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이렇게 좋은 책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제 신박사님께서 병원에서 추천해주신거 보고 바로 구입했어요~ 두분의 큐블리케이션 덕분에 저의 2021년은 정말 풍성해진것 같아요. 추석연휴도 가족들과 함께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저도 아이랑 송편도 만들고 많이 놀아주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항상 고퀄 영상 감사합니다.
사실 놀면서 사회에서 살아갈 때 필요한 능력을 배우는게 정말 많기 때문에 잘 노는게 중요하거든요..저는 지금도 노는 걸 좋아해서 가끔 놀이터에서 아이들이랑 같이 놀려고하면 아이들이 놀이를 너무 몰라서 깜짝 놀라요...두껍아두껍아랑 모래 빼앗기 놀이 땅따먹기 놀이를 가르켜줬더니 얼마나 자즈러지게 좋아하던지..하긴..요즘은 고무줄 놀이 하는 아이들 본적도 없는데...어릴 때 나는 눈만 뜨면 오늘은 뭐하고 놀까 생각만 했는데...같이 노는 아이들과 관계속에서 룰을 정하고 규칙을 지키고..상상력을 키우고 관계안에서 충돌이 생길 때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모두 또래 친구들과 노는 과정에서 가능하거든요..또래가 없더라도 부모나 어른이 수평적인 관계안에서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놀 수 있을 때 가능하고 시간이 짧더라도 상황에 집중해주고 밀도 높은 시간을 보내면 아이들의 허기진 마음을 채워주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좋은 장난감 삐까 번쩍한 놀이 동산 필요없구요 아이들은 우리 뭐하고 놀까하면 눈을 반짝이면서 놀 거리를 생각해냅니다..주로 어른들은 헛웃음이 나오거나 기함을 할 놀이들일 수 있지만 최소한의 규칙만 정해주고 아이들이 하고싶은 대로 따라해주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부모님만 없으면 집안 살림을 전부다 끄집어내서 온통 저의 아지트로 만들었었는데..일단 옷장 다 끄집어내고 이불 다 꺼내서 이불로 건축을 하고...돌이켜보면 엄마 화장품들을 다 거덜 낸 거랑 주방 도구들 가지고 노는 것만 금지했으면 됐을 것 같은...음...아닌가?
1. 자연상태에서 자발적독서를 즐기는 아이는 잘 없습니다. 억지로라도 독서를 시켜야 맞춤법이라도 알고, 몇 번의 몰입경험이라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자연상태에서 자란 늑대인간이 문자 읽을 줄 안다고 책을 읽을까요? 아이들 중 소수만 이야기의 가치를 본능적으로 인식합니다. 그런 아이들 마저도 대다수 어른이 되어서 책을 손에서 놓습니다. 꾸준한 독서는 그만큼 쉽지 않은 일입니다. 내 자아를 하루하루마다 바꿔나가는 것이니까요. 2. 자유로운 쉬는시간을 길게 주면 사고가 발생합니다. 사고를 당한 아이는 아동기 역경 트라우마를 겪을 수 있습니다. 물론 책임은 교사에게. 3. 아동기는 학습에 있어서도 결정적 시기입니다. 특히 결정적 시기에는 놀이도 중요하지만 언어학습을 많이해야 합니다. 학교는 비체계적 놀이를 위해 최적화된 공간이 아닙니다.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교육과정을 소화시키기 위한 곳입니다. 하교 후에는 영어학원 가야합니다. 가정이 맞벌이라구요? 태권도도장도 다녀야겠네요. 집에와서는 숙제를 해야지요ㅎ 4. 보통교육이라는 것은 참으로 무서운 일입니다. 사회의 모든 아이들이 참여하기 때문입니다. 신체인지 장애 아이를 차치하더라도, 기질상의 결함이나 정서적 문제를 겪는 아이들도 부지기수입니다. 이 아이들에게 협동과 의사소통이 필요한 비체계놀이를 시킨다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교육적 자원을 필요로합니다. 5. 교육행정가, 교사들은 생각보다 지식인입니다. 특히 젊은 세대 교사들은 교육에 대해 이해도가 깊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정원-f1t 4
2021년 9월 16일 11:27우리나라가 사회, 정치적으로 교육에 대한 개념 정착이 안되었고 안정된 국가가 아니다 보니 자녀가 성인이 되었을때 밥벌이나 할까 하는 걱정에 대부분의 부모가 교육방식에 대한 변화를 주저하는 것 같아요
@withmiran7841 4
2021년 9월 16일 07:53같이 놀 아이들이 없을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Hwan-kr7ys 3
2021년 9월 18일 17:50교육 시스템이 바뀌길 소망합니다. 아이들을 놀게하라 라는 제목은 정말 인상적이네요. 오늘도 좋은 책 감사합니다 꼭 주변 지인 분들이 읽어봤으면 좋겠어요^^
@buzamom 2
2021년 9월 18일 06:0718개월 아기 엄마인데 하루종일 같이 있는데 진짜 온전히 같이 놀아주는 시간이 부족함에 반성합니다
@꾸러기-q6b 2
2021년 9월 16일 17:12어릴 때부터 학업때문에 잠 못자게 하는 부모가 있다니,,,
@soukseungwon 2
2021년 9월 16일 10:25그렇다면 고영성작가님은 학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비판의 의미보다 생각을 듣고싶습니다.
