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말까지 서울 최대 17% 하락 가능성 (김경민 서울대 교수, 하버드 박사)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user-kj3js4lg4u 291
2021년 9월 08일 23:48전세가가 빠지는게 무섭다는 신사인당님..다주택 투자자 입장에서 솔직히 반응하시네요. 무주택 서민들은 전세가, 집값 내리길 바라는데..님은 아니시죠? 신사임당님은 차라리 솔직하게 반응했지만...대부분 부동산채널을 운영하는 분들이 다주택자이기 때문에 그입장에서 유리한 방향으로 방송할수밖에 없다는 걸 분명히 알고 판단해야 할듯합니다.
Rma 148
2021년 9월 08일 23:53ㅋㅋ 자기 좋을대로 생각하는 사람들.
집산 사람들은 떨어진다는 뉴스에 엄청 민감하게 아니라고함.
없는사람들은 떨어진다는 뉴스 엄청 좋아하고.
뚱둥이 148
2021년 9월 09일 00:18하락론자 나오면 다들 날뛰네 ㅋㅋㅋㅋㅋㅋㅋ시간이 말해주겠죠 궁금하댱
TK Lee 136
2021년 9월 09일 01:19반토막되도 비싸서 못산다는..
@dreamssong 136
2021년 9월 08일 23:49추세가 정체로 가는건 맞는것 같음.
부동산은 장기 우상향은 맞으나 내가 견딜 체력이 있느냐 아니냐 차이.
지금은 누구도 안팔것같지만 사람의 상황은 제각각이라 그 어려운 상황이 많아지면 분위기 바뀌는건 시간 문제인듯요.
부여 잡고 가고 싶으면 현금흐름을 점검해야 할 듯 하네요;;
@seannh8123 133
2021년 9월 13일 14:14문제는 하락하기 시작하면 수요자는 거의 없어지고 상승이 어디까지 일지 몰랐듯이 하락도 생각보다 더 오래 많이 떨어짐
@suhyunlee7989 123
2021년 9월 09일 08:39부동산 상승장 후반부라고 지난번 부룡님도 그러셨죠. 조심하기 시작해야 되는 시점은 맞다고 봅니다.
차트분석에서도 거래량 줄고 신고가 나오면 고점신호이니 단기 투자 수요는 조심할 시점, 실거주 장기투자는 입지 위주로, 대출 가능여부 보고 들어가면 좋을 듯 하네요.
@hanwave 121
2021년 9월 09일 01:52무주택자던 유주택자던 모두 자기 생각하고 싶은대로만 생각하는듯ㅋㅋ 그렇게 생각하는 것까지는 상관없는데 다들 상대방 의견을 비판하는게 아니라 조롱하고 비난하는게 문제임…
김민수 96
2021년 9월 09일 01:16하락은 당연히 오는거지만 다시 상승을 기대하기 때문에 좋은 매물을 고르는거지
Total_6's 92
2021년 9월 08일 23:40경제학자중 드물게 돈 벌었던 존케인즈도 사실은 명함만 경제학자지 인간 심리를 꿰뚫어보는 심리학자였음.. 경기예측 제일 못하는게 경제학자임
@user-dp2uu7so7j 91
2021년 9월 09일 03:09제가 몇년전 부동산전문가 6명이 나와서 부동산 상승.하락 이란주제를 가지고 토론을하던데 상승 3 하락 3 이렇게 결정을 짓고 프로그램 끝나던데 지금 결국엔 대폭발해버렸습니다. 지금 느낍니다 ㅋㅋ 전문가들도 의견이 나뉘지만 시간이지나면 상승한다는 것을…
CK H 85
2021년 9월 08일 23:56근데 경제학자가 맞추는것도 중요하지만 펀더멘탈을 말해주는게 중요합니다 심리가 더 크다 할지라도 펀다멘탈 대비 심리인거에요 펀더멘탈로 수렴 할 가능성이 큽니다 타이밍이 핵심이지만요
@user-mg6is1hz2g 84
2021년 9월 08일 23:48이분은 좀 진실된 분이심... 주택정책 관련해서 꾸준히 정부 비판하시던 분...
