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부터 사업장 3개를 오픈하면서 여러번 흔들리고 감정에 패배하고 좋지않은 생각에 지배당할때마다 선생님 영상보면서 다시 생각하고 중심잡기를 여러번 했었습니다. 제 나이 서른셋 인생에 큰 가르침과 힘이되는영상 정말감사합니다. 선생님 영상하나로 제가 큰 변화와 더 큰 성장을할수있었습니다 제가 할수있는거라곤 댓글로 감사하다고 남기는거 뿐이네요 앞으로도 많은영상 부탁드립니다
2000년대 그나마 imf 지나고서 경제 호황일적에 누구나 열심히 하면 실패는 안했지만 이제 세상은 독기를 품으면서 노력까지 하는 사람만이 살아남는 시대인거 같습니다. 독기도 잘 이용하면 어떠한 원동력 보다 더 뛰어난 원동력이 될수가 있는데 대부분이 독기에 먹히니까 문제
솔직히 생각해보면 '나쁜 인간이 되지 않고도 성공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자체에 이미 답이 있는거같아요. 나쁜인간이 (빨리)성공하는건 맞는 말이긴해요. 다만 그 후에 언젠가 추락을 한다는건데 성공이라는 전제만 봤을경우엔 나쁜사람이 훨씬 성공하기 쉽다는.. 성공하고 나서 바뀌어도 안늦는다는거
책을 읽어봐야 알겠지만.. 공정함으로 통하지않는 비상식적인 일이 세상에 넘치고 넘칩니다. 경청. 좋죠 하지만 나쁜사람들의 말을 경청하게되면 당합니다. 애초에 상대가 어떤사람인지 파악하기 위한 경청이여야합니다. 제공. 좋고나쁜사람들에게 공정하게 제공한다? 그런 공정함이 불편한 사람들이 생기기마련입니다. 모두가 만족하고 일을 하는 이상향은 거의 없습니다. 방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방어라는 단어는 힘이 있는자에게만 주워지는것입니다. 계속 공격받다보면 언젠가 뚫리기 마련이죠. 그래서 방어만해서는 살아남는게 쉽지않습니다. 현실이 얼마나 가혹한지, 앞뒤가 맞지않아도 흘러가는게 세상입니다. 한번 사회에 나가 느껴보신분들은 아실겁니다. 나쁜사람들에겐 나쁘게 하세요. 그래야 후에 방어할지 공격할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라도 옵니다.
제경험으로봤을땐 순진한 동화속의 이야기 같습니다. 올바르게 성공하려면 남들보다 2.3배를 노력해야하는데. 편법을 사용하면 쉽게 이를 독차지하고 이미 사회사 불공정 사회로 진입하였기때문에 기존에 바르게 진입하신분들이나 걱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호구일뿐 모두 각자 개인사업 할거 아니면 집단이라는 것차제가 문제가 될 소지가있습미다. 무엇보다. 막장으로 가는 그런 사람을 통제할 아무 권한도없고 그들은 앞과 뒤의 모습이 다르기때문에 겉으로는 공정을 주장하는데 어디 사회에서 그런거 있나요?? 말과 행동은 다르고 이론과 실전은 다르듯이. 애초에 성공을 하려고 하기보다는 그냥 자신에게 떳떳한 삶을 사는게낫고. 직원들도 편한게 편한거다 이렇게되니까 바름보다는 개인의 안정과 이기심으로 공기업과 공무원조직자체가 거의 그런식이라고보면되고. 대기업고 하청에 하청두는 식이니깐 어떤 악덕한 기업들은 그런식으로 운영하는거고. 소비자도 마찬가지고. 결국 이렇게되다보면 사회 구조붕괴가오니까 선전용으로 공정이니 정의를 표어로 내새우는거지. 그런거 없습니다. 앞으로도요. 다만 개인적.차원에서는 있겠죠.. 표어에 속지맙시다. 어차피 인간이 많든 사회는 거진 사기라고 보시면되고. 아니라면 그냥 자기자신에게 떳떳하면되고. 아가리오 게임처럼 이플이 등장하면 솔플 학살되듯이. 애초에 정의.공정 이런거는 논하지도 맙시다. 만약 사회가 들켰다 그럼 정의 공정 내세우고. 깡패들도 처음 세력키우려고 정의 공정 내세우는데 그 누구말도 믿지말고 정의는 자신을 위해 하는거지 그걸 집단이나 국가. 차원에서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않습니다. 그리고 정의롭지않은 부분을 언급해도 땜질식으로 처리하는 거고. 당연히 그러니 정의니 공정이니는 없는거고 개인의 이익만 있는거고 누가 같은 값이면 최소한의 노력과 자본으로 최대의 이익을 얻는게 자본주의인데 당연히 정의랑 공정이없을수밖에....여기서는 그냥 정의 공정따지려면 청렴 결백하고 배는 굶주려야 할겁니다. 문제는 굶어 디지고 사회시스템이 개막장으로 가는데 뭔 정의 공정을 따집니까. 그냥 정의롭고 공정한 사람은 어딜가든 그렇게 사니까 이용당하지나 맙시다.
