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삼성노조가 연봉을 6000 올려달라고 요구조건을 내세웠더군요..... 한국 노조에 상식을 바란다는건 사치인가 싶습니다. 제 동생 둘이 경기도 행정공무원인데, 공장 하나 들어올려고하면 ( 그 작은 도시에서 ) 수십개 시민단체가 뜯어먹으려고 달려든다고 합니다. 기업을 돕거나 보호해주지 못하는 나라.....
설명을 들어도 이것이 지속 가능할지 마지막 불꽃이 아닌가 하는 불안함은 없어지지 않네요 근본적으로 노동 개혁을 하지 않으면 바뀌지 않을거라 보는데 정치권에서는 20년 길게는 30년간 눈가리고 아웅하고 있는거 보면 도대체 언제까지 저럴건지 의문입니다 인구 재생산이 안되는 나라에서 무슨 희망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사님 항상 영상 잘 보고 았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 남겨요. 최근 증시가 조정장이고, 디플레가 올 것 같다는 식의 예측도 많은데요, 이런 상황에서 계속 투자를 해도 괜찮은가요? 매 달 150씩 꾸준히 장투하려고 하는데, 잠시 증시를 지켜봐야할지, 리츠 주식 채권을 박사님이 말씀해주신 포트폴리오 대로 투자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오늘도 박사님의 명쾌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다양한 통계 근거가 좋습니다. 아울러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사실 전부터 갖고 있던 의문이지만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01. 한국경제의 혁신에 있어 대기업도 있겠지만, 요즘은 스타트업 기업이 뜨겁다고 느껴집니다. 그런데 제가 스타트업의 혁신이 정보통신 분야 그중에서도 데이터, 플랫폼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스타트업의 쏠림이 제조업에 비해 만족스러운 일자리 창출, 시장확보 및 수출이 제한되어 결국에는 성장의 한계에 일찍 직면 하는게 아닌가 우려됩니다. *배달앱은 배달 관련 일자리를 만들지만 소득/노동강도 비교시 만족스럽지 못하고 부동산 관련 앱들은 수출되려면 그 나라의 데이터 구축, 언어를 해야 하죠 이런 쏠림 괜찮을까요? 문제가 있어서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 활성화도 필요하다면 그 방법은 뭘까요? * 제 스스로의 답으로 제조업 스타트업 육성 방안으로 '제조업 기술을 개발해서 대기업에 팔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를 생각했지만 뭔가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02. 우리나라가 수출은 잘한다고 하더라도 내수는 점점 망가지는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 현대차 같은 대기업의 좋은 실적이 발표되면 오히려 상대적 박탈감이 거론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원인 중 하나로 과거에 비해 이른바 '낙수효과'가 감소했다는 의견이 있고, 저 역시 일정 부분 동의 합니다. * 대기업의 단가 후려치기, 대기업/중소기업 임금차 등은 종종 이슈가 되는 사안이니까요. 수출이 잘 되는 만큼 내수도 잘 돌아가도록, 낙수 효과를 되돌릴 방법은 없을까요? 금리를 낮추고 대출을 잘 해주는 방법 외에 내수가 잘 돌아가게 하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 대기업의 양보, 희생이 필요하다는 정치적 의견이 아니고 뭔가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개선 방안은 없을까? 현재의 구조는 바꿀 수 없으니 인정하고 그 안에서 방법을 찾아야 하는 걸까? 라는 순수하게 경제학적 해법에 대한 질문 입니다.
세살짜리 늦둥이가 살아갈 우리나라는 지금보다 좀 더 나았으면 하는 생각에 두서없이 질문 드렸습니다. 그래도 박사님의 명쾌하면서 또한 현실을 직시할 수 있는 답변을 기대해 봅니다 ^^;;... 감사합니다.
이거저거 다 떠나서, 여기 댓글수준만봐도: 안심이다, 감사하다, 당연하다, 그랬었나 등 본인/주변/tv등에서 보여지는 모습기준으로 봤을때 아닌데 어떻게 믿나 취업때는 공무원선호, 사회생활때는 부동산/주식. 스스로 부가가치 만드는사람이 몇이나 있다고 미국처럼 대학교수가 앞장서서 창업하는 ... 여기처럼 안전한 후방에서 철밥그릇싸움질이나 하는 것들이
고리타분하고 안정성만 꼭 쥐고 있으려는 게 한국 기득권들인데(제 부모 포함), 성장이 일어나겠어요? 혁신적인 것에 위험부담을 갖고 투자를 해야 성장이 일어나지, 다 성장한 것에서 무슨 성장이 일어나겠습니까. 그러니 저성장이지요.
