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경영난으로 호프집,노래방 운영하던 분들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안타까운 뉴스가 떳습니다. 젊은이들 보고 왜 집값 싼 지방 냅두고 수도권만 고집하느냐고 하는데, 좋은 직장이든 열악한 직장이든 대부분의 직장이 수도권에 있으니 어쩔수없이 수도권에서 거주를 할수밖에 없는데.. 불과 4년 동안에 두세배로 뛰어서 이젠 직장인이 20년을 모아도 경기 외곽 아파트도 살 수 없는 지경이고요. 이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니 정작 국가의 빚은 많이 안늘어 아주 건전한 상태고, 개인의 빚만 엄청나게 늘어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위험한 상황이죠. 영상 후반부의 교수님 말씀대로 벼랑 끝 상황인 자영업자에 대한 직접 지원, 정부주도의 공격적인 주택 공급을 통한 부동산 문제 해결에 재정이 투입되어야 하는데.. 개인이 알아서 해결할 문제로 방치하는게 오히려 문제인것 같습니다.
대차대조표 불황을 이야기한 리차드 쿠의 주장에서도 알수있듯이 자본 계정은 한나라의 진정한 통화량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주요 화폐가 아닌 국가가 제정지출을 과도하게 하는건 좋지 못하지만 적어도 기업의 자본 계정이 다시 음의 숫자로 돌아갈때까지 정부가 매꿔주는것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하 근데 체감경기가 미친 수준으로 얼었습니다. 뉴스보니 자영업자들 스스로 생을 마감하고 집단 조문하고 그거 막는다고 경찰들 나와서 몸싸움하더군요. 한국의 문제는 자영업자가 너무 많다는겁니다. 제 기억에 터키, 멕시코 다음으로 높은걸로 아는데 선진국 중에 말도 안되는 수치로 높습니다. 거의 1/3 가까이가 자영업자고 대부분이 직원 5명이하거나 가족운영 혹은 1인 자영업인데 이 고용불안정이 코로나로 터진거죠. 폐업하면 대출을 환수하기 때문에 폐업할 돈도 없어 사업자등록만 유지하고 있어 통계에 잡히지 않는게 굉장히 많을겁니다. 공무원, 정규직이 학생들의 꿈인 나라가 미래가 밝다고 하는건 솔직히 너무 낙관적인 전망이긴 합니다.
넘쳐 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 모두가 전문가 일 수는 없고 누군가는 균형된 시각을 가지고 여러가지 경제 현상에 대한 제대로된 설명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그런데 누군가는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왜곡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누간가는 인사이트 부족으로 엉뚱한 방향성을 이끌어 내는 듯 합니다. 하여튼 이 채널을 통해 균형된 시각을 가지게 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듯 합니다. 항상 감사 드립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근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객관적 자료로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편향적인 자료들로 자기 입맛에 맞는 주장을 펼치는 경우가 너무 많다보니 저 같은 일반인들은 현상황이 어떤지 중심을 잡기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비교적 명확한 자료로 현상황을 짚어주시니 속이 다 시원하네요 ㅎㅎ 그리고 혹시 박사님이 자주 가시는 홍대 라면집은 어디인가요? ㅋㅋ 박사님께 맛잘알 포스가 많이 느껴져서 궁금합니다
주식이 폭락할때 여러자산들이 같이 폭락하는것같은 느낌이 있어요 예를들어, 나스닥이 폭락하면 비트코인도 빠지고 금도 빠지고 심지어 일부 채권도 빠집니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자산배분을 하는 기관에서 주식이 10%가 빠졌다면 그 빠진부분을 다른자산을 팔아서 리밸런싱을 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결국엔 현금비중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빠질땐 다 빠지니까요..
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오늘 말씀하신 국가의 재정적자에 관한 이야기 중... 한 가지 의문이 드는 건.... 코로나로 인해 재정적 타격을 입은 이들에게 지원을 해주어 재정적자가 났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소상공인들..즉 자영업자에게 지원하는 건 적극찬성입니다. 그런데, 현재 모든 국민..거의 모든 국민에게 똑같이 재난지원금이라는 이름으로 돈을 뿌리고 있는 것을 지적하고 싶어요. 그 돈으로 진짜 어려움을 입는 분들에게 지원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제 생각의 부족함이나 편향성이 있다면..저 또한 더 공부하고 숙고해야 겠죠... ㅜㅜ 암튼..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안산-m4g 49
2021년 9월 17일 20:05IMF 트라우마를 이용하려는 정치가 여든 야든 국가부채를 정쟁화 하는게 문제 라고 생각합니다
재정 주도권을 놓지 안으려고 하는 기재부 관료도 문제의 한 축이고요
오늘도 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julio22-vvip 47
2021년 9월 17일 20:06댓글 삭제 이유 정말 공감합니다. 옳다 그르다 이전에 자신의 채널에 중심을 세우고 하시는 것에 공감합니다.
