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작년부터 미분양이 3천만채가 넘었고 헝다의 경우 분양가의 30~40%를 할인분양해도 안팔리는 상황에서 그동안 엄청나게 레버리지로 추진해온 사업이 망가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정부가 적극적인 개입이 어려운 상황은 맞지만 정부의 단순 군기잡기라는 것은 너무 상황을 단순하게 해석한 것 아닌지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이유가 중국 부동산 이슈가 헝다로 끝나지 않을 것을 이미 알고 있기때문 아닐까요?
헝다가 미치는 영향은 중국 전체에서 매우 작은 건 맞습니다. 또한 중국경제개방이 적어 글로벌 금융에 영향이 적은 것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외국인 투자비율이 얼마 안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헝다사태를 과소평가할 수 없습니다. 헝다 자체는 작을지 몰라도 다수의 부동산 관련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힘들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2위 헝다가 이정도면 다른 기업들 상황도 녹녹치 않습니다. 헝다부채는 300~400조이지만 이 정도 부채를 지닌 기업이 많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중국의 경우 부동산에 의지해서 성장율을 유지한 나라이고 지방정부도 부동산 의존도가 높아 부동산이 무너지면 경제가 휘청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를 알기 때문에 중국정부도 버블을 알면서도 이러지도 저리지도 못하다 여기까지 온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제 더 버티기 힘든 국면으로 가고 있고 제조업이 튼실했던 일본 버블붕괴보다 상황이 덜 심각하다고 보기 힘듭니다. 글로벌 금융에 직접 영향은 적지만 수출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에 대해서만큼은 영향이 적지 않다고 봅니다. 원화나 코스피가 위안화가 연동되어 움직이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글로벌에서는 한국은 중국과 같이 움직이는 것으로 상당 부분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심각하지면 외국인 자금 많이 빠져나갈 것입니다.. 한가지 걱정은 중국정부가 미국정부만큼 경제정책에 능숙하지 않고 경제가 하락, 버블 붕괴 경험이 없어 잘 대처할 수 있겠냐는 것입니다. 지금 시점에서 공부론을 밀어붙이는 것이 과거 버블븡괴때 금리를 급격히 높였던 일본정부모습과 ...
이번 사태에서 위안화 채권에 대한 이자는 지급한다고 하였는 달러화 채권에 대한 이자는 지급하지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이를 보고 저는 어쩌면 중국이 외국 자본의 양털깎기에 대비하려는 모습이라고도 생각됩니다. 중국에 외국자본이 계속 유입되게 된다면 분명 외국자본에 의해 금융시장이 흔들리게 될 리스크는 생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런 내용의 컨텐츠가 박사님이 가장 빛나는 영역인 것 같아요. 세계와 거시 경제 흐름을 핵심만 꼭 집어주는 내용이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8월에 체인지 그라운드에서 박사님 인터뷰 영상을 본 후, 몇 권의 저서를 읽었습니다. 경제와 금융을 분석하고 그것을 풀어내는 방식이 독특해서 이력을 봤더니 학부에서 역사전공하시고, 대학원에서 경제관련을 공부하셨더라구요. 역시 과거의 맥락을 짚어보고 원인을 추론하는 역사학도의 사고 방식이 현재의 경제를 분석하는데도 매우 도움이 되는 구나 생각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하구요. 박사님이 잘 하실 수 있는 경제 역사학? 금융 역사학? 을 현대의 시점에서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서 미래를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해주시길 부탁드려요. 저 같이 정말 근시안의 안목을 갖고 있는 주린이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 건강조심하세요~
정상적인 국가라면 헝다 하나 정리하고 끝날 찻잔속 태풍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그 부실의 규모를 제대로 가늠할 수 없다는(통계 조작 등) 중꿔이기 때문에 다른 기업들도 헝다처럼 채무 생각 안 하고 마구잡이로 사업만 벌여놓은 것 아닌가? 하는 외부세계의 시선이 점점 더 강화되고 거기에 더해 1. 계속해서 근팽이가 어떤 기업이나 업계를 후두려팰지 예측 불가능하므로 외국자본이 점점 중꿔에 투자를 중단하거나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2. 독재국가 체제로 인한 국가존엄 근팽이 엄호를 위해 비상식적인 무역보복(호주 석탄수입 규제 등)을 강행하여 국가경제 전체를 뒤흔들수도 있는 결정 을 내리는 등..이렇게 시장경제에서는 있을 수 없는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중꿔 경제가 불안해질 가능성은 있지 않을까요?
