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각의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대한민국 노인빈곤율 43.4%,(oecd 평균 14.8%, 미국 23.1%) -대한민국은 미국과 다르게 가계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62% -최소노후생활비 개인:116.6만원, 부부:194.7만원(적정생활비는 개인:164.5만원, 부부:267.8만원) -가구당 소비지출 39세 이하:237.6만원, ~49세:309만원, ~59세:278.3만원 60세 이상:169.5만원 -합계출산율 0.84, 역대 최저이자 세계최저 결론: oecd에서 압도적으로 빈곤율이 높은 대한민국 노인들의 자산은 대부분이 부동산이며(실제 쓸수있는 돈이 얼마 없으며) 나이를 먹어 소비도 적기에 경제활동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그들을 받쳐줄 수 있는 젊은 세대는 전세계 최고의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같이 비교해 주셨으면...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선진국중 인구 구성이 가장 좋은 미국이랑 우리가 비교 가능한가요? 한국은 자산중에 부동산이 80프로 가까이 됩니다. 일부 부유층을 제외하면 쥐꼬리만한 연금과 집한채가 노후준비의 전부죠. 현금성 자산이 많은 미국은 자산을 줄이지 않고도 노후생활이 가능하겠지만 한국의 노인들의 선택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자산중 부동산 비율도 고령화 속도도 역대급인 한국의 미래는?
박사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요즘 인구감소로 생산 가능 연령 줄어든다고 하는데 실버 산업 육성해야 합니다. 회사에서 은퇴하는 60대 분들도 사실 계약직으로 더 일하시는 분도 계세요.. 4차 산업으로 왠만한건 자동화 되고.. 컴퓨터 다루는 일도 많아서.. 은퇴 인력을 활용하는 방법도 많이 모색했으면 합니다. 웨어러블 로봇도 나오는 마당인데 ㅎㅎ 모텔 카운터 같은데만 해도 불체자 많이 쓰는데, 그런 단순한 업무나 경찰서 등 행정 업무 대응 등 실버산업 육성하는게 노년층 경제지원 내수 활성화에 도움될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출산은 일시적으로 젊은층의 미래에 대한 희망 부족에서 오는 포기 현상이라 차후 안정되면 해소될 거 같구요.. 재난지원금 보다 2째자녀 대학 무상교육 등 지원책 등 새롭게 접근해봤으면 좋겠어요. 우리 회사만해도 생산직 20% 이상 줄이고 있는데... 생산성은 더 높아지고 품질도 더 좋아집니다. 4차 산업혁명이 향후 일자리 대란을 일으킬지도 모르겠어요.. 미래에 인구 많은게 꼭 답은 아닌듯 합니다. 인도. 브라질을 보면..물론 급격한 내수 침체도 안좋지만요..
현재 사회는 젊은층이 상대적으로 가난하고, 노령인구는 부유합니다. 이 조건에서 노령인구가 부유한게 나쁘지는 않다... 라고 주장하셨는데, 아래 2가지 의미 중 어떤 주장인지 불분명합니다.
1. 여기서 젊은층은 상대적으로 가난한 자산을 그대로 냅두고, 노령인구만 지금보다 가난해지는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그래도 노령인구만이라도 부유한게 낫다"는 주장과
2. 아니면 노령인구가 지금보다 가난해지는 만큼, 그 재산이 젊은층에게 부여되는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젊은층이 부유하거나/균등한 배분보다 노령인구가 부유한게 차라리 더 낫다"는 주장이 될수 있습니다.
1번과 2번의 의미는 매우 다릅니다.
1번이라면 저도 동의합니다. 2번이라면 동의하기 힘듭니다.
금리가 낮아진다는 효과는 돈을 많이 빌릴수 있고, 결국 자산시장의 향상이란 결과가 생기지만, 그 돈이 소비성향이 큰 젊은층에 간다는 것은 금리가 낮아지는 대신 얻는것이 소비시장의 활성화입니다. 자산시장의 개선과 vs 소비시장의 개선에서 뭐가 낫냐는 이야기가 됩니다. 저는 고르라면 소비시장 개선이 낫다는 입장입니다.
사람들이 간과하는 자산시장의 개선효과를 언급한다는 면에서 1번이던 2번이던 어느정도 일리가 있는 주장이라고 생각하지만 두가지 의미는 매우 방향성이 다릅니다.