@miyeongyun3578 30
2021년 9월 17일 22:47너무 많은 정보가 난무하다보니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힘든 세상인 것 같습니다.
젊은 분들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현재상황을 제대로 보고 미래지향적이면 좋은데..참 안타깝네요..
그리고 한국정부 부채 관련한 내용에 대해 너무 공감 가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안알랴줌-x7v 22
2021년 9월 17일 21:17동감입니다. 현상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대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박사님. 화이팅!
@chunukhong 20
2021년 9월 17일 22:13👏[추석 특별 이벤트 진행]
28년차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박사의
유일한 경제&투자 스터디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추석연휴 보낼 준비 잘 하고 계신가요?
추석특집으로 특별히 다룬, 구독자분들께 꼭 들려드리고 싶은 금융위기를 대비하는 5가지!
끝까지 잘 들어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정순-e3g7f 19
2021년 9월 17일 20:28홍박사님 분석 들으니 속이 다 시원합니다.
감사합니다.
Mania Bucks 17
2021년 9월 17일 20:43금방이라도 망할 나라라니.. 한글 압수!!
그나저나 오늘도 큐티큐티한 박사님..ㅎㅎ
Stuka K 16
2021년 9월 18일 18:30정치적 입장을 위해 객관적 사실을 왜곡하는 사람들이 제일 문제입니다.
@백성요 11
2021년 9월 18일 12:04고견 잘 들었습니다 횽님!! 저도 좀더 돈을 써도 좋을텐데라는 아쉬움이 항상 있었는데 명쾌하게 풀어주셨네요ㅎㅎ
@김마토-v9p 10
2021년 9월 18일 02:48돈을잘써야하는데 표얻기위해쓰는게 문제
@pdhfjr 8
2021년 9월 17일 20:16단순한 지식,정보의 나눔을 넘어 생각해볼만한 질문을 주셔서 더욱 감사합니다. 2번 보게되네요.
프리독스 8
2021년 9월 19일 16:09선생님, 젊은 사람의 나라 망한다는 시니컬한 태도는, 자신의 살기 어려운 상황에서 비롯됩니다. 자신의 삶의 미래가 어두우니, 모두 망해버렸으면 하는 유아적인 마음일 뿐이고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이 아닙니다. 마음쓰지 마세요 ㅎㅎ
@newtoy2007 8
2021년 9월 18일 09:32홍박사님 항상 좋은 정보, 지식, 교육, 안내 감사합니다!!!
@주기장-x2f 7
2021년 9월 18일 00:36지우면 또 쓰고 그래요. 그냥 무시 하세요.. 듣지를 않는데...말해준다고 .. 박사님 항상 응원합니다
하이HI 7
2021년 9월 18일 16:55국가부채보단 가계부채가 심각해서 걱정이 많은 것 같습니다
@김은미-b6u 6
2021년 9월 19일 21:49홍박사님 좋은 생각, 좋은 의견 잘 들었습니다. 일부 젊은층의 비관적 태도가 왜 만연한가...이것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이런 컨텐츠를 만든점이 참 인상적이네요. 안유화 교수님과의 토론 프로그램을 보고 오게되었는데 역시 감탄했습니다👍
@영데빌 6
2021년 9월 17일 23:12코로나 경영난으로 호프집,노래방 운영하던 분들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안타까운 뉴스가 떳습니다. 젊은이들 보고 왜 집값 싼 지방 냅두고 수도권만 고집하느냐고 하는데, 좋은 직장이든 열악한 직장이든 대부분의 직장이 수도권에 있으니 어쩔수없이 수도권에서 거주를 할수밖에 없는데.. 불과 4년 동안에 두세배로 뛰어서 이젠 직장인이 20년을 모아도 경기 외곽 아파트도 살 수 없는 지경이고요. 이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니 정작 국가의 빚은 많이 안늘어 아주 건전한 상태고, 개인의 빚만 엄청나게 늘어서 언제 터질지 모르는 위험한 상황이죠. 영상 후반부의 교수님 말씀대로 벼랑 끝 상황인 자영업자에 대한 직접 지원, 정부주도의 공격적인 주택 공급을 통한 부동산 문제 해결에 재정이 투입되어야 하는데.. 개인이 알아서 해결할 문제로 방치하는게 오히려 문제인것 같습니다.
