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은 생각이다 | 김기태님과의 인터뷰 Ep.02
인터뷰 #마음 #지혜 * 김기태의 경전 다시 읽기 https://be1.co.kr *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 건전한 토론 ok. 욕설은 삭제! * 배경음악 https://artlist.io * 문의 이메일 ......
인터뷰 #마음 #지혜 * 김기태의 경전 다시 읽기 https://be1.co.kr * 댓글과 좋아요 감사합니다. * 건전한 토론 ok. 욕설은 삭제! * 배경음악 https://artlist.io * 문의 이메일 ......
@nowhere1693 48
2021년 9월 11일 10:00드라마도 아닌데 아 여기서 끝나면 안돼~ 하며 다음 편을 기다리게 되네요! ㅎ 마음 공부가 깊어질수록 스승님이 계셨음 했는데, 써니즈님 덕분에 이렇게 어디 가지 않고도 훌륭한 스승님들을 만나고, 제가 궁금한 것들을 대신 물어봐 주시니, 이게 하늘의 도움이 아닌가 싶어요. 깊은 마음으로 감사드려요 ☺️
@user-bq2ms2ek4t 44
2021년 9월 11일 17:30사견입니다만 제가 쓰는 참나로 살고 습관 끝는법은 위의 선생님이 전편에 말씀하신 운전대를 놓아버리는 법입니다. 가장 확실하죠. 그냥 되는 대로 막살면 됩니다. 삶이 내게 주면 가지고 빼앗아 가면 아까워하지 않고 다 지나가면 됩니다. 집착만 버린다면 누구나 삶이 내게 어떻게 해주는지 볼수있고 삶을 참나로 경험할수 있습니다. 내가 운전대를 놓을때 참나인 삶이 내 인생 운전대를 잡아 버립니다. 제가 35년간 수행한 방법인데 정말 좋아서 추천드려요. 인간은 미래에 뭐를 가져야 좋은지 알수가 없지만 참나는 나보다 잘 안다고 믿고 참나인 삶의 선택이 완벽하며 내가 이미 참나로써 완벽하다고 믿고 그냥 사는겁니다. 삶이 내게 주는 기회를 고려하지 않고 그냥 잡고 삶이 내게서 빼앗아 가는것을 주저하고 집착하지 말고 마음에서 그냥 놓아버리면 나는 삶인 참나의 일부가 되어 그냥 이리저리 흘러가게 되는데 이것을 장자는 빈배가 되어 그냥 방향성없이 물결따라 흘러가라고 했지요. 정말 좋습니다. 이렇게 살면서 너무나 만족하면서 살고 있어요. 고민할것이 없습니다. 직장도 돈도 마누라도 친구도 취미도 저 스스로 아무것도 정하지 않고 삶이 주는것을 전부 취했고 직장 잘리면 괴로워 하지 않았고 참나는 다시 새 직장을 주었습니다. 저는 그동안 몇번이나 이직 했지만 항상 우연히 누가 추천하거나 이력서 한장만 보냈을때 그 직장을 그냥 얻기도 했죠
@user-zf3rj7mx7m 34
2021년 9월 11일 08:33완전 대박입니다~너무 쉽고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항상 진리에 목말라하는 일인으로서 이런 말씀을 듣는다는건 더할수 없는 행운이네요 기테님의 말씀 너무 감사하구요 써니즈님의 존재에서 베어나오는 사랑의 에너지가 너무 좋네요~ 모두를 이롭게 해주는 사랑의 에너지를 느낄수가 있어요~감사합니다 ~
@realmelab 20
2021년 9월 11일 07:36영성, 마음공부는
일종의 자각몽일 겁니다.
4차원의 관점에서는
3차원은 꿈, 게임이 되는데
에고라는 꿈 속 캐릭터를 통해
물질 현실을 체험하게 되죠.
자각몽을 해도 되고 안해도 되듯이
영성, 마음공부 역시
해도 되고 안해도 상관없죠.