@nkim472 74
2021년 9월 09일 09:28어떻게 되든 노동의 가치는 하락하고 직장에서 일하고 재테크도 하고
저녁이 있는 삶이란 없네요
슬픔.
@user-go6pz5ly3s 65
2021년 9월 09일 14:19김경민 교수님 의견 감사합니다. ! 무리한 투자보다는 다음 기회가 왔을때 놓치지 않기위해 개인별 유동성을 확보해 놔야 한다고 생각해요.
레젝스 64
2021년 9월 09일 10:17산이 높으면 골도 깊지요. 자연의 이치
보두보두 62
2021년 9월 09일 15:48다주택 투자자 입장에서 신사임당님 엄청 솔직하시다. 차라리 저렇게 말하니까 듣기 편하네요
Freyja Lee 61
2021년 9월 08일 23:24작년까지 상승한다던 사람들도 이제 돌아서는거 보면 끝물이긴 한가보다..
casawoohee1 57
2021년 9월 08일 23:4917프로 떨어져도 예전 가격 생각하면 비싸요 ㅎㅎ
하린이랑 TV 53
2021년 9월 09일 08:14이분 작년 상반기때 코로나 시대에 주택값 폭락한다고 절대 사지말라고 tvN에서 강연하셨던 분이시죠. ㅋㅋ
@user-rb1hc2ds7m 52
2021년 9월 08일 23:16지금은 수학적이나 통계적으로 판단할 시장이 아니죠...정책과 시장심리 공급문제로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기에
수학적으로 계산할 상황이 아니라는판단입니다
@hhh2068hhh 47
2021년 9월 09일 00:05부동산을 금리 변동 관점에서 주장을 펼치시기에 경제학 박사이신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도시계획 전공이시네요...
부동산 가격의 결정요소를 금리 이외에도 큰 요인이 많아 금리로만 접근하는 것은 위험하며, 미국 금리를 빨리 올릴것이라고 전망하는 것은 현재 시장의 판단과 괴리가 큽니다. 현재 시장에서 미국 금리는 23년 이후 본격적으로 올릴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user-wg5ix9rd5j 45
2021년 9월 09일 00:20금리인상이 부동산 하락의 트리거를 준거죠. 미국이 23년에 금리인상을 할 예정이기때문에 한국은 무조건 금리를 올리수밖에 없죠. 부동산 시장이 주식이랑 다르게 무서운점은 하락기에 돌아서면 실수요자들도 관망추세로 돌아선다는겁니다. 앞으로 더 떨어지겠지 관망으로 돌아서면 거래량도 떨어지고 상투잡고 들어온 사람은 지옥 그자체 ㅋㅋㅋㅋㅋ 이걸 겪어본 사람이 얼마 있으려나
@powermaxx2256 44
2021년 9월 09일 05:37이분말씀 다 좋습니다
작년에 이분영상 보고 반대로 움직여 집 사서 딱 대출금만큼 올랐네요 지금의 저라면 이집 못삽니다
@ssidp 43
2021년 9월 08일 23:13더 상세한 자료는 http://bootcamp.news/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user-he5dq1fc6w 42
2021년 9월 09일 02:28IMF때 17% 하락하고 08 금융위기때 12% 하락한걸로 알고있어요. 하지만 결국은 회복했고 다시 우상향했죠. 하락장이 왔을때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중요
경혁 김 37
2021년 9월 08일 23:39교수 중에 투자 잘해서 부자된 사람 드물다
@eoqneh011 36
2021년 9월 11일 15:272배 오른 곳도 엄청 많은데, 최대 17%면, 큰 하락은 아니네요. 뭔가 언제든 오를 수 있는 수치같아요.
파란하늘 35
2021년 9월 09일 07:14보통 금융전문가는 부동산 잘 못맞춤
우리나라 전통 부동산 전문가들이 잘 맞추더라
Steve Kim 34
2021년 9월 08일 23:37지금까지 오른 게 얼만데 17%면 소소하죠...
@user-cb3tb7bf8y 32
2021년 9월 09일 00:28집값은 경제학자보다는 심리학자나 문화학자가 더 잘맞출것 같아요. 한국 사람들 심리와 문화가 달라졌어요
james joung 29
2021년 9월 09일 01:28웃기는게 내리면 정부에게 대책을 세우라고 요구함..ㅜㅜ
칸나 27
2021년 9월 09일 11:29무주택자들은 지금 들어가면 먹을것도 없이 물리기 쉽상이죠! 못들어가서 마음고생, 못나와서 마음고생, 결국 돈복없는 신세한탄!
