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팔 수 있으면 팔아라 (김기원 1부)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JM-ck7ux 415
2021년 11월 04일 19:46가격이 떨어지든 내리든 내가 살 집 하나는 있어야지 1주택자도 팔라는 건 아닌거 같아요. 각자 형편에 맞게 주거의 안정적인 측면에서라도 감당할 수 있을 만큼 현명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강아지구경오세요 192
2021년 11월 04일 21:34진짜 신사임당 리액션 잘한다.
Daniel Phy 129
2021년 11월 04일 20:06불과 한두달 전만해도 주식이던 부동산이던 시작한지 얼마 안된 주린이 부린이들 입에서 근거도 없이 자신만만하게 삼전 무조건 사야된다, 부동산 무조건 사야된다라는 말을 어렵지않게 들었던것 같네요. 과연 초보들이 전망하는 매수 타이밍이 옳았을까요..? 아님 몇달 뒤에 울고 있을까요..
@user-uc7lg5lu7r 102
2021년 11월 04일 21:41매도 타이밍 잘 잡는게 진짜 고수죠
ᄋᄋ 82
2021년 11월 04일 20:51상승론, 하락론 다 일리 있다고 보는 입장에서 모든 선택은 본인 중심이 되어야 함. 10년도 더 전에 무대출로 샀으면 100~200%이상 수익이니 20~30%빠져도 전혀 상관없음. 반면 오래전에 샀어도 대출 크게 일으켰으면 상황이 다름. 또한 최근에 샀어도 안정적으로 큰 수익이 매달 나오면 별 신경 안 쓸테고. 그게 서울 중심이냐 지방이냐에 따라 다르고. 개인 상황, 지역별로 다 다르기 때문에 상승론, 하락론 모든 주장이 어느 정도 다 일리 있음. 영상 내용 충분히 들을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1주택자도 팔아야 하냐는 질문에 그렇다라는 답변은 좀 이해가 안 가긴 함. 서울 중심부 이미 수익률이 세자리에 대출이 없이 실거주하고 있는데 왜 팔아야하지..?
메타리스 75
2021년 11월 04일 19:40역사는 반복된다 영원한 상승도 영원한 하락도 없다 30년 장기투자라면 할말없지만
내몸살림 67
2021년 11월 04일 19:33하락장에 집값몇억오른거 고스란히 떨어져서 반토막난 상태로 10년 횡보하는 경험해보고나면 이분말씀 이해되지..
내몸살림 67
2021년 11월 04일 19:33하락장에 집값몇억오른거 고스란히 떨어져서 반토막난 상태로 10년 횡보하는 경험해보고나면 이분말씀 이해되지..
@user-vn8mg5se5t 65
2021년 11월 04일 20:04확증편향 경계하도록 다양한 의견을 보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임당님 좋은 하루 되세요.
@user-a3804yuti7 50
2021년 11월 04일 20:09상승과 하락만 있는게 아니다 횡보장도 있다.
@seancho741 44
2021년 11월 05일 12:422014년도에 집 한채 사서 2020년 중반에 1주택자였는데 팔았습니다. 그리고 미국 주식+현금으로 전환했어요.
지금 아파트 가격에서 더 오르는 것은 김기원 대표가 이야기 했듯이 쉽지 않습니다. 오히려 하방으로 열려있다고 생각합니다.
대출 없으신분들은 크게 상관없지만 영끌하신분들... 8억짜리 집을 담보대출 3억에 부부가 합쳐 받은 신용대출 2억으로 샀는데 6억 5천으로 떨어지면 전재산(3억)의 50%가 날라가는 겁니다. 집값 안떨어진다고 하는데 2007년도에 주변에 그렇게 생각하고 영끌해서 사신분들 2014년까지 대출 이자 및 원금 부담이 못이겨 파신분들 많이 봤습니다.
마지막에 방송에서도 나왔듯이 집값이 20~30% 내려가도 내가 이상이 없도록 미리미리 준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부 44
2021년 11월 05일 11:111주택자라도 최고점에 사신 분들은 매도를 해라 라는 말임 그리고 고점에 대출 + 신용대출 까지 영끌 한 사람들은 더더욱 해당 , 1주택 적당한 가격에 사서 대출 이자 감당 되는 사람은 수도권 부동산 팔면 안됩니다.. 자본주의경제에서 수도권 부동산은 롱포지션이며 인플레이션 헷징 수단입니다.
