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강의 및 책 잘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1. ETF가 다 한국인데 미국 ETF로 해도 되나요? 2. 미국 ETF와 한국 ETF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3. 포트 짜는 총 금액이 2~3억대로 되면, 한국ETF 미국ETF 둘중 어디로 투자해야 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지식을 쉽게 공유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고 싶습니다. 40대 후반 직장인으로서 자산배분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기 시작한지 2년이 좀 지난것 같습니다. 실제 자산배분을 운용해보니, 포토폴리오 비율 정하는 것도 힘들지만, 포트폴리오 비율을 쭉 유지하는 것도 생각보다 많이 힘드네요. 시장 상황에 따라 마음이 흔들리는게 사람이라 어쩔 수 없는 모양입니다. 추천해주신 안정형 포트폴리오에서 미국 국채 비율과 금선물 ETF 비율에 대해서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안정자산/위험회피 자산으로 미국채권을 꼽는데 안정형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낮은 것 같아서요..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금 선물의 경우는 과거 차트를 보면 다른 자산과 다르게 우상향 하는 모양은 보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대체 자산으로 포토폴리오 내의 효용성은 이해하고 있으나 20%는 너무 많은게 아닌가 싶네요. 혹시 이유가 있으시면 설명 부탁 드리고 싶네요. 혹시 시장 상황이 바뀌면 미국 재권과 금선물의 비율을 수정하실 계획이 있으신지도 궁금하네요. 아침 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네요. 환절기 건강 조심하시고,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
이상하죠? 허허허.. 박사님의 웃음소리는 정말 호탕한 매력이.. 올웨더 올웨더해서 다좋은 줄 알았는데 원화가치로 환산한 올웨더 수익률이 국내 코스피보다 낮다는게 놀랍네요. 요새 주식공부한다고 주린이가 머리 까지기보다 국내와 해외 etf투자가 삶을 건강하게 만들겠구나...는 생각이 드네요. 박사님의 투자자를 향한 걱정과 진심을 담아 만들어주시는 영상들 언제나 옳습니다. 감사합니다. 올웨더 투자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봅니다.
박사님 해박한 지식과 체계적인 설명에 매료되어 박사님 나오는 영상 찾아 보다 채널도 얼마전 있는걸 알아내고 구독 애청중입니다. 달러 보유를 많이 강조하셨는데 달러etf 도 콕 찍어 알려주셔서 답답함이 해소되었습니다. 박사님 계좌를 카피해서 저도 운용하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이 달러투자와 이 포트폴리오를 같이 볼때인데요, 다른 영상에서는 달러투자로 예금-달러etf-해외etf(nvq.ief)순으로 달러를 모으고 환차익을 보면 국내주식을 사는 방식으로 보았는데 이 포트폴리오와 별개로 달러투자를 해야하는걸까요? 아니면 이 포트폴리오 안에 있는 미국 주식,국채를 달러투자로 봐서 달러환율에 오르면 포트폴리오 안의 비율에 맞추어 미국주식을 팔고 한국주식을 구매하는걸로 봐야하는지,,,. 그리고 포트폴리오에서 국내상장된 해외지수추종etf를 하면 환차익과 같은 효과를 볼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사님, 박사님 강의를 듣고 미국에 살고 있는 저는 한국에 계산 분들과 반대로 지금 한국에 혹은 원화에 투자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위 쌀때 사는... 그런데 미국에 있으면서 개인이 한국에 투자하는게 쉬운게 아니네요. 한국에 계좌를 만들수도 없고.... 미국에서 한국시장에 투자하거나 원화에 투자할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항상 박사님의 영상으로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고 저서또한 잘 읽어보았습니다. 박사님께서 추천해주신 달러 스위칭 전략 또한 매월 달러를 적립하는 형태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손을 대지 못하는 수준까지 올라왔지만 현재 제가 할 수 있는 방법에 충실하고자 합니다 언젠가 기회가 찾아왔을때 기회를 잡을 준비를 하면서요!!언제나 좋은 방향 제시해주시어 감사합니다 ^^
영상 항상 잘보고 있어요. 저도 40대후반 포트폴리오 고민이 많은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또, 실제 해보고 있습니다. 저도 성장형을 표본삼아 조금씩 해보겠습니다. 이코노미스트님 신간책 받아보고 싶습니다^^ 2년 남은 40대 마지막 시간을 함께 하겠습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국 미국 주식 5대5 배분을 추천해주셨네요. 개미는 오늘도 뚠뚠에서 김프로님은 미국시장과 한국시장 크기가 차이가 나니 미국에 더 투자하는게 맞다고 하시던데 교수님은 한국시장이 커질 가능성을 더 높게 보시는 건가요? 그리고 저는 etf에서 동일가중과 시총비중 둘중에서도 고민하는데 어떤 방식이 더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한국주식만 넣었다가, 6개월정도 전부터는 '미국주식 , 한국주식 , 골드' 이렇게 1:1:1로 하고 있네요. 한쪽에서 깨져도 다른 쪽에서 좀 받쳐주니, 어찌어찌 수익 구간이라... 새삼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을 크게 느낍니다. 언젠가는 박사님이 포트폴리오 구성해 주시는 것처럼 좀 더 다양하게 안정적으로 구성해보고 싶네요.