잘보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아요 클릭합니다.~ 인생은 길어야 20세부터 70세까지 50년정도인데.. 인생의 목적이 돈이고 그것이 성공이라고 자신이 판단했다면, 공정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짧은 10년간 착취와 억압으로 부를 축척하고 그렇게 모은 어느 정도의 부로 또 다른 착취를 하면 길지 않은 인생에 그 목적은 달성하기 때문이죠. 여러분이 다니고 있는 회사는 우리가 말하는 수백 수천억의 자본금을 가진 그렇게 성공한 회사는 아니지만 그 기업의 사장은 어떻게 살고 있나요? 부를 어느정도 누리며 살고 있나요?? 짧은 인생에 그게 답처럼 보이기만 합니다. 회사 다니기가 그 사람때문에 힘드세요?? 그럼 그 기업은 그 사장죽기 전까지는 충분히 먹고 살겁니다. 성공의 기준이 돈이라면요? 하지만.... 조회수와 좋아요를 보면 저는 한편으로 저의 마음을 대변하는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명언으로배우는삶-슬 22
2021년 10월 17일 19:55강조하신 내용은 공정이겠지만 무엇이든 자신만의 신념이 있어야한다고 들립니다. 그것을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이야말로 성공으로 가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오늘도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행복한 저녁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startsecond1944 21
2021년 10월 17일 19:36호구가 되지는 않으면서 기버가 되어야 한다는게 애덤 그랜트의 기브앤테이크와 같은 맥락이네요.
@minder5230 13
2021년 10월 17일 19:40대기업 임원에 오르는 사람은 좋은 사람이 많다고 들은 게 기억나네요. 인사담당자도 이기적으로 올라오는 사람을 걸러낸다고요.
@blue3747 9
2021년 10월 17일 19:37악한 사람에겐 결국 악한 사람이 꼬임
와사비케이크 8
2021년 10월 17일 20:05이거보고 우리 대표님 생각이 난다면 저 좋은회사 다니고 있는거죠? 기분이 좋네용
@Olive_SALTMiNE 7
2021년 10월 17일 20:08비밀유지서약 대신 ‘SaveTheSurprise’라는 캠페인을 진행한 것은 정말 멋진 생각이었던 것 같습니다!
@영도조-o6x 6
2021년 10월 18일 01:162019년도부터 사업장 3개를 오픈하면서 여러번 흔들리고 감정에 패배하고 좋지않은 생각에 지배당할때마다 선생님 영상보면서 다시 생각하고 중심잡기를 여러번 했었습니다.
제 나이 서른셋 인생에 큰 가르침과 힘이되는영상 정말감사합니다. 선생님 영상하나로 제가 큰 변화와 더 큰 성장을할수있었습니다
제가 할수있는거라곤 댓글로 감사하다고 남기는거 뿐이네요
앞으로도 많은영상 부탁드립니다
@andereaderha 5
2021년 10월 18일 09:532000년대 그나마 imf 지나고서 경제 호황일적에 누구나 열심히 하면 실패는 안했지만 이제 세상은 독기를 품으면서 노력까지 하는 사람만이 살아남는 시대인거 같습니다. 독기도 잘 이용하면 어떠한 원동력 보다 더 뛰어난 원동력이 될수가 있는데 대부분이 독기에 먹히니까 문제
@roupang 4
2021년 10월 17일 22:22세상은 여전히 좋은 곳이라는 희망을 주는 내용이네요. 잘 보았습니다!!
@남추헌태 3
2021년 10월 17일 19:36공감
999 Stanley 3
2021년 10월 17일 22:26한국에선 거의 없다.
@getthankyou8650 2
2021년 10월 17일 19:361.
@JuyongJeon 2
2021년 10월 18일 10:02솔직히 생각해보면 '나쁜 인간이 되지 않고도 성공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자체에 이미 답이 있는거같아요. 나쁜인간이 (빨리)성공하는건 맞는 말이긴해요. 다만 그 후에 언젠가 추락을 한다는건데 성공이라는 전제만 봤을경우엔 나쁜사람이 훨씬 성공하기 쉽다는.. 성공하고 나서 바뀌어도 안늦는다는거
@건강수다원 1
2021년 10월 17일 21:10뭔소린지. 쓸데 없네.책그림 좋아하고 완성도 높은컨텐츠인데 이건아닌게 첨봣네 내용도. 전부.왜 일까
@성이름-c9q8r 1
2021년 10월 18일 11:04책을 읽어봐야 알겠지만.. 공정함으로 통하지않는 비상식적인 일이 세상에 넘치고 넘칩니다.
