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상의 전환을 통해 기후위기를 기후기회로 바꾸는 방법 | 오명환 한국에너지공과대학(KENTECH) 환경기후기술 연구소 교수 | 세바시 1392회
이 영상은 한국에너지공과대학(KENTECH)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영상입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유학시절 불확실한 미래때문에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이 영상은 한국에너지공과대학(KENTECH)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영상입니다.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유학시절 불확실한 미래때문에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강윤진-d2k 25
2021년 8월 31일 00:23오명환님 강의를 들으니 그나마 안심이 됩니다. 저는 한식당을운영하고있는데 음식을 만들어요리하는과정에서 쓰레기가 하루 40리터이상 나와서 고민이 많았습니다. 식당을 그만하고싶은생각도 들었습니다. 나한명이 이렇게매일 쓰레기를배출하는데 전국민이, 전 세계가 배출하는양은 또얼마나 많을까 걱정됐거든요. 과학기술이 정말 더 발달되고 연구되어져서 모두 해결되었으면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존경합니다.든든합니다.
@hmkim8377 20
2021년 8월 30일 23:38친환경 건축 전공인데, 건물에 탄소포집기술 이나 인공광합성 기술을 접목하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을 10년째 하고 있습니다 ㅜㅜ 향후 5년안에 접목하고 싶네요 ㅠㅠ
@서경훈-t3v 11
2021년 8월 30일 19:31위기를 기회로 생각하고 환경을 보호하며 작은 일상에서부터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일 것을 이 영상을 보면서 다짐하고 새기게 됩니다.
@이슬아-m3z 11
2021년 8월 30일 19:34세상이 정말 조금 더 나아지면 좋겠어요. 이를 위해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는 강연 많이 만들어주세용
@salsalm9294 11
2021년 8월 30일 18:58위기 = 위험 + 기회
근본 원리부터 다시 시작..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처럼, 위기를 기회로 삼는 연구 개발을 기대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해 어떻게 무엇을 할지 가이드를 하나 얻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rkk89 10
2021년 8월 30일 21:43오랜만에 개념있는 강의였다.
@jaynan955 10
2021년 8월 31일 19:28교수님 목소리도 너무 좋으시고 훈훈하시네요.
지구탄소순환에 대한
어려운 내용을 쉽게 잘 설명하시네요.
교수님 연구가 잘 실행되면 너무 좋겠어요.
우리나라가 새로운 강국이 될 것 같아요.
세바시강연이 요즘 비슷비슷한
자기계발서 같은 내용이 많았는데
오랜만에 지적자극을 주는 좋은 강연이었습니다!!
@fndakchah1102 9
2021년 8월 31일 12:44기후변화 우리나라도
국가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국민도
참여하는 캠페인이라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이라도 아파하는 지구를 살리자는 강사님의
강연에 100%공감합니다
같이 함께 지구를 살립시다
@thatday-v2p 7
2021년 8월 30일 22:01지구에서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정말 중요한 문제들
간과하고 있는 기후변화 환경문제 힘써주시고 계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좋은 결과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한국에도 인류발전에 도움을 줄수 있는 노벨상 수상자가 조만간 나왔으면 합니다.
@RainSound222 7
2021년 8월 30일 21:53Everyone who sees this: You’re beautiful, and never give up your dreams, you are on this world for a reason!❤️
@TV-js6fh 7
2021년 9월 02일 23:192022년 곧 개교를 앞둔 나주 빛가람 켄텍의 교수님을 세바시에서 만나니 반갑습니다. 탄소순환을 위해 탄소회수기, 이케미컬이란 게 있다니 넘 반갑네요! 저는 나주에서 생협활동을 하며 석탄발전과 축산업으로 인해 배출된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로 인해 생태계가 위기에 처해있음을 체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기후기술을 연구하고 계신 분들이 계시다니.. 정말 기후위기 시대에 히어로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교수님!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노플라스틱 캠페인에도 관심갖고 함께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교수님의 노력과 연구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sebasi15 6
2021년 8월 30일 18:33✻ 강연자의 강연 소개 : 유학시절 불확실한 미래때문에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발상의 전환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기회로 바꾼 이야기를 세바시 팬 여러분에게 전하고자 합니다.
✻ 오명환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혜택/커리큘럼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gAQXT6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세바시 유튜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강연은 물론 멤버십 전용 콘텐츠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dlkcjv 6
2021년 8월 30일 20:46강의 잘 들었습니다. 자연과 과학의 정교함은 언제 봐도 신비롭고 대단한 것 같습니다. 야드빈더말히 박사님의 말씀 또한 인상깊습니다. 거대한 지구의 탄소 순환을 어지럽힌 우리의 과거는, 반대로 지금의 기후 위기를 복구시킬 만한 인간의 잠재능력과 힘을 반증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 인류는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거라 확신합니다. 인공 광합성, 이산화탄소의 탄소화합물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가 좋은 결과로 이어지길 기대해봅니다.
