kospi200, 미국채10년, 국채10년 이렇게 가지고 있는데 이중에 연금저축에 넣으면 좋은 자산은 무엇일까요??
이승현 1
2021년 12월 20일 22:48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아르바이트, 인턴으로 조금씩 돈을 모으고 있는 22살 대학생입니다~ 그저 저축만 하다가 세제 혜택이 있는 연금저축펀드를 가입했습니다! 꾸준한 수입이 있는 건 아니라서 연말에 보유 자산의 10%정도씩 연금저축펀드에 납입할까 고민중인데 이렇게 계획해도 괜찮을까요..?
@s_tartree
2021년 8월 21일 23:58크흐 깔끔한 정리입니다 박사님!!
@user-yv1gb1oe4z
2021년 8월 20일 19:04최고의 조언!! 박사님 영상이 최고입니다!
@stellaeugenelee
2022년 8월 07일 17:50박사님 :)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공무원이어도 연금저축펀드 가입하는 것 좋을까요??
@sunghyunahn1406
2022년 7월 07일 23:59예전에 보고 그 진가를 지금 알게 되서 다시 보네요. 감사합니다.
@user-pj2vd6mv1u
2022년 7월 13일 01:1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연금저축보험에서 1000만원 정도를 이 영상을 보고 연금저축펀드로 옮겼는데
알려주신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200만원 씩 5개월에 나눠서 분할매수하는게 나을지 (이렇게 하면 남은 800은 그냥 현금으로 두는 건가요?)
아님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한번에 1000만원을 매수할지 고민입니다
물론 매달 일정금액을 납입하는 것도 하려고 하구요
@user-kz1tg8wp4z
2021년 8월 26일 21:55집 없는 30대//연말정산을 위해서 연금저축펀드+IRP 700씩 연금에 납입하는게 맞는지 고민입니다. 순자산 3억정도에 연간 저축(투자)금은 2400정도 됩니다.
그리고 55세 이후 일을 하는 경우 연간 1200만원 연금수령을 하면서 연말정산을 위해서 700씩 연금에 불입하는게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user-pi3wh8lv3r
2021년 9월 19일 14:05가입할지 말지 고민중이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bkim1375
2021년 8월 19일 14:26부부라면 아내와 제가 각자 진행해도 되는건가요? 금액적으로 부담이 된다면 1계좌만 하는게 나은지.. 아니면 2계좌에 금액을 낮춰 진행하는게 나은지.... 그리고 곧 생길 2세 이름으로 연금저축펀드를 들어주고 싶은데 어떨지 고민되네요...
@mamsuje6480
2021년 10월 13일 17:02저축청약통장도 갖고 있는데 그것도 세액 공제가 된다고 들었어요.
제가 청약 월 10만원씩 들고 있고 연금처축펀드 들고 싶은데 작년 코로나 때문에 1년 쉬어서 근로이력이 없는데 세액공제는 어떻게 산정될까요? 홈텍스에 알아보려해도 작년 근로원천징수가 있어야하는게 아닌지 싶어서 올해 가입을 해야하는지 얼마나 해야하는지 고민입니다
Yun K
2021년 10월 17일 19:14궁금한게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시작하려고합니다
매달34만원씩 넣을예정인데
이 34만원을 ETF주식(ex s&p500 50%
나스닥100 50%)을 사라는 말씀이신거죠?
@user-ge5bg8gs3g
2021년 9월 14일 02:48박사님 제가 투자에 대해서 잘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주식형에 50%( 국내25%, 미국25%) 라고 하셨는데 그럼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개인연금저축에 넣고 거기에 있는 돈으로 사서 운용하는건가요?
롸잇
2021년 9월 03일 23:41감사합니다~ 홍박사님 ㅎㅎ
뚱캔
2021년 9월 19일 01:1130대 초반 직장인입니다. 박사님의 책을 읽고 너무나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뭔지도 모르고 가입해두었던 회사 DC형 퇴직연금 상품이 정기예금 이더라구요 ㅠㅠㅠ 수익금이 1년 반동안 1만5000원 난걸 보고 이대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미 개인적으로 매월 20만원씩 연금저축펀드를 들고있고 해외주식 투자도 하는 중입니다만, 이렇듯 수익률이 너무나도 낮은 회사 퇴직연금 상품도 연금펀드상품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하실까요?
박볼따구
2021년 9월 23일 00:13고마워요 박사님!