제 오빠가 중고거래온라인사이트 사업을 하다가 도박으로 빠진 거든, 애초에 도박하려고 가족들에게 그렇게 사업한다고 속여서 돈을 빼온 거든, 제가 구옥 허물고 신축 빌라 짓자고 해도, 건설사나 노동자들이 재료 빼먹는다고, 돈 띠인다고, 서울에 이사짐센터 다 망해서 이 동네사람들이 이사를 못가는 거라는 등, 온갖 핑계를 대며 투자을 안한 아빠든간에 자본을 쥐고 있는 기득권의 머리가 자기 뱃속만 채우고 자기만 만족하면 된단 생각들 때문에 안되는 거임.
우리나라가 헬조선이라 하기도 했는데... 그래프를 보니까 우리나라가 잘 하고 있는 거군요. 우리나라는 정치인과 검사 언론인만 바뀌어서 좀 더 깨끗하고 투명한 사회가 된다면 굉장히 훌륭한 나라가 될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국민들이 박사님의 강의를 많이 듣고 좀더 경제나 정치에 관심을 갖고 핵심을 정확히 파악하는 국민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투표도 진짜 나라를 부흥시키고 발전시킬 지도자를 뽑을 테니까요.
딱딱하기 쉬운 내용을 부드럽게 유머러스하게 설명해주시니 참 감사하구요~** 거기다 보통사람은 알수도, 내다보거나 A와B를 비교하는 지식이 없는데 놀라울정도로 명확하게 비교해 주십니다. 하여 좌로나 우로 치우치는 우매함에서 자유로울수있는 귀한 분별력을 담습니다. 원더풀~~^^
@mary72601 44
2021년 10월 06일 22:42한국 성장율이 생각 보다 높네요. 주변 언론들이 최근 들어 하도 경제가 큰 일이다 라고 해서 걱정이였는데 그래도 희망을 가지고 삽니다^^ 오늘도 박사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user-dn7qd4mg5k 32
2021년 10월 06일 20:18홍박사님은 언제나 의견이 분명해서 좋아요.
신문이나 공중파보다 폭넓고 적확한 분석이라서 그런지 납득이 갑니다.
@chunukhong 26
2021년 10월 06일 19:45👉28년차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박사의
유일한 경제&투자 스터디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지난 시간에는 한국의 재정위기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했다면, 이번시간에는 한국경제가 구조적인 저성장의 늪에 빠진 것 아니냐는 주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jennifershin 21
2021년 10월 06일 21:2125년째 외국에 살고 있는 애널리스트 입니다. 덕택에 요즘 한국에 대해 다시 배우게 되었습니다. 뿌듯하네요.
@user-nk8en7zo8z 21
2021년 10월 06일 19:51근본적인분석영상에 감사드립니다. 제느낌엔 혁신을위한작업에 전국민이 다참여하는듯ㅡ
한국제품.식품들이 세계에 먹히는이유가 소비자들이 까다롭고 깐깐해도 너무해서 ㅎㅎ
@user-fq6qz9fm2c 20
2021년 10월 06일 19:39간단ㆍ명확한 분석 최고입니다^^
오늘같이 힘들었던 날~! 힘내시고
편한 밤되세요
@user-xq2tg2fk5s 15
2021년 10월 06일 20:43인구문제에 따른 경제성장률 둔화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집 근처 건물을 자주 들여다보는데 대부분 스터디카페, 미용실, 편의점 , 학원 등등 있는데 10년안에 인구가 극격한 감소를 한다면 자영업자들 죄다 망할거라 생각하는데 선생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lightcone7854 15
2021년 10월 06일 22:43홍박사께서는 이코노미스트를 너머, 이 사회의 '스승'의 위치에 다다른듯...응원합니다!
@user-xo5sg8bj8k 13
2021년 10월 06일 20:11항상 어려운 걸 쉽게 얘기해 주셔서 이해가 잘 됩니다. 감사합니다.