대체로 젊은층이나 사회에서 주장하는 것은 2번(부의 재분배)인데, 솔직히 지금 이야기는 1번으로 빠지시는것 같습니다. 다 같이 거지되는것보단 누구 하나라도 부자 되는게 낫다는 말은 맞겠지요.
오늘 강의는 마음이 편치 않은 참 불편한 사실이 같이 보이네요 "부머의 양극화, 그것의 대물림, 양극화가 심해도 자산시장은 간다" 맘이 참 쓰린데 이럴 때 일수록 공부를 해야 하기에 질문 드립니다. 01. 미국 세대주 연령별 순자산 중위값이 아닌 상위 25%, 10% 통계를 인용 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통계부재?, 자산투자를 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 고려?, 논리전개의 편의성?) 02. 노령화가 진행될수록 수출의존도가 점점 커질 가능성이 높아보이고 수출경쟁력의 향상/유지를 위해서는 혁신의 지속이 중요할텐데요. 그럼 혁신의 지속을 위해 필요한 것... 많겠지만 3가지만 꼽으면 무엇일까요?
결국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이 투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금리가 우하향하고 투자가 활성화되는 원인이라고 '현명한 자산배분 투자자'에서 읽은 기억이 납니다. 저도 박사님과 같이 한국의 노령화된 인구들도 같은 효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박사님께서 잘 정리해주셔서 더 깊이 알 수 있었슴니다. 감사합니다!
그랑제콜 23
2021년 11월 08일 20:06노령인구는 한계소비성향이 현저하게 낮아서 민간소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일본 보니까 돈싸들고 죽는 노인네들 천지던데요.....
@markhur4576 17
2021년 11월 09일 10:10새로운 시각의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만,
-대한민국 노인빈곤율 43.4%,(oecd 평균 14.8%, 미국 23.1%)
-대한민국은 미국과 다르게 가계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62%
-최소노후생활비 개인:116.6만원, 부부:194.7만원(적정생활비는 개인:164.5만원, 부부:267.8만원)
-가구당 소비지출 39세 이하:237.6만원, ~49세:309만원, ~59세:278.3만원 60세 이상:169.5만원
-합계출산율 0.84, 역대 최저이자 세계최저
결론: oecd에서 압도적으로 빈곤율이 높은 대한민국 노인들의 자산은 대부분이 부동산이며(실제 쓸수있는 돈이 얼마 없으며) 나이를 먹어 소비도 적기에 경제활동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그들을 받쳐줄 수 있는 젊은 세대는 전세계 최고의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같이 비교해 주셨으면...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발가락 17
2021년 11월 08일 19:53선진국중 인구 구성이 가장 좋은 미국이랑 우리가 비교 가능한가요? 한국은 자산중에 부동산이 80프로 가까이 됩니다. 일부 부유층을 제외하면 쥐꼬리만한 연금과 집한채가 노후준비의 전부죠. 현금성 자산이 많은 미국은 자산을 줄이지 않고도 노후생활이 가능하겠지만 한국의 노인들의 선택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자산중 부동산 비율도 고령화 속도도 역대급인 한국의 미래는?
@벤자민투자클래스-u6d 14
2021년 11월 08일 22:06게다가 논리적 오류인게 선진국중 노인빈곤이 제일 심각한 나라가 한국인데 노인이 부자라니요 부자 노인도 있는것이지요
@shlee8057 14
2021년 11월 08일 19:23신선한 시각이네요
항상 다양한 관점을 소개해주시는것 같아서 좋습니다
잘보았습니다
일루와 11
2021년 11월 08일 19:50자산에서 연금비중이 낮고 부동산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미국과는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특히 부동산을 통한 자본소득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정치적 분위기가 커지는 상황에서 향후 노령층을 더 불안하게 할 여지는 없을지.....
@Lee-ry6ks 10
2021년 11월 09일 09:57한국은 부동산 자산의 비중이 너무 크지 않은가요? 결국 아래 세대가 받춰줘야 유지되는 자산 가격일텐데 현재 청년 세대의 극에 달하는 양극화 문제를 보면 그게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TUBEYOU-me1hq 9
2021년 11월 08일 19:44이번 영상 결론 :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령층이 한꺼번에 자산을 던져 자산가치 붕괴를 일으킬 확률은 적다
내 생각 : 고령층은 대부분 직업이 없고 소득이 적어 자산을 매각하는건 피할 수 없다. 거기에 고령층은 젊은세대에 비해 소비가 적다. 따라서 고령화 국가는 저성장과 경제침체로 자산 하락은 피할 수 없을 것이다.