알든 모르든
깨어나든 계속 잠들어 있든
삶은 전혀 상관없이
온전히 완벽하게 잘 작동한다는...^^
(관찰자 모드 가동 중...^^)
@user-iq2nn6fp1n 18
2021년 9월 11일 07:44전체의식의 나 를 찾아가는 여행으로 들립니다
나를 찾을때까지 여행은 게속된다
@loveme3670 17
2021년 9월 11일 07:58"생각하지 말고 대답해 보세요"에 쇼크가 왔고 예고편을 보고나니 다음편 너무 기다려져요. 손꼽아 기다릴께요 🙏🙏🙏
L N 15
2021년 9월 11일 08:19생각이 곧 언어
언어로 생각하죠
당연 생각없이는 말이 안나와요
전 김건웅님 책에서 첨 읽고 오호라~했지만 제 그릇이 작아서인지 더이상 진도는 안나갔어요ㅡㅡ
김기태쌤 다음편 넘 기대되요~♡ 여유가되면 저두 직접 만나고싶어지는 분이어요~
마구마구 질문해도 다 응해주실꺼같은^^
@user-ip6pm6dl4h 14
2021년 9월 11일 15:35써니즈님을 출퇴근 길에 자주 듣는데
써니즈님이 김기태 선생님을 한번 만나뵈면 좋겠다 혼자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이렇게 함께 하시는 두 분 모습 뵈니 좋습니다~
@user-sw4nx6ci2e 11
2021년 9월 11일 07:43✋✋✋.
1.내 몸은 변화해서 끝에가선 사라진다.
2.내 마음에서 일어나는 건.
내가 아니고.어떤상황이나 일이 일어나면서 일어나는분별심으로 화도나고 행복하고 그런것들은 모두 왔다 사라지지만.어릴때부터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 라는건 한번도 변화하지 않는게 있다.
우리가 이 공부를 하게되는건.
괴로움에서나와 무슨일이 내앞에와도 그래왔구나 하는 맘뿐 그곳에는 괴로움도 행복도아닌 대 자유로 살기위해서 했던 나..
그러나 이자리를 머리로 받아들이면 어렵고.법문을듣되 머리로듣지말고.
그냥 듣다보면 마음으로 확 올때가 있다.
법문을 들을때.생각을 일으키지말고 .그냥 들어라.머리없이 들어라.
모든 말들은 방편이다.
@user-lq6he9kz9x 10
2021년 9월 12일 08:32본의아니게 써니즈님 신상 다 공갴ㅋㅋㅋㅋ
@powernow 9
2021년 9월 11일 15:20아..
깊은 명상 후엔 아무말도 하고싶지 않은 기분이 있거든요. 생각이 없어져서 그런거였군요.ㅎㅎ
요즘 인터뷰 시리즈 보면서
써니즈님과 함께 길을 가는 느낌이어서 내용에 몰입도 더 잘 되는 것 같아요^^
참 좋습니다. 평온한 주말되세요🙏
@user-dv8qw6fi2x 9
2021년 9월 11일 08:09항상 정진하는 좋은방송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user-px5tp1ip2g 9
2021년 9월 11일 23:19깨어남이란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어버리는 것과 같다. 하지만 자동차는 아직 동력, 즉 카르마의 힘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멈추는 데는 시간이 걸리며, 우리는 그전에 다시금 가속 페달을 밟지 않도록 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아디야샨티
@AlicesHakuna 9
2021년 9월 11일 10:31김상운 선생님도 인터뷰 해주세요 🙏
@sjp1111 9
2021년 9월 11일 08:44주관 세상은 환상이죠
본 것에 의미를 주고
의미들이 모여 개념. 관념. 가치가
되니. 이것은 자신의 주관으로
자신만의 것이니
자신이 본 것과 개념.관념.가치로 의미를 내린 모든 것은 주관적이니
환상이라고 여겨도 되겠지만..
객관적으로 돌려서 생각한다면
환상이 아니죠..
왜냐면 세상의 사물, 존재들은
그 자체로 있는 것이죠.
저런것을 주관으로 자신만의 의미를 내리고 관념을 만들어 내릴 때
이런 주관의 세상이 환상이 되지요
진동율로 본다면
생각은 가장 빠르고
빛은 그 다음 빠르고
에테르는 그 다음
가스는 그 다음
액체는 그 다음
고체는 가장 느린 진동율이죠
그리고
생각은 에너지이고
고체 또한 에너지이죠
단순히 진동율만 바뀐
에너지 실체입니다
그렇다면 세상의 모든 것들은
존재자체로 환상이 아닌
엄연한 에너지로 있는 것 입니다
환상이란..