Sh P 26
2021년 9월 09일 12:38이자고 뭐고 떠나서
다들 느끼잖아요 너무 올라서 좀 불안하다는거.. 언젠가 다시 오른다는 말믿지마세요 집값 떨어지는 몇년 진짜 맘상합니다 저는 무주택자 아닙니다
봅튜브 22
2021년 9월 09일 00:07이분 올초에 정부 부동산 정책 거품 물고 비판 하던 분이 셨는데........... 부동산 계속 오를것이라고 하셨는데 이제 먼가 바뀐게 있나보네......
칸스 22
2021년 9월 09일 13:08갭투하여 전셋집이 있다면 빠르게 보증금을 근로소득이든 다른 투자를 하여 마련해놔야합니다 그래야 찐
Glory Amos 22
2021년 9월 09일 00:47지금 전세 구하는 입장에서.. 내집 구매를 고려하는 중입니다.. 지금 전세가 너무너무 비싸요...
어차피 집은 사놓으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5~6년 지나면 오를 것 같은데ㅠ
전세 대출 받는 돈으로 조금 더 무리해서 대출 받아서 사는게 맞는것 같기도 하고..ㅠ
저는 내집 한채 마련하자!! 쪽으로 가닥을 잡는 중입니다
지금이라도 안 샀다가 몇년 후에 후회할 것 같아요ㅠ
@user-rt6yn8wq4e 21
2021년 9월 09일 09:08내가 참 똑똑한사람을 좋아하는데...맞는거랑은 별도임.그래도 쉽게 설명해주는게 좋아요.
경제는 정치를 이길수 없어요.그래서 불편해도 정치이야기해야합니다.
@Moneyforget 21
2021년 9월 09일 11:13폭락하기 직전에 시장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면 얼마나 근사할까? 하지만 아무도 폭락시점을 예측하지 못한다. 게다가 시장에서 빠져나와 폭락을 피한다고 해도, 다음 반등장 전에 다시 시장에 들어간다는 보장이 어디있는가? - 피터린치
@TV-ob5sm 19
2021년 9월 08일 23:37지난 상승장에서는 주담대 받을때 거치기간이 있었어요 첫5년(?)간 이자만내고 살수 있는... 그래서 2014년즈음에 아는분이 거치기간도 끝나가서 원금상환 시작해야하는데 주택거래안돼서, 한마디로 물린거죠.. , 마이너스 나더라도 아파트 던지고 싶어하던 시기가 있었어요
이부분을 다른전문가 분들이 언급을 안하시더라구요
이번 시장은 처음부터 원금상환을 하면서 대출을 받기때문에 이자 상승에 대한 체감이 다를거라 보여집니다. 신규진입자들이 대출받아 전세 들어가던지 아니면 차라리 하급지라도 주택을 매수하던지 하겠죠...
전 개인적으로 횡보하다 떨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올해랑 내년에 전세입자들이 이동하면서 더 폭등한 전세가가 시장으로 들어오면 시중에 다주택자들... 어찌할까요?
참 어렵네요
빵빠레 19
2021년 9월 09일 07:34요즘 매물보면 가격을 적당히 올려야지.. 실거래가 대비 몇천도 아니고 몇억을 올리는데 누가 사냐! 호구도 아니고..
ri go 19
2021년 9월 10일 15:54이분 폭락이 아니에요. 강하게 정부 정책 비판하고 집값 상승도 예상했던 분이에요. 귀를 열어두셔야지 위나 아래 방향 한 방향 이야기만 들으면 문제가 돼죠.
김타이거 18
2021년 9월 09일 11:42부동산 하락, 상승 이야기에는 댓글보는 재미가있는듯;;;; 의견이 팽팽함;;;
@dotjarikkalja 18
2021년 9월 09일 09:51올해 6월에 주택을 구입한 사람으로써
어느정도 하락or보합은 감수하겠다라는 맘으로 구입했습니다 😭
부동산은 기~~~일게 보는 것이니까요!!