이 영상은 박사님이 말씀하신 달러자산의 개념, 우리 국민의 노후를 책임져야하는 연기금의 투자 방식, 경기 흐름에 따른 투자 전략이 총집약된 내용이네요..저는 20대라 아직 채권을 갖고있지는 않은데 앞으로 경기 흐름을 보며 조금씩 국채도 매수해야겠습니다. 저는 이 포트폴리오를 홍춘욱 포트폴리오라고 부르려고 합니다~
홍이달리오의 시대인가요. 미국-한국의 간명한 조합만으로도 꽤나 안정적인 포트를 구성할 수 있는게 신기합니다.포트폴리오는 솔직히 복잡하게 여러자산을 섞을수록 더 안정적이지 않을까했었거든요. 간단한 구성으로 일반인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알찬 포트 구성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포트의 리밸런싱은 보통 어느정도의 기간마다 해주는게 합리적일까요? 너무 자주 리밸런싱을 하는것도 썩 좋지는 않을 수 있을 것같아서요.
테마주나 급등주에 관심 없고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20대인데 포트폴리오 예시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은 시드머니가 적어서 원화25%, 달러25%, 금10%, 한국주식20%, 미국주식20%으로 배분하고 있어요 금과 채권은 박사님 영상 보면서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특히 금은 별로 끌리지 않아서^^; 채권의 장점을 찾아봐야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이전 영상에서 미국 주식, 미국 채권 / 한국 주식, 한국 채권 4종에 대한 투자 말씀을 주신 것을 보고 몇 일 전부터 유사하게 투자를 해보고 싶어서 고민을 하고 있는데요. 혹시 한 계좌에서 미국 주식, 채권은 VTI나 IEF와 같은 '달러로 구매하는' ETF를, 그리고 한국 주식, 채권은 국내 원화 ETF를 구매한다면 말씀 주신 것과 같은 두 국가 간 상관관계 효과를 동일하게 볼 수 있을까요? 이미 달러로 구매한 ETF가 있어서 그대로 가져가고 싶네요...
코로나 이전에는 예적금만이 정답인 것 같이 한 우물만 파는 재테크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시국이 저금리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하면서 점점 투자에 대한 생각이 커지게 되어 작년부터 주식을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하지만 주식도 녹록치가 않아 홍 박사님 말씀대로 달러투자를 비롯한 안전자산을 먼저 꾸려놓고 자산울 불려 나가보려고 합니다. 이벤트로 참여하게 되었지만 해당 책이 시작을 알릴 마중물이 되었으몀 하는 바람으로 댓글 남겨봅니다. 항상 좋은 말씀을 영상으로서 풀어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박사님. 박사님의 여러 영상을 통해 이 포트폴리오를 접하는데 이해가 안되는게 있어 댓글 남겨봅니다. 우리나라 주식은 여러가지 사유에 의해 코스피지수는 박스권에 갇혀서 2000~3000사이를 왔다갔다 하는데 포트폴리오에서 한국주식 25%가 왜 들어가있는지 한참을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 부분을 어떻게 이해를 하면 될까요?
@chunukhong 25
2021년 8월 26일 13:15성장형 안정형에서 골드랑 미국국채 숫자가 잘못들어갔습니다.
표만 틀렸고 다른 내용은 동일합니다.
성장형 : TIGER 미국S&P500 : 25%, KBSTAR 200TR : 25%, TIGER 골드선물(H) : 20%, KOSEF 국고채10년 : 10%, TIGER 미국채10년선물 : 10%, TIGER 단기채권액티브 : 10%
안정형 : TIGER 미국S&P500 : 12.5%, KBSTAR 200TR : 12.5%, TIGER 골드선물(H) : 5%, KOSEF 국고채10년 : 20%, TIGER 미국채10년선물 : 20%, TIGER 단기채권액티브 : 30%
@chunukhong 14
2021년 8월 25일 19:08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이번영상에서는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생각하시는 구독자분의 질문에 답하며 성장형 포트폴리오, 안정형 포트폴리오 그리고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비교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깜짝 이벤트
영상을 끝까지보시고 댓글을 남겨주시는 3분을 선정하여 사인이 담긴 저서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를 보내드리고자 합니다 ^^
당첨되시는 분께는 매주 월요일 18시에 대댓글로 안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저와 함께 경제,투자 공부를 함께하는 홍춘욱 페밀리스터디는 아래 링크롤 통해 확인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홍춘욱 패밀리 스터디 : 우리 함께 돈 좀 굴려봅시다]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ras-hq7eg 10
2021년 8월 25일 19:19올해 S사에서 홍춘욱님 초청 강의듣고 재테크에 눈을 떴습니다. 유튜브로 이런 양질의 강의 무료로 진행해주시는 점 정말 감사드립니다.