있는 그대로의 에너지들을
자신의 6식으로
자신만의 주관세계로
끌고 들어와서 가공한
의미들의 덩어리들을
환상이라 하여야 되죠
세상은 환상이 아니라
분명한 객관의 존재들이
어우려져 있습니다
환상이라는 표현의 범위적
개념을 잘 이해하여야
혼란함이 없겠지요..
꽃은 그 자체로의 생명원리로
성장하는 객관 실체이죠
꽃을 어떻게 보고 어떤 감정을
가지는 것은 그 꽃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어요
꽃은 꽃으로의 엄연한 존재일 뿐..
즉 나라는 것은 나이지
다른 실체들의 주관으로
만들어 놓은 나가 아닌거죠
그래서 외부의 기준으로
나를 정의하는 것은
환상의 나를 만드는 것과 같지요
나는 엄연한 실체인 존엄한 나일 뿐..
@forestofdifference9138 9
2021년 9월 11일 21:56완전 훌륭해요!!! 설명하실 때 여러가지 개념을 언급하시는데 명쾌하게 이해가 잘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rx3rk4xz9d 8
2021년 9월 12일 07:58써니즈님 영상에 정말 많은 도움을 받으면서 영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늘 제가 부딪혔던 부분ㆍ궁금했으나 솔직하지 못해서 뭉그려 트렸던 부분들을 써니즈님께서 솔직ㆍ정직하게 말씀해주셔서 많은 것들을 배웁니다.
넘넘 감사해요.
작지만 소중한 마음으로 후원합니다.
단향 8
2021년 9월 11일 08:33써니즈님
안녕하세요?
방금 김기태 선생님 얘기 듣다가 ...
예전에 김기태선생님 도덕경을 유튜브로 들었습니다.
김기태선생님 말씀이 빠르다 보니 발음을 정확하게 듣지 못하신 것 같아서요.
10:50분 흉치(형태),, 11:49분 슬핏(설핏), 12:15 개압(계합)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잘난체하려는 게 아니구요.
다 같이 공부하는 입장에서 나누어 봅니다.
써니즈님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user-pc3ou1vq7x 7
2021년 9월 11일 18:50써니즈님 덕분에 좋은 강의 들어서 너무 감사합니다^^ 진짜 폭~~~ 빠져 드네요~ 다음화 넘 기다려 집니다~~~ 😅👍
@bibiy.8898 7
2021년 9월 11일 09:56다음 영상이 너무 기다려집니다~
@user-hh4ne7pw6g 7
2021년 9월 11일 12:18참 보기어려운 사람을 여기서 보게 되네요.
꿈을 이루려면
꿈에서 깨어나야 꿈을 이룰 수가 있고
생각은 생각의 끝을 가봐야
생각을 알 수가 있습니다.
꿈은 꿈이 아니고
생각은 생각이 아닙니다
그 이름이 꿈이고
그 이름이 생각 입니다.
생각속에서 깨어나시길...
@user-ct4gn7yz7k 7
2021년 9월 15일 19:42아 정말 저도 고통이 너무나 괴로워서 시작 하게 됐습니다. 그리고 점점 시간이 지날 수록 감정기복이 줄어 들고- 어떤 부정적인 일이 생겨도 금방 회복하고 있어요. 변치 않는 것이 계속 존재 해왔다는 말을 들으니 마음의 짐이 덜어지는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Om 6
2021년 9월 11일 09:41다~ 좋은데..
<<우리 각자에는 변하지 않는 그 무엇이 있다. >> 라는 것에서~
대부분 참나,진아,불성,아트만,의식,마음,텅빈 근원의 마음(김상운님)등등의 많은 개념을 떠올릴 것입니다.
그리고 요즘은 과학적으로 허공,공간,양자장,공변장,중력장등등
양자역학이 발전함에 따라서..예전보다는 좀더 확장된 개념이 있습니다.ㅎㅎㅎ
제 소견은 변하지 않는 근원적인 무엇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무엇이라는 것조차..변하는 것이라서..결코 변하지 않는 그 무엇도 없다는 것을 선호합니다.