손준희
2021년 9월 19일 16:51개인연금 상품중에 미국 주식에 투자되는 상품 어떤개 있을까여?
블랙스노우 자산운용
2021년 8월 24일 20:23여러분, 투자에 있어서 자산배분은 현명한 선택이 아닙니다.
노후에 사용할 자금이라면, 인덱스 펀드로 주식 100% 를 가져가는게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
특히 시간지평이 많은 20-30대는 더욱 그렇게 해야 합니다.
"공식 같은 건 없습니다. 기업과 인간 본성 그리고 수치에 대해 많은 것을 알아야 합니다. 나를 위한 마법 시스템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지나친 생각입니다."
찰리 멍거OTOXMAHO
2021년 8월 29일 20:15박사님 강의 감사합니다. 궁금한점이 혹시 연금저축펀드나 개인형 IRP와 비슷한 상품인건가요? 개인형 IRP도 운용을 할 수 있는것 같은데 IRP 가입하고 있으면 연금저축펀드를 대체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user-fz5jt7lp3h
2021년 8월 22일 12:56안녕하세요 매일 박사님 영상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헷갈리는 게, 연금저축펀드 라는 상품이 있는 게 아니라 증권사 연금저축 계좌에 입금해둔 자금으로 국내,해외 ETF 에 투자하는 걸 연금저축펀드라고 하는 게 맞는지요?
@user-zs5ju9ki4i
2021년 10월 03일 02:421.선생님 단기채권액티브가 어떤 상품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액티브라는 말이 낯설게 들립니다ㅜ
2. 선생님이 추천해주신 단기채권액티브도 etf의 일종인가요??
Seok-Yong Lee
2021년 8월 30일 19:03안녕하세요. 항상 홍박사님 채널을 즐겨 보고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대출에 대해서도 말씀해주셨는데요.
대출은 펀드 상품만 가능하다고 ETF는 불가능 한 걸로 알고 있는데요.
실제로 박사님 영상 중에도 대출에 대해서는 펀드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hKbscdrA7Dg?t=513
HOLD
2021년 9월 04일 02:552030 분들한테 유익하겠네요 ^^
영광쓰
2021년 9월 17일 11:48질문있어요! 직장을 안다녀서 세금을 안내는 일반인도 연금펀드에 연 400만원을 채우면 세액공제 동일하게 받을 수 있나요?
skdjbvggk
2021년 9월 15일 20:37연금저축펀드 계좌에 400만원을 넣은 후 상황을 보니 주가가 너무 높다면 주식을 구매 하지 않고 그냥 예수금으로 쭉 가지고 있어도 불이익이 없나요?
떡볶이신당동
2021년 9월 13일 16:29박사님 오늘도 강의 감사헙니다.
현재 사회초년생인데 외화정기예금과 연금저축펀드 무엇을 더 추천해주시는자 여쭤보고싶습니다
@jeon7475
2021년 9월 10일 09:06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더
Michael Higuain
2021년 9월 28일 15:42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1. 현재 영상에서 200만원 저축중인데 이중 34만원을 연금저축계좌에 납입한다고 나와있는것 같은데 이 34만원에 대한 투자 비중을 설명해주신건가요?
2. 1번 내용이 맞다면 200에 대한 나머지 166만원은 어디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요?
@user-li5xx7le3u
2021년 9월 09일 01:51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는 21살 대학생으로 직장인이 아닌데 이런 상황에서도 개인 연금 투자로 세액공제 혜택?(60만원 말씀해주신 것)을 받을 수 있는 것일까요? 현재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저 세액공제 혜택은 펀드 운용을 통해 얻은 이익에 대한 세금을 공제해 주는 것이라 넘겨짚었는데 이것이 올바른 해석일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그리하여 결론적으로 제 현재 상황에서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는 것이 나을지 직장을 가지고 나서 가입하는 것이 나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효석
2021년 8월 20일 10:1510년 전 보험회사의 권유로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하여 지난 10년 동안 적립을 시작하여 올해까지 적립금납입이 완료되었습니다. 10년 동안 불어난 이자는 약 5%로 연평균이자율은 1%미만 입니다. 그래서 10년 적립기간이 끝난 올해 2021년 7월부터 연금저축펀드로 계좌 전환하여 적립금 4천만원을 직접운용하고 있습니다.
@user-dg8ir7lu1i
2021년 10월 10일 14:31홍박사님 큰도움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