DC Premium 8
2021년 8월 25일 19:36올웨더가 안정형이라고 알고있었는데 한국식 성장형과 안정형 포트폴리오를 알려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항상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연금저축계좌에 써먹어봐야겠네요 ㅎㅎ
@몽땅연필-m9y 5
2021년 8월 25일 21:30좀 더 일찍 홍박사님을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믿고 보는 홍박사님 최고입니다.!!
방구석찐따 2
2021년 8월 26일 17:36선생님 강의 및 책 잘보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1. ETF가 다 한국인데 미국 ETF로 해도 되나요?
2. 미국 ETF와 한국 ETF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3. 포트 짜는 총 금액이 2~3억대로 되면, 한국ETF 미국ETF 둘중 어디로 투자해야 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최태영 2
2021년 8월 26일 11:45이제 막 투자를 시작하려 하는 20대 청년입니다. 궁금한게 많아 이것저것 찾아보다보면 오히려 정보가 너무 많아 혼란스럽고 오락가락하는데, 박사님께서 늘 길잡이 역할을 해주셔서 매우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양질의 콘텐츠 부탁드립니다!
@violethudie25 2
2021년 8월 25일 20:10넘나 알찬 내용 감사합니다!! 요즘 포트폴리오에 대한 고민이 컸는데 많은 참고가 될 것 같네요~!!
@ymy9973 2
2021년 8월 25일 21:33항상 강의가 올라오면 바로 봅니다.
이제 사회 초년생인데 열심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
@삐삐-b5e 2
2021년 8월 25일 19:45외모랑 목소리 때문에 챙겨보고있어요. 팬입니다 :)
@shuffle_lover_sys 2
2021년 8월 25일 23:12구체적인 포트폴리오를 알려주셔서 고민에 대한 답을 찾은것 같아 너무 좋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wang Po Lee 1
2021년 8월 26일 00:05항상 좋은 지식을 쉽게 공유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고 싶습니다. 40대 후반 직장인으로서 자산배분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기 시작한지 2년이 좀 지난것 같습니다. 실제 자산배분을 운용해보니, 포토폴리오 비율 정하는 것도 힘들지만, 포트폴리오 비율을 쭉 유지하는 것도 생각보다 많이 힘드네요. 시장 상황에 따라 마음이 흔들리는게 사람이라 어쩔 수 없는 모양입니다.
추천해주신 안정형 포트폴리오에서 미국 국채 비율과 금선물 ETF 비율에 대해서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깁니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안정자산/위험회피 자산으로 미국채권을 꼽는데 안정형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낮은 것 같아서요..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금 선물의 경우는 과거 차트를 보면 다른 자산과 다르게 우상향 하는 모양은 보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대체 자산으로 포토폴리오 내의 효용성은 이해하고 있으나 20%는 너무 많은게 아닌가 싶네요. 혹시 이유가 있으시면 설명 부탁 드리고 싶네요.
혹시 시장 상황이 바뀌면 미국 재권과 금선물의 비율을 수정하실 계획이 있으신지도 궁금하네요.
아침 저녁으로 시원한 바람이 부네요. 환절기 건강 조심하시고,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
@MK-tq5pb 1
2021년 8월 26일 11:46주린이 주부입니다. 올초 박사님 강의 듣고 달러 처음 사보니 이제 경제를 보는 시야가 커지는 것을 느낍니다. 아이키우며 이런 좋은 강의 들을 수 있다니..행복하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
@레버리지-j4w 1
2021년 9월 06일 01:15대기업 1년차 사회 초년생입니다. 박사님 덕분에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자산배분의 중요성과 지식들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 포트폴리오 내용을 참고하여 제 돈을 지키고 불릴 수 있는 방향으로 자산을 잘 운용해보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꾸준-n1z 1
2021년 8월 25일 21:40달러와 원화로 각각 다른 계좌에서 자산배분을 하고 있습니다. 달러계좌의 경우 달러환산 수익률보다 원화환산 수익률이 낮아 아쉬웠는데..
이런 이유가 있었네요. 포트폴리오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eil select 1
2021년 8월 26일 00:42강환국님 유튜버가 책 소개해줘서 알게 되었는데 너무 유익하고 선하시고 ㅜㅜㅜ감사합니다!!