세뭉나라 김세뭉 OPERATOR - SE MOONG 18
2021년 9월 09일 06:49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하면 달러를 많이 사두는건 어떤가요?
@smize-kevin 17
2021년 9월 09일 01:09매매가가 떨어진다고 하면 전세수요가 몰리면서 전세가가 더 올라갈 수 있는건가요?
그러면 매매가와 전세가의 갭이 줄어서 다시 갭투자가 성행하진 않을까요? 궁금하네요 ㅠ
@user-ym2or8bm6w 17
2021년 9월 09일 09:10과거와 다르게 현재 강남아팟은 대출이 안되니 금리영향이 오히려 다른지역보다 훨씬 적습니다
현재는 규제내용이 전혀 다르다는건 전혀 고려되지 않은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말씀하시네요
younkyung moon 15
2021년 9월 09일 10:30최근 서울보다 경기도가 더 과도하게 올랐습니다 서울은 최근 정체되어 있었죠 하락은 수도권에서 있지 않을까요?
@haah2738 14
2021년 9월 09일 11:58비전문가인 내가 봐도 내년까지가 최고점이다. 내년 지나면 가격 조정이 무조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우선 수도권 신규물량에 대한 실입주가 내후년부터 본격적으로 들어갈거고 기준금리는 앞으로 계속 올릴거다. 최소 2%에서 최대 3.5%까지 본다. 수요자 입장에서 가뜩이나 가격이 높은데 금리까지 높아지면 펀더멘텔이고 뭐고 아예 살 수가 없고 주택금리에 대한 부담으로 주택 판매를 해야 하는 매도자가 나오게 될 거라고 본다.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으니 가격 조정은 강하게 일어날거다. 일본처럼 버블붕괴까지는 아니더라도 아주 강력한 부동산 가격 조정은 반드시 올거라고 생각한다.
sy j 13
2021년 9월 09일 18:41잘들었습니다. 이론적인 면은 그렇군요. 실전 매매하러 삼호어묵 보러갑니다.
김성훈 13
2021년 9월 09일 00:15과거와의 비교를 절대 할 수 없는 이유는
풀린 돈. 상상을 초월하는 유동성.
그래서 과거데이타로 현재와 미래는 예측불가
모르는 길을 가고 있을뿐..정답은 없다
에릭칸토남 12
2021년 9월 09일 05:468년동안 오른 시장에선 하락코멘트는 힘이 없어요.
설득력을 떠나 비난과 조롱을 당하기 일쑤입니다. 오르는걸 누구나 다 봣기 때문에 가격상승이 당연시되는 군중심리가 생기죠. 이해는 합니다. 근데 돈을 버는 사람들의 특징은 경험과 거기에서 오는 유연한 사고 입니다. 뭐 부채. 생산가능인구 등 여러 지표들 난 모르겟다 하더라도 주변을 돌아보세요. 부동산에 열광하는 게 보일겁니다. 그럴때 반대의견도 들어보고 공부도 해 보세요. 반드시 큰 돈을 벌 기회가 옵니다
@user-lr5nl2th8p 11
2021년 9월 11일 20:03모든 투자를 해보시믄 거래량이 없으면서 슈팅이 나오다가 갭하락으로 시작한다 특히 부동산은 하락하면 어찌 하락하는지를 역사를 보면 탈출이 안됨 바닥까지
조비에르 11
2021년 9월 09일 15:16저런 수익률같은 수학적 계산은 지금 필요가없음... 강세장에서는 오직 심리와 호재로만 움직이니까. 근데 강세장이 꺾이고 하락장으로 들어서면 저거 다 맞고 저거보다 더 과하게 떨어짐.
지니 11
2021년 9월 09일 00:25교수님 방송에서 보고 반햇는데... 너무 옳은 말씀하십니다
행복하세용 11
2021년 9월 09일 00:42상승 하락 예상도 어려운데 % 까지 예상한다는건..무엇보다 금리 말고 너무 많은 다른 요소들을 배제한건 아닌가 싶네요.
하하하 10
2021년 9월 09일 00:30경제학자 주식안하고 부동산 안하는 사람 천지다...
