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지마라, 내년 부동산 폭락 시작된다 (이현철풀버전)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mj-rr1tr 657
2021년 10월 06일 00:32상승론 하락론 모두 들어볼 가치는 있습니다. 너무 한쪽만 보는 거는 확증편향이 될 수 있으니 양쪽 입장 다 견지하고 내집마련을 하든 투자를 하든 판단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user-lz5mn9fq3m 237
2021년 10월 05일 23:51근데 이 사람 2년전에는 상승론자였는데 맞추고
지금은 하락한다고하니 그래도뭐 앵무새마냥 하락한다고는 안하는듯
@user-qm3no9tb6h 175
2021년 10월 06일 14:00정말 유익하고
현실성있는 강의
무료로 너무
잘들었습니다
저는 현재 부동산
종사자로서 아주
더 많은 사람들이
경청 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소정 167
2021년 10월 08일 11:04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이 늘어 나면서 좁은 집은 가족간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대형을 선호하는 현상이 늘어나는 것 같아요.
안유진 113
2021년 10월 08일 05:39이소장님 방송을 거의 다 봤는데, 여러 전문가들중에서 가장 현실적입니다. 분당 사는데 대장지구 입주 시작하니, 전세가가 30%정도 하락 하는데 매매가는 영향을 안 받는것 같네요. 거래성사는 안되는데 호가는 실거래가보다 4~5억이상 올려서들 내놨더군요.
@user-wp6rf7vj2h 106
2021년 10월 06일 10:42아. 맞아요.. 예전 기억 떠올랐어요. 부동산으로 엄청 고생한 기억~ 흐름이 있어요. 우리는 시장을 읽으며 대처해 나가도록 해야겠는데 어려웠던 차에 좋은 영상들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발짝 떨어져서 보는 연습을 해야겠어요~
짱린린 98
2021년 10월 06일 00:53그래도 난 비바람 막아줄 내집있어 든든합니다
ᆞᆞ 95
2021년 10월 06일 14:54※ [아포유 vs. 이현철] 둘 다 모두
각자의 설득 포인트가 있는 듯 함.
□ 아포유:
압도적인 데이터로
폭락론을 압살하고자 하는 타입.
(다만, 반대편 논리에 대해
분노하는 모습을 종종 보임.
본인 스스로도 그것을 느끼는 듯 함.
종종 스스로를 진정하면서 말함.)
□ 이현철:
아파트에 대한 대중의 매매 심리를
"순환주기(싸이클) 논리"로 설명하며
듣는 이가 공감 할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하는 타입.
(잠재적 구매자를 실제 계약으로
성사 시키기 위해 설득 해야하는
분양회사 경력[10년?]의 영향인 듯)
충생 87
2021년 10월 06일 19:32머리 숱 부럽읍니다.. 소장님ㅋㅋ...🤭
@papaian2715 86
2021년 10월 06일 05:35부동산도 하락할수 있다는걸 다들 인정 안하시는듯 주식 꼭대기에서 사보세요 떨어질때도 살수있나 .. 부동산도 조정은필수죠 끝없이 올라가는게 있나요?
@nunnui3437 84
2021년 10월 06일 12:14좋은 내용 잘 들었습니다. 제가 느낀점은 정치인들의 선동에 넘어가면 안된다는겁니다. 어차피 부동산은 정부 정책에 따라 좌지우지 되는게 아니라 싸이클이 중요하네요. 정부는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효과적인 정책으로 부동산 시장을 규제하는게 맞고 개인들은 싸이클을 잘 염두해 두고 구매를 하거나 투자를 해야 할것 같습니다.
@user-gm2sk7rp7z 83
2021년 10월 06일 03:11맞다 아니다를 떠나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주시네요. 잘 들었습니다
jy k 82
2021년 10월 06일 00:41주식시장이든, 부동산이든 결국엔 먼저 내다보는사람이 나머지돈 쓸어가게돼있음. 언제나 그랬듯이 큰하락은 절대다수가 예상하지못한시점에서 시작됐었고, 그 시점이 지금이 아니라는 보장도없음. 나도 단기적으로는 집값이 떨어질일이 없다고는 생각 하지만, 내가 투자시장에서 돈벌면서 느꼇을때, 모든 시장이 반대로기우는건 사람들이 확증편향에 심하게 빠졌을때였음. 저 영상에서 나온분이 전혀 터무늬없고 근거없는 소리하는것도아닌데 사람들 비웃으면서 확증편향하는거보니까 부동산도 조만간일것같네..ㅋㅋ
허밍데이 80
2021년 10월 06일 10:19댓글읽는 재미가 너무 좋네요 ㅋㅋ
J.H H 80
2021년 10월 06일 00:16계속 오른다 생각하면 집 한채 더 사면되죠.
풀시드 끌어서 상급지 갈아타던가.. 어차피 계속오를거라본다면 여기서 떨어진다고 이야기한다고 흥분할것도 없고.. 그냥 경쟁자 줄었다 생각하고 갈아타던 더 사면됨.
떨어진다고 이야기 나오면 왜이렇게들 공격적으로 변하는지요. 그냥 이런관점도 있구나하고 경쟁자 줄여줘서 감사.
본인이 신고가로 더사면되요.
어차피 계속 오를거자나요.
인생학개론 69
2021년 10월 05일 23:24주식은 선반영되죠.
헝다부동산 사태,테이퍼링 이슈,금리인상 이슈(이번 년도 이미 한 번 인상했고 한 번 더 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
중국 전력난사태 나아가 인도까지 번지고 있는 전력난 끝으로 대주주양도세이슈까지
부동산 주식 할 것 없이 악재가 흩 뿌려져 있는 앞으로의 실정이네요.