경청. 좋죠 하지만 나쁜사람들의 말을 경청하게되면 당합니다. 애초에 상대가 어떤사람인지 파악하기 위한 경청이여야합니다.
제공. 좋고나쁜사람들에게 공정하게 제공한다? 그런 공정함이 불편한 사람들이 생기기마련입니다. 모두가 만족하고 일을 하는 이상향은 거의 없습니다.
방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만 방어라는 단어는 힘이 있는자에게만 주워지는것입니다.
계속 공격받다보면 언젠가 뚫리기 마련이죠. 그래서 방어만해서는 살아남는게 쉽지않습니다.
현실이 얼마나 가혹한지, 앞뒤가 맞지않아도 흘러가는게 세상입니다.
한번 사회에 나가 느껴보신분들은 아실겁니다.
나쁜사람들에겐 나쁘게 하세요. 그래야 후에 방어할지 공격할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라도 옵니다.
비타 1
2021년 10월 17일 22:19경청, 제공, 방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철학자 1
2021년 10월 18일 13:33제가 몇 주 전에 중국 역사 책을 구입해 읽었는데 거기서 인상 깊은 구절이 하나 있었습니다.
'도덕성을 지닌 권력만이 장수한다.'
장주환 1
2021년 10월 17일 21:28형 !!!! 음악이 약해. 좀더 악하고 지랄맞는걸로 갔어야 했어.
형은 아직도 경계선에 섰엌ㅋㅋ
@메타워치 1
2021년 10월 23일 15:19<오징어 게임>에서 꽤나 많은 분들이 악역인 조상우에 공감하고 변호하는 걸 봤습니다.
반대로 주인공인 성기훈에 대해선 짜증을 드러냈죠.
과열경쟁 사회를 사는 우리는 선함에 대해선 순진함과,
가혹함은 현실성과 동일시하게 되었습니다.
생존 혹은 성공에 있어서는 가혹해질 수도, 비열해질 수도 있는 게
현명함이라고 여기고 있죠. (마키아벨리즘)
이런 상황에서 공정을 말한다는 건 현실을 모른다, 꼰대다
같은 소리 듣기 딱 좋죠.
그런데 점차 사회가 기술의 발달로 정보가 대칭적으로 투명해지고
수직구조가 수평구조로 진화하면서 공정의 가치와 효율은 더 높아지고 있음
을 봐야 합니다. 쉽게 말해, 꼼수를 쓰거나 갑질하다가는 골로 간다 이 말이죠.
지독하고 가혹한 방식으로 성공하는 사람은 여전히 나올 것이며 그들은 더 창의적으로
악랄해지겠지만 어쨌거나 '리스크'를 부단히 쌓는 것일 수 밖에 없습니다.
당장은 희희낙락할 수 있는 여유가 있겠지만 결국 파국에 가까워지는 러시안 룰렛이죠.
공정이나 선함에 대해서 감정적인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분들은 역사와 개인적 경험으로
쌓아온 생각으로부터 잠시 벗어나서 과학적 태도로도 접근해보셨음 합니다.
장주환
2021년 10월 17일 21:29답을 못줘서 미안해!