동의되는 부분도 있지만 제 의견은 조금 다릅니다. 그 이유는 첫째 중국이 겪어보지 못한 일이다(경험부족). 둘째, 중국은 너무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헝다파산 시기가 다른 악재와 맞물려 가고 있다. 금융위기 초래가 헝다 때문이 아닐 수는 있지만 이 사건 이후로 금융위기가 초래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봅니다.
박사님, 이번 영상도 잘봤습니다.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블랙록과 브릿지워터 같은 거대 투자회사가 헝다같은 중국 부동산 기업의 회사채를 아주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중국이 공동부유를 주장하는 현 시점에서 개별기업의 외화채 문제를 해결해주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헝다가 외화채를 전혀 갚지 못할 경우 블랙록이나 브릿지워터는 타격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타격을 입는 미국 투자회사의 영향이 미국 증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 지 궁금합니다.
이번 헝다사태를 설명해주실 때 '좁은 회랑'의 한 대목을 인용하시는 장면 너무 인상깊었습니다. 독재 국가는 질서와 안정, 평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경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든 권력이 소수에게 직결되기 때문에 권력을 더 많이 잡으면 잡을수록 경제적 혜택을 독점하려는 욕망이 커진다. 너무 감사합니다 :) 늦은 댓글이지만 패밀리스터디에 꼭 참여하고 싶어지네요 ㅎㅎ
마지막 번외질문에대한 답변을 듣고 진정한 의미의 시장경제가 될수있다라고 말씀하신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그냥 모든게 불량국가네요 저 중국이 자신들의 사상과 체제를 유지하려고 하면서 또 어떤 뻘짓으로 세계의 경제시장에 재를 뿌리는 짓을 할지 걱정됩니다.
경제 공부 열심히 해 보려구요. 결국엔 아무일이 나지 않는다. 이래서 배워야... 2008년때 리먼사태때 우리나라 부동산 아무일 생기지 않았자나요.. 공급이 그냥 늘은건데 리먼사태 때문에 집값 안정화 됐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역시 계속 배워 나가야 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중요한 이슈마다 박사님 의견을 듣게 되어 너무 기쁩니다. 감사드려요. 박사님 조언대로 했더니 지난 미국 폭락장에서도 달러지수랑 미국채10년선물에 투자한 ETF만 수익이 났더라구요. 10월 온오프강의에 초대해 주신다면 더 없는 영광이겠습니다. 진지하게 더 많이 배우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금융위기는 예측하기 어려운 것에서 터지죠 헝다사태는 대부분 예측이 가능하고 중국 정부도 현재 시진핑 파벌인 태자당이 아닌 헝다그룹을 해체시키고 시진핑의 연임이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부동산이라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자신들이 차지하기 위한 핑계로 헝다그룹의 부채 문제를 걸고 넘어지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이번 조정은 너무나 많이 오른 주가로 인해 어느 정도 올만한 것이고 파월 의장이 시장의 예측과는 반대로 테이퍼링을 구체적으로 할 것임을 11월이 아닌 9월에 해버림으로써 생긴 충격이고 현재 미국 정부의 디폴트가 미국 의회 상태에서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는 불예측성으로 인한 요인이 더 크다고 봅니다
@user-ck8tw5vc3t 36
2021년 10월 02일 11:57박사님 ㅎㅎ 매일 알려주시는 내용들도 좋지만 이렇게 이슈화 되는 내용도 다뤄주시니 너무 좋습니다 :)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chunukhong 28
2021년 10월 02일 11:37[특별 이벤트]
10월 6일 저녁 7시 30분
패밀리스터디에서 온오프라인 특강을 진행합니다.
