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히려 영국과 같은 오랫동안 금융을 움직이고 돈의 흐름을 봐왔던 국가들은 EU의 수출기업형 독일 스타일에 함몰된 모습들을 보면서 EU를 탈퇴해야 되는 것이 아닌가 고민했을 것 같네요 물론 경쟁력이 약해질 수도 있지만 결국 독일의 수출기업에 좋은 경제정책을 고수하려는 태도는 이어질 것이고 그것이 영국 입장에서는 국가 경제에 안 좋은 방향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이민에 대한 정책도 그렇지만 국가를 움직이는 사람들도 결국은 브렉시트 쪽으로 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되어지네요
자본주의 세상에서는 기업이 황금알을 낫는 거위입니다. 거위의 배를 가르는 우매한 짓을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한국은 최저임금 폐지해서 해외로 나가는 중소기업 다시 불러들여야 합니다. 최저 임금은 인건비 공시만 하면, 시장이 알아서 정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 상속세는 가업 승계 및 고용 유지 조건으로 폐지 해야 합니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커질 수 있도록 대기업 불이익을 폐지해야 합니다. 주택 교육 일자리를 하나로 묶는 친기업 도시를 만들 수 있도록 중앙 정부 지방 정부가 적극적으로 기업을 도와야 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를 보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리는데 현 미국의 상황도 코로나 사태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바닥을 찍고 현재 회복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연말 기준으로 테이퍼링을 중단하고 금리인상을 준비하고있는걸로 아는데 이런 상황도 강의에서 나온 2011~2013년도 유럽의 실책과 비슷한것 아닌가요? 그렇다면 현재 미국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있는지 궁금합니다
자본주의의 양대축이었던 미국과 유럽중에 유럽이 무너지고 이제 미국만 남았는데, 사회주의 중국이 미국을 바짝 쫓아 오네요. 국제 정세는 복잡하고 다른 이유도 있겠지만, 최근 아프카니스탄 철수 및 중국 빅테크 기업들을 규제하는 미국의 움직임은 이제 세계에서 중국을 견제할 국가는 미국 뿐이라는 조바심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서겠지요? 그래서 오커스 같은 협약들도 계속 추진하고요. 하지만 코로나 이후로 미국도 예전 자본주의 국가는 아닌 듯 합니다. 코로나 백신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근간을 헤친다고 반대시위를 하는 미국 시민들을 보면요. 더 중장기적으로 보면 2030 탄소절감 2050 탄소중립 2100년 1.5C이하로 기후위기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많은 투자와 자금들은 결국은 정부의 몫인 것 같습니다.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들과 여린 개인 소득주체가 감당할 수 없는 일이겠지요? 부자증세 등 통해서 각 국 정부는 더욱 세금을 많이 거둬들여서 탄소중립 우위 입지를 강화하려고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경제가 기업의 시장경제가 아닌, 각 국의 정책 그리고 국제협력 관계에 의해서 글로벌 경제가 이루어질 것 같은데, 미국과 중국이 대립하게 되는 한 비교우위의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국제무역 및 생산 분업화가 차질이 발생하게 된다면 현재와 같은 공급문제와 원자재 가격 인상이 계속 될 것이고, 그렇다면 기업들은 각 국 정부 수장들에게 제발 국제 협력 관계를 유지해달라고 더욱 정부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박사님 말씀 듣고 구구절절이 생각나는대로 저도 댓글 달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Statue193 20
2021년 9월 24일 22:54오히려 영국과 같은 오랫동안 금융을 움직이고 돈의 흐름을 봐왔던 국가들은 EU의 수출기업형 독일 스타일에 함몰된 모습들을 보면서 EU를 탈퇴해야 되는 것이 아닌가 고민했을 것 같네요
물론 경쟁력이 약해질 수도 있지만 결국 독일의 수출기업에 좋은 경제정책을 고수하려는 태도는 이어질 것이고 그것이 영국 입장에서는 국가 경제에 안 좋은 방향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이민에 대한 정책도 그렇지만 국가를 움직이는 사람들도 결국은 브렉시트 쪽으로 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되어지네요
@shalls6595 16
2021년 9월 24일 19:31우리나라가 제발 유럽이 행한 실수를 저지르지 않기를 빌고 싶네요......금리를 올리고 재정은 삭감하고.....ㅜㅜ
@chunukhong 15
2021년 9월 24일 23:13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남유럽 경제위기의 발생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경제위기 이후의 대응입니다. 과연 어떻게 대처했을까요?