ᄆᄆᄆᄋ ᄋ 44
2021년 11월 04일 22:05본인의 의사가 중요하지만 부동산사이클에 맞춰 정리하는것도 나쁘지는 않다고본다 그사이 다른 투자처를 찾으면서 다시 오르는 시기에 투자하면 된다
힘들어도 부지런해야 버는게 부동산인거 같더라
@RICHGO406 43
2021년 11월 08일 18:14안녕하세요 신사임당 채널 구독자 여러분
김기원 입니다 . 좋은 채널에서 불러주셔서
좋은 시간이였던것 같습니다.
제가 말씀드린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이야기 또한
하나의 의견이며 부동산 투자건 주식 투자건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시장 흐름의 방향을 맞춘다는건 신의 영역이니까요
다만 저는 그간 제가 데이터를 보고 분석하고 예측을 해보던 중
가장 위험하지 않은 투자를 하는 방법을 여러분들께 공유하기 위해
여기에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하고 !
데이터에 관한 부동산 시장 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저희 "리치고"채널에도 놀러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user-rx4zm1kf8h 42
2021년 11월 09일 08:03이분은 딱 데이터들고와서 본인 노선 확실해서좋음. 평가는 2~3년뒤에 받으시면될듯
제니 Xanny 36
2021년 11월 04일 19:41기업들도 서울에 건물들 근 1~2년 사이에 팔아치우고있음 기업들이 미리 움직이는건 다 이유가 있는거 어떤 자산이든 영원한 상승은 없음 산이 높으면 골이 깊은건 변하지않는 진리임 그렇다고 서울에 폭락이 오지는 않겠지만 그외의 지역은 이빨 꽉 깨물어야될 가능성이 높음
@brightness11234 31
2021년 11월 05일 18:37용기있는 발언이네요
김철 29
2021년 11월 04일 22:29공급이 부족한것은 맞지만
존버해야 된다는것도
다들 알고 있음
단순한 수요 공급시장이
아님
김철 29
2021년 11월 04일 22:29공급이 부족한것은 맞지만
존버해야 된다는것도
다들 알고 있음
단순한 수요 공급시장이
아님
Sh Kim 24
2021년 11월 04일 20:03미래에셋 이광수님 생각이 나네요
@simya360 23
2021년 11월 11일 16:20외국강의 듣는것같아요.
저희에게는 주관적의견보다 객관적인 의견이 필요했거든요. 객관적 데이터를 가지고 논리적으로 설명해주시네요. 모셔주셔서 감사합니다.
곰포스 23
2021년 11월 04일 22:27아마도... 영끌이나 대출비율 높은 내집마련자 분들에게 해당되는 "1주택도 팔아라."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1주택은 평수업글을 위한 필수 요소라 생각하기에 당연히 오르든 내리든 가지고 가는게 맞다 생각하지만, 기회적인 측면으로 생각했을때 최고점의 매도 타이밍이 맞다라면 좋은 기회라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
뚱둥이 18
2021년 11월 04일 22:43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영원히 오르는 건 없더라구요.
뚱둥이 18
2021년 11월 04일 22:43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영원히 오르는 건 없더라구요.
Hibon Kang 14
2021년 11월 05일 06:56안양도 거래도 없고 전세 내놓은지 2개월째 한명도 보러안와요 ㅜ 부동산에 물어보니 하락 거래도 시작된 듯 합니다. 이럴수록 대출 더욱 옥죄고 영끌 막아야할텐데.. 정책도 뒤죽박죽이죠
@user-pc7zc3ib8g 12
2022년 7월 14일 19:40이때가 정확히 꼭지였네 소름
곰포스 11
2021년 11월 04일 22:13주식시장도 내년 하반기는 아주 큰 위기 올 수도 있다는 의견이 비공식적으론 심심치않게 나오는데... 뗄래야 뗄수 없는 부동산과 비슷한시기의 의견이 나온다는건 신중하게 생각해볼만 내용이란 생각이 드네요.
@keipark3288 11
2021년 11월 05일 13:36풀버전 영상 올려주실 수 있을까요? 대표님이 하고자 하시는 이야기의 근거가 더 있을 것 같아서 보고싶습니다
제라늄 10
2021년 11월 05일 10:46사지 말아야 할때...좋은 말씀 감사 합니다 ..