호효하하 13
2021년 10월 06일 20:46우리나라좋은나라 자부심을가져야지
@user-pq8hr5km9j 10
2021년 10월 06일 22:03박사님은
긍정적박사님
해피한박사님
상대편도
웃게하신박사님
그리고
남에게
지식을
주시는 훌륭한박사님^^
양준영TV 9
2021년 10월 06일 19:43일을 더 하고 싶은데 강제로 52시간 걸어서 일을 못하게 만든 부분은 참 아쉽네요. 물려받은 재산이 없는 경우 스스로 일어서려면 일을 더 많이 해야하는데 근로시간을 제한해버리니 빈곤을 탈출해 위로 올라가기가 더 힘들어졌습니다.
@user-rr2kh3pm8c 8
2021년 10월 06일 19:31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는 영상입니다
Bryce 8
2021년 10월 06일 20:29결론은 저성장은 전세계적인 트렌드이고
한국은 그나마 잘하고 있다
마토사쿠라 8
2021년 10월 06일 20:13이번에 삼성노조가 연봉을 6000 올려달라고 요구조건을 내세웠더군요..... 한국 노조에 상식을 바란다는건 사치인가 싶습니다.
제 동생 둘이 경기도 행정공무원인데, 공장 하나 들어올려고하면 ( 그 작은 도시에서 ) 수십개 시민단체가 뜯어먹으려고 달려든다고 합니다. 기업을 돕거나 보호해주지 못하는 나라.....
Mania Bucks 8
2021년 10월 06일 19:57홍박사님을 보면서 뇌섹남이 이런거구나! 생각이 듭니다~
@user-ml9kg2fq3z 7
2021년 10월 09일 12:33교수님 감사합니다! 영상볼 때마다 좋은대학에 가지않았는데도 좋은 강의를 듣는 기분이에요
@user-sz4fd1nr5c 7
2021년 10월 06일 20:07감사합니다.
명쾌하고 시원합니다~~~^^
냐옹이 6
2021년 10월 06일 20:07지난 10년간 평균 성장율이 미국보다 좋은데
왜 우리 증시는 맨날 박스권이고
미국 증시는 우상향을 그리고 있는 건가요?
이기영 6
2021년 10월 08일 19:03전 박사님 홍춘욱이 진짜 승리자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희망을 넣어 떨치고 떨어먹는 한국장에서의 진짜 승리자라고 생각함
@cagacity 5
2021년 10월 08일 12:19그 동안 관성적으로 보아왔던 자료보다
처음 보지만, 좋은 자료가 인상적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뼁긘찅 5
2021년 10월 08일 11:40언론들이 사람들이 보고싶어 하는 것을 꾸며내서 보여주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NESofKing 4
2021년 10월 10일 03:14잘 보았습니다. 다른 경제인은 무조건 기업입장에서만 서서 쓸데없이 재난지원금을 왜주냐 하면서 (정부의 기본 가치와 개념도 모르고) 떠든다면, 홍춘욱씨는 종합적으로 보셔서 유일하게 믿고 봅니다.
@seanpark9970 4
2021년 10월 06일 20:54홍박사님, 요즘은 결혼 자체를 안헤서 구조적인 저출산 추세가 심화되고 있는데요. 인구 구조에서 오는 위기는 어떤 대책이 있을까요? 남북 경협이나 통일같은 방법도 있겠지만 한국내에서 위기 극복이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샌프란 3
2021년 10월 06일 19:56단순 상대적 비교보다는 각국의 GDP 규모 및 GDP 성장률을 염두에 둔 노동생산성 성장률 비교가 있어야 할듯합니다
아울러 노동생산성성장률 뿐만 아니라 노동생산성 비교 수치도 제시해 주셔야 설득력이 있겠네요
BK927 3
2021년 10월 06일 20:4220대로서 너가 망한 게 아니고 나라가 망해서 망한 거야...라는 말을 듣고 싶었지만.
현실은 역시 나만 망했나 싶네요.