👏홍춘욱 박사의 유일한 경제&투자 스터디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GilJinwoo 15
2021년 9월 24일 19:14홍춘욱 박사님 감사합니다. 프랑크푸르트에 살면서 정확히 모르던 역사네요. 통화 발행 주도권을 갖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하게 됩니다.
@k2khan90 13
2021년 9월 24일 19:17ㅠ0ㅠ 벌써 다음이야기 보고싶습니다.. 항상 건강하게 좋은 영상부탁합니다 ^
@코이와이요츠바 10
2021년 9월 24일 18:50항상 감사합니다 이번주말 돈의역사는 되풀이된다 한 번 읽어보겠습니다
@markov2k2 9
2021년 9월 26일 10:28FED 가 일본과 달리 천문학적인 양적완화를 단행하고, 시장에서 바로 채권 매입을 하는 것을 보고 놀랐는데, 물가 오른다고 금리 올리는 ECB 와 달리 물가 인상은 단기적이라고 하면서 금리 안 올리는 것을 보고 또 다시 놀랐습니다. 역시 천조국은 다르네요.
@minio6285 7
2021년 9월 27일 13:38박사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유투브 관련해서 기술적인 건의 하나 드립니다.
지난 영상, 관련 영상은 영상 내 태그를 적극적으로 거시면 시청자들이 과거 영상 보기가 편리해져서 조회수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markov2k2 6
2021년 9월 26일 10:26자본주의 세상에서는 기업이 황금알을 낫는 거위입니다. 거위의 배를 가르는 우매한 짓을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한국은 최저임금 폐지해서 해외로 나가는 중소기업 다시 불러들여야 합니다. 최저 임금은 인건비 공시만 하면, 시장이 알아서 정할 수 있습니다. 대기업 상속세는 가업 승계 및 고용 유지 조건으로 폐지 해야 합니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 커질 수 있도록 대기업 불이익을 폐지해야 합니다. 주택 교육 일자리를 하나로 묶는 친기업 도시를 만들 수 있도록 중앙 정부 지방 정부가 적극적으로 기업을 도와야 합니다.
@jisukim8324 5
2021년 9월 25일 21:33이런 내용이 이렇게 짧은 시간에 빠르게 이해 되는것이 놀랍네요 감사합니다 다음도 기대가 됩니다!!
@unhakim7415 5
2021년 9월 24일 20:37유럽의 금융 수준이 저 정도이었다니.. 망연자실. 남유럽 국가들이 EU탈퇴하지 않고 있는 게 신기할 지경이군요.
@엘시에더리 5
2021년 9월 24일 19:27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초절정간지녀 4
2021년 9월 24일 21:07그때 당시엔 무관심 했던 내용인데 지금에서야 박사님 덕분에 공부를 하게 됩니다✏️경제에 더욱더 관심갖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andscaperider 4
2021년 9월 25일 11:53테슬라 기가베를린에 유럽연합이 막대한 지원금을 주는 이유가 있었네요 유럽에 공장을 지어주는것이 너무 고마웠나 봅니다...
하지만 한국정부가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하는 짓을보면 참.. 학습능력이 없어보입니다
@코이와이요츠바 4
2021년 9월 24일 19:13LVMH KERING 그룹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중국에 영향을 받는다고는 하지만 럭셔리 제품 또는 사치품은 전세계 부의 증대와 부자의 수 증가로 계속해서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Seoul_Korea_ 4
2021년 9월 25일 18:14역시 금융을 잘 알고 있던 영국은 파운드화를 유지하고 끝내 브렉시트도 했지. 똑똑한 영국. 이 세계는 누가 뭐래도 미제국🇺🇸과 영연방🇬🇧이 지배하고 있음.
@임옥선-o2g 4
2021년 9월 24일 19:15매번 감사하게 듣고 있습니다.
다음이 기대되네요.~^^
@단비2-s7w 3
2021년 9월 24일 22:20감사합니다 다음 영상 기대 합니다♥
@MZ-so2cn 2
2021년 9월 24일 19:30다음 영상 기대됩니다.
@seoul_samchon 2
2021년 9월 25일 00:40이해하게 쉽게 좋은 설명주셔서 감사합니다.
