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화학물질, 유해한 화학물질, 이 둘은 하나입니다 | 이나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화학물질연구센터소장 | 건강 안전 화학물질 | 세바시 1426회
강연자의 강연 소개 : 과연 우리가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안전할까요? 우리는 수많은 화학약품과 함께 살아갑니다. 일상을 편리하게 해주기 떄문에 사용하고 있죠....
강연자의 강연 소개 : 과연 우리가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안전할까요? 우리는 수많은 화학약품과 함께 살아갑니다. 일상을 편리하게 해주기 떄문에 사용하고 있죠....
@covhetero 5
2021년 11월 07일 17:50기대되는 강연이네요!
@sebasi15 5
2021년 11월 05일 18:28 @오경복 [책 이벤트 당첨자] @naive Kim @이정환 @letit go
댓글 이벤트에 당첨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1년 11월 22일까지 friends@sebasi.co.kr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유튜브 캡쳐 화면 / 당첨된 영상의 제목 / 유튜브 닉네임 / 이름 / 휴대폰 연락처 / 배송지 주소, 선물 수령을 위한 개인정보활용 동의 문구 (ex-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합니다) ] 를 보내주세요. 책은 당첨자 정보가 모두 취합된 이후에 일괄 발송해드립니다.
@IS-2 3
2021년 11월 07일 19:50★★★★★ "친환경은 무조건 옳다라는 대중인기영합적 요소에서 벗어나, 경제성과 인체 유해성 등을 균형있게 파악하여 다른관점에서도 보게 안내해주는 훌륭한 강연"
하나의 현상을 다양한 시각으로 보실 줄 아는 분이 나라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계시니, 세금이 아깝지 않게 잘 쓰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배은미-y8h 3
2021년 11월 07일 19:46이나루 강연자님에게 시청소감입니다.
정말 몰랐던 화학물질 위험하는데
무섭기도합니다.알아야하는데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안전하고
알아야할것을 꼭 머리속에 기억하겠습니다.
감사하고 응원하겠습니다. 홧팅~!!
@정젤리-l1q 2
2021년 11월 07일 21:53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친환경은 사람한테도 괜찮은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요.
앞으로 소비할때 잘 보고 선택하는 습관을 가져야 겠습니다.
@naivecookie 2
2021년 11월 07일 19:24유해성은 알고있으나 잠시 잊고 있었던 화학물질의 위험성을 인식 시켜주셔서 감사해요! 친환경은 무조건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인식의 경각심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또한 싸다고 가성비만 볼께 아니라 이젠 성분을 좀더 신경 써야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강연 감사합니다.
참, 질문하나 있는데요. 저는 디퓨저를 좋아하는데 가끔 화학물질에 대해 걱정이 되더라구요..건강하게 디퓨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중에 나와있는 기성품들을 좀 분석해주셔서 얘기해주심 좋을것같아요~ 화장품도요~
@박정현-u9r 2
2021년 11월 07일 20:30좋은 채널이고
경각심을 일으키는 좋은 강의
입니다
@포소화 2
2021년 11월 09일 06:21세바시는 정말 유익합니다
이렇게 주의를 기울일수 있다면 성공입니다
감사합니다 ♡♡♡
@양덕환-i7r 2
2021년 11월 07일 23:03원인모를 질병들이 혹시 이런것 때문일까...무섭네
@서경훈-t3v 2
2021년 11월 07일 23:21화학물질에 대한 경각심을 새길 수 있는 유익한 강연이었습니다!
@양용수-c8h 2
2021년 11월 07일 20:45이나루 강연자님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덕분에 화확물질의 위험성에 대해서 잘 알게 된것 같네요.특히 탄소 배출은 해결 되어야하는 문제인것 같네요.화확물질로 인해 건강상의 큰 문제도 생길수 있는 것 같네요.
@letitgo7241 2
2021년 11월 07일 18:48화학물질로 부터 모두 안전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강연을 통해 경각심을 더 갖게 되었습니다. 화학물질을 생산 과정에서 일하시는 분들, 일상에서 사용하는 우리들 모두 건강에 치명적이거나 큰피해를 볼 수 있으니 생산 기업에서 책임감을 갖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줬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코코넛은말리부 1
2021년 11월 09일 01:03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은미-v5n 1
2021년 11월 07일 23:49읽어보고싶어요
@user-ramdaram 1
2021년 11월 07일 23:58저는 환경호르몬을 시러하는데 화학물질 몸에 들어가는거 안좋아하는데 어뜩해야돼요???