안유진 10
2021년 11월 04일 21:15두채 이상이거나 대출이 많은 분들은 매도를 고려해봐도 좋다는거겠지요. 2010년에 자녀 집 샀다가 4년간 40%이상 하락을 경험했었지요. 상승을 주장하는사람들은 그때와 다르다고 하는데 답답하더군요.
아라 9
2021년 11월 05일 01:11내용 넘 좋으네요
아라 9
2021년 11월 05일 01:11내용 넘 좋으네요
@adslyoyo 9
2022년 10월 09일 13:29원래..엄청난 비난받으셧는데..
1년전 영상들 유튜브보면
딱 3분이 레전드로 이렇게 꼭지점알려줌..
댓글들보면..거의다 조롱인데..진짜셨음..그는
@user-pi6tx5vb5o 8
2021년 11월 14일 13:41김기원님 명확한 분석 시원한 말씀 강사합니다~
보뗄beautelle 8
2021년 11월 06일 00:08제가 그랬습니다. 2008년에 사서 너무 오랫동안 힘들었어요. 10년전의 악순환이 다시 돌아온다니 끔찍하네요.
권순욱 8
2021년 11월 04일 22:48역사적으로 부동산은 우상향이었죠 5년정도로 마음 고생 할 거라면 부동산 투자는 안하는 게 맞습니다. 갭투자로 돈을 벌기엔 세금이 너무 센 요즘 매도가 답이라고는 보기 어려울 거 같습니다.
권순욱 8
2021년 11월 04일 22:48역사적으로 부동산은 우상향이었죠 5년정도로 마음 고생 할 거라면 부동산 투자는 안하는 게 맞습니다. 갭투자로 돈을 벌기엔 세금이 너무 센 요즘 매도가 답이라고는 보기 어려울 거 같습니다.
Min Park 8
2021년 11월 05일 09:22팔지 못하는 상황이라 존버 갑니다~ 하락하면 매수할 총알 장전해놓으려구요. 투자는 대응~
송민 8
2021년 11월 09일 22:33데이터 정리가 대단하시네요 좋은 분을 신사임당에서 소개해 주셨네요. 고맙습니다.
@user-nj4lb9oz8h 8
2022년 10월 09일 15:14그때 택도없던 분석인줄 알았지만,
지금와서보니 완전 정확한분석!!
역시 데이타가 답을 알고있다
Jade Lee 7
2021년 11월 04일 20:39어디까지 오를지 모르는 상황인거지.. 팔시기는 아니지 않나요? 하락세는 단기적으로는 양도세 완화 장기적으로는 물량공급 밖에 없는것 같다고 생각해요.
Awesome Choi 7
2021년 11월 09일 08:5820년은 코로나로 인해 전세계에서 푸는 유동장세로 인한 인플레로 자산가격이 상승한건데 2006년도와 같다고 말할 수 있나요? 이돈이 다 사라진다면 가능하겠지만 이미 푼 돈은 갑자기 어디로 사라지지 않아요. 06년도와 20년도가 비슷하다는 말은 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네요
Jade Lee 7
2021년 11월 04일 20:39어디까지 오를지 모르는 상황인거지.. 팔시기는 아니지 않나요? 하락세는 단기적으로는 양도세 완화 장기적으로는 물량공급 밖에 없는것 같다고 생각해요.
同じ心中で君の印象 5
2021년 11월 06일 01:32ㅋㅋㅋㅋㅋㅋㅋㅋㅋ 테슬라 4년 존버 갑니다
同じ心中で君の印象 5
2021년 11월 06일 01:32ㅋㅋㅋㅋㅋㅋㅋㅋㅋ 테슬라 4년 존버 갑니다
그리고 5
2021년 11월 05일 03:04네 맞는 말씀입니다 공급과 수요가 중요하죠
김태경 5
2021년 11월 07일 10:03와...이래서 우리집 아저씨가 하락론자 됐구나.이분영상을 옛날부터 봤나??
듣다보면 넘나 논리적..
버닝아웃 5
2021년 11월 05일 09:47상승과 하락은 항상 반복이죠. 얼마나 길고 깊은지가 중요하지. 그리고 주거하는 집 하나 정도는 안팔고 사는 게 안정감도 있겠지만 사회적 투기 심리를 막는다고 봅니다. 하락장 불안감에 거주집까지 던진다? 빚져서 주식 사는 투기랑 뭐가 다를까요.