화타TV 주식급등 5
2021년 8월 30일 20:02발상의 전환 자체가 하기가 힘든거에요.
남들 못보는걸 보고
남들 생각못하는걸 하는게
쉬운게 아니지요. 하지만
고민하고 또 고민하다 보면 "아!" 하는 순간있음
@tylee4996 5
2021년 8월 30일 22:32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갑니다. 태양열, 탄소포집기술에 대해 공부를 더 해보고싶네요
@kooster91 5
2021년 8월 30일 19:09탄소배출 뿐만 아니라, 탄소 회수, 포집이 가능하고, 또 이렇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네요.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Kentech 대학 웅원합니다!
@jaynan955 4
2021년 8월 31일 19:12기후위기를 색다른 관점으로 보셨네요.
@김선달-i6d 4
2021년 8월 31일 11:03제1원리...ㅎㅎ 우리나라가 더 발전된 기초과학을 가지고 있길 바라지만 이제는 어느나라던
지구를 구할 발명이 나와야 할 때인가봅니다
그만큼 지구가 위험수위에 다다랐다는
얘기겠죠?나는 지금 이 시점에 무얼해야하나?
깊은고민에 빠져듭니다...
@sorakoreanbuddy3990 4
2021년 8월 31일 09:20대기 중에 누적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밀도가 높은 탄소화합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합니다.
교수님 말씀대로 기존에 배출되었거나 앞으로 나올 이산화탄소를 재활용해야 전체 대기의 순환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올 수 있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어요. 단순히 생활속 탄소배출을 줄이자라는 생각만 했는데, 제1원칙에 입각해 탄소의 순환을 회복시킬 기술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는 것도 놀라운 사실이네요.
나무처럼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기술, 이산화탄소를 메탄 등 새로운 화학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이 등장하여 탄소의 순환을 회복하자는 과학기술계의 노력과 더불어, 이것이 기후위기 조차도 기술로 해결될 수 있다는 기술 만능주의로 귀결 될까 한편으로 우려되는 마음도 있습니다. 탄소 배출량 자체를 줄이는 기업과 개인의 노력과 동시에 이상화탄소 포집 및 전환 기술도 함께 발전되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강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희정-i4r 4
2021년 8월 31일 07:07기후 변화로 위기가 찾아오게 되었을때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근본적인 문제를
찾아 기본 원리부터 해결하려고
발상의 전환하기 쉽진 않은 일이죠
어렵게 느껴지기도하지만 여러가지 어떤
일을 시작해야 할지 생각하게 되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youremyuniverse 4
2021년 8월 30일 19:07저의 일상을 돌아보았습니다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기에 저의 작은 행동과 실천이 지구 에너지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기억하겠습니다 제1원리에 인생을 거신 교수님의 연구를 항상 응원합니다 좋은 강연으로 영감을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yaj3782 4
2021년 8월 31일 14:17기후 위기가 거꾸로 기회가 될 수 있다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yomi1206 3
2021년 8월 31일 02:59좋은 강연 너무 감사해요
@Jungsoosuh 3
2021년 8월 31일 06:56강의 잘 들었습니다. 기후위기를 극복한다고 하면서 아주 좁은 시각을 가지고 자기가 속한 범주 내에서 영역싸움이 계속되고 있어 대중들이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식물의 광합성을 잘 활용하는 것이 온실가스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인공 광합성 연구를 통해 인류의 식량문제를 해결한 하버-보슈법 간은 훌륭한 발명을 해주실 기대합니다.
@최단비-m8v 3
2021년 9월 01일 20:15깔끔하고 유익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평소에도 환경에 관해 관심이 많지만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과 별개로, 이공계 졸업자로서 환경에 관해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에 관해 고민이 많았습니다. 교수님 강연을 듣고 이산화탄소를 탄소화합물로 바꿔야 한단 것, 태양열을 가능한 많이 활용해야 한단 것 등 실질적인 답변을 들을 수 있어 너무나 유익했습니다.
짧은 강연인데도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는데 책으로 더 많은 정보 접해보고싶어요.
마지막으로 교수님 포함 세계 환경을 위해 힘쓰시는 분들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니를내가사랑한데이 3
2021년 8월 31일 13:31태양에너지가 풍부한 우주에 엄청난 크기의 인공위성을 띄워 태양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고 ,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지구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영화가 생가나는군요,
좀더 현실적이고 실용가능한 탄소포집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요?
탄소는 헤머글로빈처럼 특별하게 흡착하는 물질이 있는지요?
@100613s 3
2021년 8월 30일 21:50이산화탄소를 줄이는거는 당연한거 아니에요?
당연한 발상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이거 편집하시는분, 기후 위기 시대, 이것에 투자하세요. 도대체 어디에 투자하라는건가요?
썸네일 막쓰네 ^^..
강연 내내 신규 기술을 알게되서 좋았지만 뭐를 말하려고 하는지, 정확히 어떤 포인트인지 모르겠네요.
