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0월말 기사입니다. <"미운 오리’ 신세였던 미분양 아파트가 ‘백조’로 거듭나고 있다. 정부가 9·10 대책을 통해 올해 말까지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할 경우 취득세 50% 감면, 5년간 양도세 100% 감면(9억원 이하)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해 수요자들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어서다." > 이때가 기회였는데, 2007년에 이미 물려?있어서 사지 못했어요.ㅎㅎㅎㅎ 결국 2016년에 물린거 팔고 상급지로 갈아타서 평타 이상은 쳤지만.... 여하간,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기회가 와도 못사게 되더라고요. 다음엔 놓치지 않을거에요!!!!
14년도에 송도의 미분양아파트가 소진되고있다는 기사를 보고 송도아파트를 알아본기억이 나네요~ 그때부터 16년까진 집사기 너무 좋은시기였죠 그때 집을 너무 사고싶었지만 돈이없었어요ㅜㅜ 그러고 19년여름에 가까스로 샀는데 몇개월후부터 더 상승하더라구요 그때 못샀음 지금 벼락거지로 살고있었겠죠 아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사님. 현재 30대 후반 신혼부부입니다. 무주택자이고 전세 살고있는데 서울지역 10억~12억 아파트 전세끼고 매매(갭투자) 하려합니다(갭투자금 4억~4억5천). 실거주는 2년 뒤에 할 예정인데....지금 사려고 알아보니 전부 시세가 호가이고..너무 급격하게 올라 최고점에 사는거같아...고민이됩니다..조금더 기다려보는게 좀 더 좋은 선택일까요?
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한가지 의문점이 생기는데 번외 질문과 같은 내용인데요.. 4가지 지표중 1,3,4번은 주택경기가 좋지않은 시기에 나타나는데 2번(미분양감소)은 주택경기 활황의 시작 시점이 아닌가요? 4가지 지표가 모두 충족하면 집을 사기 좋은 타이밍이라는 말씀이라고 생각하고 내용을 들었는데 제 생각으로는 4가지 현상이 같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나타지 않을것 같은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지금은 매수 타이밍이 아니군요❌ 박사님, 예전 동영상에서 지금 현재 삼성전자 주식만 보유하고 계신다고 하셨는데 혹시 이유가 지금 한국 주식이 고점이라고 생각하셔서 그러신 거예요❓아니면 달러자산에 투자 하는것이 더 이익이라고 생각하셔서❓저는 지금 달러ETF, 한국 주식, 미국 주식에 나눠서 투자중인데 한국 주식으로 이익을 많이 못보니까 지금은 매수 시기가 아닌건가라는 생각이드네요😭
안녕하세요, 박사님. 매번 잘 보고있습니다. 이번 영상과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로 문의를 드려봅니다. 박사님의 저서인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에서 언급하셨던 '가계금융복지조사'의 2020년도 파일을 통계청에서 다운받아서 보다보니까 1년 후 거주 지역 주택가격 전망 부분에서, 가구주의 43.1%가 '변화가 없을 것이다', 23.0%는 '상승할 것이다', 13.5%는 '하락햔 것이다'라고 응답했다고 나오더군요. 물론, 이 조사자료의 표본이 충분히 크지않고 설문조사다 보니까 실제 상황과는 다를 수 있다는 부분은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이러한 통계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가 좀 헷갈립니다. 요 몇년간에 거제도와 같이 조선 경기가 좋지 않아서 인구 유출이 있었던 곳과 같은 지역을 제외한다면, 그 수준의 차이가 있기는 하겠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오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통계청의 자료가 비교적 정확한 것이기 때문에 제 인식을 바꿔야 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결국, 통계자료를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여야 할 지에 대한 질문이네요. 혹시 기회가 되시면 영상에서 언급해 주셨으면 하는 소망이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2-3년 후에 온다는 것이 19년 같은 조정일까요 다른 많은 유튜버들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처럼 경제위기로인한 폭락 또는 대세하락장의 시작일까요..