수호 5
2021년 9월 18일 16:45IMF을 트라우마가 큽니다. 그리고 공사, 공기업,지방자치단체의 빚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쉰주부 5
2021년 9월 17일 21:57저도 댓글 보고 저도 놀랐습니다.
지금 상황이 막막하고 궁금했는데...넘 감사드려요.
@zicep5436 5
2021년 9월 18일 12:28홍남기가 위태롭고 위험하다고 했죠. 이 강의는 홍남기가 봐야....
@parmenideskim9739 4
2021년 9월 18일 01:22독일도 과거 1차대전 직후 엄청난 인플레에 시달린 트로마가 지금도 있다네요. 그래서 지금도 양적완화를 두려워 한다네요. 하여튼 좋은 의견 잘 보았습니다.
taehwan Kim 4
2021년 9월 17일 23:44대차대조표 불황을 이야기한 리차드 쿠의 주장에서도 알수있듯이 자본 계정은 한나라의 진정한 통화량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주요 화폐가 아닌 국가가 제정지출을 과도하게 하는건 좋지 못하지만 적어도 기업의 자본 계정이 다시 음의 숫자로 돌아갈때까지 정부가 매꿔주는것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조스미-p6l 4
2021년 9월 17일 20:34걱정했던 부분이였는데 속시원하게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니훈-r5d 3
2021년 9월 18일 09:09하 근데 체감경기가 미친 수준으로 얼었습니다. 뉴스보니 자영업자들 스스로 생을 마감하고 집단 조문하고 그거 막는다고 경찰들 나와서 몸싸움하더군요.
한국의 문제는 자영업자가 너무 많다는겁니다. 제 기억에 터키, 멕시코 다음으로 높은걸로 아는데 선진국 중에 말도 안되는 수치로 높습니다. 거의 1/3 가까이가 자영업자고 대부분이 직원 5명이하거나 가족운영 혹은 1인 자영업인데 이 고용불안정이 코로나로 터진거죠. 폐업하면 대출을 환수하기 때문에 폐업할 돈도 없어 사업자등록만 유지하고 있어 통계에 잡히지 않는게 굉장히 많을겁니다. 공무원, 정규직이 학생들의 꿈인 나라가 미래가 밝다고 하는건 솔직히 너무 낙관적인 전망이긴 합니다.
@stingbee8719 3
2021년 9월 20일 14:18지금 중국 헝다 터졌어요. 1년후에 홍박사님 말씀 또 듣고 싶네요 ㅋㅋㅋㅋㅋ
@stevekwon8851 3
2021년 9월 18일 15:18선진국들이 자영업자들에 지원한 걸 보면 상상이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거리두기를 강요했지만 이에 반해 중소자영업자에 대한 지원은 없어 이들은 몰락하고 있다. 핀셋지원을 못하다 보니 전국민재난지원금만 만무했다.
@GmWn-d3r 3
2021년 9월 18일 01:12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카페라떼-d5g 3
2021년 9월 19일 17:27홍춘욱 박사님 화이팅입니다!!
저도 자영업자 많이 도와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영업자님들의 배려로 코로나가 안정된거 같아요 감사하게 생각하며 정부에서 꼭 도와줘서 우리나라가 더 성장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또영이남편 3
2021년 9월 17일 22:00복권을 긁으러 왔습니다!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새나라 2
2021년 9월 20일 08:59정부에서 자영업자들 더 지원해야 해요. 너무 맘이 아픕니다. ㅠㅠ
dalta600 2
2021년 9월 18일 00:00정말 통쾌한 분석이신듯 합니다~박사님 화이팅임다~!
@구명희-n7g 2
2021년 9월 19일 17:24잘 듣고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minjungkim8609 2
2021년 9월 20일 23:22구체적인 근거와 정확한 정보를 알수 있어서 정말 감사합니다. 속이 뻥 뚤리는 것 같아요 !!
@shinsan6 2
2021년 9월 18일 02:26재정위기는 중단기가 아닌 장기 문제로 봐야하지 않을까요. 재정 의무지출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과정에서 저출산 문제가 확정되어 2045년부터 재정적자 규모가 급격하게 악화됩니다. 이는 기재부보다 국회 예정처가 더 비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어요.