@jiyoung5301 1
2021년 8월 25일 20:27리치고 에서 홍박사님이 안정형운영하고 계시더라구요ㅋㅋㅋ저는 성장형에 아직관심이 더 많습니다.......지금은 대세상승장이 안끝난거같아서 자산배분 중요성이 빛을덜보는데 진짜! 중요하죠....저도 슬슬 자산배분비율 높이려구용♡
@shiny9470 1
2021년 8월 25일 20:04이상하죠? 허허허..
박사님의 웃음소리는 정말 호탕한 매력이..
올웨더 올웨더해서 다좋은 줄 알았는데 원화가치로 환산한 올웨더 수익률이 국내 코스피보다 낮다는게 놀랍네요.
요새 주식공부한다고 주린이가 머리 까지기보다 국내와 해외 etf투자가 삶을 건강하게 만들겠구나...는 생각이 드네요.
박사님의 투자자를 향한 걱정과 진심을 담아 만들어주시는 영상들 언제나 옳습니다.
감사합니다.
올웨더 투자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봅니다.
@hslee8543 1
2021년 8월 25일 22:22막연하게 올웨더가 전천후 포트폴리오라고 생각하고있었는데 기준통화가 원화냐 달러냐에 따라 이렇게 달라질거라고는 생각하지못했네요 오늘도 크게 배웠습니다~
이승원 1
2021년 8월 26일 00:06엄지척이네요
구체적인 ETF까지 예시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내년이면 50이고요 지난달에 이직하며 IRP로 받은 퇴직금 운용을 고민하고 있었는데 눈이 번쩍 뜨이네요 ..
그리고 ISA 로도 투자해야겠네요
하나는 성장형으로 .. 하나는 안정형으로요
교수님은 리밸런싱은 몇개월 단위로 하시나요??
책도 읽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물멍-w2e 1
2021년 8월 25일 19:31재테크는 진짜 몰랐었고 작년에 주식에 발 담궜는데 이거저거 따라하다 요즘 주식만 하기엔 너무 무섭더라고요. 시간날때마다 영상 정주행중입니다 기초가 없어도 쉽게 개념을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빈-z5m 1
2021년 8월 26일 23:03전부터 올웨더의 원화 환산 수익률이 궁금했는데 이렇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핑 1
2021년 8월 25일 21:21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정말 좋은 영상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한 가지 질문이 있다면 대체 투자로 금 대신에 VNQ와 같은 리츠에 투자하는 건 어떻게 보시나요?
@choi-rh5vv 1
2021년 8월 25일 19:57박사님 해박한 지식과 체계적인 설명에 매료되어 박사님 나오는 영상 찾아 보다 채널도 얼마전 있는걸 알아내고 구독 애청중입니다. 달러 보유를 많이 강조하셨는데 달러etf 도 콕 찍어 알려주셔서 답답함이 해소되었습니다. 박사님 계좌를 카피해서 저도 운용하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찬희 1
2021년 8월 26일 01:10박사님 리치고 앱의 안정적 포트폴리오와 비교해보니 올려주신 표의 미국채와 골드의 비중이 서로 바뀐 것 같습니다.
@user-hv3oy2dg95 1
2021년 8월 25일 19:20환율의 변동이 큰 한국에서는 성장형, 안정형 포트폴리오를..!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보고좋으면찍하는찍찍이 1
2021년 8월 25일 22:25안녕하세요 박사님. 항상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현재 20대 후반 직장인입니다.
퇴직연금, 개인연금, 직장연금, IRP에 대한 주제도 한번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연금저축펀드로 투자를 하라고 하는데 어떤 상품이 좋을지 너무 고민됩니다..
@이기영-m8z9o 1
2021년 8월 25일 19:13이채널에서 이게 가장 좋은 정석적인 영상이네요
@H랏차 1
2021년 8월 27일 14:59좋은 포트폴리오 소개 감사합니다.
이런 현실적인 포트폴리오 조언을 분기나 반기마다 정기적으로 업로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홍선생님 킹왕짱 입니다..ㅎㅎㅎ
@ask_ilyoto 1
2021년 8월 26일 12:42디플레 전쟁을 감명 깊게 읽고, 구독자가 되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고민해 봄 직한 케이스 중심으로 콘텐츠를 만들어 주셔서 다른 유투버와 차별화 된 점 너무 좋게 보고 있어요 ^^
( 5:12 ) 최근 ISA 계좌를 만들고, 미국ETF를 직접 투자할 수 없어 어떤 포트를 만들까 고민이 었는데, 본 콘텐츠를 보니 정답을 말씀해주시는 것 같아 바로 실행해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
흐르는강물 1
2021년 8월 27일 10:02항상 박사님 방송 감명깊게 보고있습니다. 이번 달러와 원화의 마이너스상관관계를 이용한 투자설명도 감동이었습니다.혹시 금선물대신 KRX금현물로 대체하는건 괜찮을까요?