@babysciencetv 3
2021년 9월 01일 09:31썸네일을 잘 뽑으신 것 같아요. 이런 환경 주제는 일단 대중의 관심을 유도하기 쉽지 않은 게 사실 현실이잖아요. 일단 들어보면 나의 생각을 바꿀만한 메시지가 분명 있는데, 그 메시지를 사람들이 애초에 듣게 하기가 참 어렵죠. 이 영상의 썸네일은 환경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도 클릭해보고 싶게 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께 환경에 관심을 더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 같네요! 잘 봤습니다.
@봉명숙-g8k 3
2021년 8월 31일 07:04언젠가 독일의 환경운동에
플랏틱
푼리수거부터였더라구오ㅡ
우리나라
쓰래기 분리수거 너무 헛점이많아요
체계적인 대책이필요하다생가합니다
@user-sz1cu3vp1p 2
2021년 8월 30일 19:14강의 감사합니다
지금 일론 머스크에 대한 책을 읽고 있어서 좀 더 와 닿네요
기후나 자원의 한계에 맞서
일류를 위해 연구하시는 모습이 멋지십니다^^
@코코넛은말리부 2
2021년 9월 07일 00:58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에너지원으로 쓰는 기술은 정말 흥미로운 기술 같습니다! 강연을 듣고 풍력, 수력, 태양열등 대중적인 친환경에너지만이 아닌 다른 친환경기술도 설명해주셔서 좋았습니다!
@제임스-m1z 2
2021년 8월 30일 22:26질문입니다. 환경을 생각할때. 손수건 빨아쓰는거랑 일회용 휴지쓰는거랑 어떤게 더 환경을 생각하는 행동인지? 전기자동차보다 기타연료 사용 자동차가 더 환경 파괴인지? 궁금합니다. 어차피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배터리 충전을 위해 전통적 발전을 해야하는데 과학적 근거에 의한 비교 우위? 분석을 알고싶습니다. 과연 어떤 것이 더 친환경적일까요?
@양동욱-u1s 2
2021년 8월 31일 02:11시청소감: 탄소포집이나 인공광합성 등의 시설 구축에도 탄소배출이 많을텐데 비교해서 다루어지진 않아서 아쉽습니다. 그리고 제목에 "기후위기, 이것에 투자하세요" 라는 말의 저변에는 환경문제를 자본시장의 테두리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으로 인식되므로 교육 컨텐츠 제목으로는 적절치 않다라고 한 시민의 소감을 올립니다.
@sunkim4184 2
2021년 9월 06일 09:11교수님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기후환경위기 요새 정말 심각하게 다가오고 있었는데, 우리나라 탄소포집연구가 새로운 기회라니 미래가 기대되네요! 앞으로도 멋진 연구 부탁드리겠습니다~
@jinsekim1765 2
2021년 9월 03일 13:32형님 멋져요~!!:) 좋은 톡 감사합니다!!!
@empirekorea 1
2021년 9월 01일 00:46기후변화도 인간이 만든것이기 때문에 국가간의 이해도 문제이고 각 국마다 자체 기후 나 생활에서 나오는 오염을 줄이는 방안이 중요하며 중국의 오염을 제재할수 있도록 타국과의 유대 관계를 개선하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응원드립니다♥
♥구독 ✅ 좋아요👍알림🔔 꾸욱👇은 기본입니다♥
@행복에너지권선복 1
2021년 8월 30일 22:15기운찬 행복에너지 선한영향력과 함께 긍정의 힘으로 마법을 걸어 보내 드리겠습니다 아라차차차 영차아
@jcj9267 1
2022년 11월 01일 11:18최고에요 👍
@Filia7-m2f
2021년 9월 04일 13:23기후위기로 인하여 화성으로 가서 살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지구의 기후 위기를 초래한 지구인들이 화성에 가서도 기후 위기를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이 있을까요? 지구의 기후 위기를 넘어 미래 화성에서까지 기후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있나요? 수많은 기후위기 해법이 있는데 어떤 기후위기 해법이 최상인지 궁금합니다. 개인이 일상에서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실천할 가장 작은 일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일론 머스크의 말과 행위들을 예로 들어 말하는데요~ 일론 머스크의 가상화폐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는데요~ 돈을 버는 것이 목적인 기업가 일론 머스크의 말 말 말을 신뢰해도 될까요?
색색티비 구글검색
2021년 9월 14일 14:08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고 채널 대박 나세요 잘보고 감니다 ~
@peterjun8889
2021년 10월 14일 23:1012분부터
@jspark3529
2021년 9월 02일 08:05교수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
@장철환-k1c
2022년 7월 26일 14:52불확실한 미래는 누구나 있습니다.
불안하고 걱정이 많아지죠.
하지만 그것을 이겨냈을 때 어른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래는 가만히 있어도 오고 맞이하고 싶지 않아도 맞이해야 되는 순간이 오니까요.
불안함을 기회로 전환한 강사님이 너무 멋있습니다.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