@김애란-b8i 2
2021년 9월 16일 09:38아이 키우는 입장에서 이렇게 좋은 책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제 신박사님께서 병원에서 추천해주신거 보고 바로 구입했어요~ 두분의 큐블리케이션 덕분에 저의 2021년은 정말 풍성해진것 같아요.
추석연휴도 가족들과 함께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 저도 아이랑 송편도 만들고 많이 놀아주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항상 고퀄 영상 감사합니다.
@기미영-q7q 2
2021년 9월 16일 10:54같이 있지만 함께하는 시간1시간이라는거 진짜 공감해요 ㅠ 다시 같이노는 방법을 고민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찬우 김 1
2021년 9월 16일 09:47아빠가 적성이 맞지 않는 대학교 진학하게 해서 우울증옴. 그런데 지금은 여러가지상담해서 해결해가고 있음.
@chaehyunkim7374 1
2021년 9월 16일 08:10좋은 내용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독서하고 아이와 함께 놀기~~~!!!
모든 국민의 필독서네요.
책읽어주는여자 주연이 1
2021년 9월 16일 12:42대박 좋은 책 같아요. 바로 읽어봐야지.
@돌편-f7g 1
2021년 9월 16일 09:42ㅋㅋㅋ 우리나라 부모님 수준 엄청나네ㅋㅋㅋ 하지만 태반은 스스로 괜찮은 부모라고 생각하겠지..
@정바울라 1
2021년 9월 16일 10:58잘 노는 아이가 주도적인 아이로 자란다는 말에 공감요. 경험상 잘 놀아야 창의성도 생기는것 같아요^^
@rebornbyme7387 1
2021년 9월 16일 07:50정말 극 공감입니다!!!!!
@MS-td8mt 1
2021년 9월 18일 15:41반성합니다
@hjlee0710 1
2021년 9월 16일 08:56학년이 올라 갈수록 공부잔소리를 더 하게 되는데 꼭 읽어보고 진짜 행복한 아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어요. 좋은 책 고맙습니다.
@thetruelightshines 1
2021년 9월 16일 17:22모든 부모님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을 출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책을 읽기 전에 2019년도에 읽었던 같은 주제의 책인 권오진·<<놀이만한 공부는 없다>>도 추천해봅니다.
@soyounglee5390 1
2021년 9월 18일 00:24사실 놀면서 사회에서 살아갈 때 필요한 능력을 배우는게 정말 많기 때문에 잘 노는게 중요하거든요..저는 지금도 노는 걸 좋아해서 가끔 놀이터에서 아이들이랑 같이 놀려고하면 아이들이 놀이를 너무 몰라서 깜짝 놀라요...두껍아두껍아랑 모래 빼앗기 놀이 땅따먹기 놀이를 가르켜줬더니 얼마나 자즈러지게 좋아하던지..하긴..요즘은 고무줄 놀이 하는 아이들 본적도 없는데...어릴 때 나는 눈만 뜨면 오늘은 뭐하고 놀까 생각만 했는데...같이 노는 아이들과 관계속에서 룰을 정하고 규칙을 지키고..상상력을 키우고 관계안에서 충돌이 생길 때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모두 또래 친구들과 노는 과정에서 가능하거든요..또래가 없더라도 부모나 어른이 수평적인 관계안에서 아이들이 주도적으로 놀 수 있을 때 가능하고 시간이 짧더라도 상황에 집중해주고 밀도 높은 시간을 보내면 아이들의 허기진 마음을 채워주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좋은 장난감 삐까 번쩍한 놀이 동산 필요없구요 아이들은 우리 뭐하고 놀까하면 눈을 반짝이면서 놀 거리를 생각해냅니다..주로 어른들은 헛웃음이 나오거나 기함을 할 놀이들일 수 있지만 최소한의 규칙만 정해주고 아이들이 하고싶은 대로 따라해주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부모님만 없으면 집안 살림을 전부다 끄집어내서 온통 저의 아지트로 만들었었는데..일단 옷장 다 끄집어내고 이불 다 꺼내서 이불로 건축을 하고...돌이켜보면 엄마 화장품들을 다 거덜 낸 거랑 주방 도구들 가지고 노는 것만 금지했으면 됐을 것 같은...음...아닌가?