J J 4
2021년 11월 06일 23:13집 있는 사람은 부정반응 없는사람은 긍정 반응 하겠네요
Cool Green 4
2021년 11월 08일 21:15내년 후반기 이후에 금리상승으로 인한 트리플 버블이 터진다는 몇몇 전문가들의 의견이 여기저기서 슬슬 흘러나오네요. 집값버블 40%…. 미국 주식시장 신고가….원자재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에 물류대란….불확실성이 너무 많아서 당장 내년에 어떻게될지 정말 한치앞도 모르겠네요.
Cool Green 4
2021년 11월 08일 21:15내년 후반기 이후에 금리상승으로 인한 트리플 버블이 터진다는 몇몇 전문가들의 의견이 여기저기서 슬슬 흘러나오네요. 집값버블 40%…. 미국 주식시장 신고가….원자재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에 물류대란….불확실성이 너무 많아서 당장 내년에 어떻게될지 정말 한치앞도 모르겠네요.
TV종로남자 4
2021년 11월 06일 12:21시장이 서서히 자연스럽게 움직이려고 하면 ... 또 무슨 정책을 날려서 상황을 또 바꿔버리니까 그게 무섭습니다
아카시아 4
2021년 11월 08일 16:32믿을 만한 데이터인거 같아요~
참고 잘 할께요~
J J 4
2021년 11월 06일 23:13집 있는 사람은 부정반응 없는사람은 긍정 반응 하겠네요
호랭이야 3
2021년 11월 05일 08:23거래량대비 집값비교 데이터도 있었으면 더 좋았을꺼같네요.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yyyiuhkk4859 3
2021년 11월 05일 02:41팔게엄써요 ㅠㅠ
더 안좋아질때까지 기다려봐야겠네요
futurebong 3
2021년 11월 05일 01:36좋은영상 잘봤습니다. 지금은 무엇보다 리스크관리가 필요하다생각합니다.
서울미분양된곳도 청약경쟁률이 꽤 높았던곳이에요.
지금은 서울 수도권이라도 너무도 많이 올랐고, 테이퍼링.금리인상.대출규제 등 거시적요인이 계속 늘어나고 있고, 서울 수도권도 지역마다 틀리겠지만, 상당수가 매물은 늘고 거래는 안되기때문에, 앞으로 어느정도 조정이 올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Makdalina Juhn 2
2021년 11월 06일 16:20이분 이젠 데이터에 수급 펙터도 가미했네요. 거래량만가지고 집값 떨어진다고할 때가 몇 달 전인데.
@user-xk4kp5bm7j 2
2021년 12월 15일 15:48맞습니다! 너무 도움되는 강의!
SUNGHO LEE 1
2021년 11월 07일 00:09향후 2년을 결정하는 시점은 22년 7월임 임대차 3법 진행된 2년후 시점 그런데 지금처럼 전세자금 잡으면 전세가 하락 그런데 전세가 하락이 안되면 매매가 영향이 작게됨
박현우TV 1
2021년 11월 04일 21:13너무 유익하네요!
박현우TV 1
2021년 11월 04일 21:13너무 유익하네요!
sungho song 1
2021년 11월 05일 07:27그래프에서도 19년 비슷하게 거래량 빠지고 다시 거래량 늘고 가격상승이 되었는데 차트는 후행적인거라 다시 갈지 안갈지는 단순히 말해서 어렵죠
sungho song 1
2021년 11월 05일 07:27그래프에서도 19년 비슷하게 거래량 빠지고 다시 거래량 늘고 가격상승이 되었는데 차트는 후행적인거라 다시 갈지 안갈지는 단순히 말해서 어렵죠
SUNGHO LEE 1
2021년 11월 07일 00:09향후 2년을 결정하는 시점은 22년 7월임 임대차 3법 진행된 2년후 시점 그런데 지금처럼 전세자금 잡으면 전세가 하락 그런데 전세가 하락이 안되면 매매가 영향이 작게됨
Joanna Shim
2021년 11월 07일 07:02정부 규제만 풀리면 또 다시 부동산 시장 활발히 움직 일 수 있임 집 값 우리나라만 오른 것 아니고 다른 나라들도 많이 올랐고 인플레이션도 집 값 상승에 한 몫 했음
이안구
2021년 11월 07일 18:35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하양이
2021년 11월 19일 10:03김기원대표님~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