@Hanjulog 1
2021년 9월 09일 23:52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이 달러투자와 이 포트폴리오를 같이 볼때인데요, 다른 영상에서는 달러투자로 예금-달러etf-해외etf(nvq.ief)순으로 달러를 모으고 환차익을 보면 국내주식을 사는 방식으로 보았는데 이 포트폴리오와 별개로 달러투자를 해야하는걸까요? 아니면 이 포트폴리오 안에 있는 미국 주식,국채를 달러투자로 봐서 달러환율에 오르면 포트폴리오 안의 비율에 맞추어 미국주식을 팔고 한국주식을 구매하는걸로 봐야하는지,,,.
그리고 포트폴리오에서 국내상장된 해외지수추종etf를 하면 환차익과 같은 효과를 볼수 있는건가요?
@rainer6574
2021년 8월 25일 21:20박사님을 10년전에만 뵐 수 있었다면 ㆍ ㆍ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공부 하고 있습니다 ㆍ 이해하기 쉽게 진솔하게 알려 주시니 너무나 감사합니다 ㆍ♡♡♡♡
@유병문-w4q
2021년 8월 25일 19:19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자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yunheekim2017
2023년 10월 10일 08:38안녕하세요 박사님, 박사님 강의를 듣고 미국에 살고 있는 저는 한국에 계산 분들과 반대로 지금 한국에 혹은 원화에 투자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위 쌀때 사는... 그런데 미국에 있으면서 개인이 한국에 투자하는게 쉬운게 아니네요. 한국에 계좌를 만들수도 없고.... 미국에서 한국시장에 투자하거나 원화에 투자할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선해-e9y
2021년 8월 27일 21:51교수님~ 대구 623버스 탔는 데요~!
교수님 목소리 나와요!!!! 버스기사아저씨가 교수님꺼 틀었어요 라디오인지 뭔진 모르겠지만^^; 인플레이션카고~국민연금스타일의 자산 운용 방법 등등 ㅎㅎ
인제 버스에서도 나오시네요?!^^ 목소리 반가워서 댓글남겼어요!!!
@clipclade
2021년 10월 19일 09:06좋은 자료 같고요,. 직접 벡테스트를 돌려봐야겠네요. 제 눈으로 봐야 돈을 움직일 수 있겠져? ㅎ
@k_8948
2021년 8월 25일 20:03오늘 박사님의 저서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퇴근후에 서점가서 샀습니다. 영상도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nelrilky
2021년 8월 26일 07:08한 눈에 확 보이네요^^~
감사합니다.
@lnh8806
2021년 8월 25일 23:38항상 박사님의 영상으로 재미있게 공부하고 있고 저서또한 잘 읽어보았습니다. 박사님께서 추천해주신 달러 스위칭 전략 또한 매월 달러를 적립하는 형태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손을 대지 못하는 수준까지 올라왔지만 현재 제가 할 수 있는 방법에 충실하고자 합니다 언젠가 기회가 찾아왔을때 기회를 잡을 준비를 하면서요!!언제나 좋은 방향 제시해주시어 감사합니다 ^^
@잠잠하게
2022년 1월 05일 15:39박사님 안녕하세요.
혹시 골드선물환헷지와 이번에 나온 krx 금현물중에는 어떤것이 나을까요??
나온 이후로 계속지켜보고 있는데 금현물이 수익이 더 좋은 것 같아서요. 감사합니다
@MUUUNG325
2021년 8월 25일 22:42영상 항상 잘보고 있어요.
저도 40대후반 포트폴리오
고민이 많은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또, 실제 해보고 있습니다.
저도 성장형을 표본삼아 조금씩 해보겠습니다.
이코노미스트님 신간책 받아보고 싶습니다^^
2년 남은 40대 마지막 시간을 함께 하겠습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
일상 자각 :Daily Awareness
2021년 8월 25일 20:57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이제 이걸 어떻게 실행할지 고민하고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항상 건행하세요!! ^^
SS Choi
2021년 8월 25일 19:18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국 미국 주식 5대5 배분을 추천해주셨네요. 개미는 오늘도 뚠뚠에서 김프로님은 미국시장과 한국시장 크기가 차이가 나니 미국에 더 투자하는게 맞다고 하시던데 교수님은 한국시장이 커질 가능성을 더 높게 보시는 건가요?
그리고 저는 etf에서 동일가중과 시총비중 둘중에서도 고민하는데 어떤 방식이 더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b7442
2021년 8월 25일 22:58저는 한국주식만 넣었다가, 6개월정도 전부터는 '미국주식 , 한국주식 , 골드' 이렇게 1:1:1로 하고 있네요.
한쪽에서 깨져도 다른 쪽에서 좀 받쳐주니, 어찌어찌 수익 구간이라... 새삼 포트폴리오의 중요성을 크게 느낍니다.