수부타이 8
2021년 9월 09일 03:24아파트는 주거 여건에 따른 삶의 질과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 수익율 보다 우선....
서울대 교수님이 머리만 똑똑하신 모양. 부동산 전문가????
@PrivateAccountSK 8
2021년 9월 09일 00:02그렇군요. 천억대 자산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7
2021년 9월 08일 23:37부동산이 제일 어렵네요,, ㅜㅜ
milestone1945 6
2021년 9월 10일 19:192023년에 둔촌, 원베일리, 개포 다 입주하는데 그럼 2022년 17프로 빠지고 2023년에는 얼마나 빠진다는 소리야 ㅠㅠ
@user-up1zq7jw1p 5
2021년 10월 20일 09:38아파트 알아보는데 저번달실거래가 5.5~5.8억이었는데 이번달에 올려놓은 매물이 6.8억이라는게 ......
아무렴 파는 사람 마음이라지만 ㅋㅋㅋㅋㅋㅋ
집값 미쳤음 ㅋㅋㅋㅋ
사고의 유연성 5
2021년 9월 12일 19:23저번에는 폭락없다고 하더니 입장이 바뀌셨네요...
@jjang5334 5
2021년 9월 09일 14:12집값이 어마무시하게 올랐는데 17프로 하락은 아무것도 아니죠.대출이자 상승이 문제지.
김정선 4
2021년 10월 02일 19:36버블 버블~~~ 역시 교수님^^♡
Mark1 4
2021년 9월 22일 06:4717% 떨어지는건 미미해보이지만 영끌들은 은행에서 일부 연장불가 상환콜들어오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겁니다. 가계빚이 이렇게 많은 상황에서 투매 가능성이 급격이 높아집니다.
네오네오 4
2021년 9월 10일 14:28태세변환 오지네... 처세의 달인이신듯
@user-jf2wd8jd1c 4
2021년 9월 09일 00:27금리와 수익률 관계로 하는 분석은 주택에서 생각을 잘 못 했었는데, 일깨워주는 좋은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Daniel Phy 4
2021년 9월 09일 18:24하버드박사 서울대교수가 이론상의 집값하락을 예측하고… 스테그플레이션 국면인 상황임이 현실인데도… 집값이 오를거라 생각하는건 거의 기도메타..
@user-de9ey5bm5q 4
2021년 9월 09일 10:34교수님 혜안 감사합니다 ~!
@rodeo5284 4
2021년 9월 13일 18:35교수님 말씀중에 이자율 상승하면 부동산가격이 하락한다는 수익률 계산방식에서 분모의 부동산가격 부분은 상업용 부동산에 해당되는 것은 맞으나, 아파트 시장에는 적용되지 않은지 꽤 오래 됬습니다. 이자율이 왠만큼 아주 높이 오르기전에는 한국의 아파트 시장은 거의 영향이 없었습니다.
sinsun 3
2021년 9월 09일 02:46여러 의견을 듣는 건 좋지만, 애초에 주담대 금리는 기준금리 상승에 큰 관계(어느정도 대세는 따라가지만)가 없고, 지금 이자율 올라가는 건 정부 눈치보는 것도 없지 않아 있어서. 주택 가격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게 주택 공급과 전세 가격인데, 주택은 2023년까지는 씨가 말랐고, 당장 내년에 임대차3법으로 수도권 전세 연장해서 살던 사람들 쏟아져 나와봐라. 이돈씨 경기 역세권 주택 사고말지 싶을걸. 언제 올지는 모르겠지만 만에 하나 하락장이 온다면, 오히려 큰 평수와 갭은 줄어들어서 기존 1주택으로 이득 봤던 사람들 입장에서는 갈아타기 아주 좋은 환경이 된다. 정리하자면 1주택자면 무조건 사라. 2023년까지는 무조건 오를거고, 하락장이 온다고 해도 갈아탈 수 있으니 이득이다. (그리고 지금 정부가 부동산에서 나오는 세금에 의존하는 정도나, 가구 보유 평균자산 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하면, 국가는 부동산 가격을 '급격하게' 낮출 수는 절대 없다)
@user-qv7mk8gk9e 3
2021년 9월 09일 23:48금리가 인상된다고 하나, 입주 물량도 없고, 3기 신도시 토지보상금 수십조가 풀리는데 과연 하락할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investor Ryu 3
2021년 10월 12일 07:06부동산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모두가 전문가가 확실한것인가?