무언가가 나타나는 것이라는 것은(현상) EVENT(사건)가 발생된 결과이며~
그 EVENT를 만든 또 그 무엇은 또 다른 그 무엇들의 결과일 뿐~
우리는 그 EVENT가 서서히 일어나면,정말 서서히 일어나면..변하지 않고 있구나~
혹은 고정된 실체이구나~ 라는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그 무엇이 실체하고 다른 무엇이 실체해서 그 둘이 EVENT를 발생한다고 또 곡해할 수 있는데..
그 무엇과 또 다른 그 무엇이라는 것은 상호의존적이라서~결코 홀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김상운님의 모든 현상은 쌍으로 되어 있다는 말씀처럼..상호의존적으로 서로의 쌍이 동시에 일어나서~
우리는 그것을 한쪽만 선호하기때문에..자연스럽게 분별이 생깁니다.
그 한쪽을 어떻게든(대부분 무의식의 기억정보를~) 없애면 상대되는 것이 없어집니다..
이게 거울명상의 근본 원리이기도 합니다..아마도 많은 분들이 경험하고 체험하셨을 것입니다.
호오포노포노도 이와 비슷한 논리입니다.
저는 육체와 의식(마음)이 서로 거대한 한쌍으로 존재하는 상호의존성을 갖고 있다고 봅니다.
육체가 없으면 의식도 없고(죽으면 의식도 소멸됩니다.)
의식이 없으면..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육체를 인식할 수 있나요?ㅎㅎㅎ
이 시점에서 많은 분들이 사후세계에 대해서는 말씀하시는데?..여기서는 논외입니다.ㅎㅎ
또한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눈을 뜨고 있어도 세상을 인식하거나 세상을 바라볼 수도 없습니다.
혹 의식활동이 없는데..어떤 인식을 하신분 계시나요?ㅎㅎ 사후세계 빼고~
즉 육체와 의식은 바늘과 실입니다..
알기쉬운 예로는 꿈과 전신마취를 들 수 있습니다.
꿈과 전신마취에 대해서는 조금 생각해보면..어떤 의미인지를 아실 겁니다.
그런데 이 의식마저도 결코 근원적인 그 무엇이 아닙니다.
육체에서(뇌의 인지신경망:전전두엽에서) 의식이 발생,발현되는 것은 아마 대부분 아실겁니다.
그 '의식'이라는 개체가 항상 뇌안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린아이,내면아이 등등을 말씀하시는데..이것은 뇌안의 수많은 의식처리 모듈중 하나일 뿐입니다.)
의식의 원초적인 발생의 기초는 시냅스의 EVENT에 의해서인데..수많은 시냅스의 EVENT가 발생하고 그 정도가
점차 복잡도해지면서 갑자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의식현상이 발생됩니다.
시냅스는 물리적,화학적 현상이고,복잡한 신경연결망에서 갑자기 나타난 현상이 의식이라는 현상입니다.
물리적,화학적 현상에서 알 수 없는 의식이라는 현상으로 갑자기 나타난 것입니다.
저는 이 영상에서 변하지 않는 근원적인 무엇이라는 것을 의식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제가 말씀드리는 의식은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며,항존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또한 실재로써
실체하는 것도 더더욱 아닙니다.
의식이..
세상만물,만사가.. 드러나게 했지만..그 모든 것은 실체가 아니고 오로지 뇌의 의식작용으로 꾸며낸
허상이요 환상이요 환영이요 환각입니다.
감사합니다.^^ 아침마다 항상 즐겨듣습니다. 출근길에~
첨언)쓰다보니 조금만 더~조금만 더~덧붙이고..설명을 더 하고..
이 모든 것은 그냥 '의식'입니다.
허허허~'의식'입니다.
캠퍼 6
2021년 9월 11일 07:49코로나는 시작의 불과한데 험난한여행이 될것같네요
엄청난 재난들이 줄지어 있으니
꿈속에서 저는 알아차림을 자주하는데
현실도 알아차림으로 이겨내봅니다
이참나바라기 6
2021년 9월 11일 09:05댓글을 아니 달수 없네요
생각으로 이루어진 세상
생각을 관찰하며 살겠습니다
고요함에집중해봅니다
다음편이 기다려져요
감사합니다 써니즈님
이웃동네에 살고 계시네요
항상 잘 듣고 있어요^^
@user-kq2dt5pw1c 6
2021년 10월 11일 03:33사람들의 영적성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대인것 같습니다
선생님의 수고가 고맙습니다.