경제 전반이나 주식 부동산의 주요 원칙 방향성에 대해 참고할 땐 언제나 홍박사님 유튜브 글 등을 챙겨보고 있습니다
제 지금 상황을 유료 상담이라도 받아 보려고 하고 있는데 친절하게 답변 달아 주시는 걸 보고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글 남겨 봅니다
2019년 영끌로 분양받은 아파트가 이제 15억 초과 아파트가 되었습니다 (자산2억+대출9억) 가격이 올라 기분은 좋지만 내가 내야 하는 이자는 그대로고.. 앞으로 금리는 오른다고 하고 15억 초과는 대출이 안되 수요도 적고.. 조정 또는 위기가 오니 사지 말라는 목소리는 커지고..
당장 소득이 조금 있는 편으로 대출이자 부담은 견딜 수 있는 정도이나 절대적인 금액이 커서 가격 하락이 온다면 정신적으로 버틸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내년 정도에라도 이 집을 정리하고 기다린 후 말씀 하시는 대로 2-3년 후에 다시 기회를 잡는 것이 맞을지.. 그러다가 괜히 좋은 자산을 놓칠 수 있으니 현금을 부지런히 모았다고 기회가 오면 다주택자로 진행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맞을지..
@y2ko63goh9 23
2021년 9월 08일 20:267:33 정리
@sapereaude4482 21
2021년 9월 08일 20:42설명가능한 현상을 외면하고 공급을 규제하는건 다분히 고의적이라 해야겠지요?
@J2S_official 17
2021년 9월 08일 19:508:00 정리
@HelloHi-nq7um 16
2021년 9월 13일 01:19- 주택 매수 타이밍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역사적 평균보다 낮을 때
준공 후 미분양이 줄어들 때
정부가 경기부양에 나설 때
감정평가액 대비 낙찰가가 평균보다 낮을때
@chunukhong 15
2021년 9월 08일 20:32✅ [홍춘욱 패밀리스터디: 우리 돈 좀 굴려봅시다]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저와 함께 경제,투자 공부를 함께하는 패밀리스터디 1기가 곧 마감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매수 타이밍에 대한 구독자분의 질문에 답하여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ty2fg3qh1j 13
2021년 9월 08일 19:48책에서 보았는데 간편히 일목요연하게 요약해주셔서 다시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30대인데 총알 없지만 내 집 갖고 싶어요ㅠㅠ
@user-ho5ny4wg9x 12
2021년 9월 08일 23:43오늘도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딕션이 좋으셔서 귀에 쏙쏙 잘들어와요
@user-pv2dt3lb6y 7
2021년 9월 08일 19:45항상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jigold452 6
2021년 9월 08일 21:05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언젠가는 내집 마련 가능할 날이 오길
@klucky3568 6
2021년 9월 08일 22:25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MrDerek0518 6
2021년 9월 08일 23:2615년에 첫 아파트 구입했을 때가 오르기 시작했을 때였네, 운이 너무 좋았네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ᅵ옼케발 5
2021년 9월 08일 22:33부동산 수급을 보는 법이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de2oy5mu7q 4
2021년 9월 08일 20:06감사합니다.
@user-jd4mv5lb7j 4
2021년 9월 08일 22:51정말 인상적인 강의 감사합니다^^
@Peter-mj8gy 4
2021년 9월 08일 22:29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iyoung5301 3
2021년 9월 08일 19:572012년 10월말 기사입니다. <"미운 오리’ 신세였던 미분양 아파트가 ‘백조’로 거듭나고 있다. 정부가 9·10 대책을 통해 올해 말까지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할 경우 취득세 50% 감면, 5년간 양도세 100% 감면(9억원 이하) 등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해 수요자들의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어서다." > 이때가 기회였는데, 2007년에 이미 물려?있어서 사지 못했어요.ㅎㅎㅎㅎ 결국 2016년에 물린거 팔고 상급지로 갈아타서 평타 이상은 쳤지만.... 여하간,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기회가 와도 못사게 되더라고요. 다음엔 놓치지 않을거에요!!!!