@buyukking7965 7
2021년 11월 08일 19:39역시 홍박사님 이십니다"
@실바나스윈드러너 6
2021년 11월 08일 19:28인구 그래프가 상체비만인 한국에 투자하면 안되고, 밸런스가 딱 맞는 미국에 투자하세요 이게 그래프가 말해줍니다.
@벤자민투자클래스-u6d 6
2021년 11월 08일 22:03이 부분은 동의하기 어렵네요 미국 미국외 선진국 증시를 봐도 인구구조가 좋은 나라는 닷컴이나 금융위기 고점을 넘어섰지만 고령화가 심각한 나라는 아직 고점을 못넘겼습니다
@kwak.y.j 5
2021년 11월 08일 21:33한국의 대부분의 고령인구는 빈곤층이 훨씬 많은데 큰일이내요...
@jinoodaddy8363 4
2021년 11월 08일 23:09댓글들 실화냐.. 공짜로 이런 의견을 들으면 감사하게나 듣지 비꼬는거봐;;
@gaenganwa 4
2021년 11월 10일 01:11이형님...채권은 진짜 잘보는듯~~~~~~~~ 감사합니다...
@이대협-x9d 4
2021년 11월 09일 12:45이 말이 맞는게 제가 83년생으로 제 부모님 세대가 베이비 부머세대인데 부모님 친구나 형제자매들만 봐도 다들 어느정도는 사심.건물 몇채씩 가진 분들도 있고 근데 이분들 특징이 평소에 돈을 굉장히 아끼다가 쓸때는 엄청 쓰심.
@가쟈-i7i 3
2021년 11월 09일 01:27그래서 이영상의결론은 미장에투자하라네요..
@토르홍 3
2021년 11월 09일 19:21일본 고령화가 심각해서 소비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좋은편은 아니죠 베이비붐세대 은퇴가 좋은것은 아닌듯요
@chunukhong 2
2021년 11월 08일 19:07💰퇴직, 노후 준비 시 효과적인 자산 관리와 투자 방법을 알고 싶다면
저의 유일한 경제&투자 스터디에서 더 자세히 배우실 수 있습니다.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84
호주 아저씨 2
2021년 11월 08일 19:332040년경에 국민연금 적립금이 피크칠걸로 예상되는데
이때 국내 주식시장의 영향은 어떨까요?
먼 미래 같지만 당장 20년후의 이야기 인지라..
@오션-f6f 2
2021년 11월 08일 22:25오늘도 깨달음을 얻어 갑니다~
@주기장-x2f 2
2021년 11월 08일 22:36우리나라는 80프로가 부동산 아닌가요?
@park5013 1
2021년 11월 09일 23:59박사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요즘 인구감소로 생산 가능 연령 줄어든다고 하는데 실버 산업 육성해야 합니다.
회사에서 은퇴하는 60대 분들도 사실 계약직으로 더 일하시는 분도 계세요..
4차 산업으로 왠만한건 자동화 되고.. 컴퓨터 다루는 일도 많아서.. 은퇴 인력을 활용하는 방법도 많이 모색했으면 합니다.
웨어러블 로봇도 나오는 마당인데 ㅎㅎ
모텔 카운터 같은데만 해도 불체자 많이 쓰는데, 그런 단순한 업무나 경찰서 등 행정 업무 대응 등 실버산업 육성하는게
노년층 경제지원 내수 활성화에 도움될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저출산은 일시적으로 젊은층의 미래에 대한 희망 부족에서 오는 포기 현상이라
차후 안정되면 해소될 거 같구요.. 재난지원금 보다 2째자녀 대학 무상교육 등 지원책 등 새롭게 접근해봤으면 좋겠어요.
우리 회사만해도 생산직 20% 이상 줄이고 있는데... 생산성은 더 높아지고 품질도 더 좋아집니다.
4차 산업혁명이 향후 일자리 대란을 일으킬지도 모르겠어요.. 미래에 인구 많은게 꼭 답은 아닌듯 합니다.