전문가님 말씀대로 내년에 부동산이 폭락이 올진 어느 누구도 모르지만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할 때는 맞는 것 같네요.
현금 모으고 모아서 만약 폭락이 온다면 주식을 싼 값에 사고 이 후 주식이 오르고 부동산이 싸졌을 때
그 때 부동산 접근하려고 나름의 전략 짜고있네요.
그나저나 요즘은 모든 면에서 정말 얼음판이네요 ㄷㄷ
@starsky1214 69
2021년 10월 06일 14:00제발 집값 하락했으면 좋겠네요. 일자리가 없는 지방까지도 비정상적으로 집값이 올라서 이사를 가야되는데도 오도가도 못하고 있어요. 이게 뭔가요 ㅠㅠ
j w 64
2021년 10월 06일 16:16항상 시장은 개미 생각과 다르게 흘러간다
HOLD 63
2021년 10월 06일 00:32진짜 신사임당님 존경스럽네
추임새 최고 ㅎ
@user-uh3oy8nc1j 62
2021년 10월 06일 08:48요즘 내집마련하려고 부동산 강의 들으며 공부하고 있는데 가장 인상깊었던 말이 있어요.무주택자는 타이밍 재지 마라.타이밍 볼줄도 모르면서 무슨 타이밍을 재냐.본인이 감당 가능한 선에서 1주택은 괜찮다 봅니다.물론 감당가능한선에서
@user-jo9wb6yf4g 62
2021년 10월 06일 18:46한마디로 내년에 폭락시 자금이 된다면 집없는 분들 무조건 집사야합니다. 그이후 어떻게 될지모르니 투기 목적이 아닌 실거주 목적으로 살다보면 좋은날 옵니다. 저도 실거주목적이라 아파트 떨어졌던 시기 불안하고 초초한적없었고 아파트값이 떨어졌다는 사실도 몰랐네요 그냥 내집에서 편하게 살았을뿐
@kayesjay11 62
2021년 10월 06일 04:33부동산에 관심없던 지인도 갑자기 무지성으로 여기저기 분양 막 넣더라. 인간지표는 거짓말을 안함. 지금 고점이다. 여기서 몇퍼정도 당분간 더 오를수는 있어도 현재 어깨정도인듯
@csj-mj6gc 59
2021년 11월 30일 08:03현업에서 20년 근무한 상황에서 이분이 상황을 제일 잘 분석합니다~~
@miranchoi4248 57
2021년 10월 09일 08:57이 영상 좋아서 이현철님 책까지 사서 읽는 중입니다. '적당한 목표치를 세우고, 그 목표에 도달하면 투자에 손을 놓는 것도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프롤로그에 쓰신 말씀도 좋네요.
합격의 정도 52
2021년 10월 06일 09:18하락을 주장할 때 공급부족에 대한 반례로 2012~2014년을 이야기 하는데 공급(입주량)만 보면 되는게 아닙니다. 반드시 같이 봐야할 변수가 있는데 미분양입니다. 이때 공급물량은 적었는데 이전부터 누적되어온 미분양물량이 많았어요. 그니까 정부에서도 세제혜택 줘가면서 미분양 해결하려고 했죠. 근데 지금은? 어디에 미분양이 있나요? 입주예정물량이 많은 인천도 분양한다고 하면 줄서서 받아가는데...
차원진 51
2021년 10월 06일 13:10아포유출연하셨던거랑 오버랩되게 편집되면 더 꿀잼일듯
주뇽 50
2021년 10월 06일 08:53분양보면 20평대보다 30평대가 더 경쟁 높고 그건 맞음.. 왜냐면 내가 떨어젔거든 ㅜㅜㅜ
@myplace4307 49
2021년 10월 06일 05:58부동산에 대한 열기가 대단하니 이런 저런 관점이 다 소중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심리에 대한 부분과 수요/공급을 비교해주셨는데 동의합니다.
진정한 시장 참여자인 사람들이 공급이 없다는 이유 때문에 더 조급해지고 매매를 하려고 소위 패닉바잉을 하는 것 같습니다.
10억짜리 15억 부르는 아파트 여러 개 봤는데요. 좀 너무하더라고요..호구 한 명만 걸려라 느낌?
하지만 사람들이 현명해져서 다른 곳 찾더라고요. 내년부터 정체기에 돌입하신다고 의견을 주셨는데 한번 지켜봐야겠습니다.
전세도 이번에 많이 오를 것 같던데 상승장이 2~3년은 지속되지 않을까 생각도 드네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당근케잌 47
2021년 10월 06일 02:46상승론자든 하락론자든 어쨋든 자신이 진실로 믿고 있는 내용을 얘기하는 건데 ㅠㅠ
그냥 양쪽 다 너무 비난받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ㅠㅠ
다 듣구 본인의 생각과 더 맞는 쪽을 따르면 될 듯..
저는 상승론 쪽에 더 무게를 두고 있긴 한데 저와 다른 생각이시긴 해도 이 분 넘 악플 많이 달려서 안타깝네요 ㅠㅠ
사랑해 46
2021년 10월 08일 18:1610년보면 결국 우상향되지만
그 시간 버티기가 힘듭니다
적당히 대출받고 갚아나가면 재산은 늘긴늡니다 무리한 대출은 집값이 올라도 허리가휘고 정신건강에 안좋습니다
@gbro4799 44
2021년 10월 06일 00:32궁금하다 맞는말일지 1년뒤 다시와서 보겠습니다!
킴키다 43
2021년 10월 06일 08:34근데 전세시장이 합리적이면 선택의문제지만 전세시장이 이중가격 삼중가격으로 헬이라 폭락이아니라 조정장만와도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탈사람 많지않을까요?