댓글로 오늘 영상에 대해 소중한 의견들을 나눠주시는 분들 중 3분 정도를 선정하여 10월 특강에 초대드리겠습니다.
👉28년차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박사의
유일한 경제&투자 스터디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오늘도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onica2825 21
2021년 10월 02일 12:13논리적인 인사이트로 명료하게 설명해주셔서 공부도 되고, 안심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user-ov7sy3jc1n 19
2021년 10월 02일 13:57춘욱이형의 헝다사태에 대한 고견 들을 수 있어 넘 좋네요... 거의 매일 유튜브에 홍춘욱 세글자를 검색하게되네요... 언제나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jenniferjung9970 18
2021년 10월 02일 13:32세계경제 교육은 박사님에게 듣는게 제일 듣기 쉽고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ud1id6kv7y 16
2021년 10월 02일 12:04언제나 홍박사님 채널보며 공부하고 있어요. 박사님 채널은 늘 공부하고 싶게 만들어주는 내용과 컨텐츠가 있어서 좋습니다.
@Olivia-zy3db 14
2021년 10월 02일 12:42ㅎㅎ 역시~ 박사님 말씀은 로직이 있으셔서 좋아요. 몰입이 잘 됩니다. 톤도 따뜻하시고 딕션도 깔끔합니다. 오늘도 귀한말씀 감사합니다.~
Lee Whaleinthesky 11
2021년 10월 02일 12:50헝다는 중국 정부가 작년부터 부르짖던 질서있는 Deleverage 중의 하나로 보이긴하나 채무 해결시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고 그 기간 중에 이런 저런 상황이 겹쳐지면 어떤 변이가 일어 날지...
강승주 11
2021년 10월 02일 13:02완전 대학교. 강의. 듣는 것 같네요
주식투자는 세계를 보는 눈을 키우는것 같아요
@user-uh4fg8oc6b 11
2021년 10월 02일 16:26이미 작년부터 미분양이 3천만채가 넘었고 헝다의 경우 분양가의 30~40%를 할인분양해도 안팔리는 상황에서 그동안 엄청나게 레버리지로 추진해온 사업이 망가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정부가 적극적인 개입이 어려운 상황은 맞지만 정부의 단순 군기잡기라는 것은 너무 상황을 단순하게 해석한 것 아닌지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이유가 중국 부동산 이슈가 헝다로 끝나지 않을 것을 이미 알고 있기때문 아닐까요?
@user-jc5hn6tj6d 10
2021년 10월 02일 11:54박사님~~~♡♡♡어찌 이리 쉽게 설명해주시나요
늘 편안한 진행과 쉬운설명으로 경제 문외한인 저도 이해가됩니다 ㅎㅎㅎ 늘 감사드립니다🥰🥰🥰
@user-oz4ms4is6x 9
2021년 10월 02일 17:14박사님 강연 들으면 언제나 경제가 쉽게 이해되고 속이 뻥 시원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pq2bl2uc4s 8
2021년 10월 02일 14:00항상 쉽고 따뜻하게 설명해주셔서 애청하고 있습니다 ^^ 요즘 헝다사태관련해서 각종 기사가 많이 나왔는데 박사님께서 설명해주시니 넘 좋아요!! 항상 화이팅입니다
@user-uh4fg8oc6b 7
2021년 10월 03일 08:18헝다가 미치는 영향은 중국 전체에서 매우 작은 건 맞습니다. 또한 중국경제개방이 적어 글로벌 금융에 영향이 적은 것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외국인 투자비율이 얼마 안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헝다사태를 과소평가할 수 없습니다.