언젠가는 박사님이 포트폴리오 구성해 주시는 것처럼 좀 더 다양하게 안정적으로 구성해보고 싶네요.
방귀대장뿡뿡이
2021년 8월 25일 19:28안녕하세요 박사님 저는 30대 청년으로 요즘 박사님 채널에 와서 많은 깨달음을 얻고 있습니다. 최근에 연금저축에 대해 알게 되어서 장기 성장형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자 하는데 이렇게 구체적인 예시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chan-nv7bx
2021년 8월 25일 23:49저도 올웨더 추종하고 있습니다.
아직 30대라서 주식비중을 많이 높여놓은 상태이구요.
한국/미국 주식 반반으로 가져가는 전략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채권과 원자재를 가져가니 하락장에서도 낙폭이 심한 것 같지 않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Eddie Park
2021년 8월 25일 20:25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meinua
2021년 8월 26일 02:21좋은말씀 항상 감사드려요.. 책 읽어보고싶어요.
bean Shim
2021년 8월 25일 22:36너무 좋은 강의입니다.....
JS A
2021년 8월 25일 21:52좋은 인사이트 항상 감사드립니다!! 항상 친절하게 답변도 남겨주시고 곧 100만 가실텐데 힘드시겠어요 ㅎㅅㅎ 항상 건강하시고 파이팅입니다!
임옥선
2021년 8월 26일 08:47정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새기고 갑니다.🙇
위드네이처
2021년 8월 28일 14:3140대라 공감하는 내용입니다.~~ 어려운 투자시기이네요!!
조한슬
2021년 8월 25일 21:14이제 졸업반이 된 대학생입니다. 미리 공부해놓고 투자할 자본이 모였을 때 가르침을 적절히 실행에 옮겨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S B
2021년 8월 25일 23:47교수님 강의 이제 입문했습니다.
동영상 하나하나 정독해서
돈 공부 열심히해보겠습니다
초보자를 위한 영상 부탁드립니다
이패뜨
2021년 8월 26일 13:39박사님, 항상 영상 잘 보고 공부 하고있습니다. 영상 보던중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일부 달러자산도 가지고 있고 싶어서 현재 미국S&P500은 SPY로, 미국채는 TLT로 보유 중입니다.
혹시 박사님께서 포트폴리오로 추천해주신 비중을 꼭 국내상장 ETF로 가져가야하는지 궁금하며
TLT는 20년 이상 장기국채 ETF인데 미국채 10년물을 추천하시는 이유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오히려 환차익과 자산군별 상관성을 생각하면 미국주식을 해외상장 달러 자산으로 보유하는게 더 좋을 것 같아서요.ㅜㅜ
아르미
2021년 8월 25일 20:32양질의 강의 감사합니다.박사님
Kelly K
2021년 8월 25일 21:06선생님,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박빵
2021년 8월 25일 19:33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저도 50대라 박사님 말씀이 더 와닿네요~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
@박제영-k4s
2021년 8월 25일 20:48경제적 독립을 꿈꾸며 공부하던중 자산배분의 의미를 다잡아 가고 있었는데 감사한 정보 알아갑니다 소소하게라도 낼 당장 적용해 봐야겠습니다
빙구르르
2021년 8월 25일 20:17이 영상은 박사님이 말씀하신 달러자산의 개념, 우리 국민의 노후를 책임져야하는 연기금의 투자 방식, 경기 흐름에 따른 투자 전략이 총집약된 내용이네요..저는 20대라 아직 채권을 갖고있지는 않은데 앞으로 경기 흐름을 보며 조금씩 국채도 매수해야겠습니다. 저는 이 포트폴리오를 홍춘욱 포트폴리오라고 부르려고 합니다~
Beom
2021년 8월 29일 16:34안녕하세요 선생님. 영상 꾸준히 잘 보고 있습니다. 조심스런 의견이지만 백테스트 기간이 너무 짧아서 올웨더보다 낫다라고 하기엔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2005년부터만 백테스트 돌려봐도 MDD가 꽤 높게 나옵니다. 다른분들도 한번 직접 백테스트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사나래
2021년 8월 25일 22:27홍이달리오의 시대인가요. 미국-한국의 간명한 조합만으로도 꽤나 안정적인 포트를 구성할 수 있는게 신기합니다.포트폴리오는 솔직히 복잡하게 여러자산을 섞을수록 더 안정적이지 않을까했었거든요. 간단한 구성으로 일반인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알찬 포트 구성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포트의 리밸런싱은 보통 어느정도의 기간마다 해주는게 합리적일까요? 너무 자주 리밸런싱을 하는것도 썩 좋지는 않을 수 있을 것같아서요.