최애라 6
2021년 9월 11일 07:36고통이 신호이며 학습된 망상 습관을 알아차려
현존하고 사랑하며 살겠습니다^^
@user-kn4hs8br3o 6
2021년 9월 11일 13:50선생님의 열정적인 강의 감사드립니다!!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user-iq2nn6fp1n 5
2021년 9월 11일 07:32색즉시공 ~♡
Jinkyeong Choi 5
2021년 9월 11일 09:08김기태님 써니즈님 감사하고 사랑해요 🌱☘️❤️
@sandgold2288 4
2022년 10월 06일 07:45이렇게 상세히 스토리텔링으로 깨어남을 비유해주시니 그때는 알음앓이로 알 듯 하지만 사무치게 깨달으려면 견성하고 참선해야 한다는 선지식들의 말씀이 떠오르네요
무명과 정견 세상의 수많은 선지식들을 만나는 선재동자 써니즈님 화이팅
김민채 4
2021년 9월 11일 10:29맞습니다. 모든 것이 한 생각이지요. 다만 그게 생각이라는 것을 알고 난 다음에도, 우리 몸에 패턴화된 조건들이 여전히 남아 있기에, 무의식 속에 패턴화된 조건들을 자각함으로써 그것들을 풀어내어 모든 것이 사랑이라는 것을 영속적으로 알게 되는 것이 깨달음이겠죠. 패턴화된 조건들을 없애는 데 저는 무의식정렬법 이 글 네이버에서 보고 많이 도움됐었네요.
@Erin19831012 4
2021년 9월 13일 12:40정말 … 이때까지 들은 이야기중에 제일이네요. 와 진짜 … 감탄만 나와요 ㅠㅠ 감사합니다 ^^
@Simone_jw 4
2021년 9월 14일 15:37꿈의 내용에 빠지지말고 꿈을 펼치는 의식이 나다... 전율이 돋는 워딩입니다. 현실은 내면의 투영을 이렇게 멋지게 표현하게되네요. 감사합니다.
Picolro Sancho 4
2021년 9월 11일 07:15내가 꽃을 꽃이라고 말하기 전에도 그 꽃은 존재한다. 세상은 생각이전에도 존재한다. 헷갈리지 말아야지.
생각이라 말하는 내 앞의 음식을 먹지 않으면 생각하는 나는 사라진다. 그럼 음식이 허상이라고 말할 수 있나? 실천되지 않는 망상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영화 스크린에 나타나는 주인공이 그곳에 있지 않은 것이니까 주인공이 없는것이다 라는 것이 말이 되지 않는데 마치 꿈을 비유해서 말이 되는 것처럼 말하는 것이 너무 터무니없지 않는가? 주인공은 버젓이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데,
인간으로 태어난 것은 인간으로 살으라는 신의 뜻인데, 굳이 인간의 삶을 버리고 인간보다 덜 진화된 상태로 회귀해서 살아가려는 것이 무슨 소용일지..
@sabangstar88 3
2021년 9월 11일 19:05써니즈님 다이어트 하셨나봐용~턱선이 살아나심^^
궁산 3
2021년 9월 11일 11:40깨달음은...
이해하는게 아닙니다.
tv내멋대로 3
2021년 9월 11일 08:07생각하지말고 말해보세요 할때 아무대답도 할 수 없었어요
행복한나 3
2021년 9월 11일 10:23써니즈님 덕분에 김기태님의 책을 ebook으로 구매해서 어제부터 읽고 있어요.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해요
@user-li1oh9xx9b 3
2021년 9월 11일 14:09세상에실체는 내가있다라는생각이다 .. 내가 생각을하는게 아니라 생각이나를만들었다 .. 또한 조건에의존한 행복은 조건을 요구한다 .. 진정한행복은 진짜나가무엇인지 아는것이다 ~~감사합니다
요리죠리퐁 3
2021년 9월 11일 15:54다음 편도 기다려지네요~~~
@user-my7kv8mu4b 3
2021년 9월 11일 10:33허구성을 깨닫고 문득 보면, 한 순간 다 사라진다. 어서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는데요.