재정위기를 들어 코로나 극복 재정 지출을 비판하는 것은 부적절 하겠지만 재정의 의무적 지출을 가져오는 정책에 대한 비판은 재정위기를 근거로 충분히 할 수 있다 봅니다.
엘시에더리 2
2021년 9월 18일 02:51근거에 기반한 설명 감사합니다.
@olclocr 2
2021년 9월 18일 19:54속이 뻥 뚤리네요. 감사합니다.
ProjectX 2
2021년 9월 19일 10:01재정지출의 ‘내용’에 대해서도 썰 풀어주시면 좋을것같습니다!
@거북이-w1t6h 2
2021년 9월 19일 01:07항상 어려운 내용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시는 홍 박사님...감사합니다. 추석 연휴 즐거운 시간 되세요 ^^ !
@kimjoonsung4860 2
2021년 9월 18일 09:47좋은 분석 감사합니다.
Olivia 2
2021년 9월 18일 07:56Clear~~~역시 박사님 입니다. 그런 편협한 논리로 정치 경제 묶어 어이없는 뉴스로 만들어서 송출시키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또 그게 진짜라고 믿는 사람들도 있구요. 답답했는데 시원한 설명 감사합니다. 건강한 한가위 되세요~
@agj5114 2
2021년 9월 18일 23:15객관적 분석 잘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재정이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말씀을 듣고 위안을 느낌니다.
다만 박사님께서 말씀하신 2분야의 재정지출 확대는 현 정부하에서는 이뤄지기 어렵습니다.
정치인들에게는 경제도 정치입니다.
즉 재정지출의 확대라는 아주 좋은 무기는 권력창출의 수단으로 쓰여질 것입니다.
따라서 코로나로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에게 집중적으로 보상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자영업자보다 급여생활자가 더 많습니다. 25만원의 푼돈이라도 많은 사람에게 나눠야 표를 사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그 힘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나타났습니다.
둘째, 아파트 분양에 쓸 수 없습니다. 국민의 주택자가보유율과 좌파정부의 지지율은 서로 반비례합니다. 즉 자가보유율이 높아지면 사람은 보수로 변해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좌파정부가 주택을 자가보유하게 하지 않고 임대를 늘려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따라서 박사님의 말씀은 이론적으로는 옳을 지 몰라도 현 좌파정부하에서는 이뤄질 수 없는 희망사항에 불과합니다.
@joyful96joy 2
2021년 9월 20일 17:56100프로 동감합니다.
호도하는 잘못된 기사가 참 문제~~!!
@zezejuju9282 2
2021년 9월 25일 14:26감사합니다. 곧 나라가 망할것처럼 말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정확한 통계와 분석으로 이러한 우려를 해소해주시네요.
@명세호-p8f 2
2021년 9월 19일 20:22정치논리에 전도된 언론과 기재부 관료들 정신 차려야 합니다. 홍박사님 감사합니다.
@강승주-q9p 1
2021년 9월 18일 17:37찐팬입니다. 박사님처럼 저도 부자될거예요
@문응-c2g 1
2021년 9월 19일 00:18넘쳐 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 모두가 전문가 일 수는 없고 누군가는 균형된 시각을 가지고 여러가지 경제 현상에 대한 제대로된 설명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그런데 누군가는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왜곡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누간가는 인사이트 부족으로 엉뚱한 방향성을 이끌어 내는 듯 합니다. 하여튼 이 채널을 통해 균형된 시각을 가지게 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듯 합니다. 항상 감사 드립니다.
@일상-l6z 1
2021년 9월 19일 16:27선생님 달러선물 ETF관해 문의드릴게있는데요. 제가 IRP에 안전자산30% tiger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를 살려고하는데요. 이것도 달러선물etf랑 같은 역할을 할까요? 혹시 이 etf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좀 해주실수 있을까요?
청정하늘 1
2021년 9월 25일 15:13일부 언론과 정치인의 선동질에 놀아나지 말아야 하죠...항상 객관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분석 감사합니다~!!
킴스디(존재하는이유) 1
2021년 9월 21일 15:34선생님~명절 가족과행복하게 보내세요♡자영업자로60대초입니다.선생님강의를 밤12시퇴근해도 빼놓지않고 듣습니다.고맙습니다,,
부산에서 보경엄마가 올립니다.
@ZZ-tq5wh 1
2021년 9월 20일 03:09고령화 문제 때문에 30년을 길게 본다면 장기적으로 좋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통일 밖에 답이 없다고 생각함. 현재 저축하는 돈은 조금씩 달러 저축하는 중입니다.
