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아무래도 달러 스위칭의 경우엔 타이밍을 맞춰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고, 반등이 아닌 호황기에 큰 이익을 못 본다는 단점도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달러를 저가에 매수하겠지만) 리밸런싱 투자를 통해서 절충안을 잘 마련할 수 있어 보입니다. 깔끔한 설명 너무 재밌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뒤늦게 느낀거지만 지금 젊은 나이(20~30대)가 내가 인생에서 가장 최대한 리스크를 짊어질수 있는 시기더라구요.. 이때 공격적으로 하지않으면 더 나이들어서도 못하게 됩니다 저는 자산의 5%만 현찰로 남겨두고 다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식시장이 망하더라도 저는 회사를 다니기때문에 캐쉬플로우가 있고 제가 짊어질 리스크는 없기때문입니다 모두 다 박사님 때문입니다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교수님 덕에 경제에 빠져들어서 조금씩 공부하고있는 30세 주린이입니다. 영상을 쭉보다가 감이 안잡히는게 있어 여쭤봅니다 교수님 다른영상중에 '연준이 테이퍼링할때 굳이 미국채를 사야되나?'를 보면 미국채 10년보다 중기채인 IEF를 추천해주셨는데 이영상에선 국내 ETF인 tiger 미국채10년선물을 선정하셨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주식이나 채권의 중목을 선정할때 환전을해서 미국etf( SPY, IEF)를 사야할지 간편하게 한국etf( 타이거 미국채10년, kodex s&P500) 중 뭘 사야될지 아직 초보라 알아보는 중이지만 고민이 되는데 종목별 가격 차이도 크니 개인 자산크기에 따라 고르면 될까요? 뭘사야될지 결정을 못하겠네요...
1. 연금계좌에서는 국내주식에 투자하면 후에라도 세금이 발생하고, 일반계좌에서는 비과세입니다. 그렇다면, 연금계좌보다 일반계좌가 더 나은게 아닐까요? 2. 금은 롤오버 비용 등으로 krx에서 매수하는게 좋을것 같은데, 금 etf추천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3. 개별종목 투자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작년 코로나와 같이 대폭락 왔을때만 개별종목 매수가 좋은가요? 개별종목 투자한다면 어떤 기준으로 리밸런싱 하면 좋을까요?
개별주를 하면서 돈을 벌긴 했지만 하다 보니 저의 한계가 보이더라구요. (워낙 장이 좋아서) 어떤 개별주는 계속 물타다가 손실을 버티지 못해 팔면 어느새 제 평단가에 가있는 경험을 자주했습니다. 남들이 말하는 고점매수 저점매도를 제가 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자산배분으로 포트를 새로 짜니 맘이 편합니다. 아직 은퇴가 32년정도 남았으니 꾸준히 실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에 알려주신대로 자산분배 한번 해보고 있습니다. 자본이 아예 없어서 적금붓는 마음으로 이것저것 나눠서 들고 있습니다. 시드머니 모아놓은걸 이번에 전세금에 보태는 바람에 아예 시드가 없어서요 2년동안 일부는 전세금에 보탸고 나머지는 자산분배를 비율은 고정해 놓고 비율조정하면서 투자를 해볼려고 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초보적인 질문 한가지만 하겠습니다. 보여주신 포트폴리오의 차트를 보면 주식형종목들이 오를때 채권형은 계속 하락하던데 리밸런싱이 아닌 달러환율 투자처럼 흐름에 따른 투자보다 나은 이점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최근처럼 국내주식이 떨어졌을때 채권형을 매입하고 채권형 금액이 오른다면 이익실현 후 국내주식을 매입하는게 더 수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 같은데. 보통 반대로 가는 종목을 함께 투자하여 리밸런싱을 해가며 자산을 늘리는게 둘다 하락하는 경우에 최대한 방어를 하기 위함일까요?