@40thTRADER 40
2021년 10월 11일 11:06살 집은 형편대로 사면되죠.
내일 오를까 내일 내릴까 고민하다 환갑됩니다.
어차피 내가 살 집인데 능력껏 사는게 답 이죠.
내가 투자자인지 실거주자인지 분간부터 하는게 시작이죠.
춘희 39
2021년 10월 06일 14:4424분 정도에 신사임당님 질문이 본인도 헛갈리는 느낌 ㅋㅋ 전세가와 매매가가 동시에 오르니 매매가가 떨어질리가 … ㅋㅋ
급매물맛집TV 36
2021년 10월 07일 12:37맞는말씀이십니다만은.. 어떤정권이 부동산정책을 뭘 내놓는지도 복합적으로 생각해봐야 될듯합니다
@user-ib2xo1fs1q 35
2021년 10월 07일 06:01울동네 너무 오를땐 매일 사볼까 들락거렸는데 이제 거의 멈추니까 찾아보지도 않게되네요 그게 지금 집없는 제 심정 맞는것 같습니다 실거래가를 보니까 실지 오른가격에 팔린집이 너무 적어서 놀랐어요 두채더라구요 구매욕 사라져서 기다리던 참인데 이분말씀 맞길바랍니다
Eric K 32
2021년 10월 20일 08:19진짜..........
이거 2년뒤보고 싶다 만약 상승하면...정말 피눈물 흘리시는분 있을까 두렵다
발트해 기러기 32
2021년 10월 12일 12:30이분이 부동산 전문가로 제일 요즘 핫 하신듯~~ 역시 분양 현장에서 오랫동안 실무를 한 사람이 결국 인정받음.
@user-uj6jw9po8v 30
2021년 10월 07일 21:07임대차 3법으로 세대분리 폭등
자녀들에게 증여
분양가 상한제로
세대분리 폭증
로또당첨 됄려고 이게 가장큰 이유죠
민짱 30
2021년 10월 10일 00:32이소장님 이야기 듣고 실거주도 안사시는분들 계시면 너무 위험할것 같아요
@user-dk7bz3if6l 30
2021년 10월 12일 13:33늘 소장님 말씀에는
신뢰가 갑니다
새겨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ll2pt6oz8j 30
2021년 10월 24일 08:01역시 신사임당이 롱런하는 이유가 나오네요...
반대시각도 볼수있게 만드는 그~~
낭만고냥 30
2021년 10월 06일 01:01이현철님 여기서 뵈니 반갑습니다.
말씀대로 진짜 악플이 많네요.
설명이 틀린부분이 없는것 같은데 .
암튼 두고보면 알겠죠.
송송 27
2021년 10월 06일 01:26실거주 1주택은 상관없죠.
@user-ng8hd9fr3k 27
2021년 10월 07일 15:12이분강의도 몇번들었는데 다맞는것도 아닌듯 합니다! 가려듣고 여러사람 이야기들어서 옥석을 가립시다!
바라라 27
2021년 10월 06일 07:22아우 2007년이었나 2008년에 부모님이 영끌 하셔서 집 사셨다가
팔지도못하고 매매가가 ,3억 5천이었는데 전세는 일억도 안하고
정말 빚갚느라 풍지박살 날뻔했죠
그래서 제가 영끌을 싫ㅇ해요 영끌하신분 조심하세요
@user-boca8949 27
2021년 10월 07일 21:16내년도 꽉 막힌 시장에서
상승에 한표를 주고싶은데
요즘 부동산시장을 사이다처럼 설명해주시네요
아파트 2억7천 신고가인데
물건이 3억3천..3억5천. 4억나오네요
@sunnykoreaacn 26
2021년 10월 06일 09:42말씀 하신데로 요즘 매매금액이 너무 높아요 전 매매 금액이랑 말도 안되는 차이로 높은 금액의 매매가 ...
지와이댓 25
2021년 10월 06일 03:16전 2014년도에 아파트 한채 샀다가 지난달에 2배 조금 더 시세차익 남기고 팔고 빌라 전세 들어와 살고 있습니다. 또 기다리다 보면 기회가 오겠죠..
꽃길만 걷자 24
2021년 10월 16일 18:25이번 집값폭등은 집의 공급이나 수요가 만든 상황이 아니고 양도소득세 폭탄이 집을 매물로 내놓지 않고 있다가 만든 폭등세가 아닐까 합니다. 이번 집값은 오르지 않고 안정적으로 잘 있었는데 세금폭탄 때리고 나서 집값 폭등이 왔어요.
이세금을 싹다 낮추고 종합과세도 폭탄으로 올리지 말고 확 낮춰야 합니다.
세금때문에 모두들 살수가 없습니다.
내가 피땀모아 번돈을 국가가 너무 많이 뺏아 갑니다.
CY K 24
2021년 10월 06일 06:52폭등폭락 의미없다ㅡ집 사놓고 시간 지나고 보면 다 올랐다ㅡ아파트건 땅이건 유한자원은 다 오른다.
박하영 24
2021년 10월 06일 07:00과거 내가 어떤 시점에 왜 그런 판단을 했는지 왜 그게 틀리고 맞았는지를 자가 점검이 필요한거 같아요 정답이 있는건 아니지만 오늘이 끝이 아니고 계속 살아갈거니까요
공부 잘 했습니다 좋아요
탐나 24
2021년 10월 06일 09:26아 심리로는 설명이 되네요
O Ryu 24
2021년 10월 06일 02:05실거주 1주택자인데 상급지 갈아타기나 갭투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보수적으로 생각해보려구요 당분간은
화수분 22
2021년 10월 08일 16:20입지 좋은곳에 23평~34평을 가장많이 선호합니다 ~~
nicechu kim 20
2021년 10월 06일 07:27부동산은 무조건 오른다는 사람들은 2016년부터 부동산 한사람들일거임..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가 한번 보세요...ㅋㅋ
재테크 슈퍼거미 법학자훈훈이 18
2021년 10월 19일 05:19세종시 사례를 보면 알수있죠 이미 세종은 작년말고점찍고 하락중입니다 잘듣고갑니다^^
@user-kp6gp3cx4h 18
2021년 10월 08일 08:48입주물량만 가지고 공급수를 비교하는게 잘못된거 아닌가요?