다솜공방 3
2021년 9월 09일 14:3814년도에 송도의 미분양아파트가 소진되고있다는 기사를 보고 송도아파트를 알아본기억이 나네요~ 그때부터 16년까진 집사기 너무 좋은시기였죠
그때 집을 너무 사고싶었지만 돈이없었어요ㅜㅜ 그러고 19년여름에 가까스로 샀는데 몇개월후부터 더 상승하더라구요 그때 못샀음 지금 벼락거지로 살고있었겠죠
아찔합니다
Dawn 3
2021년 9월 09일 11:59말씀해주신 지표는 어디서 확인 가능한가요?
주택구입부담지수, 준공 후 미분양
주주 3
2021년 9월 09일 17:52항상 말씀 하시는 달러투자.. 현재 1168원 넘어가는데, 지금 들어거는건 너무 늦은거죠?
@sun-zv4fi 3
2021년 9월 13일 19:59안녕하세요 박사님. 현재 30대 후반 신혼부부입니다. 무주택자이고 전세 살고있는데 서울지역 10억~12억 아파트 전세끼고 매매(갭투자) 하려합니다(갭투자금 4억~4억5천). 실거주는 2년 뒤에 할 예정인데....지금 사려고 알아보니 전부 시세가 호가이고..너무 급격하게 올라 최고점에 사는거같아...고민이됩니다..조금더 기다려보는게 좀 더 좋은 선택일까요?
Besu 3
2021년 9월 08일 23:23오늘도 유용한정보였어요~ 항상 잘보고 있어요^^
@user-nk4bf8eh4f 2
2021년 9월 09일 01:23박사님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주택구임부담지수나 미분양물량 등 제시해주신 자료는 어디에서 확인가능할까요?
서뷔 2
2021년 9월 11일 15:2720대인데 요즘 상황보면 박사님이 제시해준 저런 기준이 맞춰지는 시기가 오긴 할지 참.. 막막하네요..
@user-dr8lg8vm6m 2
2021년 9월 08일 22:38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한가지 의문점이 생기는데 번외 질문과 같은 내용인데요..
4가지 지표중 1,3,4번은 주택경기가 좋지않은 시기에 나타나는데 2번(미분양감소)은 주택경기 활황의 시작 시점이 아닌가요?
4가지 지표가 모두 충족하면 집을 사기 좋은 타이밍이라는 말씀이라고 생각하고 내용을 들었는데
제 생각으로는 4가지 현상이 같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나타지 않을것 같은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user-uo2fe8ol3n 2
2021년 9월 08일 21:21감사합니다
@user-ly7wy6pg7m 2
2021년 9월 08일 21:56감사합니다 ~♥
@user-ko8hd5vj9z 1
2021년 10월 16일 19:24지금은 꾸준히 모아야 할 시기였군요.~^^
항상 박사님 의견 잘 보고 있습니다.
제일 합리적이고 귀에 쏙쏙 ㅋㅋ
@kateee5930 1
2021년 12월 01일 13:56홍박사님 감사합니다 ^^ 오늘도 공부하고 갑니다.
@zicep5436 1
2021년 9월 12일 00:11빌딩투자는 어떤걸 봐야 할까요?? 매수고려중이나 대출금리 상승으로 잠시 머뭇거리고 있습니다.
@user-hk7pe8gt5g 1
2021년 9월 08일 19:063등!! 기념으로 선댓글 후시청입니다^^!
@user-pp7ip1ph5m 1
2021년 9월 14일 22:44주택가격부담지수 평균적으로 서울이 세종다음2위더라구요.벼락거지인데 집사면 여러가지부담되는 대출에 이자상승기라 내년에 장기전세라도 되어나갔다가 청약이라도 되었으면좋겠네요.