@user-zb1tz8cl8r 3
2022년 1월 16일 23:36김기태선생님 제가 어릴때32
년전에 윤리선생님이셨던 분 같아요 ^^ 몇일전에 갑자기 윤리선생님이 철학자같았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진짜 그분이 맞다면
정말 끌어당김인건데
신기하고 소름 입니다^^
@beni1701 3
2021년 9월 11일 18:40아 아 알듯 말듯
알듯 말듯 알 것 같으면서도 알고 있는 것 같으면서도 모르고 있는 것 같으면서도......
@user-xb7it2qw1q 3
2021년 9월 11일 14:44펜트하우스 다음회 예고~~
어떤 방법으로 깨어날까~~ 김기태(주단태) ㅎㅎ
아직 끝나지 않은 드라마
오늘 영상 두분 고맙습니다^^
@Purple.o_o 3
2021년 9월 11일 14:40이분 영상 너무 좋아서… 아껴뒀다가 ㅋㅋㅋ 천천히 봅니다☺️☺️ 감사합니다!
B(ook)S(oul) 2
2021년 9월 11일 10:23감사합니다.
수연행 2
2021년 9월 11일 10:52감사합니다🙏
Tara 2
2021년 9월 11일 17:03와...
소름...
다음편빨리봐야지
신난나비 2
2021년 9월 11일 07:2710:50 흉치->형체
@ee_hwa 2
2021년 9월 11일 08:45아~ 그렇구나. 하는 순간에 또 습에 빠져듭니다.
@BasicEng 2
2021년 9월 11일 20:49우리는 생각과 느낌으로 마음에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고 그 창조된 세상에서 느낀것이 이 세상의 전부라고 착각하고 있다.오감이 없으면 나는 무엇을 어떻게 느낄까?텅빈 마음이 결국 참나란 말인가?오감을 벗어나 참나가 되려면 어찌해야 하는가?나의 이 오감속의 새대가리로는 도저히 감이 오지 않는다!
상암TV 2
2021년 9월 11일 17:26부처의 가르침, 힌두교의 세계관, 영화 매트릭스나 일론 머스크의 세계관을 설명하시는 것 같네요
논리적으로 생각해보면, 우리는 우리가 사는 세계에 갇혀 있는 상태로 절대 깨달음에 도달할 수 없죠.
만약 누군가가 깨달았다고 한다면, 그건 순간적인 착각이거나 거짓을 말하는 겁니다.
Mugi Kim 2
2021년 9월 11일 14:10루시드 드림(자각몽)을 꾸는 것과 현실에서 깨닫는 것은 비슷한 느낌인가요? 인위적으로 꿈 속에서 꿈임을 자각하는 방법을 체험해봤거든요. 꿈인 것을 깨닫기 전에는 상황에 휩싸여 대응하기 바쁘고 고통스러운데 꿈인 것을 깨달은 뒤에는 내가 주도적으로 상황을 만들어나가니 자유로와졌어요. 하지만 의외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bongtube73 2
2021년 9월 13일 07:58김기태 선생님
도덕경 강의 듣다 알게 되었는데
써니즈님 이렇게 초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li6gj8qc4f 2
2021년 10월 28일 14:21수십권의 책을 읽고 이해하고 개념까지 알고있지만 사실은 머리로만 알고있는것이죠.
내차를 들이박은 상대방차를 보면서 이 세상은 허상이니 좋은말로 위로해주고 보상도 없이 돌려보낸 후에도 행복할 수 있어야하는게 깨달음아닐까싶네요.
@user-po6xy4vk1d 2
2021년 9월 13일 06:0015분 만에 책 한권 읽었네요..감사합니다아
김재형 2
2021년 9월 12일 14:18음..... 목소리가 참 매력적이시네요..^^ 이 영상 혹시 한번 보신적 있는지?? 관련성이 매우 높은거 같아 링크걸어드립니다.
데이빗아이크 강연중 5/6 부
https://youtu.be/BK-pHXBCFls
@moonlight-cj2cv 2
2021년 10월 11일 16:19견성을 이리도 쉽게 가르쳐 주시는 김기태 선생님의 자비로운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김진성 2
2021년 9월 11일 22:59정말 감사합니다 🙏
@macwoodlee2532 1
2021년 11월 03일 14:50써니즈님 넘 귀여워여..