그것보다 지금은 양도세중과로 다주택자 물량감소, 취득세 증가로 1주택자 갈아타기 물량 감소, 취득세 중과로 일시적2주택 활용 매물 감소 등등 전체적으로 봐야지
Lee연두 17
2021년 10월 11일 17:16현장에서 일하고 있는데 보기 드물게 현실을 직시한 판단이네요.
@user-nt2xt3zs4g 17
2021년 10월 06일 00:24에효…완전 틀린 이야기도 아닌거같은데..왜 요즘 사람들은 하락이야기만 나오면 무시하고 비웃고 바보취급하는건지…참..예전 하락장일때 상승할거라하고 집 사면 완전 비웃었던 시절이 엊그제 같구만 그때도 이랬음 아무리 오르고 불장이라고 해도 내가 던졌을때 안팔리면 얼마나 피마르는데ㅜㅜ
@sooiv3572 16
2021년 10월 23일 23:49집값 주식 아무도 하늘도 모른다. 하지만 대한민국 인구가 줄어드는건 확실하다.
CH m.k 16
2021년 10월 07일 09:45이 부동산 거품을 받쳐줄....그런 능력이 계속 유지될까요? 못갚기 시작하면 나락인데..
무조건 오른다는 의견에는 반대입니다. 내년까지 서울은 조금더 오를순 있으나. .
미국도 지금 3~4배 올랐어요. 실물 경제와 반대되는 현상입니다. 위험해보여요.
우리나라는 갭투자로 부채가 참 많은 나라예요 .
@hui475 15
2021년 11월 28일 16:11지금 다시 보면 이 분 분석이 가장 정확함.. 물론 다주택 종부세 리스크가 가장 큰 이유고..두번째는 금리 상승인데..사실 금리 보다 종부세 폭탄 맞고 똘똘한 한채로 옴기면서 시장에 매물이 나오고 있음 ... 당연히 종부세 만큼 월세를 올리면 되지만 .. 실제로는 그보다 적게 올릴수 밖에 없음 ...직장인 평균 연봉은 안오르니 당연히 돈없으면 외각으로 혹은 빌라로 가지... 엄청 올려놓은 월세는 못들어가는데.. 그러면 해당 아파트는 공실나는 상황에서 이지상환과 종부세 폭탄을 내년에 한번 더 맞을 것임...차라리 그럴거면 그 주택을 팔고 예금으로 넣는게 이익임..요즘 이율 2.3프로 주는데.. 10억짜리 아파트를 200에 월세 주면서..종부세와 이자상환 할빠엔 현금화해서 현금성 자산으로 이자 받는게 훨씬 이익임
두두 15
2021년 10월 06일 00:45하락오면 이제 집있는자들이 더 난리나겠구만 이정권이 어쩌니저쩌니
coconut pick3 15
2021년 10월 06일 22:10음~아~맞아요~아하~ 신사임당님 리액션 넘 좋음ㅋㄱㅋ
Fisher Ken87 15
2021년 10월 06일 21:28상승론 하락론 둘다 좋습니다. 상승론만있는 것도 건강하지 못합니다. 다만 실거주 1채 팔고 (숏) , 시점봐서 하락장에 들어가는게 단순히 수익률 측면으로 볼 문제는 아니고 가족의 거주 안정성 문제인데 아쉽네요. 1주택이면 하락장에 내꺼 싸게팔고 상급지도 싸게 사면 됩니다. 1주택은 투자가 아닙니다….
임영숙 15
2021년 10월 06일 20:20한국 1인당 지디피대비 집값만 미친것처럼 오르는것은 분명히 올바른 일이 아니다라고 봅니다 몇십년동안 대출80~90%풀어 제끼더니 지금 대출이 꼭필요한 사람들에게 대출중단으로 지금 너무 속상합니다 집가진자들 욕심이 화를 부르는 일이네요 우리동네 아파트32평짜리 엇그제7억에 네이버부동산에 내놓았는데 3일만에 쏙들어 갔다 왜 누가 물어라도 볼라나하고 낚시질 해본거임 ㅋ ㅋ ㅋ 욕심이 하늘을 찌르는 인간들 너히들만 배가 터지게 자기들만 살겠다 도둑놈에 심보들 나도 집한채 있지만 미친집값 바라지 않는다 다같이 좀 살자
@user-uy4sx8fn1k 15
2021년 10월 12일 09:43ㄹㅇ 10몇년전부터 부동산 폭락한다 폭락한다 이 소리 맨날 들었는데
그때 쫄지말고 영끌해서 샀어야 했는데 후..
@TV-zh4ev 14
2021년 10월 11일 00:0320.30세대는 전세살다 집샀는데 지금은 이들이 집을 사려고 뛰어드니 집이 부족한듯. 불안감과 부동산만이 재테크로 생각을해서 그런듯
히읗치읓 14
2021년 10월 07일 11:40갓머시기니 뭐니하는 어중이 떠중이들이 무턱대고 공급부족만 외칠 때, 공급과 수요로 디테일하게 구분해서 설명하는 점에서 믿음이 가네요. 이른바 일본 같은 대폭락 사태는 절대 오지 않겠지만, 향후 5년 안에 1-2년 정도 10-20%는 하락할 수도 있겠군요.