인도. 브라질을 보면..물론 급격한 내수 침체도 안좋지만요..
@mary72601 1
2021년 11월 09일 00:48여론에서 베이비붐 은퇴로 인한 자산축소 등 불안한 뉴스를 이끌던데 이것의 팩트체크 반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mooher7969 1
2021년 11월 12일 15:12제가 60년 생인데 그때 연 70-90만명이 태어났는데, 지금 연 30만명도 안됩니다. 전제 부동산중 주택의 수요는 급감할 가능성이있고, 이민을 받지 않는다면 나라의 규모는 쪼그라 든다고 봅니다.
@ELPCPU 1
2021년 11월 09일 00:36이번 동영상은 많이 두루뭉술한 화법을 쓰시는데...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 사회는 젊은층이 상대적으로 가난하고, 노령인구는 부유합니다.
이 조건에서 노령인구가 부유한게 나쁘지는 않다... 라고 주장하셨는데, 아래 2가지 의미 중 어떤 주장인지 불분명합니다.
1. 여기서 젊은층은 상대적으로 가난한 자산을 그대로 냅두고, 노령인구만 지금보다 가난해지는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그래도 노령인구만이라도 부유한게 낫다"는 주장과
2. 아니면 노령인구가 지금보다 가난해지는 만큼, 그 재산이 젊은층에게 부여되는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젊은층이 부유하거나/균등한 배분보다 노령인구가 부유한게 차라리 더 낫다"는 주장이 될수 있습니다.
1번과 2번의 의미는 매우 다릅니다.
1번이라면 저도 동의합니다.
2번이라면 동의하기 힘듭니다.
금리가 낮아진다는 효과는 돈을 많이 빌릴수 있고, 결국 자산시장의 향상이란 결과가 생기지만,
그 돈이 소비성향이 큰 젊은층에 간다는 것은 금리가 낮아지는 대신 얻는것이 소비시장의 활성화입니다.
자산시장의 개선과 vs 소비시장의 개선에서 뭐가 낫냐는 이야기가 됩니다.
저는 고르라면 소비시장 개선이 낫다는 입장입니다.
사람들이 간과하는 자산시장의 개선효과를 언급한다는 면에서 1번이던 2번이던
어느정도 일리가 있는 주장이라고 생각하지만 두가지 의미는 매우 방향성이 다릅니다.
대체로 젊은층이나 사회에서 주장하는 것은 2번(부의 재분배)인데, 솔직히 지금 이야기는 1번으로 빠지시는것 같습니다.
다 같이 거지되는것보단 누구 하나라도 부자 되는게 낫다는 말은 맞겠지요.
@이기영-m8z9o 1
2021년 11월 08일 19:33글쎄요...
@wolfk3893 1
2021년 11월 09일 17:48일본 고령층하고 미국 고령층의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롭겠네요
@TV-ds3ce 1
2021년 11월 10일 17:18노인 문제를 빈곤 이라는 측면에서만 평가하는 것도 시각적 편향 이었습니다. 영상 잘 시청했습니다.
심태일 1
2021년 11월 09일 09:32오늘 강의는 마음이 편치 않은
참 불편한 사실이 같이 보이네요
"부머의 양극화, 그것의 대물림,
양극화가 심해도 자산시장은 간다"
맘이 참 쓰린데 이럴 때 일수록
공부를 해야 하기에 질문 드립니다.
01. 미국 세대주 연령별 순자산
중위값이 아닌 상위 25%, 10% 통계를
인용 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통계부재?, 자산투자를 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 고려?, 논리전개의 편의성?)
02. 노령화가 진행될수록 수출의존도가
점점 커질 가능성이 높아보이고
수출경쟁력의 향상/유지를 위해서는
혁신의 지속이 중요할텐데요.
그럼 혁신의 지속을 위해 필요한 것...
많겠지만 3가지만 꼽으면 무엇일까요?
@jhkeum0124 1
2021년 11월 08일 19:32연금성 자산 비율이 높은게 흥미롭네요! 자산 계산 방식은 미래에 받을 금액도 합산하는 것일까요..?
@지오-g6i 1
2021년 11월 09일 00:38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SnghoJeong 1
2021년 11월 09일 11:13결국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이 투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금리가 우하향하고 투자가 활성화되는 원인이라고 '현명한 자산배분 투자자'에서 읽은 기억이 납니다.