헝다 자체는 작을지 몰라도 다수의 부동산 관련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힘들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2위 헝다가 이정도면 다른 기업들 상황도 녹녹치 않습니다. 헝다부채는 300~400조이지만 이 정도 부채를 지닌 기업이 많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중국의 경우 부동산에 의지해서 성장율을 유지한 나라이고 지방정부도 부동산 의존도가 높아 부동산이 무너지면 경제가 휘청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를 알기 때문에 중국정부도 버블을 알면서도 이러지도 저리지도 못하다 여기까지 온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제 더 버티기 힘든 국면으로 가고 있고 제조업이 튼실했던 일본 버블붕괴보다 상황이 덜 심각하다고 보기 힘듭니다.
글로벌 금융에 직접 영향은 적지만 수출량이 많기 때문에 한국에 대해서만큼은 영향이 적지 않다고 봅니다. 원화나 코스피가 위안화가 연동되어 움직이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글로벌에서는 한국은 중국과 같이 움직이는 것으로 상당 부분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심각하지면 외국인 자금 많이 빠져나갈 것입니다..
한가지 걱정은 중국정부가 미국정부만큼 경제정책에 능숙하지 않고 경제가 하락, 버블 붕괴 경험이 없어 잘 대처할 수 있겠냐는 것입니다. 지금 시점에서 공부론을 밀어붙이는 것이 과거 버블븡괴때 금리를 급격히 높였던 일본정부모습과 ...
@Observation496 7
2021년 10월 02일 14:39박사님의 진실한 경제강의! 빠지지 않고 경청합니다. 늘 감사합니다.~~~
@user-ho5ny4wg9x 7
2021년 10월 02일 15:1611분동안 알기쉽게 설명해주시려고 영상 밖에서 엄청 준비하셨겠죠? 감사히 잘보았습니다. ㅎㅎ구독 좋아요 알림까지 완료~^^
미녕쓰 7
2021년 10월 02일 12:44진짜 넘넘 똑똑하심 ㅜㅜ
눈꽃Snowflake 7
2021년 10월 02일 13:19🍉 내로남불 하는 사람들은 잘 먹고 잘 사는 세상... 이득은 내꺼, 손실은 모두에게 분산... 🍉
@user-ei3xt6lo9c 5
2021년 10월 02일 16:41박사님~♡유익한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mary72601 5
2021년 10월 02일 15:51오늘도 정말 잘 들었습니다. 선생님 유투브는 항상 두세번씩 듣고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내신 책도 두 번째 읽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user-sz4fd1nr5c 5
2021년 10월 02일 13:17멋집니다~~~^^
명쾌한 사이다 해설에 속이 다 시원해 지네요~
경제를 정치로 풀지않는 세상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user-vr2dd6ft5r 5
2021년 10월 02일 13:42헝다 문제를 이슈화 시켜야 되는 이유가 시장에 있었단 말씀이신거죠
나이듦이 거저는 아닌지 요즘 뉴스나 유튜브를 보다 보면 왜 이 시점에 이걸 뉴스로 나오나.. 란 의문이 드네요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ijhj-rd6eo 5
2021년 10월 02일 13:12이번 사태에서 위안화 채권에 대한 이자는 지급한다고 하였는 달러화 채권에 대한 이자는 지급하지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이를 보고 저는 어쩌면 중국이 외국 자본의 양털깎기에 대비하려는 모습이라고도 생각됩니다. 중국에 외국자본이 계속 유입되게 된다면 분명 외국자본에 의해 금융시장이 흔들리게 될 리스크는 생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user-xg5pj8or7g 4
2021년 10월 02일 13:01저는 이런 내용의 컨텐츠가 박사님이 가장 빛나는 영역인 것 같아요. 세계와 거시 경제 흐름을 핵심만 꼭 집어주는 내용이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8월에 체인지 그라운드에서 박사님 인터뷰 영상을 본 후, 몇 권의 저서를 읽었습니다. 경제와 금융을 분석하고 그것을 풀어내는 방식이 독특해서 이력을 봤더니 학부에서 역사전공하시고, 대학원에서 경제관련을 공부하셨더라구요. 역시 과거의 맥락을 짚어보고 원인을 추론하는 역사학도의 사고 방식이 현재의 경제를 분석하는데도 매우 도움이 되는 구나 생각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하구요. 박사님이 잘 하실 수 있는 경제 역사학? 금융 역사학? 을 현대의 시점에서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서 미래를 준비해 나갈 수 있도록 해주시길 부탁드려요. 저 같이 정말 근시안의 안목을 갖고 있는 주린이에게는 큰 도움이 됩니다. 건강조심하세요~