@younge899 1
2021년 11월 08일 17:44사용을 줄이는 수밖엔 없다는 걸 말씀하고 싶으신거죠?
@hyojoo1236 1
2021년 11월 10일 11:51화학물질에 대해 생각해볼수있었던 강의였습니다~편리함만을 생각했었는데 안전함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하는 강의네요^^
@조희정-i4r 1
2021년 11월 08일 13:57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화학물질들
사용하지 않는다면 좋겠지만 사용해야 한다면
건강에 해롭지 않은 안전한 것들이 나왔으면 좋겠지요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는 방법이나 해결할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는 유익한 정보 강연 잘 들었습니다
@최원창-d7j
2021년 11월 11일 22:05아주 유익하고 좋은 강연입니다.
@화학통증
2022년 1월 08일 03:31여기 글쓴분들도 통념
상 듣는것같읍니다.
비정상적인 자극성냄새
나 인체닿거나 냄새를
쏘일시 고통은 못느껴
보셨는지요?
저는 유해물질에 즉각
반응을 하는데 의식주
생필품들에서 매일
화학독성의 고통에 시달리고있읍니다.
내가 못느끼는것은
믿지도 이해하지 않으
려하는 습성이 있더군요.
가습기나 3D프린터기
사건처럼 사람이 죽어 나가고 있는데도 그것이
무슨 연관인지도 모르는
것같읍니다. 수전문제
까지도 이나라는 바로
잡지않고 있읍니다.
질낮은 수전의 중금속
냄새는 물을 틀때마다
코밑에서 역하게 올라 오고있읍니다.
휴대폰의 역한냄새까지
손에 묻어지고 숨이찹
니다.
@장철환-k1c
2022년 7월 25일 16:48화학물질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말그대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기사로만 봤을뿐이지만 저랑은 상관없는 일이라 생각했습니다.
우리의 생활속에 이렇게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도 못했고 이렇게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리라 라고 생각치도 못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유의깊게 화학물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학통증
2022년 1월 08일 03:17자극성요?
대부분 자극성을 못느낍니다.
냄새도 못느낍니다.
그래서. 일찍 케치햇더
라면 죽음을 면할수 있었
겠지만 죽을때까지 흡입
하다가 죽었읍니다.
같은일들은 번복되어
일어나고 있읍니다.
이번의 3D 프린터기
사건도 같은맥락의
사건입니다.
저는 은해에서 프린터기
에 복사를한 서류를
받고 냄새가 흡입되어
불편한냄새와 전신에
쏘여서 피부에 통증이
일고 눈알 머리신경 자극이일고 구역질이일고
인체의 내부까지 자극이
오고 고통스러움이 그날
밤까지 고통을 당하였읍
니다.
이러한 신경이 녹는듯한
고통은 3번이나 당하였
는데 몇일전에는 문구
점의 복사를 주문하고
복사기앞에 서있다가
또 당했읍니다.
이번에도 작동시키는
사람은 본인이 인체로
흡입시키면서도 증세
를 못느끼니 제가하는
소리를 이해하지 못하
였읍니다.
대부분은 저에게 민감
하다고하는 헤이적인
태도였읍니다.
그러나 독성이있기 때문
에 느껴지는것이 제가
정상이라고 생각되며
위험한냄새를 못맞는
것이 위험한것이라고
합니다.
예전의 복사기나 여러
물질들은 그렇지가 않았
는데 현재는 2014년부터
위험한 모든생필품의 재료가 위험한 물질로 바뀌어 있읍니다.
그 말씀하신 텀불러 역시
화학독성 냄새가 심하였
는데도 모두들 음료수를
담아 그 독성을마시고
있었읍니다. 중금속내새
라고하면 대부분 못알아
듣고 유해물질냄새나
환경호르몬 이라고
하면 알아는듣읍니다.
저도 억울하여 그텀블러 와 아픈냄새가나는
후라이팬을 보관하고
있읍니다만. 소비자
보호원에서 니돈내고
검사하라고하며 검사해
주지 않는는등 비협조적
이였읍니다.
인체가 고통스러운 생필
품들전 강약이 있을뿐.
현제는 악성냄새가 안나
는 물품들이 없읍니다.
화학물질 규제를 어찌
풀어준것인지 ...
인체고통 때문에 자체
검사를 믿을수가 없읍 니다.
@최소현-t7s
2021년 11월 27일 20:57좋은 강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