@eunseohan866
2021년 9월 17일 09:32구입완료요. 꼭 읽어보고 적용해볼께요.추천 감사합니다~
@zpt9139
2021년 12월 30일 17:00초보 부모들이 무조건 알아야 할 내용들이 많네요.
@namju94
2021년 9월 16일 14:10고작가님 눈물이 핑 돈다고 말하실때 저두 울컥했어요 😭 어른들이 목표를 향해 달려가느라 현재를 행복하게 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부모는 그 패턴 그대로, 아니 더 심하게 미래를 준비시키기위해 현재를 포기하도록 아이들을 몰아치는 현실을 생각하니 저도 울컥합니다 ㅠ
작년하반기엔가 이 책 나온다고 언급하셔서 기대하고 있었는데 안나와서 아쉬워하고 있던 1인입니다. 꼭 주문해서 읽어보겠습니다.
한가지 고민은 초1인 저희 아이 코로나 시국에 친구들과 '자유놀이'하기가 무척 어려워진 상황이 되었다는거네요 ㅠ 부모로서 놀이해주는건 한계가 분명하고.
@홍희자-h8m
2021년 9월 16일 18:09감사합니다^^사랑합니다♡♡
@찬곰-p8k
2021년 9월 16일 22:36뼈에 사무치는 말씀입니다. "대한민국 정치가, 행정가, 관료들은 정말 크게 반성해야 합니다." 말씀에 눈물나올 정도로 큰 울림으로 공명합니다. 감사합니다 ()
BK A
2021년 9월 16일 08:24아이들이 행복해지도록 노력합시다!
@사람사이-i8t
2021년 10월 24일 22:161. 자연상태에서 자발적독서를 즐기는 아이는 잘 없습니다. 억지로라도 독서를 시켜야 맞춤법이라도 알고, 몇 번의 몰입경험이라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자연상태에서 자란 늑대인간이 문자 읽을 줄 안다고 책을 읽을까요? 아이들 중 소수만 이야기의 가치를 본능적으로 인식합니다. 그런 아이들 마저도 대다수 어른이 되어서 책을 손에서 놓습니다. 꾸준한 독서는 그만큼 쉽지 않은 일입니다. 내 자아를 하루하루마다 바꿔나가는 것이니까요.
2. 자유로운 쉬는시간을 길게 주면 사고가 발생합니다. 사고를 당한 아이는 아동기 역경 트라우마를 겪을 수 있습니다. 물론 책임은 교사에게.
3. 아동기는 학습에 있어서도 결정적 시기입니다. 특히 결정적 시기에는 놀이도 중요하지만 언어학습을 많이해야 합니다. 학교는 비체계적 놀이를 위해 최적화된 공간이 아닙니다.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교육과정을 소화시키기 위한 곳입니다. 하교 후에는 영어학원 가야합니다. 가정이 맞벌이라구요? 태권도도장도 다녀야겠네요. 집에와서는 숙제를 해야지요ㅎ
4. 보통교육이라는 것은 참으로 무서운 일입니다. 사회의 모든 아이들이 참여하기 때문입니다. 신체인지 장애 아이를 차치하더라도, 기질상의 결함이나 정서적 문제를 겪는 아이들도 부지기수입니다. 이 아이들에게 협동과 의사소통이 필요한 비체계놀이를 시킨다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교육적 자원을 필요로합니다.
5. 교육행정가, 교사들은 생각보다 지식인입니다. 특히 젊은 세대 교사들은 교육에 대해 이해도가 깊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maggichappens8790
2021년 12월 28일 06:27책 소개 방송 끝나기도 전에..책 주문했어요! 감사합니다
@Hy-m
2021년 9월 16일 11:36항상 책소개, 추천 감사합니다 추천해주시는 책마다 인생책이라 할정도로 배움이 커요
@natsudeshita
2021년 9월 16일 12:42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될 수 없는 이유는 과거를 보고 현재에 안주하기 때문이다.
@이준규-h4p
2021년 9월 16일 09:04신박사님 자녀분들은 책읽기를 많이 좋아하나요? 부모가 책을 많이 읽으면 아이도 그렇게 되는지 궁금하네요
@박현주-r2k
2022년 1월 23일 19:05고생하셨습니다.
rebornbyMe
2021년 9월 16일 07:50매우 공감하고 중1맘인데 실천할려 노력하고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