Melancholy 4
2021년 10월 03일 12:15정상적인 국가라면 헝다 하나 정리하고 끝날 찻잔속 태풍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그 부실의 규모를 제대로 가늠할 수 없다는(통계 조작 등) 중꿔이기 때문에 다른 기업들도 헝다처럼 채무 생각 안 하고 마구잡이로 사업만 벌여놓은 것 아닌가? 하는 외부세계의 시선이 점점 더 강화되고 거기에 더해
1. 계속해서 근팽이가 어떤 기업이나 업계를 후두려팰지 예측 불가능하므로 외국자본이 점점 중꿔에 투자를 중단하거나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2. 독재국가 체제로 인한 국가존엄 근팽이 엄호를 위해 비상식적인 무역보복(호주 석탄수입 규제 등)을 강행하여 국가경제 전체를 뒤흔들수도 있는 결정
을 내리는 등..이렇게 시장경제에서는 있을 수 없는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중꿔 경제가 불안해질 가능성은 있지 않을까요?
엄승원 4
2021년 10월 02일 15:24괜히 박사가 아니죠
실력 !! 대단합니다
@dalyoung0410 3
2021년 10월 04일 21:30동의되는 부분도 있지만 제 의견은 조금 다릅니다. 그 이유는 첫째 중국이 겪어보지 못한 일이다(경험부족). 둘째, 중국은 너무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헝다파산 시기가 다른 악재와 맞물려 가고 있다. 금융위기 초래가 헝다 때문이 아닐 수는 있지만 이 사건 이후로 금융위기가 초래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봅니다.
@youngkook6201 3
2021년 10월 02일 13:42오늘도 좋은 내용 넘 고맙습니다^^ . 그런데 오늘이 10월 2일, 최근에 큰 이슈가 되었던 이 문제를 지금 말씀해 주신 것은 좀 늦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렇게 명쾌한 논리를 조금만 더 빨리 알려 주셨으면 참 좋았을텐데.........
@twpark92 2
2021년 10월 03일 20:31다들 헝다, 헝다 하면서 겁에 질려 있을 때, 시원스런 고견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mv2og5pr3q 2
2021년 10월 02일 13:39박사님, 이번 영상도 잘봤습니다.
한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블랙록과 브릿지워터 같은 거대 투자회사가 헝다같은 중국 부동산 기업의 회사채를 아주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중국이 공동부유를 주장하는 현 시점에서 개별기업의 외화채 문제를 해결해주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헝다가 외화채를 전혀 갚지 못할 경우 블랙록이나 브릿지워터는 타격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타격을 입는 미국 투자회사의 영향이 미국 증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 지 궁금합니다.
@user-ol5wf4wf2g 2
2021년 10월 03일 08:20박사님의 고견은 언제나 흥미롭고 재밌어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Goodfellas 2
2021년 10월 06일 02:43이번 헝다사태를 설명해주실 때 '좁은 회랑'의 한 대목을 인용하시는 장면 너무 인상깊었습니다. 독재 국가는 질서와 안정, 평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경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든 권력이 소수에게 직결되기 때문에 권력을 더 많이 잡으면 잡을수록 경제적 혜택을 독점하려는 욕망이 커진다. 너무 감사합니다 :) 늦은 댓글이지만 패밀리스터디에 꼭 참여하고 싶어지네요 ㅎㅎ
@ChaYongDae 2
2021년 10월 02일 14:49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user-sr5sg8ox6v 2
2021년 10월 02일 13:41깔끔한 정리 감사드립니다...^^👍
여러 문제들이 복합적이지만,
결국 미국 증시는
인플레를 실적이 어떻게 극복해 나가느냐 하는 문제가 되겠군요...