@박문식-v3e
2021년 10월 17일 21:05노노
@대충이름-r5p
2021년 10월 19일 00:06요즘같은 시대에서 연예인들학폭 터지고 분륜 논란 터지는거 보면 진짜 이미지 메이킹이 어마무시합니다 그냥 착하고 뭐고 그런수준이 아니에요 솔직히 요즘 이상한 사람이 누구든간 거짓말로 논란 던지는걸봐선..... 단순히 이미지 메이킹 수준이 아니죠
@stilloveko651
2021년 11월 05일 09:57실패한 사람들은 성공한 사람을 두고 모두 공정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하지... 하지만 알고보면 본인이 가장 불공정한 사람 이라는 것,,
요가퐈이어
2021년 11월 07일 18:23제경험으로봤을땐
순진한 동화속의 이야기 같습니다. 올바르게 성공하려면 남들보다 2.3배를 노력해야하는데. 편법을 사용하면 쉽게 이를 독차지하고 이미 사회사 불공정 사회로 진입하였기때문에 기존에 바르게 진입하신분들이나 걱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호구일뿐 모두 각자 개인사업 할거 아니면 집단이라는 것차제가 문제가 될 소지가있습미다. 무엇보다. 막장으로 가는 그런 사람을 통제할 아무 권한도없고 그들은 앞과 뒤의 모습이 다르기때문에 겉으로는 공정을 주장하는데 어디 사회에서 그런거 있나요?? 말과 행동은 다르고 이론과 실전은 다르듯이. 애초에 성공을 하려고 하기보다는 그냥 자신에게 떳떳한 삶을 사는게낫고. 직원들도 편한게 편한거다 이렇게되니까 바름보다는 개인의 안정과 이기심으로 공기업과 공무원조직자체가 거의 그런식이라고보면되고. 대기업고 하청에 하청두는 식이니깐 어떤 악덕한 기업들은 그런식으로 운영하는거고. 소비자도 마찬가지고. 결국 이렇게되다보면 사회 구조붕괴가오니까 선전용으로 공정이니 정의를 표어로 내새우는거지. 그런거 없습니다. 앞으로도요. 다만 개인적.차원에서는 있겠죠.. 표어에 속지맙시다. 어차피 인간이 많든 사회는 거진 사기라고 보시면되고. 아니라면 그냥 자기자신에게 떳떳하면되고. 아가리오 게임처럼 이플이 등장하면 솔플 학살되듯이. 애초에 정의.공정 이런거는 논하지도 맙시다. 만약 사회가 들켰다 그럼 정의 공정 내세우고. 깡패들도 처음 세력키우려고 정의 공정 내세우는데 그 누구말도 믿지말고 정의는 자신을 위해 하는거지 그걸 집단이나 국가. 차원에서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않습니다. 그리고 정의롭지않은 부분을 언급해도 땜질식으로 처리하는 거고. 당연히 그러니 정의니 공정이니는 없는거고 개인의 이익만 있는거고 누가 같은 값이면 최소한의 노력과 자본으로 최대의 이익을 얻는게 자본주의인데 당연히 정의랑 공정이없을수밖에....여기서는 그냥 정의 공정따지려면 청렴 결백하고 배는 굶주려야 할겁니다. 문제는 굶어 디지고 사회시스템이 개막장으로 가는데 뭔 정의 공정을 따집니까. 그냥 정의롭고 공정한 사람은 어딜가든 그렇게 사니까 이용당하지나 맙시다.
@pinocchio2950
2021년 10월 17일 23:21흠..
@K.Y.S.
2022년 3월 11일 10:48런던 개막식은 락덕후인 저에게 너무 의미있는 개막식입니다.. 너무 좋았어요.. 역시 비틀즈, 퀸, 락의 나라
@JRISENBRAVS
2021년 11월 16일 22:24잘보았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아요 클릭합니다.~ 인생은 길어야 20세부터 70세까지 50년정도인데.. 인생의 목적이 돈이고 그것이 성공이라고 자신이 판단했다면, 공정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짧은 10년간 착취와 억압으로 부를 축척하고 그렇게 모은 어느 정도의 부로 또 다른 착취를 하면 길지 않은 인생에 그 목적은 달성하기 때문이죠. 여러분이 다니고 있는 회사는 우리가 말하는 수백 수천억의 자본금을 가진 그렇게 성공한 회사는 아니지만 그 기업의 사장은 어떻게 살고 있나요? 부를 어느정도 누리며 살고 있나요?? 짧은 인생에 그게 답처럼 보이기만 합니다. 회사 다니기가 그 사람때문에 힘드세요?? 그럼 그 기업은 그 사장죽기 전까지는 충분히 먹고 살겁니다. 성공의 기준이 돈이라면요? 하지만.... 조회수와 좋아요를 보면 저는 한편으로 저의 마음을 대변하는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kangten01
2021년 10월 17일 23:05제공하되, 감독하라. 편하게 해주되, 지키지 않는 것은 피드백 하라,처럼 들리네요.
@ksy8571
2022년 6월 27일 16:06공정, 평등 추구 ㅇㅈ
본인 사원 > 현 팀장 후기로
직장인이라면 상사가 되고 밑에 애들 생길때
초반에 잡을건 확실하게 잡아야함
괜히 좋게 넘어가면 도미노 효과 생길 수 있음
멀쩡했던 애도 '저래도 되나보다' 하고 풀어지고 물 흐림 정도가 배가됨
ISFJ라 남 신경 1도 안쓰는 타입인데
평소에 잘 지내다가 아래애들 풀어질 기미 보이면 바로바로 억지로 쓴소리하면서 잡음
윗사람이 마냥 좋게대하는건 좋은게아님
그건 직무유기임 ㅇㅇ
@napmidday8788
2021년 10월 18일 02:27공정하게 앞으로 나아가겠습니다
@getthankyou8650
2021년 10월 17일 19:49관대함과 존중에는 공정함의 관리 기술이 뒷받침 되어야겠군요 예전에 책그림님이 소개한 냉정한호구? 이타적이기주의? 암튼 그내용이 떠오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