박사님 강의를 여러개 들어보다가 궁금해서 여쭈어 보는데요. 왜 이런 정보들을 아낌없이 나누어주시는듯 하는 이유가 궁금 합니다. 더이상 올라갈 곳이 없어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높은곳에서 아랫사람 내려다보며 흐뭇해하는 심리 인가요. 아니면 또다른 이익창출의 기초 통로로 쓰려는 건가요? 박사님 재력 정도면 유튜브 광고수입 같은건 푼돈에 불과할거같아 그런것은 아닐거 같고. 제가 보기에는 또다른 수익창출의 큰 뜻이 있어 길을 다듬어놓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강의를 들어보면 재능기부 같은걸 하실 분은 아니라 생각이 들고. 아무튼 이득없는 곳에 바쁜분이 이렇게 개인적인 시간을 투자 할 분이 아닌거같아서 여쭈어 봅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사님 질문있습니다 올해 30살이며 해외에서 외국소재기업에 취업중입니다. 그러므로 국민연금 가입조차 안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이번에 한국으로 잠시 들어갈 기회가 생겨서 노후를 위해 국민연금가입을 할까 고민중에 얼마전 연금펀드에 투자하라 라는 영상을 보고 문의드립니다 이런 경우엔 국민연금을 가입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박사님 말씀처럼 연금펀드를 하는게 나을지 고민입니다
@chunukhong 26
2021년 10월 15일 18:53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구독자분의 자산배분 투자 포트폴리오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오늘도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8년차 이코노미스트 홍춘욱 박사의 유일한 경제&투자 스터디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울랄라-y3i 7
2021년 10월 16일 21:12거북이투자의 정석이네... 시드 많은 사람들, 수익보다 지키는게 더 중요한 사람들에게 추천
@hellen2921 6
2021년 10월 16일 12:19항상 평범한 일반인이 시도할 수 있는 제안을 주셔서 너무 좋아요^^
예전엔 금융감각이 있는 사람만 벌 수 있는 구조는 아닐까? 어떻게 뛰어드나 걱정스러웠는데…
@김태용-d5o 6
2021년 10월 16일 14:22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아무래도 달러 스위칭의 경우엔 타이밍을 맞춰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고, 반등이 아닌 호황기에 큰 이익을 못 본다는 단점도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달러를 저가에 매수하겠지만)
리밸런싱 투자를 통해서 절충안을 잘 마련할 수 있어 보입니다. 깔끔한 설명 너무 재밌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unggukLim 5
2021년 10월 17일 14:16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뒤늦게 느낀거지만 지금 젊은 나이(20~30대)가 내가 인생에서 가장 최대한 리스크를 짊어질수 있는 시기더라구요.. 이때 공격적으로 하지않으면 더 나이들어서도 못하게 됩니다
저는 자산의 5%만 현찰로 남겨두고 다 투자하고 있습니다.. 주식시장이 망하더라도 저는 회사를 다니기때문에 캐쉬플로우가 있고 제가 짊어질 리스크는 없기때문입니다
모두 다 박사님 때문입니다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free_right 4
2021년 10월 16일 11:40리밸런싱의 자산배분 투자 전략을 아주 깔끔한 예로 잘 설명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jinking417 4
2021년 10월 16일 11:19선추천
몽고메리 3
2021년 10월 16일 11:24단연 비트코인입니다
@박종현-m4l7y 3
2021년 11월 11일 22:57교수님 덕에 경제에 빠져들어서 조금씩 공부하고있는 30세 주린이입니다. 영상을 쭉보다가 감이 안잡히는게 있어 여쭤봅니다
교수님 다른영상중에 '연준이 테이퍼링할때 굳이 미국채를 사야되나?'를 보면 미국채 10년보다 중기채인 IEF를 추천해주셨는데 이영상에선 국내 ETF인 tiger 미국채10년선물을 선정하셨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주식이나 채권의 중목을 선정할때 환전을해서 미국etf( SPY, IEF)를 사야할지 간편하게 한국etf( 타이거 미국채10년, kodex s&P500) 중 뭘 사야될지 아직 초보라 알아보는 중이지만 고민이 되는데 종목별 가격 차이도 크니 개인 자산크기에 따라 고르면 될까요? 뭘사야될지 결정을 못하겠네요...