유럽에 있었던 아픔을 잠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koan6 2
2021년 9월 24일 20:59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박사님 영상 항상 챙겨보는데,감히 넘겨짚자면, 최근 코로나에서 아직 내수회복이 안된 와중에 한은의 금리인상을보고 이에대한 우려가 담긴 내용이 아닌가 싶습니다.
@shinjuhyun100 1
2021년 9월 24일 22:33전 경제 관심도없었는데 최근 유럽동태가 심상치않아서 우연치않게 찾아들어와서 잘보고있습니다!
벌써 다음편이기대되네요!! 좋은영상 부탁드립니다 !!
@isaackim9637 1
2021년 9월 24일 18:49고맙습니다!
June Kim 1
2021년 9월 25일 19:12항상 감사합니다. 최근에도 몇달간 YoY로 PPI가 좀 올랐다고 바로 FED를 비난하는 사람도 많던데, 유럽이 했던 바보짓을 보면 FED가 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Seojun Kim 1
2021년 10월 04일 19:50항상 보면서 느끼는거지만, 교양이 묻어나 보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ash bear 1
2021년 9월 24일 19:15중국 헝다그룹만 경계했는데 유럽도 주시해야겠네요
승빈 1
2021년 9월 24일 19:43감사합니다.
@neal7840 1
2021년 9월 27일 14:10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이미 화폐로 인한 리스크라는 것이다. 그 상수가 있는 한 어떤 정책도 효과가 있을지...
@lch8782 1
2021년 9월 24일 21:12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sooshin3569 1
2021년 9월 24일 18:56감사합니다.
@Nstarwind 1
2021년 9월 24일 18:57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apphire4409 1
2021년 9월 25일 20:43유로존 덕분에 앞으로 지역공동화폐 라는 개념은 당분간은 꺼내기도 힘들겠습니다. 일관된 통화정책이 어려워지니까요
@공정상식정의 1
2021년 9월 27일 22:18경제 흐름에 따라 세계학도 배워갑니다
댓글들도 좋네요 감사합니다
@N456hfjvvuxbhhjkkkf 1
2021년 9월 25일 16:58이번에 핵잠수함 계약건 불발로 프랑스가 호주와 미국에 있는 자국 대사들을 다 본국으로 불러드렸을 정도로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 되고 있는데... 미국이 프랑스 때리기 쥐고 흔들기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 미국은 왜 프랑스를 쥐고 흔들려는 걸까요?
@zezejuju9282
2021년 9월 25일 14:06감사합니다~ 유럽의 경제 위기 그리고 코로나 사태 속 의료 위기 역시 유럽 나라 스스로가 자초한 부분이 있었네요
@kimyoungjae8254
2021년 10월 05일 10:00달라 아저씨네 반가워요 여기서 다시보내요
@changhyeonlim6191
2021년 9월 24일 21:42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다만 자막이 오타 또는 맞춤법 오류가 좀 눈에 띕니다.
@Jerome_H_Powell
2021년 9월 25일 07:21이베리아 반도쪽의 재벌순위보면
업종들이 유통, 정유, 의류, 명품 이렁거밖에
없네요.
왜 첨단산업에서 도태됐을까요
바로가까이에 네덜란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도 있는데요
@jinhwan483
2021년 10월 10일 15:21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를 보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리는데 현 미국의 상황도 코로나 사태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바닥을 찍고 현재 회복하고 있는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연말 기준으로 테이퍼링을 중단하고 금리인상을 준비하고있는걸로 아는데 이런 상황도 강의에서 나온 2011~2013년도 유럽의 실책과 비슷한것 아닌가요? 그렇다면 현재 미국이 취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있는지 궁금합니다
@the_genius_rich
2021년 9월 26일 08:03우와 완전 재미있어요 감사합니다
@TheHjjin
2021년 9월 28일 14:28유로존을 지탱하려면 재정적자 등의 가이드 라인이 있을테니 그걸 지켜 유로화 방어 등을
하려는 여러경제단위들의 집합체로서의 대혼란. 위기시 주도권가진 국가 따르며 약체 국가는 폭망.
@강승주-q9p
2021년 9월 25일 17:23박사님. 저는 여유돈 적금 넣을돈 미국국체etf. 사모으고 있어요.
@Rain12948
2021년 9월 25일 01:06재밌다…
@nottolearnbuttouse
2021년 9월 24일 21:03지드래곤 선생님이 말씀하셨죠.
영원한건 절대없어.