Freeman 14
2021년 10월 06일 17:48객관적 자료화면과 함께 설명 해주셨으면 더 좋았을듯 하네요
뿌꼬 13
2021년 10월 06일 08:01전체적인 공급을 논하는 것도 중요 하지만
사람이 살고 싶은곳에 공급이 없으니...
살고 싶은곳 옆에 살게 되고..
그리고 그 옆이.오르니 따라서 그 옆도 오르고....이게 풍선효과라.....
살고 싶지 않은곳만 너무 짓고 있음....
@user-ku4bf7um4i 13
2021년 11월 12일 18:34저는 여러 재테크 채널 하루 1~3시간씩 즐겨보는 편입니다 요즘 여러 경제학자나 증권맨 분들이
증시 부동산 경고를 많이 하는편인듯 해요
테슬라김 13
2021년 10월 11일 13:56사자, 사지말라 이런 이슈가 슬슬 나오는거 보니까 얼마 남지 않았네
@소금돌이 13
2021년 10월 06일 16:26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user-vu8kz4jp7f 12
2021년 11월 14일 06:00훌륭한 분석력이십니다.
@user-vk8sp9qj8j 12
2021년 10월 11일 01:22이 분은 본인 의견 말씀하신거고... 듣는 사람들이 취사 선택하면 되는건데...
왜들 이렇게 열폭하는 댓글이 많은지... 그 이유를 모르겠네요
이분 말 한마디에 안오를게 오르고 오를게 내릴 것도 아닌데 무슨 인신공격까지...
@user-ui9zn9nv7o 12
2021년 10월 06일 02:23대형평수로 갈아탄다는건 몇평정도를 말씀하시는건가요? 소형평수는 공급이 늘어난다고 하셨는데 10ㅡ13평 초소형 평수도 영향을 받을까요?
@Litte-Boss 12
2021년 12월 22일 17:04와 지금 12월 22일 인데, 정말 정확히 맞추셨네요.. 솔직히 많은 부동산 자산가들이 내년까지 상승한다고 확신까지 했는데, 그 분들이 이제 어떻게 말 바꿀지 궁금해지네요~ 슬슬 꼬리 내리시더라구요 요즘~~~
Maxx 12
2021년 11월 09일 15:522012-14년도 공급이 적었던 이유는 그 이전부터 계속 부동산 하락기여서 미분양이 넘치는 시기라 건설사가 덤벼들지 않은거고 지금 공급이 적은거랑은 다른 요인이지요.
박스티브 11
2021년 10월 06일 05:47이제까진 저금리 유동성으로 만든 불장이었죠. 금리 인상으로 유동성 축소와 공급확대로 다시 2017년 전으로 원위치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박이쁨 10
2021년 10월 17일 12:02실거래가도 허수가 대부분
지금 부동산 가격은 부풀려 놓은 풍선같음
결이결이 10
2021년 10월 10일 10:38잘보고 갑니다. ㅎㅎ 세상일은 모두 사후적 고찰.
@lolstar2591 10
2021년 11월 07일 09:17공급만 많은 경기 외곽이나 비수도권 하락장이겠지만 당장 재건축도 적은 수도권 중심지랑 서울이 몇년사이에 폭락하진 않을거같아요
- 10
2021년 10월 06일 23:4912 13 14년도엔 수요가적으니 당연히 공급도 줄였겠죠.. 당연한 현상인데.. 지금은 수요가많으니 공급을 최대한 늘려야 집값이 잡힌다는게 당연하죠.. 그렇다고 비수도권을 늘리란게 아니라 수요가 많은 수도권중심으로 늘려야 효과가 있죠..
사운드오브뮤직 10
2021년 10월 07일 23:20전세가랑 매매가 차가 거의 없을때 눈치빠른 사람들 작은 돈으로 집산 사람들 지금 돈 엄청 벌었겠다..^^
시장을 읽을줄 아는 눈이 진짜 돈을 버는구나...
믓진인생 9
2021년 10월 23일 19:43제생각엔 지방쪽은 폭락이 예상되고..
서울 수도권은 당분간 인구지속유입으로 지속적으로 올라갈거라 생각됩니다.
가장 큰 변수는 대선 , 정치권이 바뀔때가 가장 큰 변수가 오겠죠..
내년 기대되네요
se ro 9
2021년 10월 18일 01:14상승 하락 양측을 골고루 초대해주셔서 감사해요 ~
하락론은 라이트하우스님 얘기도 들어보고싶어요
@shkim2775 9
2021년 11월 20일 14:03이소장님은 하락론자 아닙니다. 현재 싸이클속에 하락패턴이 올거다라는 예상인거죠~
브로디 9
2021년 10월 06일 10:27책 팔려고 쇼하는게 아니라 부디 이사람 말이 맞기를..
앙드레코스톨라니 9
2021년 10월 05일 23:29근데 이 말이 절대 무시 못하는게 진짜 단순 공급 부족이면 과거에 더 공급 부족했던 때에도 이처럼 폭등은 없었고 심지어 반포자이가 미분양 나기도 했었죠. 논리적 통계와 수치만으론 절대 이해가 안가지만 주식도 마찬가지고 대외변수 중에 가장 가치를 형성하는데 큰 부분은 바로 심리죠. 주식도 12월에 삼성전자 카카오 네이버 현대차 등 폭등할거라 생각했고 실적도 좋았고 수출액도 좋았고 모멘텀도 강했어요 그래서 너나학 거 없이 전국민 주식이 된게 카카오 삼성전자 현대차죠 근데 지금 10개월간 하락하고 떡락 중입니다 그만큼 많이 오른건 있지만 과대낙폭이죠 불과 몇달 전엔 이 주가를 상상했을까요? 그 기간 기업 가치가 변한게 있나요? 전혀요.