밥먹자 1
2021년 9월 18일 21:35국가부채는 신경안씁니다.그러나 제가 생각하는건 국가채무랑 내수시장이 아직약해서 불안해요 ㅠㅜ
소혜정 1
2021년 9월 18일 04:51돈에대한 인식을 알수있어 넘 좋았어요
박사님은 돈을 제대로 써야돼는 마인드라는걸 한번더 상기해주네요!
@qrlee6762 1
2021년 9월 28일 15:58박사님 같은분들이 많이 꼐셔야 되는데.. 강하시며 현명하시고, 젠틀하신분들이 수고를 많이해주세요.
@이은성-d8p 1
2021년 9월 30일 09:10속시원하고 명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툴매니아TV 1
2021년 9월 18일 10:57성장률보다 이자율이높아지지않는이상은 복리의마법이 있는한 무너지지않음
@shiny9470 1
2021년 9월 20일 05:53언제나 논리적으로 말씀해주시니 납득이 될수밖에요...
박사님은 희망입니다.~♡
SH J 1
2021년 9월 18일 02:55홍대라면집 혹시 이찌멘..? 저녁시간대에 가면 진짜로 거의 혼자 혹은 1~3명 손님 있더라구요 제가 좋아하는 라면집인데 ㅠ 요즘같은 시국엔 사람없으면 마음 편하지만 한편으로는 씁쓸해지더군요
Freawine äldre 1
2021년 9월 19일 17:02경제정책이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게 전문가들 마다 말이 다다르니 다들 중점을 지표가 달라서 그런건지 ㅎㅎ; 많이 헷갈리네요
@fartymal7831 1
2021년 9월 22일 11:16아, 홍박사님. 늘 확실한 데이타를 기반으로 명확하게 설명해주시니 한줄기 빛입니다. 감사합니다
K덕림 1
2021년 9월 18일 14:50정말 침착한 투자를 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야 저와 비슷한 성향의 투자방범을 찾은 듯 합니다. 항상 잘 보고 배우겠습니다~^%
@energyjo8197 1
2021년 9월 18일 11:18박사님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SSD HDD 1
2021년 9월 17일 22:41저 역시 이 나라에 문제가 아주 많다고 생각합니다만(정치는 3류축에도 못낌) 박사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속이 다 시원해지는 분석이네요.
모아모아슈 1
2021년 9월 17일 23:24넘. 좋으신 말씀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찐팬 입니다
박사님 존경합니다
엄주호 1
2021년 9월 17일 22:40잘보고갑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해운대눈사람 1
2021년 9월 17일 20:54박사님, 겻제를 잘 모르는 저도 이해가 조금 되게 잘 설명해 주시네요^^*
몇 주 전인가 다른 영상에서 당첨되어 메일 주소 남겨 달라고 하셔서 남겼는데 메일이 안 오고 있는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imagine234-n5f 1
2021년 9월 19일 17:52박사님 ~ 이런 경제 수업을 더 자주 해서 정말 무지한 사람들을 일깨워 주세요.~~^^
@seoul_samchon 1
2021년 9월 19일 22:27홍 박사님의 설명을 들으며 하루하루 배워가는 것이 즐겁습니다.
저를 포함해 많은 분들이 큰 도움을 얻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항상 건강하고 힘내시길 바라며, 추석 명절 즐겁게 잘 보내세요! ^^
비온크리스탈 1
2021년 9월 18일 09:03합리적인 설명 감사합니다. 덕분에 우리 경제의 현재에 대해 잘 알게되었습니다.^^
Noname Logic 1
2021년 9월 19일 06:06시장에 돈을 풀면, 실물 경제에 기여하지 않고 금융소득만 올리는 사람들에게는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로소득 및 산업생산에 투입되는 노동력에 대한 가치가 상대적으로 망가진 시대에서, 요즘 시골 60대 할머니들도 주식어플까는 세상인데, 과연 이러한 시스템이 얼마나 지속가능할지 궁금하네요.
정부가 나서서 광범위하게 현금을 푸는 것이 공공선인지…이건 절대로 지속가능하며 모든 사람들에게 이익이 골고루 분배되는 형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자산을 가진 사람들에게 안전장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유동성이 투입되는건 조삼모사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진짜 저 사람들이 걱정되었다면 소상공인들에게만 소비할 수 있는 형태로 유동성이나 인프라 투자가 풀려야겠죠.