김부강 3
2021년 10월 06일 20:40설명을 들어도 이것이 지속 가능할지 마지막 불꽃이 아닌가 하는 불안함은 없어지지 않네요
근본적으로 노동 개혁을 하지 않으면 바뀌지 않을거라 보는데 정치권에서는 20년 길게는 30년간 눈가리고 아웅하고 있는거 보면 도대체 언제까지 저럴건지 의문입니다
인구 재생산이 안되는 나라에서 무슨 희망이 있을까요
@user-ul7xd5ni5d 3
2021년 10월 08일 05:26합리적이고 설득력이 있는 분석 감사드려요
@danielhong153 3
2021년 10월 08일 22:22항상 명쾌하고 쉽게 설명해 주셔서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tn2gi1kk9p 3
2021년 10월 06일 19:42박사님 사용하신 데이터 출처를 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los9e 3
2021년 10월 07일 20:18삶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요, 멀리서 보면 희극이다. - 찰리 채플린
해태 3
2021년 10월 06일 22:14안녕하세요 박사님 항상 영상 잘 보고 았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 남겨요. 최근 증시가 조정장이고, 디플레가 올 것 같다는 식의 예측도 많은데요, 이런 상황에서 계속 투자를 해도 괜찮은가요? 매 달 150씩 꾸준히 장투하려고 하는데, 잠시 증시를 지켜봐야할지, 리츠 주식 채권을 박사님이 말씀해주신 포트폴리오 대로 투자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book9145 2
2021년 10월 07일 12:28영상 감사합니다. 보약 같은 방송입니다!! 박사님 즐겁고 행복한 하루되세요 :)
@jhkeum0124 2
2021년 10월 07일 13:04박사님 질문이 있습니다! 생산성 관련 통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차이가 반영된 것일까요? 아무래도 대중이 체감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면 그 부분이지 않을까 짐작되어서요.
@user-ht2kq6hg8q 2
2021년 10월 10일 00:46간결하고 쉬운데 그런데도 수준높은 강의가 멋집니다. 짱입니다. 멋집니다. 고맙습니다.
@user-yr2jm5lt5c 2
2021년 10월 07일 18:33박사님 마법의 연금굴리기 따라서 투자하고 있는데 혹시 달라진 투자 포인트가 있을까요? 영상 한번만 올려주세요
@user-kt7sm1sv3k 2
2021년 10월 06일 21:26속이 다 시원...
심태일 2
2021년 10월 07일 09:04오늘도 박사님의 명쾌한 설명 잘 들었습니다.
다양한 통계 근거가 좋습니다.
아울러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사실 전부터 갖고 있던 의문이지만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01. 한국경제의 혁신에 있어 대기업도 있겠지만, 요즘은 스타트업 기업이 뜨겁다고 느껴집니다.
그런데 제가 스타트업의 혁신이 정보통신 분야 그중에서도 데이터, 플랫폼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스타트업의 쏠림이 제조업에 비해 만족스러운 일자리 창출, 시장확보 및 수출이
제한되어 결국에는 성장의 한계에 일찍
직면 하는게 아닌가 우려됩니다.
*배달앱은 배달 관련 일자리를 만들지만
소득/노동강도 비교시 만족스럽지 못하고
부동산 관련 앱들은 수출되려면 그 나라의
데이터 구축, 언어를 해야 하죠
이런 쏠림 괜찮을까요?
문제가 있어서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 활성화도 필요하다면 그 방법은 뭘까요?
* 제 스스로의 답으로 제조업 스타트업 육성 방안으로 '제조업 기술을 개발해서 대기업에 팔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를 생각했지만 뭔가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02. 우리나라가 수출은 잘한다고 하더라도 내수는 점점 망가지는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 현대차 같은 대기업의 좋은 실적이 발표되면 오히려 상대적 박탈감이 거론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원인 중 하나로 과거에 비해 이른바 '낙수효과'가 감소했다는 의견이 있고, 저 역시 일정 부분 동의 합니다.
* 대기업의 단가 후려치기, 대기업/중소기업 임금차 등은 종종 이슈가 되는 사안이니까요.
수출이 잘 되는 만큼 내수도 잘 돌아가도록, 낙수 효과를 되돌릴 방법은 없을까요?
금리를 낮추고 대출을 잘 해주는 방법 외에
내수가 잘 돌아가게 하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 대기업의 양보, 희생이 필요하다는 정치적
의견이 아니고 뭔가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개선 방안은 없을까?
현재의 구조는 바꿀 수 없으니 인정하고
그 안에서 방법을 찾아야 하는 걸까?
라는 순수하게 경제학적 해법에 대한
질문 입니다.
세살짜리 늦둥이가 살아갈 우리나라는 지금보다 좀 더 나았으면 하는 생각에 두서없이 질문 드렸습니다.