이처럼 부동산도 심리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정말 흥미롭다고 보여집니다
사실 지금 집값이 떡상한 이유를 코로나 이후 유동성(돈풀기) + 화폐가치 하락과 인플레이션 그리고 정부정책을 뽑는데 사실 그건 부차적인거고 그로 인해서 심리 매수해야겠다는 심리 지금이라도 사야한다는 조바심 또는 욕망과 욕심이 호가를 위로 올리면서 산게 아닐까 싶어요 주식과 부동산 가격형성 되는거 보면 정말 재밌습니다
급격한 상승은 반드시 급격한 하락을 동반하는게 자산시장입니다
모두가 오른다고 외칠 때 가장 조심해야 함은 역사가 증명해 왔죠 그래서 부자레포트 보면 실제 강남 찐부자들은 현금화를 많이 해놨더군요 부자들은 정보력이 빠르니 귀신같이 타이밍을 아는 듯 합니다 하늘 높이 오를 줄만 알았던 삼전 카카오 등 주식이 급등 이후 급락할 줄 누가 알았습니까? 당시에도 삼전 6만 전자 간다 카카오 10만 깨진다 등 이런 소리하면 쌍욕듣죠 부동산도 지금 단 한명도 빠진다는 말 없고 오직 오른다고만 하고 매수에 매수를 부르는데 이 세상 어느 자산도 무조건 오르는 것은 절대 없고 급등은 급락을 부르고 반대로 급락은 가치가 부러진게 아니라면 반드시 다시 올라옵니다. 부동산이 어느 위치에 있는 걸까요? ㅎㅎㅎ 부동산 가치는 변한게 하나도 없습니다. 변한건 우리의 심리 마음 뿐이죠 ㅎㅎㅎ 주식도 이제 슬슬 다시 기회가 오고 있죠 ㅎㅎ
이윤건 9
2021년 10월 06일 02:42인구는 줄었으나 가구수 증가로
공급이 꾸준히 늘어나고있고 수요도 역시 늘고있다.
하지만 인구는 계속줄고 가구수는 천정부지로
늘어날수만은 없다.
그렇기에 현재의 일본을 보며 느끼고
치고빠지기를 잘해야 할것 같다.
박은영 8
2021년 10월 12일 17:23한 계단 한 계단 밟아 올라가지 않고 쉽게 붕~~떠 오르면 내려올 때도 올라갈 때의 파워만큼 하락하는 건 진리ᆢ
그러니 내려올 때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정책이나 여러 가능성을 가늠해 보세요~~
cinta choi 8
2021년 10월 21일 07:20부동산이 언제나 침체기후 상승이 있게 되지요. 그후 상승기는 적고 침제기는 길다는게 정답입니다.
그러니 앞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user-rx4zm1kf8h 8
2021년 11월 19일 21:14이현철소장님 / 침체 후 하락
아포유님 / 상승
하박교수님 / 하락
너나위님 / 무주택자는 매수 / 중립(?)
부읽남님/ 상승
김기원대표님 / 하락
다양한 의견 들을수있어서 너무좋고 감사합니다
Alexx Yay 8
2021년 10월 07일 14:53절대적인 것이 없듯이 끝없이 계속 오르는 장도 없잖아요. 이런 분의 현실적인 조언과 설명이 필요했어요. 지금 시점에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이야기였습니다. 누군가를 탓하는 듯한 말이 아니라 분석을 해주신 거 같아요.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H J 8
2021년 10월 07일 12:42정부가 잘못해서 정책이 시장을 교란해서 폭등한거 맞죠. 전문가분께서 그거에 스핀하는 건 좀 비겁하네요… 국민이 바보도 아니고. 신사임당님 방송 유익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user-op1lv2is1l 8
2021년 10월 29일 19:37곧 기회가 온다 기회를 잡기위해 열심히 공부하자
이우지사 8
2021년 10월 07일 11:28이현철 소장님을 유투브로 만난건 행운이다
@jennyyun2012 8
2022년 12월 23일 00:17이때 이 영상보고 인상적이어서 기록해놨는데 이현철소장님 의견이 맞았네요. 2022년12월이 되서 돌이켜보니 소장님은 하락론자도 상승론자도 아닌 심리와 싸이클로 부동산을 가장 잘 설명하신분!
@user-xn2gv3oy1s 8
2021년 12월 25일 18:55저도 공급과 수요로 집값의 상승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며 이현철님 판단에 공감합니다.
박미진 7
2021년 10월 23일 00:46수요는 심리 공급은 충분. 심리가 꺽였고 곧 공급이 필요없음.
jh c 7
2021년 10월 07일 09:24난 이분 말씀에 한표~~~
보뗄beautelle 7
2021년 10월 14일 16:41공급량보다 더 예민한 영향을 주는 것은 금리입니다. 공급이 부족하지 않아도 수요가 엄청 크면 상대적으로 공급부족의 결과를 나타낸다는 말씀.. 맞습니다. 그러면 왜 수요량이 이토록 늘었을까요?? 바로 그것은 저금리로 돈을 주택구입과 주식시장으로 흘러가게 된 것이죠.
킹저씨 7
2021년 10월 23일 17:47연도별 공급량 바라보는 것도 좋지만 향후 공급 시그널도 중요하구요. 현재 거주 아파트들의 연식. 그리고 정책 등 다양하게 짬뽕해서 생각해야죠. 근데 안타깝게 지금 정책이 개똥망임..