그리고 부채 관련 인용하신 자료들도 2019년, 2020년, 2007년~2020년 누적 자료인데, 2021년에 더 가속화된게 문제겠지요. 우리나라 경제가 그만큼 성장할 수 있는 포텐셜이 높기를 바랄 뿐입니다.
@inkookkim3327
2021년 9월 21일 11:27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근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객관적 자료로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편향적인 자료들로 자기 입맛에 맞는 주장을 펼치는 경우가 너무 많다보니 저 같은 일반인들은 현상황이 어떤지 중심을 잡기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비교적 명확한 자료로 현상황을 짚어주시니 속이 다 시원하네요 ㅎㅎ 그리고 혹시 박사님이 자주 가시는 홍대 라면집은 어디인가요? ㅋㅋ 박사님께 맛잘알 포스가 많이 느껴져서 궁금합니다
@해피바이러스-z2v7d
2021년 9월 23일 22:51새로운 관점이네요. 아기 옆에 재우고 홍박사님 영상 보고있어요. 울애기는 자장가 대신 홍박사님 경제 교육을 듣고있습니다 ㅋㅎㅎ
믓진인생
2021년 10월 07일 23:06영상 내용에 공감합니다. 우리나라가 급속도로 망한다? 그렇진 않을꺼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기업들 한류컨텐츠 등 너무 잘하고있고 문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자랑스럽습니다.
하지만 현재 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는 인구급감입니다.. 앞으로가 문제인거죠.. 향후 10년 정도 후부터 노인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날텐데 그걸 감당해내야하는청년층의 부담이 너무 큰건사실입니다..2030세대 입장에선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싶어도 할수가없네요..ㅠㅠ
Yoon Paul
2021년 9월 24일 09:21오늘도 한 수 배우고 갑니다. 건강하세요.
박사님 말씀처럼 요즘 20대들 보면 확증편향이 심해지는 경향이
깊네요. 참 안타깝습니다.
@sangminyoo8503
2022년 1월 19일 12:23감사합니다. 앞으로 많은 정보 얻고 배우겠습니다 :)
@scjeong8100
2021년 9월 19일 11:05멋쟁이 우리홍박사님
이리너
2021년 10월 16일 20:52이렇게 친절하게 설명 잘해주시는데... 무작정 비판하는 분들이 과연 이런 매크로나 논리적 설명에 관심이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ㅎ
항상 감사합니다~ 저는 너무 재밌네요 ㅎㅎ
@레모네이드-k6m
2021년 9월 20일 16:43우유빛깔 홍춘욱^^
박사님 달러를 달러 예금, 미국주식, 미국 리츠로 모으시는지요? 달러RP는 어떻게 보시는지요?
@SunggukLim
2021년 9월 20일 16:12박사님 영상이랑은 상관없지만 요즘 느끼는게 있어서 적어봅니다
주식이 폭락할때 여러자산들이 같이 폭락하는것같은 느낌이 있어요 예를들어, 나스닥이 폭락하면 비트코인도 빠지고 금도 빠지고 심지어 일부 채권도 빠집니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자산배분을 하는 기관에서 주식이 10%가 빠졌다면 그 빠진부분을 다른자산을 팔아서 리밸런싱을 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결국엔 현금비중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빠질땐 다 빠지니까요..
@HennryK-c5s
2021년 10월 14일 12:30극하게 공감합니다.
김민정
2021년 9월 19일 17:04항상 잘 듣고 있습니다. 오늘 말씀하신 국가의 재정적자에 관한 이야기 중... 한 가지 의문이 드는 건.... 코로나로 인해 재정적 타격을 입은 이들에게 지원을 해주어 재정적자가 났다고 하셨습니다. 저는 소상공인들..즉 자영업자에게 지원하는 건 적극찬성입니다. 그런데, 현재 모든 국민..거의 모든 국민에게 똑같이 재난지원금이라는 이름으로 돈을 뿌리고 있는 것을 지적하고 싶어요. 그 돈으로 진짜 어려움을 입는 분들에게 지원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제 생각의 부족함이나 편향성이 있다면..저 또한 더 공부하고 숙고해야 겠죠... ㅜㅜ 암튼..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슈퍼차차TV
2021년 9월 22일 17:40역시 홍박사님 플렉스
johannes lee
2021년 9월 17일 23:20박사님 신경쓰지 마세요
악플은 항상 있고
인성 쓰레기들 때문에 신경쓰는건 너무 안좋은거 같아요 ^^
항상 잘보고 있어요 힘내시고 화이팅 입니다.~~~
복부인 은지
2021년 9월 19일 04:16감사합니다 유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