저도 박사님과 같이 한국의 노령화된 인구들도 같은 효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박사님께서 잘 정리해주셔서 더 깊이 알 수 있었슴니다. 감사합니다!
@에센피500
2021년 11월 11일 16:20박사님 순자산 통계가 모든자산 금융과 부동산 합친 순자산인가요?
아슈세이버
2021년 11월 14일 05:29노령인구가 많으면 지금 농촌들처럼 활력없는사회,무기력한 사회인데다 농촌텃세도 그렇고 법을 무시하는 일본의 폭주막장노인같은 분쟁도 많은데
너무 긍정적으로만 접근한건 아닌지
@반짝이-u3x
2021년 11월 11일 07:40박사님 채권은 회사채 사시나요? 국채 사시나요. 간접투자로 사시는건가요?
@쿠모담화
2021년 11월 09일 08:41베이비붐세대가 늙어거는 건 나라 입장에서는 좋은 건데.... 30대들은 혜택도 못받고 돈도 없고 죽을 맛이죠 ㅎㅎ
Baby Face BerkGokay
2022년 3월 05일 02:15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sinuremi
2021년 11월 10일 15:50노후를 위한 분산투자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낍니다.
@delluna1096
2021년 11월 09일 11:43홍박사님의 논리가 맞는 듯 합니다.
baBoTrap
2022년 3월 05일 02:1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Markis Vice
2022년 3월 05일 02:15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barkın tan
2022년 3월 05일 02:15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소 배 액 팅 은 어려운게없음
@jameskim3719
2021년 11월 10일 08:32부동산 전망좀 알려주세요 박사님
@yoonchung3852
2021년 11월 08일 20:09위에 언급하신 자산규모 4~5억원이 부동산도 포함된 수친가요? 포함된거라면 이정도 규모로 노후생활 유지 못할 것 같은데
pubg
2022년 3월 05일 02:1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AsOsYaL
2022년 3월 05일 02:1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Caner Arslan
2022년 3월 05일 02:15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gihyukcho5495
2021년 11월 08일 19:43일본은 정말 반대로 갔겠네요. 노인들이 가난해지면서 (자산이 수축하면서) 고령화 사회 진입ㄷㄷ
Unikitty
2022년 3월 05일 02:1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Thongballlllll
2021년 12월 21일 10:40귀여우시내여..ㅎㅎ
Hasret Bahadir
2022년 3월 05일 02:1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leesungje3
2021년 11월 09일 14:193:33
@anmi2832
2021년 11월 10일 05:47상속세 증여세 50프로 반타작 극혐!~
@mhs5256
2021년 11월 10일 10:18미국은 개인연금제도 활성화
상위1%만 빼면 부동산하나에 국민연금, 노령연금 빨아먹는 노인들 수두룩
I AM HARUN BS
2022년 3월 05일 02:15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이정민영어
2021년 11월 15일 00:51오늘 한 번 더 홍춘욱 선생님 덕에 인사이트 얻고 갑니다. 건강하세요.
junehwan oh
2021년 11월 10일 17:05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노년의 자산이 아래세대에게 잘 전달되는 방법이 있으면 좋겠네요 ^_^ (이것도 부익부 금수저의 대물림일까요?...)
@안영수-c2t
2021년 11월 10일 00:28홍박사님 감사합니다 ~~
@sanglee9622
2021년 11월 10일 01:31아주 중요한 말씀 감사합니다.
@yulstv2023
2021년 11월 09일 07:38정말 새로운 시각입니다. ^^
@병정개미1
2021년 11월 12일 06:30감사합니다.
@eunjooshim5091
2021년 11월 09일 16:59그러네요~~ 무릎을 탁 칩니다!!
whatsapp statuses
2022년 3월 05일 02:15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dannylee9662
2021년 11월 10일 14:01역시 나이든 사람들의 구매력이 좋으면 그나라 경제에 좋겠죠!
@안영수-c2t
2021년 11월 10일 00:24👏👏👏
@catherineshin8957
2021년 11월 09일 09:48강의 감사합니다
XV70
2021년 11월 13일 17:35노인빈곤은 허수
폐지줍는 노인들이 없는 사람이다 같은 어프로칭
Tarık Yüksel
2022년 3월 05일 02:15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ryanmackim7544
2021년 11월 09일 0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