이안루이스 6
2021년 10월 06일 01:02인간지표는 고점을 이야기하는것 같긴하네 ㅋ
Having E 6
2021년 10월 08일 09:49상승 하락 이런 얘기들이 있어야 꾸준히 갑니다.
jh hong 6
2021년 10월 19일 23:44조세 공과금 하고 대출금 이자하고 보다 임대수익이 작아지면 꼭대기 라는 것만 알면된다. 그동안 토건족과 중개업자들의 가격조작이 가격 상승을 부추김 측면이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하며 더이상 조작도 쉽지 않은 상황에 직면했다고 보기에 작은 충격에도 큰 파동으로 올것이라 생각합니다.
담달 금리인상이 아마도 변곡점의 시작이 아닐까.? 생각하며 시간이 갈수록 큰 충격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송나라 6
2021년 12월 10일 17:45미분양을 샀던 사람들이 지금 대박난 사람들이네요..부동산은 알수가 없는것 같아요..
신짜오 6
2021년 11월 11일 04:56공급부족은 아니고 외국인, 특히 중국인들이 미친듯이 사모으고 있음. 중국인 특혜담보대출 엄청 풀고 자국민대출규제시켜버려놓곤 임대주택살라고함. 미친거지.
@greenmint. 6
2021년 12월 06일 18:58신사임당님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도영 6
2021년 10월 06일 03:19화이트 헤어가 멋지십니다
하이잇 5
2021년 10월 07일 17:28경제전문가 이자 심리전문가 이시네요
낮술 5
2021년 10월 24일 15:19수도권에선 정부애서 꾸준히 저렴한 가격에 임대 아파트 찍어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신혼부부 자취생 취준생 사회초년생 저소득자 1가구 실거주가 문제임
@user-um9ei6rx8x 5
2021년 10월 24일 19:23이현철 소장님 말씀 감사합니다 !!
돈키호테 ♡ 5
2021년 11월 14일 23:011~2년 조금 하락정체기 입니다. 그런 다음 다시 오를 겁니다. 부동산도 주기가 있어요. 인건비. 물가 오르는데 부동산 절대 폭락하지 않습니다. 조금 하락정체기라 생각됩니다 갑자기 너무 올랐기 때문에 매수자 관망 할수밖에 없습니다.
이한나 5
2021년 11월 02일 01:01실수요자는 언제 집을 사야할지...어렵네요ㅠㅠ
Sun 4
2021년 10월 06일 09:1523년부터 떨어진다는데 썸네일은 내년이라고 되어있네요
이순수 4
2021년 10월 20일 07:24예전시장과 지금시장이 달라진
하나는 젊은세대들의 참여가
크게 달라진점을 간과해서는
안될거 같은데...ㅠㅠ
꼬꼬 4
2021년 10월 05일 23:31부동산 가격이 최근 몇년 오르니까 댓글에 부동산이 무적인줄 아는얘들이 너무 많네 ㅋㅋㅋㅋ 이해할 수 있는 얘들만 전문가님 인사이트 얻어갈 수 있도록..
108 Paek 4
2021년 10월 06일 09:42근데 2012~14 년도에는 전세가가 오르고 매매가는 낮아져서 아파트 매수심리가 극히 낮았죠. 그덕에 건설사들도 공급을 안했어요 왜냐구요? 미분양나니깐 ㅠ
지금은 금리도 그때보다 낮고 유동성도 높아졌고 특히 매매가격이 오르고 있는상황인데 이게 임대차3법과 다주택자 규제에 물려서 나올 물량도 잠기는 상황에
공급은 3기신도시 하나 바라보는 입장에 향후 2~3년은 떨어질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앤디 4
2021년 11월 13일 01:03상위20% 의 소득상승률과 물가상승률도 좀 봐야한다. 지금 부동산 최고치인지 아니면 더 심한 부익부 빈익빈으로 가는 단계에 수순인지..
Liz Park 4
2021년 10월 07일 14:18누군가 얘기한 '닫힌계'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추세 설명이 가능합니다. 추세는 수요로 설명할수 없어요.
@kimmiekim3275 3
2021년 10월 30일 23:52설득력있으세요 좋은 말씀 잘들었습니다
@user-of1qk6po8c 3
2021년 10월 06일 22:29폭락이라니 몇년을 조정 오길 기다렸는데.. 서울 수도권에서 조정다운 조정이 온적이 과연 있긴 했나요? 글쎄요. 아무리 살 사람이 없다해도 과연 급매로 확 떨궈서 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Carino Il 3
2021년 10월 06일 01:40상가는 어떤가요?
윤진호 2
2021년 11월 07일 23:01판단의 결과는 결국 본인이 책임져야하니 신중하게 행동 하시길
머선129 2
2021년 10월 19일 10:21ㅋㅋㅋ 무주택자들에게 힐링타임을 선물하셨네^^
박돌아와요 2
2021년 10월 09일 22:08과거와 지금하고 비교를 하는건 ^크게 여러상황이 변화가 되어서^ 위험할수있고 집값이 정체된다면 현금가치은 하락하기때문에 집값 간접상승 될수도 있으니 큰 고민 하시라.
@user-ei9kx2le5t 2
2021년 11월 05일 20:44오늘도 좋은정보 방송 감사합니다🍀👏👏
참다랑어 2
2021년 11월 14일 07:35부동산은 현 정부가 들어서고 정책 헛발질로 슬슬 올리기 시작했고 내려가나 싶었는데 코로나가 터지는 사람에 유동성이 엄청나게 풀리고 그 돈이 부동산으로 가게 된거임 이제는 인플레이션 걱정에 정부도 어쩔 수 없니 금리를 올리는 추세로 들어 섰고 부동산 하락은 불가피 하다고 본다 이럴 때 오히려 몰리는 곳은 더 상승 할거라고 봄 지방 부동산들은 고점 찍었다고 보고 엎드려 뻗혀서 하락 빠따 맞을 준비나 하시길
citisn Kim 2
2021년 10월 16일 02:10행복한 하루를 위해 재테크 강의 봅니다~! 아파트 투자만이 나의 살길!!