@현-o1d9d 3
2021년 10월 16일 11:21박사님 주말에도 감사합니다 ^^ 잘 보겠습니다
@편자남편의점에서자기 3
2021년 10월 21일 16:45항상 귀에 쏙쏙 들어오는 투자배분전략에 대한 영상 감사합니다.
@아르떼-m2r 2
2021년 10월 17일 08:47좋은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달러 스위칭과 자산배분 투자에 대해서 깔끔하게 정리된 부분도 너무 좋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무요-p9y 2
2021년 10월 24일 21:19매번 좋은 영상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시청하겠읍니다^^
@윤민-i6x 2
2021년 10월 16일 23:02홍박사님이 말씀하신 방법으로 리밸런싱 투자를 하고 있는데 리밸런싱 시기를 잘 모르겠습니다. 한달에 한번이 적당한지 아니면 격차가 벌어지면 하는게 나은지 궁금합니다.
@user-fj3sc6vq4g 2
2021년 10월 16일 12:391. 연금계좌에서는 국내주식에 투자하면 후에라도 세금이 발생하고, 일반계좌에서는 비과세입니다. 그렇다면, 연금계좌보다 일반계좌가 더 나은게 아닐까요?
2. 금은 롤오버 비용 등으로 krx에서 매수하는게 좋을것 같은데, 금 etf추천 하시는 이유가 있나요?
3. 개별종목 투자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작년 코로나와 같이 대폭락 왔을때만 개별종목 매수가 좋은가요?
개별종목 투자한다면 어떤 기준으로 리밸런싱 하면 좋을까요?
@jlee1558 2
2021년 10월 16일 11:31감사히 보았습니다 :) 편안한 주말 되세요.
@홍성현-y5b 2
2021년 10월 17일 15:04예시를 보니 확 와닿고 바로 해야겠다 싶어요
@일무슨 1
2021년 10월 16일 11:48개별주를 하면서 돈을 벌긴 했지만 하다 보니 저의 한계가 보이더라구요. (워낙 장이 좋아서)
어떤 개별주는 계속 물타다가 손실을 버티지 못해 팔면 어느새 제 평단가에 가있는 경험을 자주했습니다.
남들이 말하는 고점매수 저점매도를 제가 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자산배분으로 포트를 새로 짜니 맘이 편합니다.
아직 은퇴가 32년정도 남았으니 꾸준히 실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쑤콩-x5b 1
2021년 10월 16일 15:02매번 올려주시는 영상 잘챙겨보고 있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박사님!!
@SlowRandy2022 1
2021년 10월 16일 11:48최적의 리밸런싱 비율을 찾는게 중요하겠네요
@investorc9764 1
2021년 10월 18일 21:53박사님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이번 신간도 주문 완료입니다^^
기대중입니다 ㅎㅎ
@지오-g6i 1
2021년 10월 16일 12:49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jake9082-n4y 1
2021년 10월 16일 11:53달러 스위칭 관련 질문있어요 박사님. 가까운 미래에 한국이 msci 선진국에 편입되면, 달러 환율이 아무래도 떨어지겠죠?
@세이프티-m9h 1
2021년 10월 16일 16:48이야~ 아주 심플하고 효율적인 투자!!
@ahj6137 1
2021년 11월 15일 20:29자산배분 투자가 좋은 것 같아요. 마음편한 투자 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gongssam 1
2021년 10월 22일 14:42주린이 입니다. 좋은 영상 제작 감사합니다~~~
@moamoa-l8n 1
2021년 10월 19일 20:46꿀정보. 질문자 똑똑
@hyoungsupkim3331 1
2021년 10월 22일 21:57박사님,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채권 포트폴리오 관련 질문을 남겨봅니다.
금리 상승기에 미국장기채를 가지고 있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달러현금/RP로 가져가거나 TIPS ETF를 활용하는 것은 어떨런지요?
@KongiMom 1
2021년 10월 16일 12:44감사합니다 🙏
@긍정의힘-x3c 1
2021년 10월 17일 12:47👍
@junbeombaek5193 1
2021년 10월 17일 10:15홍춘욱박사님 연금저축펀드 포트폴리오 나머지 10%는 어떻게 배분하셨는지 나오지 않았습니다.