@지석강-l6u
2021년 8월 26일 06:11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무지개나라 TV
2021년 8월 25일 21:06오늘 유익한 영상 만들어 주셔서 잘 봤습니다.
가즈아
2021년 8월 25일 21:08구체적인 etf까지..감사합니다!
@investorc9764
2021년 8월 26일 08:08박사님 항상 잘 보고 있답니다.
꾸준히 응원하겠습니다!
아밥코인
2021년 8월 26일 07:09오늘도 2차적 사고를 하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2021년 8월 27일 13:22어제 여쭤본 내용이 여기에 다 들어있었군요~정말 양질의 컨텐츠의 영상 감사합니다.
뷔페러버
2021년 8월 26일 11:04박사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은 주기를 어떻게 잡는게 좋을까요?
카이지Kaiji
2021년 8월 25일 21:36홍박사님은 공부 잘하는 이웃집 형 같아요. 친하게 지내고 싶어요. ^^
dh fp
2021년 9월 07일 06:36추가적인 질문은 리밸런싱 매도 등의 목적으로 거래가 발생 시에 생기는 수수료 등의 비용 문제가 수익률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을런지요?
아리아리
2021년 8월 27일 18:58♡♡♡♡♡박사님 귀여워요♡♡♡♡강연도 너무 조아요♡♡♡
underthein
2021년 8월 25일 21:23잘 봤습니다. 올웨더에 관심있어서 올웨더ETF RPAR에 관심갖다가 성과가 영 별로여서 투자 안 했는데 좋은 선택이었네요
Jeong Moon Yi
2021년 8월 25일 22:36Etf도 상장폐지가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현존하는 etf 중에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있는 상품은 어떤 것일까요
DJ Lee
2021년 8월 26일 07:22중간에 올려주신 안정형 성장형 포트폴리오는 리치고 포트폴리오이죠? 챠트에 미국채와 골드가 뒤바뀌어 있는 것 같습니다.
Matt Moohyun Shin
2021년 9월 04일 09:20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마지막에 보여주신 수익율과 같은 자료는 리밸런싱을 어떤주기로 했을때의 수치인지 알 수 있을까요? 개인투자자로서 리밸런싱을 자주하기 힘들거라서 여쭙습니다.
Deok Won Jeong
2021년 8월 25일 21:07안녕하세요! 30대 중반의 직장인 입니다. 여러 컨텐츠들을 접해봤는데 홍춘욱님 강의가 최고 입니다!! 바로 달러 사서 모아놓고 있습니다ㅎㅎ 만약 당첨돼서 책을 받는다면 제 지인들과 회사 동료분들에게도 꼭 추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ㅎ
최진웅
2021년 8월 26일 10:53분산투자에 대해서 항상 고민이 많았는데 이렇게 확실한 해답을 알려주시는 홍박사님 항상 감사합니다! 변치않고 꾸준히 모아가겠습니다 저는 30대라서 성장형으로 갑니다!!
ramuguet
2021년 8월 25일 20:28업뎃이 될 때마다 집중해서 구독하고 있지만 이렇게 댓글을 남기는 건 처음인것 같습니다
알려주신 방법 대로 환전도 틈틈이 하고
기존엔 편향된 방법으로 성장주 투자만 했었는데, 지금은 국내해외 주식 채권 리츠 성장주 잘 나눠서 투자하기 시작했습니다
좋은 컨텐츠 올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꾸벅
또멕
2021년 8월 28일 22:41테마주나 급등주에 관심 없고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20대인데 포트폴리오 예시 정말 감사합니다 아직은 시드머니가 적어서 원화25%, 달러25%, 금10%, 한국주식20%, 미국주식20%으로 배분하고 있어요 금과 채권은 박사님 영상 보면서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특히 금은 별로 끌리지 않아서^^; 채권의 장점을 찾아봐야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HH
2021년 8월 26일 22:05항상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이전 영상에서 미국 주식, 미국 채권 / 한국 주식, 한국 채권 4종에 대한 투자 말씀을 주신 것을 보고 몇 일 전부터 유사하게 투자를 해보고 싶어서 고민을 하고 있는데요. 혹시 한 계좌에서 미국 주식, 채권은 VTI나 IEF와 같은 '달러로 구매하는' ETF를, 그리고 한국 주식, 채권은 국내 원화 ETF를 구매한다면 말씀 주신 것과 같은 두 국가 간 상관관계 효과를 동일하게 볼 수 있을까요? 이미 달러로 구매한 ETF가 있어서 그대로 가져가고 싶네요...