항상여여한삶 1
2021년 10월 17일 03:53비트켄슈타인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말할 수 없는 것은 침묵하여야 한다.'
지연류 1
2021년 9월 15일 17:31음 그래서 기억이나 생각을 어떻게 다뤄야하는건가요?
사랑 1
2021년 9월 11일 15:37갑자기 궁금해서 마지막 말씀에 나타난 현상 자체가 상대 그사람은 자기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착각이라는말이 그럼 상대는 다른영혼은 어떻게 되나요..? 아니면 그냥 그게 나였던가요? 복잡해져서ㅜㅜ
@badasan4105 1
2022년 3월 17일 16:57와 감사해요
비비 1
2021년 9월 11일 11:16써니즈님. . 감사드립니다
@user-vr8ro1wn4k 1
2021년 9월 13일 00:07감사합니다 ❤ 써니즈님 ❤🌻🍀
@dkh390 1
2022년 6월 17일 18:33너무나 감사합니다
@brucechoi7550 1
2021년 10월 03일 13:21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seol ki lee 1
2021년 9월 12일 09:32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michellekim882 1
2021년 10월 30일 11:10진짜 이름이 안떠오르네요....
이름이 없으면 그것도 없구나....🙇♀️🙇♀️🙇♀️
jamie k 1
2021년 9월 11일 07:151등
@user-kw5jm4ye4w 1
2021년 11월 07일 10:50신가물입니다 써니즈님 채널 접하면서 세상공부가 많이 깊어졌습니다. 모든 공부들이 다 중요하지만 이 공부들을 다 엎을 수 있는 강단과 자신을 볼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비로소 '이것'이 공부해온 것이 법이며, 하늘이고 땅이다 라는것을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커피라도 한잔 사드리고싶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우보석 1
2021년 9월 12일 07:20감사합니다
ck shim 1
2021년 10월 10일 10:02현실은 내가아닌가 현실을 생각하는 인식하는 나는 무엇인가 생각하는 나를 생각을 분석할 수있나 생각하는 나일 뿐이지 그게 바로 나일듯 1차원으로 다차원으로 생각인식하는 차이 현재의 나를 깨닫는데 그 나는 1차원일 수도 있고 다차원일 수도 있고 나는 과거가 쌓인집적체인가 그것도 과거집적체인가를 생각하는 현재나에 답이있음 과거집적체와 현재나는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듯 분명히 차이가 있음 개념에서 개념을 빼는게 아니라 개념으로 나누는게 흥미진진한 결과를 과거집적체나를 현재의 나로나누면 몫은 합리론 나머지는 경험론
@unitedhanxrp5029 1
2021년 10월 21일 21:31감사합니다
zero 1
2021년 9월 11일 08:20부정적인 사람으로 그 에너지로 저도 부정적이게 되고 할텐데 어떻게 하면 좋을가요. 다른 사람의 에너지를 영향을 받을텐데 어떻게 하나요?
@momoforest
2023년 8월 19일 20:55써니즈님 웃는 거 너무 귀여우셔요ㅎㅎㅎ 수줍은 소년처럼 웃는 게 예뻐서 댓글을 안 달 수가 없었어용^^
@user-cn5el3yd2j
2024년 1월 18일 07:52세상이 곧 분별이고 생각인것을 알고 살아가는 사람들과
세상이 곧 실체라고 여기고 살아가는 사람들
이것 하나 차이라는 것이죠.
즉, 세상이 곧 분별이고 생각이고 꿈과 같음을 알고 살아간다면 집착없이 살아가니 괴로움이 덜한것이고 반대라면 괴로움이 크다는 것이죠.
허나 그 괴로움이 오더라도 그 괴로움이 실체가 아님을 알고 살아가겠죠. 늘 행복의 상태이겠죠.
이 간단한것을 구하려 하고 찾으려 하니 찾아 지는지요
눈앞에 드러나 있는데 눈앞을 보지 못하지요.
모든 사람들에게 다 구족되어 있는 오직 그 하나가 한마음이요.
crimson pig
2021년 9월 11일 07:16식민지매트릭스
@user-hz1mw2kq9t
2023년 6월 09일 22:08그냥 내 안에 신성이 있다 이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