주식50, 채권20, 금20 그리고 10은 어디에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i_go_aya_ 1
2021년 10월 16일 21:21완전 유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아모아슈 1
2021년 10월 25일 22:07지금이라도. 제테크 해봐야겠 습니다
박사님 똑똑하시기에 제가 좋아합니다. 최고십니다
@CRUSADER_KOKOMONG 1
2021년 10월 16일 11:59지난번에 알려주신대로 자산분배 한번 해보고 있습니다. 자본이 아예 없어서 적금붓는 마음으로 이것저것 나눠서 들고 있습니다. 시드머니 모아놓은걸 이번에 전세금에 보태는 바람에 아예 시드가 없어서요 2년동안 일부는 전세금에 보탸고 나머지는 자산분배를 비율은 고정해 놓고 비율조정하면서 투자를 해볼려고 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모아모아슈 1
2021년 10월 25일 22:05역쉬 최고십니다
@돈크레이지 1
2021년 10월 16일 21:54예전에 AIM 에 투자한 적이 있었는데, 리치고는 포트폴리오 배분 방식이 심플해서 소액으로 따라해서 투자해보려구 해요!
QQQ 1
2021년 10월 16일 14:18etf덕분에 투자가 너무 편해진거같아요
이유민
2021년 10월 16일 11:49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방송 감사드립니다. 박사님은 금이나 은투자는 말씀을 많이 안해주시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김-o2u
2021년 10월 17일 07:23교수님 공격적인 리벌랜싱전략보다 예전의 환율헤지방식이 나은 것 같은데요^^
역사적으로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면 금융위기가 왔는데요
2019년은 연준이 금리를 인하했는데도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죠. 당시 나스닥은 신고가를 계속 경신 중이었구요. 결과만 보면 그 때 코로나가 발생되어 경제위기가 올것을 안 세력들이 장기국채를 선매수 했는지 미스테리한 일이었습니다
지금은 테이퍼링은 예고되고 스태그플레이션이 아니라 리플레이션이다 뭐다하며 주가는 반등하고 있는데 2년물 국채금리는 계속 오르고 있고 장단기 금리차는 좁혀지고 있는데요
그런데 과연 이번 테이퍼링이 시작 이후에도 장기국채금리가 상승하고 다시 장단기 금리차가 정상적으로 벌어지게 될까요??
@다다음주
2021년 10월 16일 13:45오늘도 감사드립니다.
포트폴리오에서 한국 채권을 섞는 이유는 한국주식만 가져가는거보다 안정성을 높이기위함일까요? 예전 영상에서는 한국주식과 한국채권의 상관관계가 작다고 하셔서 여쭤봅니다..!
@TV-vc7me
2021년 10월 18일 01:46주식이 오르면 채권이 떨어지고 주식이 떨어지면 채권이 오르나요??? 코로나때 둘다 박살나지 않았는지요??
herşeyden bir parça
2022년 3월 05일 01:3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yirangkim4894
2021년 10월 30일 17:08안녕하세요 박사님
질문이 있어 댓글 달아요 :)
영상 중, 리치고에서 구성하신 포트폴리오 보면 5000만원으로 구성했다고 하셨는데 주식2500, 채권1000, 금1000으로 4500만원이어서요~ 나머지 500은 현금으로 보유일까요 ^^?
@미주신
2021년 10월 18일 05:41집중투자vs분산투자 어느게 나을까요?? 그리고 몇종목씩하는게맞을지 고민이네요ㅜㅜ
Nil Aydın Show🤞🌸
2022년 3월 05일 01:3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eks012djde
2021년 10월 25일 07:17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초보적인 질문 한가지만 하겠습니다. 보여주신 포트폴리오의 차트를 보면 주식형종목들이 오를때 채권형은 계속 하락하던데 리밸런싱이 아닌 달러환율 투자처럼 흐름에 따른 투자보다 나은 이점이 있을까요? 예를 들어 최근처럼 국내주식이 떨어졌을때 채권형을 매입하고 채권형 금액이 오른다면 이익실현 후 국내주식을 매입하는게 더 수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 같은데. 보통 반대로 가는 종목을 함께 투자하여 리밸런싱을 해가며 자산을 늘리는게 둘다 하락하는 경우에 최대한 방어를 하기 위함일까요?