하나
2021년 8월 26일 12:56귀한 영상 매일 볼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박사님.보유하고 있는 현금을 달러로 바꿔서
보관하려고 합니다
귀하신 조언 부탁드립니다
@NPCnumber-d7r
2021년 8월 26일 17:34경제성장 증가- 주식, 회사채, 원자재,금 등
경제성장율 하향- 미국채, 물가연동채 등
인플레이션 - 원자재,금,물가연동채
디플레이션 - 미국채,경기부양기대로주식 등 강세
@leelleel11
2023년 9월 20일 17:10구독했습니다..좋은 내용 고맙습니다.
이 글을 보실지 모르겠는데, 40대를 위한 내용도 많이 만들어주세요~~~늦었다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그렇지 않다고 말씀 좀 많이 부탁드립니다~~~
@HelloHi-nq7um
2021년 8월 26일 17:39올웨더 전략
1. 경제성장기
- 주식, 회사채, 원자재, 금
2. 경제성장율이 낮아지는 시기
- 미국채, 물가연동채
3.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는 시기
- 원자재, 금, 물가연동채
4. 디플레이션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는 시기
- 미국채, 주식(경기부양에대한 기대)
홍박사님의 성장형 포트폴리오
1. 미국주식(25%) - TIGER 미국S&P500
2. 한국주식(25%) - KBSTAR 200TR
3. 미국국채(10%) - TIGER 미국채10년선물
4. 한국국채(10%) - KOSEF 국고채10년
5. 금(20%) - TIGER 골드선물(H)
6. 현금(10%) - TIGER 단기채권액티브
@seungjunlee4545
2021년 8월 29일 22:00코로나 이전에는 예적금만이 정답인 것 같이 한 우물만 파는 재테크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시국이 저금리 시대로 접어들기 시작하면서 점점 투자에 대한 생각이 커지게 되어 작년부터 주식을 시작하게 되었는데요. 하지만 주식도 녹록치가 않아 홍 박사님 말씀대로 달러투자를 비롯한 안전자산을 먼저 꾸려놓고 자산울 불려 나가보려고 합니다. 이벤트로 참여하게 되었지만 해당 책이 시작을 알릴 마중물이 되었으몀 하는 바람으로 댓글 남겨봅니다. 항상 좋은 말씀을 영상으로서 풀어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jenemiaInKorea
2021년 8월 26일 14:13"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책과 다른 영상에서 소개해주신 달러<->한국주식 스위칭전략과 이번 영상의 안정형 포트폴리오와 다른것으로 이해 하였습니다.
스위칭전략은 달러의 시세에 따라 리밸런싱을 하는 것이고
안전형 포트폴리오에서는 리밸런싱없이 쭉 가는 것 처럼 보이는데요.
두 전략을 합쳐서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안정형 포트폴리오"에서 달러의 가치에 따라 주식/채권 안에서 미국/한국의 자산배분을 +- 조절을 하게 되는 걸까요?
@87nhs
2021년 8월 25일 19:40디플레 전쟁을 읽고 연금을 보험에서 증권사로 옮겨 투자중입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 봤구요 분산투자로 달러와 미국etf 투자 꾸준히 하려고요
@cheeseballminju
2021년 12월 21일 20:29박사님. 박사님의 여러 영상을 통해 이 포트폴리오를 접하는데 이해가 안되는게 있어 댓글 남겨봅니다.
우리나라 주식은 여러가지 사유에 의해 코스피지수는 박스권에 갇혀서 2000~3000사이를 왔다갔다 하는데 포트폴리오에서 한국주식 25%가 왜 들어가있는지 한참을 생각해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 부분을 어떻게 이해를 하면 될까요?
@Yjy00751
2022년 11월 14일 13:44다음 포트폴리오의 경우 짧은 백테스트 기간, 최근성 편향으로 인해 과최적화를 불러올 수 있지 않을까요? 어쩔 수 없을까요 궁금합니다..
@한걸음1
2022년 5월 03일 09:40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있어요ㅎㅎㅎㅎ짠부님 영상에서 처음 박사님 뵙고 그 후로 욕심이나 막연한 희망이 아닌 합리적인 선택으로 잃지않는 투자에 감명 받았습니다요ㅎㅎㅎ
혹시 예적금과 중금채의 경우 말씀하신 포트폴리오에 대체 되는게 있을까요??
청년희망적금과 은행 중금채를 진행하던게 있어서요. 청년희망적금은 대체투자(골드,단기채권액티브)에! 은행 중금채는 채권(한국 국고채)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요.
@Dongkeun82
2022년 8월 15일 10:32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해당 비율대로 ETF를 구매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비율이 분명 달라질텐데, 리밸린싱 주기는 어떻게 가지고 가야 하는지요?
@행복하자-h5s
2021년 8월 25일 19:56캡쳐해놓고 참고해가면서 포트 구성하려구요
정보홍수라 여기팔랑 저기팔랑했는데
방향을 잡게끔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seoungjajo9795
2021년 8월 25일 19:55전 책을 통해 박사님을 만나 공부하고 있는 50대입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알게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