편안한 주말 되세요^^~ 🌻
@user-fy1xj4lz1q 2
2021년 10월 02일 12:2510월특강 참석하고싶어요.
요즘 투자, 경제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빠지지않고 구독하는게 바로 이 채널이 아닌가 싶어요. 이번 헝다주제도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어느정도 해소가 된 것 같아요.
홍춘욱박사님은 항상 애매하게 말씀하시는게 아니라 소신껏 방향을 확실하게 정해서 이야기하시니깐 듣고나면 남는게 많아요.(간혹 1시간을 들어도 '그래서 어떻게된다는거지?'하는 생각을 들게만드는 사람도 많거든요.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drjang1 1
2021년 10월 05일 02:33공산사회와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사태와 묘하게 겹쳐집니다. 권력의 독점. 무섭네요.결국 다치는 쪽은 언제나..
@kkoozz 1
2021년 10월 02일 18:16넘넘 재밌게 봤습니다
모에모에 GAME MUSIC 1
2021년 10월 04일 15:32마지막 번외질문에대한 답변을 듣고 진정한 의미의 시장경제가 될수있다라고
말씀하신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그냥 모든게 불량국가네요
저 중국이 자신들의 사상과 체제를 유지하려고 하면서 또 어떤 뻘짓으로
세계의 경제시장에 재를 뿌리는 짓을 할지 걱정됩니다.
Jinsteel H 1
2021년 10월 03일 08:44역시 28년차 다우시내요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최고요 1
2021년 10월 02일 21:25저는 교수님 안정적 목소리와 힘들때 듣고싶은 웃음소리 하하하 듣고싶어 옵니다.
신서진 1
2021년 10월 02일 14:14수고 하셨습니다
Hyoungkyun Kim 1
2021년 10월 04일 10:10그래도 2008년 리먼브라더스 처럼 한 회사가 망하면서 연쇄적으로 경제에 파급효과를 주는 상황이 되지 않을지 걱정입니다.
유튜브시청자 1
2021년 10월 02일 15:37미국 경제에 대해서 해주세요.
셧다운 이야기도 나오고 디폴트 이야기도 나오던데. 이에 대해서도 다루어 주세요
@user-ko8hd5vj9z 1
2021년 10월 04일 12:54역시...박사님이십니다. 통찰력과 혜안..!!!!
@shiny9470 1
2021년 10월 05일 06:24헝다사태의 근본적인 이유를 말씀해주시니.
이해가 쏙쏙 되네요.
@user-nk8en7zo8z 1
2021년 10월 07일 19:17기본에충실한해석 감사합니다. 마지막 구독자입장에서 들법한 질문해주신 영상도 좋아요.따봉드립니다.