그래도 박사님의 명쾌하면서 또한 현실을 직시할 수 있는 답변을 기대해 봅니다 ^^;;... 감사합니다.
blade fist 1
2021년 10월 06일 19:41👏👏👏
@user-rv1dd9ml3r 1
2021년 10월 06일 19:40홍박사님 안녕하세요.
Quest hill 1
2021년 10월 06일 19:28호우
추세매매 1
2021년 10월 06일 19:39👍👍👍👍👍👍👍👍
GG 1
2021년 10월 10일 10:04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미국은 DM이고 인구 대국의 무거운 나라이고 한국은 EM인데 한국 성장률이 당연히 더 높아야하지 않나요? 동영상 처음에 한국이 잘 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왜 벤치마크로 한국과 너무 다른 미국을 택하셨는지 궁금합니다.
@user-ky9kv5tr4p 1
2021년 10월 06일 20:39냉철한 분석 감사합니다!
seein 1
2021년 10월 14일 00:20존경합니다.
@user-wp6pk2hc6e 1
2021년 10월 07일 09:15세계를 보는 눈을 뜨게해주시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Ordovices 1
2021년 10월 06일 20:31저성장의 늪에 빠졌는데도 집값은 계속 오르죠? 어디 지켜 봅시다.
@icewind9790 1
2021년 10월 07일 07:15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공부가 됩니다.
데이빗_박지열 1
2021년 10월 07일 12:33생각보다 흥미로운 데이터네요. 우리나라의 위치를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
저런 지표들 찾아서 얘기하는것도 나름 재미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Olivia-zy3db 1
2021년 10월 07일 09:51제대로된 정보로 귀한말씀주셔서 감사합니다
@seoul_samchon
2021년 10월 07일 09:38안녕하세요. 세계경제 속에서 한국경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좋은 인사이트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qy5508
2021년 10월 07일 07:27ㅎㅎ 좋은 말씀을 들을수 있어서 정말 좋네요
@user-ip2qx1bf8n
2021년 10월 10일 15:50정말 잘 들었습니다ᆢ
김용효
2021년 10월 14일 20:03지금까지 한국의 성장성에 의구심을 품어와서
외국주식 30%,+한국채 70% ETF에 투자했는데
이번 방송이 머리를 때리네요.
홍춘욱님이 왜 코스피200 30%+미국채 70% ETF를 추천하셨는지 알 것 같습니다.
@TV-ds3ce
2021년 10월 07일 12:19영상 잘 시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jgson4247
2021년 10월 07일 16:01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리안ᆞ
2021년 10월 10일 20:40희망적인 메세지
감사드립니다
그랑제콜
2021년 10월 07일 01:42한국 사람들은 빨리빨리 문화가 나라 국운을 바꾼 핵심입니다. 다른 나라들은 이걸 못 따라해요. 물론 부작용도 있지만
김정한
2021년 10월 06일 23:57우리나라 덩치가 너무 커져서 강대국이 함부러 몰아치지 못하죠.
그러니까 미국이 통화스와프도 한건 아닌가 싶네요.
잘 들었습니다.
김부자
2021년 10월 06일 23:22등대이십니다~~
한영옥
2021년 10월 07일 00:45남편같아요~~~~
감사합니다
ETHAN K
2021년 10월 07일 03:52감사합니다.
@user-de2oy5mu7q
2021년 10월 06일 21:00감사합니다.
@hyunjin1755
2021년 10월 07일 01:33감사합니다 ㅎ
@user-ru1wd6zy8c
2021년 10월 06일 22:50감사합니다 나름 희망을 주셨네요
Youngshin Moon
2021년 10월 07일 05:25부동산개발관련 엘씨티와 같은 부패를 없에야 하겠습니다. 젊은이들은 엄청 근로시간 많습니다. 그러나 구조적인 부패에 자포자기 합니다. 경제를 앞서가는 정치와 법률은 없다고 합니다. 뒷북이죠,,,,,,
정종국
2021년 10월 07일 02:56이거저거 다 떠나서, 여기 댓글수준만봐도: 안심이다, 감사하다, 당연하다, 그랬었나 등
본인/주변/tv등에서 보여지는 모습기준으로 봤을때 아닌데 어떻게 믿나
취업때는 공무원선호, 사회생활때는 부동산/주식. 스스로 부가가치 만드는사람이 몇이나 있다고
미국처럼 대학교수가 앞장서서 창업하는 ... 여기처럼 안전한 후방에서 철밥그릇싸움질이나 하는 것들이
눈꽃Snowflake
2021년 10월 06일 21:35고리타분하고 안정성만 꼭 쥐고 있으려는 게 한국 기득권들인데(제 부모 포함), 성장이 일어나겠어요?