어차피 1주택은 가지고 있는게 좋다.
상승하락을 떠나서
한광희 3
2021년 9월 09일 22:11금리 때문에 떨어지는건 아파트 집값, 전세값이 아니라 상가, 빌딩 같은 것들이에요~~~
East Wood 3
2021년 9월 13일 22:40각국이 코로나 이후 돈을 너무나 많이 풀었습니다. 정부나 중앙은행이 원하는건 부동산 폭락이 아니라 점진적인 인플레로 실제 자산가치를 서서히 갉아먹는 쪽으로 정책을 잡을 겁니다. 폭락을 기대하며 매매 타이밍을 기다리고 있다면 실망 할거에요.
@dddki6529 3
2021년 10월 12일 00:26아무리 폭락장이어도 불안해 하는 사람은 못사는거고 과감한 사람은 상승장에도 사는것.
내가 살집은 사는것이 맞고 투자에 대한 부분은 관망하는것이 옳다.
주거의 안정성은 기혼자의 경우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봄.
HJ K 2
2021년 9월 09일 08:27내가 제일 좋아하는 형이다ㅎㅎ
KOREA uncensored 2
2021년 9월 09일 02:292017년 11월에 1.50%로, 2018년 11월에 1.75%로 각각 25bps씩 올렸던데 집값 어떻게 됐죠?
@ghdopop 2
2021년 9월 09일 00:34그렇죠 전세자 못구하는게 무섭지 집값이야 장기적으로 어차피 오를거니까...
결국 정체나 급락장에도 버틸수있는 입지의 곳에 투자하는게 맞는거겠죠
델타값이 크다는건 +/- 양방향 일수있다는 이야기니까요
안드로메다 2
2021년 9월 09일 08:03문제는 서울아파트는 하락해도 못삼 ㅠ
@user-hh4sk8pt1w 2
2021년 9월 13일 07:36교수님 부동산관련 100분 토론에서 뵈었던거같던데 현 부동산 정책으로 집값 못 잡는다 현정부 정책 비판하시던분인데 그로부터 1,2년이 지났나 고점으로 받아들이시나보네요. 하긴 1년 사이에 2배 오른건 말이 안되는 상황이죠 서울대 교수이신만큼 말씀 하나하나에 신뢰가가네요
@investmentcampus 1
2021년 9월 09일 17:39의견 감사합니다!! 잘 봤어요^__^
로이리 1
2021년 9월 23일 18:4019년 금리인상시기에 예측되었던건데 코로나 2년 지나면서 거품만 더 낀상태가 된것이지.. 폭등된만큼 그 후폭풍이 두려운 이유. 심리전에서 밀리는순간 하락은 시작된다
@jamespark2156 1
2021년 9월 14일 20:25전문가말은 참고만 하는 것이 진리에요. 판단는 자기몫.
@user-ok4sj4xu4q 1
2021년 9월 09일 00:54교수님이 멋지셔서 2번 봤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coco scrapy 1
2021년 9월 19일 08:3925번이나 속았는데 또 속으면 그건 본인한테 문제가 있는겁니다.
J Wolf 1
2021년 9월 11일 23:3817퍼는뭐.. 주식은 50퍼 하락도 생각하는곳이니.. 부럽네여
@user-xl9iv9vu2s 1
2021년 9월 09일 11:21시장의 현금 유통량(유동성)이 늘어나면서 기업의 설비나 고용으로 이어져 고용이 촉진되고 고용이 촉진되면 경기가 살아나서 건강한 인플레가 발생한다라는게 원래 목적인데 미국이나 우리나라 현금 유동성이 죄다 주식이나 부동산등 자산으로 흘러들어갔다. 여기서 주목할점은 미국이 MBS 채권 매입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갈테고(테이퍼링) 그후에 금리인상할건데 예상하기로는 우리나라에 금리인상이 얼마나 큰영향을 주겠어 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텐데 우리나라는 항상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인상했다 imf때 그 수많은 자본을 외국계 자본에 먹혔던 기억이 있어서…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는게 그런거임 무서워서 금리 선제적으로 올리는거 스테그 걱정하고 있는데 부동산도 지켜보면 알겠지 … 나도 궁금하다 어떻게 흘러갈지. 부정적으로만 보지말고 대응한다는 마음으로 열어놓고 보시길
@gungdab 1
2021년 9월 10일 18:14하버드 박사님께 질문을 드리고 싶네요..