@kduok 1
2021년 10월 04일 11:28와 최근 본 분석중에 가장 명쾌하십니다
@qy5508 1
2021년 10월 02일 19:00좋은 말씀 감사해요
@user-om9gl9oi3r
2021년 10월 11일 00:13경제 공부 열심히 해 보려구요. 결국엔 아무일이 나지 않는다. 이래서 배워야... 2008년때 리먼사태때 우리나라 부동산 아무일 생기지 않았자나요.. 공급이 그냥 늘은건데 리먼사태 때문에 집값 안정화 됐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역시 계속 배워 나가야 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dheda3544
2021년 10월 02일 22:53너무나 잘 들었습니다
전력난으로 인한 공급차질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다루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ser-jn6vw4hq2i
2021년 10월 03일 11:59중요한 이슈마다 박사님 의견을 듣게 되어 너무 기쁩니다. 감사드려요. 박사님 조언대로 했더니 지난 미국 폭락장에서도 달러지수랑 미국채10년선물에 투자한 ETF만 수익이 났더라구요. 10월 온오프강의에 초대해 주신다면 더 없는 영광이겠습니다. 진지하게 더 많이 배우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pororo77777
2021년 11월 22일 19:35동감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yl5fs2bj6e
2021년 10월 03일 18:46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어제(10.2) 장시간 운전중에 들었던 집코노미 유튜브 실방 마지막 질문시간에서도 헝다 관련해서 좋은 말씀 많이 해 주셨더라구요.
집코노미 강연에서 다른 출연자들은 부동산 투자 분야 전문이었는데, 선생님만 경제전반 + 부동산 쪽을 다뤄주셔서 더욱 의미(유니크)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예전 유튜브에서 한 말씀(20대로 가면 경매공부)도 정말 마음에 와 닿았었습니다.
금융 전문가 출신으로서 부동산에 대해 폭넓은 식견이 있으신 선생님의 건승을 더욱 기원드립니다.
@wellife38
2021년 10월 13일 19:03혜안을 나눠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winlsh2
2021년 10월 05일 12:16진정한 의미의 시장경제.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user-op4ub5lj9w
2021년 10월 13일 10:17항상 판단의 지표로 삼고 있어요.
오늘도 근본적인 가르침 감사합니다!!!
sungho Shim
2021년 10월 02일 21:43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하나하나 차근차근 배워나가겠습니다.
@jimmylee6426
2021년 10월 04일 12:26논란이 많았던 헝다문제가 깔끔하게 정리가 되는느낌입니다.
@user-rd3mr7wx7z
2021년 10월 04일 07:47확실하게 말씀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ㅎㅎ
Crisis 9064
2021년 10월 10일 16:38잘봤습니다요~ ㅋㅋㅋ 주린이도 열심히 듣는 방송~
@user-bo3jc7xw7z
2021년 10월 11일 20:37아, 진짜~ 박사님 너무 팬이에요
@user-sp5rw1wn2e
2021년 10월 10일 15:09박사님의 예리한 헝다 분석이 대단하십니다.
궁금증을 풀어주시고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Making
2021년 10월 04일 00:52금융위기는 예측하기 어려운 것에서 터지죠 헝다사태는 대부분 예측이 가능하고 중국 정부도 현재 시진핑 파벌인 태자당이 아닌 헝다그룹을 해체시키고 시진핑의 연임이 거의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부동산이라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자신들이 차지하기 위한 핑계로 헝다그룹의 부채 문제를 걸고 넘어지는 것 같습니다
사실 이번 조정은 너무나 많이 오른 주가로 인해 어느 정도 올만한 것이고 파월 의장이 시장의 예측과는 반대로 테이퍼링을 구체적으로 할 것임을 11월이 아닌 9월에 해버림으로써 생긴 충격이고 현재 미국 정부의 디폴트가 미국 의회 상태에서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는 불예측성으로 인한 요인이 더 크다고 봅니다
감사스마일 부동산 이야기
2021년 10월 02일 15:57오늘도 고맙습니다 ^^😀
@user-nm4qz8wi8c
2021년 10월 03일 19:13너무너무 좋은영상^^
추천과 비추천
2021년 10월 05일 03:529:17 진짜 개공감..모든부실기업을 정부돈으로 다막아주면 기업과 노조는 도덕적해이함에 빠짐. ,
@user-cz7rr5tw1f
2021년 10월 11일 11:52박사님 언론.전문가들이 중국 모두 위기라고 여기저기 난리라서 걱정했는데 다행입니다
박사님 말씀에 전적 공감합니다
감사합니다
@beanshim2715
2021년 10월 02일 20:59좋은 강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