혁신적인 것에 위험부담을 갖고 투자를 해야 성장이 일어나지, 다 성장한 것에서 무슨 성장이 일어나겠습니까.
그러니 저성장이지요.
제 오빠가 중고거래온라인사이트 사업을 하다가 도박으로 빠진 거든, 애초에 도박하려고 가족들에게 그렇게 사업한다고 속여서 돈을 빼온 거든,
제가 구옥 허물고 신축 빌라 짓자고 해도, 건설사나 노동자들이 재료 빼먹는다고, 돈 띠인다고, 서울에 이사짐센터 다 망해서 이 동네사람들이 이사를 못가는 거라는 등, 온갖 핑계를 대며 투자을 안한 아빠든간에
자본을 쥐고 있는 기득권의 머리가 자기 뱃속만 채우고 자기만 만족하면 된단 생각들 때문에 안되는 거임.
헬조선 탈출을 못하는 게 한이네요.
꿀벌
2021년 10월 14일 13:45우리나라가 헬조선이라 하기도 했는데... 그래프를 보니까 우리나라가 잘 하고 있는 거군요.
우리나라는 정치인과 검사 언론인만 바뀌어서 좀 더 깨끗하고 투명한 사회가 된다면 굉장히 훌륭한 나라가 될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국민들이 박사님의 강의를 많이 듣고 좀더 경제나 정치에 관심을 갖고 핵심을 정확히 파악하는 국민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투표도 진짜 나라를 부흥시키고 발전시킬 지도자를 뽑을 테니까요.
@user-if6hy6tf4t
2021년 10월 11일 10:33👍👍👍 감사합니다
케이핸즈
2021년 10월 07일 08:13옳소!
@user-ki7oh5vw4e
2021년 11월 11일 12:21너무 쉽게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 합니다
@user-cz7rr5tw1f
2021년 10월 11일 11:07박사님 체널 찾아서 왔습니다
혼란한 대한민국 앞날을 걱정이되어서 여기저기 찾았습니다 다양한 분석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nu4nw9bf1e
2021년 10월 11일 13:46홍박사님 신간도서 막 사서 카페왔어요
읽을 생각에 넘 신나고 기대되네요~ 언제 책표지에 꼭 사인해주세요^^ 공부하며 실천하다봄 부자근처에는 가있을거라 믿어봅니다!
와~~구독자 20만명 축하드립니다!!!!!
efgh abcd
2021년 10월 10일 17:35홍춘욱 선생님, 여기에 15-64세 노동참여인구가 끼치는 영향은 없었을까요? 한국은 지금 15-64세 경제활동인구가 역사상 정점이고 이제 내리막길만 남았는데, 과거 10년 지표에 그게 반영 되었는지, 향후에 얼마나 그것을 고려해서 경제성장률을 전망해야할지 궁금합니다.
@user-vq3vs9iy2h
2021년 10월 07일 23:56잘경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entopia4931
2021년 10월 07일 09:54감사합니다^^.
@byounghyunkmoon7086
2021년 10월 10일 07:09유익하게 시청했습니다. ㅎㅎ
@user-vd5ye6yb8r
2021년 10월 21일 16:26오늘도잘보고갑니다
@user-wh6pt2ch1p
2021년 10월 09일 23:11감사합니다 🙏 건강조심하시구요 으하하하 ^^
@user-eq1fz9uk4m
2021년 10월 07일 11:37구독하기 눌렀어요 감사합니다
@user-br7so5di1q
2021년 10월 07일 12:27딱딱하기 쉬운 내용을 부드럽게
유머러스하게 설명해주시니
참 감사하구요~** 거기다
보통사람은 알수도, 내다보거나 A와B를
비교하는 지식이 없는데 놀라울정도로
명확하게 비교해 주십니다. 하여 좌로나
우로 치우치는 우매함에서 자유로울수있는
귀한 분별력을 담습니다.
원더풀~~^^
@user-mn9kv1uv3y
2021년 11월 11일 15:51역시 전문가는 다르네요. 교수님 덕분에 우리나라가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깨닫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