@Zidane-zr7ot
2021년 9월 27일 20:38박사님 그러면 현재 한은이 금리인상 강행하는것도 비슷한 경우인가요? 다른 나라에 비해 딱히 물가가 많이 오른것도 아닌데 왜 금리인상을 강행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설지원-u2y
2021년 9월 25일 13:48감사합니다!
EGETHEBABO
2022년 3월 05일 02:2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지석강-l6u
2021년 9월 24일 20:34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Yoosung Park
2021년 9월 25일 14:44박사님 강의 듣고나니... 우리나라 금리 인상이 걱정이네요... 너무 빠른게 아닌지....ㅜㅜ
Craftrise Amelesi
2022년 3월 05일 02:2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Kimchi Man
2021년 9월 29일 17:39영국의 EU탈퇴는 장기적으로 신의 한수가 될 것입니다.
@쥰쥰동서남북
2021년 10월 08일 23:54역시 홍박사님강의 명쾌합니다!!
@shinsan6
2021년 9월 26일 12:43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재정위기 속에서 남유럽 국가들의 구조조정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도 궁금합니다.
@lively6916
2021년 9월 24일 22:52요즘 박사님 영상 모두 찾아보고 있습니다!
박사님 프로필중에 국민연금에 몸담으셨던 적이 있던데... 그래서 궁금한게 많은 전문가들과 경제관련 유튜버들이 국민연금 기금에 대해 회의적이고 시뮬레이션보여주며 지금 2030세대가 60대가 되면 '기금고갈이다' 하잖아요.
정보는 여기저기 넘쳐나고...ㅜㅜ정확한 팩트를 듣고싶은데 아직 경제 지식의 옥석을 가르는 눈이없어 어떤말이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랜선으로 무한 신뢰하는 박사님의 더함도 덜함도 없는 고견을 듣고 싶어요.
@HaminLee1435
2021년 10월 10일 20:38자본주의의 양대축이었던 미국과 유럽중에 유럽이 무너지고 이제 미국만 남았는데, 사회주의 중국이 미국을 바짝 쫓아 오네요. 국제 정세는 복잡하고 다른 이유도 있겠지만, 최근 아프카니스탄 철수 및 중국 빅테크 기업들을 규제하는 미국의 움직임은 이제 세계에서 중국을 견제할 국가는 미국 뿐이라는 조바심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서겠지요? 그래서 오커스 같은 협약들도 계속 추진하고요. 하지만 코로나 이후로 미국도 예전 자본주의 국가는 아닌 듯 합니다. 코로나 백신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근간을 헤친다고 반대시위를 하는 미국 시민들을 보면요. 더 중장기적으로 보면 2030 탄소절감 2050 탄소중립 2100년 1.5C이하로 기후위기를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많은 투자와 자금들은 결국은 정부의 몫인 것 같습니다.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들과 여린 개인 소득주체가 감당할 수 없는 일이겠지요? 부자증세 등 통해서 각 국 정부는 더욱 세금을 많이 거둬들여서 탄소중립 우위 입지를 강화하려고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경제가 기업의 시장경제가 아닌, 각 국의 정책 그리고 국제협력 관계에 의해서 글로벌 경제가 이루어질 것 같은데, 미국과 중국이 대립하게 되는 한 비교우위의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국제무역 및 생산 분업화가 차질이 발생하게 된다면 현재와 같은 공급문제와 원자재 가격 인상이 계속 될 것이고, 그렇다면 기업들은 각 국 정부 수장들에게 제발 국제 협력 관계를 유지해달라고 더욱 정부에 의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박사님 말씀 듣고 구구절절이 생각나는대로 저도 댓글 달아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Joon Park
2021년 9월 29일 11:25우럽은 지금 중국에 올인한게 현제 가장큰 문제
샌그위치 유럽
한국은 지금 인도와 동남아에 진출하고 남미의 문을 두둘릴때 유럽은 중국에 올인
@syc7288
2021년 9월 24일 18:52감사합돠
jun
2021년 9월 26일 23:36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jae-ilyun6622
2021년 10월 07일 23:33귀에 쏙쏙들어옵니다
@richardshin159
2021년 10월 05일 04:59유럽은 빚탕감이라도 해줄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한국은 이대로 가단 그대로 폭망이지 않을 까요?
@재만박-u7t
2021년 9월 24일 21:54마지막 멘트 오타 나왔어요~ 맡을까 X 마칠까 O~~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다음시간 기대됩니다.
Nergiz🌵
2022년 3월 05일 02:2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