Champmaker챔프메이커 2
2021년 12월 12일 15:04물가가 오르는데 오지도 않겠지만 혹시 폭락이 온다해도 다시 서서히 오르지 않겠습니까?
하락의 기간이 얼마나 지속된다는 건가요?
SIYONG KIM 2
2021년 10월 06일 08:53아파트 소형이면 몇평형이고 대형이면 몇평형인가요?
jade lee 2
2021년 10월 06일 06:43부동산이 하락하지 않는다 라고 하시는분들이 입 모아 얘기하는 물건
서울중심지 아파트
그 외물건은 하락이 올수도 있다고 생각함 (수요가 줄어서)
하지만 공시지가 상승 -> 인건비 상승 -> 원자재 상승 ->집값 상승 -> 다시 공시가 상승..
영원한 굴레임
보뗄beautelle 1
2021년 10월 14일 17:012012. 2013. 2014. 서울 집값이 최저였다.
침체기때에는 공급이 있어도 수요가 줄어 하락이 되는 것이다.
일반 매매시장. 분양시장.
입주물량은 대부분 전세시장의 공급처이다.
주택의 공급은 분양시장에서 나오는 신규 주택이다. 내년은 정체기가 될 것이다.
부동산의 사이드 카!!
하락도 5~6년 지속.
매수자가 끊어지다가 이어지면 그때는 집값이 오른다는 신호다.
herren house 1
2021년 10월 18일 15:40청약이 1주택자가 그나마 추첨제로 하는게 중대형이니몰리는거아닐가요??
킹키즈(kingkids) 1
2021년 10월 10일 12:282030년부터 인구감소 실질체감할수있다고 했으니, 인구감소를 극복해서 메가시티로 거듭날 지자체 외에는 지방부동산 하락을 막을방법이 없을겁니다. 서울과 경기수도권은 대한민국 절반의 인구가 거주하므로 부동산시세는 계속유지되지만 점차 외곽부터 부동산시세는 붕괴되고 수도권에서도 교통편하고 일자리많은 지역과 서울중심으로 알짜배기 부동산 재편될것같네요 ㅠ
@1yaksa 1
2021년 11월 13일 21:08와.. 너무 잘 보고 갑니다👍🏻👍🏻
@user-xr5vp3bv5k 1
2021년 10월 08일 00:22와드박아용! 6개월 뒤 미래에 한번 다시 영상보러 와보겠슴니다~
장영숙 1
2021년 11월 01일 15:20이 분 말씀~
귀담아 들어도 괜찮을 듯 합니다.
이진영 1
2021년 10월 25일 23:29하락론자가 영웅이 되는 이유는 하락을 맞추는게 정말 어렵기 때문이다. 하락은 짧지만 상승은 길다.
sdfsdf qerw 1
2021년 10월 06일 09:28결국 뭐 많이올랐으니 떨어질거라는 얘기네 ㅋㅋ 나머지는 본인 시나리오고
SSun 1
2021년 10월 06일 09:14아 어렵네요 결국엔 본인선택
예가체프 1
2021년 11월 14일 10:03이러이러한 일이 일어날것 같으니 하락할것같다..그래도 계속 상승할것 같다라고만 이야기해야지 책임지지도 못할 무조건 사라,무조건 팔아라라는 이야기는 하지 않는게 좋을듯요.물론 우리가 판단하는 능력을키우는게 우선이겠지만요
yuna son 1
2021년 10월 06일 11:58이때까지 아파트 분양하면 3억대도 많았다. 하지만 철근 등등 원자재가격 2배이상. 인건비 2배이상. 땅값 2배이상. 그럼 최소 새아파트 분양가 6억이상이라고 생각할때 어디가싼가?? 공급 수요 떠나서도.
@re.y2259 1
2021년 12월 15일 11:11항상 좋은뷰 감사합니다. 염치없지만 이게 지방도 해당이 되는건지 답변 부탁드릴게요..
gun oh 1
2021년 10월 06일 13:02다 봤네요 좋은 영상입니다
춘희 오
2021년 10월 06일 14:40가만히 들어보니
정체기까지는 이해가 되는데
매수 심리가 갑자기 죽어버리고
청약경쟁률이 떨어진다는 것은
그렇게 와 닿지 않네요.
YS J
2021년 10월 06일 11:30올라가는걸 지켜보는 무주택자들 심리는 아는가?
잘가라~
노던라이트
2021년 11월 10일 15:05제발 1번만 떨어져 줬으면 좋겠다.. 숏포지셔너들 위해 7년 지났으니.. 1번은 맞추게 해줘야 할듯.. 장기적으로 10년 중 2~3년은 하락해 주는게 건전한 경제를 위해 좋다. 이제 측은해 보인다.
@ysc8143
2021년 10월 30일 00:18잘 들을께요~
김창운
2021년 10월 30일 01:24사전청약 미달 59제곱에 나타났네요 74 84 부터 경쟁률 장난아닙니다
가을i
2021년 10월 06일 11:58🤩잘~~들엇어요~
능력되면ᆢ대형사면조을듯ᆢ
감사합니다 ☕
생명나라
2021년 10월 06일 13:41로또청약이라 불리는 곳 분양받는거는 사도 괜찮은거죠?
집도리
2021년 10월 06일 13:41주식 박살나고 있어요 ㅠㅠ으어
sungho song
2021년 10월 06일 10:29이래 저래 국평이 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