초절정간지녀 1
2021년 9월 09일 16:01지금은 매수 타이밍이 아니군요❌ 박사님, 예전 동영상에서 지금 현재 삼성전자 주식만 보유하고 계신다고 하셨는데 혹시 이유가 지금 한국 주식이 고점이라고 생각하셔서 그러신 거예요❓아니면 달러자산에 투자 하는것이 더 이익이라고 생각하셔서❓저는 지금 달러ETF, 한국 주식, 미국 주식에 나눠서 투자중인데 한국 주식으로 이익을 많이 못보니까 지금은 매수 시기가 아닌건가라는 생각이드네요😭
@zulaaltnhack2083 1
2022년 3월 05일 02:30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di di 1
2021년 9월 08일 20:03지금은 4개중에 다 해당되는게없네요ㅠㅠ
@user-lp3vu8kp5h 1
2021년 9월 09일 09:30피디님 질문 날카로움 ㅋㅋㅋ
gabrieli cha 1
2021년 9월 09일 13:43안녕하세요, 박사님. 매번 잘 보고있습니다.
이번 영상과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로 문의를 드려봅니다.
박사님의 저서인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에서 언급하셨던 '가계금융복지조사'의 2020년도 파일을 통계청에서 다운받아서 보다보니까 1년 후 거주 지역 주택가격 전망 부분에서, 가구주의 43.1%가 '변화가 없을 것이다', 23.0%는 '상승할 것이다', 13.5%는 '하락햔 것이다'라고 응답했다고 나오더군요. 물론, 이 조사자료의 표본이 충분히 크지않고 설문조사다 보니까 실제 상황과는 다를 수 있다는 부분은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이러한 통계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가 좀 헷갈립니다. 요 몇년간에 거제도와 같이 조선 경기가 좋지 않아서 인구 유출이 있었던 곳과 같은 지역을 제외한다면, 그 수준의 차이가 있기는 하겠지만 대부분의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오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통계청의 자료가 비교적 정확한 것이기 때문에 제 인식을 바꿔야 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결국, 통계자료를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여야 할 지에 대한 질문이네요. 혹시 기회가 되시면 영상에서 언급해 주셨으면 하는 소망이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bt4bb8cp6z 1
2021년 9월 28일 10:04규제완화는 집을 사라고 하는 신호이고,규제강화는 집 사지말라고 하는 신호입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넘 짧은 시간동안 올라서 세금이 많아 못 팔고 진퇴양난입니다
참 난감합니다
@UmutSahanUmut
2022년 3월 05일 02:30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user-nu2yr5nx3v
2021년 10월 10일 18:52하루하루 너무 힘들어요..집 살 타임밍 한번 놓쳤다가 벼락거지 되버리고 빈부격차는 말할수 없을만큼 벌어지고..부랴부랴 청약통장 만들엇지만 점수가 바닥이라 희망도 없고..앞으로 어떡하죠..희망이라는게 있을까요..
@gohrmohr4942
2022년 3월 05일 02:30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kang8464
2021년 9월 09일 02:12박사님 최고^^
Forest Black
2021년 9월 09일 17:28투자의 세상을 뒤늦게 알았지만 정신바짝 차리고 항상 시장을 보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결혼한 분이라면 되도록이면 와이프말을 들어라 ㅋ
박사님 댓글 일일 달 수 없을 만큼,스티커 달 수 없을만큼 더 많은 이들이 이 강의들을 보면 좋겠습니다.^^
@user-uk1ms2me1h
2021년 9월 11일 20:57구독.좋아요
좋은 내용 계속 경청하고 있읍니다.
인싸이트 내공짱짱~^^
@user-oe9mo6mi9b
2021년 9월 10일 20:06굿굿굿
@user-kp8bd4bf6j
2021년 9월 09일 10:28싼가격에 주택 구입할 수 있는 교과서입니다.~
@user-ld1ci8so4e
2021년 9월 11일 19:02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sungki hong
2021년 9월 08일 23:533분6초~3분20초 내용은 언급이 무의미한것으로 해석했는데 맞나요?
감별고수사
2021년 9월 10일 15:27근데 15억초과는 대출이 제로인데 가장 거품없는시장이 15억 초과시장 아닙니까?