Maddspslldk Sksmdn
2022년 3월 05일 01:3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기린맨
2021년 10월 25일 23:26달러투자나 국내/해외 주식 리밸런싱을 할 때 환전 한도에 대한 부분이 걸림돌이 되지는 않나요? 자산배분과 리밸런싱에 대해 알아보다 일일 환전 한도가 있다는걸 알고나서 리밸런싱을 할 때 환전한도가 발목을 잡는 일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BadWalker
2021년 10월 16일 17:08저번에 성장형이 미국채가 20%였던것같은데 10프로로 줄었네요. 그냥 예시를 드신건가요?
@TV-vc7me
2021년 10월 18일 01:44안녕하세요 박사님. 제가 지금 자산중 50퍼는 주식에 20퍼는 국채에 30퍼는 달러rp에 나누어서 투자를 하고 있는데요. 좀더 수익률을 높이고 싶은데 비율을 어떻게 바꾸면 좋을까요??
@user-mt4hz5mj7d
2021년 10월 16일 11:46감사합니다
@스타머니-s7o
2021년 10월 21일 10:14리밸런싱은 일반인에게 어렵게만 느껴지네요~
하느
2021년 10월 18일 17:17박사님 강의를 여러개 들어보다가 궁금해서 여쭈어 보는데요.
왜 이런 정보들을 아낌없이 나누어주시는듯 하는 이유가 궁금 합니다.
더이상 올라갈 곳이 없어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높은곳에서 아랫사람 내려다보며 흐뭇해하는 심리 인가요.
아니면 또다른 이익창출의 기초 통로로 쓰려는 건가요?
박사님 재력 정도면 유튜브 광고수입 같은건 푼돈에 불과할거같아 그런것은 아닐거 같고.
제가 보기에는 또다른 수익창출의 큰 뜻이 있어 길을 다듬어놓는 과정으로 보입니다.
강의를 들어보면 재능기부 같은걸 하실 분은 아니라 생각이 들고.
아무튼 이득없는 곳에 바쁜분이 이렇게 개인적인 시간을 투자 할 분이 아닌거같아서 여쭈어 봅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kdgus1004ccc
2021년 10월 17일 08:48박사님 질문있습니다
올해 30살이며 해외에서 외국소재기업에 취업중입니다. 그러므로 국민연금 가입조차 안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이번에 한국으로 잠시 들어갈 기회가 생겨서 노후를 위해 국민연금가입을 할까 고민중에 얼마전 연금펀드에 투자하라 라는 영상을 보고 문의드립니다
이런 경우엔 국민연금을 가입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박사님 말씀처럼 연금펀드를 하는게 나을지 고민입니다
@hyeminoh3878
2021년 11월 14일 08:56이게 머리로는 이해가 가는데 내 마음은 자꾸 올라가는 장에 돈을 더 넣고 싶더라구요 ㅠ ㅠ 떨어지는데 돈을 더 넣기가 어려워요 ㅠ ㅠ 하수오브하수 ㅠ ㅠ
@변성준-k6o
2021년 10월 20일 13:17항상잘보고있고감사드립니다
혹시사연은어떻게보낼수있는지요?
공원여행
2021년 10월 17일 15:19감사합니다
@김기환-d1l
2021년 10월 28일 20:36금은 꼭 환헷지를 해야하나요? 수수료와 세금 측면에서 krx 금이 유리해서, 이걸로 금 투자를 하고자 하는데, 이건 환노출이라서요. 제 짧은 생각에는 큰 상관이 없겠다 싶은데 박사님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Brawl Alperen
2022년 3월 05일 01:3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Ruok FF White
2022년 3월 05일 01:35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الكوافير مصطفى المدرس
2022년 3월 05일 01:3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