과연 강남쪽에 대출이 영향을 미칠것인가에 의구심을 가지는 이유는
실거주가 많은 지역이며,
9억원이상부터 대출규제가 이미 실행되었었습니다.
과거에도 이렇게 대출 규제가 심했었나요?
2006년에도 대출규제하고나서 부동산가격은 그뒤로 2년간 폭등장이 왔었는데요..
가격이 떨어진다해도 대형평수는 아무나 못건들이는 건 맞는데..
아직까진 가격 떨어진다 가능성이 높다는 좀 빠르지 않을까요?
가격 그래프를 보니 과거와 다른전략이 필요하지 않을까...
@pakjs21 1
2021년 9월 15일 12:41역전세 파산을 대비해야 한다! 감사합니다
유효선 1
2021년 9월 09일 01:15흠... 집값이 떨어진다는건 인플레를 지나 디플레가 온다는건데.. 모르겠다 ㅋㅋㅋ 다주택자 입장에서 현재는 사실 픽스 할수밖에 없음. 대량 공급이 확실시 되지 않는이상....움직이기 어렵지
개빡마 1
2021년 9월 09일 04:25내년만 떨어져 봐야... 인플레로 인한 몇년후 주택 가격상승은 불가피한듯
돈은 계속 찍어내고
김태경 1
2021년 9월 09일 16:20이번 세계지식포럼에서 송영길도 이 이슈를 짚고 넘어갈 가능성이 있어요
보뗄beautelle
2021년 9월 13일 10:52임대료는 필수품목이고 계약기간 동안 묶여 있기 때문에 건물 가격이 부동산의 투자 수익률을 결정한다.
2022년 말까지 금리를 1% 올린다고 할 때 서울시는 6~7%가량 주택가격이 하락한다고 예상.
2011년 금리인상이 결정적인 가격하락으로 이어졌었다. 지역별로 다르고 고가가 더 많이 하락한다.
@user-pj2jr2cg7i
2021년 9월 10일 19:25수도권 아파트 상승에 따라 지방 아파트도 엄청 올랐는데 지방 아파트 추이도 함께 알려주세요~~
@user-fy1db9ss6d
2021년 10월 04일 06:30걱정되네요. 얼마전에 부모님이 평생의 꿈인 집을 마련하셨는데 내년에 저렇게 하락한다니...
문산군
2021년 9월 11일 21:46이분 계속 하락 이야기 하시는 분이죠 경제공부 좀 더하시길
시간자유
2021년 9월 09일 08:40실거주 주택 사는데 금리 1%로 때문에 사고 안사고 결정한다?는건 아닌거 같네요 집값이 오를거 같느냐 내릴거같느냐 심리가 훨씬 중요하지
@user-eu9do2gh3j
2021년 9월 09일 10:09감사합니당^^
@dogadasifa9844
2022년 3월 03일 05:00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혁명시민
2021년 9월 28일 23:14감사합니다
@user-hv4rf3jd6l
2021년 9월 09일 07:50감사합니다 ~!
@user-fe1iw3pd5e
2021년 10월 07일 10:12지금 중국이 심각합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이 얼만큼 될 지
미리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봄
@novasmr
2021년 10월 23일 08:26김경민 교수님 자료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Channel-zd6vk
2022년 3월 03일 05:00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goodluck1271
2021년 11월 08일 02:30학습효과: 경제위기가 왔을때 쫄아서 부동산 매도하면 두고두고 후회함, 고점에 잡았지민 10년 정도 버티면 손실 다 회복하고 오름. 이두가지가 이번 상승장을 거치면서 사람들 머리에 강하게 각인돼 있음. 그래서 조정 장이 와도 많이 안빠질거라고들 생각하는거임
한스타
2021년 9월 13일 13:1920프로 이상 떨어져도 엄청난 수익권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