@HappySangsang
2021년 9월 13일 16:002002년 리바이벌인가여? 미분양 차트보니 그렇게 보이는데 어떠신지요들~~~
LIB
2021년 9월 22일 10:45지금은 집을 사지 마세요
상황은 변함이다
투기꾼 광란시대 ㅋㅋ
@gang2dong2
2022년 3월 06일 13:29마지막에 나온 번외 질문, 제가 딱 궁금했던건데 잘 짚어주셨네요. 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kv6ed1dr8j
2021년 9월 10일 07:07주택구입부담지수라는 건 처음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user-so6hl2ot3k
2021년 9월 09일 07:56유튜브에서 제일 믿을 만한 경제채널
@masodasd7733
2022년 3월 05일 02:30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홍준서
2021년 9월 25일 11:23박근혜정부때는 주택수도 적었고 심리적으로 더 떨어진다고 안사는 분위기였어요.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
2021년 9월 14일 22:42주택구입부담지수 는 어디서 알아볼 수 있을까요?
H M
2021년 11월 13일 03:532-3년 후에 온다는 것이 19년 같은 조정일까요 다른 많은 유튜버들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처럼 경제위기로인한 폭락 또는 대세하락장의 시작일까요..
경제 전반이나 주식 부동산의 주요 원칙 방향성에 대해 참고할 땐 언제나 홍박사님 유튜브 글 등을 챙겨보고 있습니다
제 지금 상황을 유료 상담이라도 받아 보려고 하고 있는데 친절하게 답변 달아 주시는 걸 보고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글 남겨 봅니다
2019년 영끌로 분양받은 아파트가 이제 15억 초과 아파트가 되었습니다
(자산2억+대출9억)
가격이 올라 기분은 좋지만 내가 내야 하는 이자는 그대로고.. 앞으로 금리는 오른다고 하고 15억 초과는 대출이 안되 수요도 적고.. 조정 또는 위기가 오니 사지 말라는 목소리는 커지고..
당장 소득이 조금 있는 편으로
대출이자 부담은 견딜 수 있는 정도이나 절대적인 금액이 커서
가격 하락이 온다면 정신적으로 버틸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내년 정도에라도 이 집을 정리하고 기다린 후 말씀 하시는 대로 2-3년 후에 다시 기회를 잡는 것이 맞을지..
그러다가 괜히 좋은 자산을 놓칠 수 있으니 현금을 부지런히 모았다고 기회가 오면 다주택자로 진행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맞을지..
고민이 많아 새벽에도 잠이 오질 않습니다
Jinny Kk
2021년 10월 11일 06:04경기부양 끝자락에 유동성이 줄고 잇는 상황 아닌가요
우리나라만 그런 게 아니라 세계적으로 금리인상 싸이클로 접어들엇는데?
국가의 부동산 규제가 문제가 아닌 바젤3 때문에 은행이 대출을 꺼리는 상황에서 돈은 어디서 빌리나요
@user-ei3xt6lo9c
2021년 9월 22일 11:27경제 부동산공부 교수님과할래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구독 좋아요 꾹꾹~
@user-xu4bu8fi5z
2021년 9월 09일 03:27오늘도 수고했오~~~요 ㅎ 감사합니다 박사님
@user-pz3lp6rj8z
2021년 10월 13일 07:22좋은정보감사합니다
@user-xq3xb5of2t
2021년 10월 26일 13:09피디님이 마지막에 해주신 질문이 마침 딱 제가 궁금했던 질문이라 너무 궁금증해소 됬어요 감사합니다 :)
@Hwarang18se
2021년 9월 09일 20:08마지막 질문도 좋네요
@yuha4670
2021년 9월 08일 18:562등~!~!감사합니다!!!!
@mohamedzizoon4430
2022년 3월 05일 02:30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MehmetKart
2022년 3월 05일 02:30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yeopij
2021년 9월 10일 13:03항상 잘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여유 자금을 달러 50% / 미국주식25 (달러이긴 하죠..) / 한국주식 25%를 가지고 있으려고 하는데요. 어떨지 의견 부탁드려요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