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이렇게 될 것입니다 (김경민 서울대 교수 3부, 하버드 박사)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70만원으로 시작한 쇼핑몰로 월 1000만원 버는법 [클래스101] 강의 구성 보러가기 https://class101.net/products/nE3Rka3C8quVUg6sJTXu 유튜브로 월 2억 수익 ......
에버그린 158
2021년 11월 12일 00:00부동산시장 20년을 지켜봤는데 폭락의 공포에서 한번도 자유로웠던 적은 없었지.
@user-wk7qh9bv3x 134
2021년 11월 12일 00:43주식이 오르고 떨어지고를 모르듯이 부동산도 아무도 모릅니다. 그냥 본인이 생각하고 믿는대로 실행하면 되는거고 어떤 선택을 하던지 무리한 대출만 아니면 괜찮다고 봅니다.
@KAO_house 114
2021년 11월 11일 22:01영원한상승은없겠지
@세상세-q2f 108
2021년 11월 11일 22:17교수님 잘생김
근데 전망은 틀리셨던 분
@김기호-l7c 98
2021년 11월 11일 22:05교수님 말씀 과하지 않으면서도 뼈가 있습니다. 가장 신뢰가 가는 분이십니다
이srwgsh 88
2021년 11월 12일 12:03집값이 올라서 피해보는 20대 30대가 잇듯이 대출 과하게내서 투자한 사람들이 피해볼시기가 온거지..
호연 김 77
2021년 11월 12일 14:52카드대란 때처럼 절대 구제 해주면 안된다.
@차니-z4q 73
2021년 11월 12일 08:12실거주용 주택 한개 가지고있지만 진심으로 교수님의 전망이 맞았으면 합니다만, 교수님 전망이 맞았던적이 없었던거 같은데... 집값 진정이 되었으면 합니다.
@거상-d1b 64
2021년 11월 11일 22:02신기한게 집값오를때마다 위험하다고하는데 우상향으로 감...
Rus Cit 63
2021년 11월 11일 22:20요약: 현정부 부동산 정책은 없는 자들만 처맞는 구조. 15억 이상 주택은 큰 변동 없으나, 그 밑으로는 투자로 위험.
@인생은즐거워-l8o 57
2021년 11월 12일 15:33피해는 약자들이받고있다~ 슬픈현실이네요.
@파란나락 57
2021년 11월 12일 09:16지방매물 장난아니게 많이나와있어요 일부로 인터넷에덜올리는 시기에요 가보시면 장난아니에요
잎파리 55
2021년 11월 12일 01:15시장전체가 떨어지는가? O
중심지역이 떨어지는가? X
공급이 늘면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가? X
공급이 늘면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가? O
부동산은 외각지역부터 무너질 것이고
중심지역은 세월이 지날수록 귀해질 것입니다. 결국 중심지역의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려면 양도소득세와 다주택 중과세
등으로 억제시키는 방법을 유지하기보다 시장 유동성을 늘릴 수 있도록 정책을 만들어야 할것입니다. 중심지역은 경제활동 주체들이 거주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외각지역은 비경제 활동 주체들이 거주할 수 있도록 순환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결국 신규 공급보다 기존 공급을 늘리는 방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신규 공급이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다만, 신규공급을 계속해서 늘리는 방식으로 시장을 안정시키는 것은 언젠가 한계가 옵니다. 유령도시와 같은 공실이 많아질 수 있고 외각시세를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으로 얘기하는 것입니다.) 말이 안 되는 정책이라 생각할 수 있겠지만 현재 외각에 신혼부부를 위한 신도시보다는 노후를 위한 신도시 공급계획에 관한 도시계획을 세우고 공공 주택 등을 외각에 신규 공급하여 (나이 제한이나 특정 조건에 맞는 경우) 이주 시에 주택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할 수 있게 만들어주고 연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만 양도세를 부과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결과적으로 주택의 유동성이 늘어남에 따라 거래가 늘어나고 시장이 안정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방식에 대해서 비판하셔도 됩니다. 저게 정답이라서 얘기하는 게 아니라
결국 '유동성'과 '거래량'이 늘어야 시장이 안정될 것이고 중심지역으로 쏠리는 현상에 대처해야 할 것을 핵심으로 보고있습니다.
부동산가격이 시장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형성되는 가장 흔하고 효과적인 경우는 매물이 많이 쏟아져 나오는 경우입니다.
몇년째 지속되는 동결효과를 풀어내야 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주노-l5u 54
2021년 11월 12일 13:33결론 : 정부의 잘못된 규제가 사회의 약자층을 가장 많이 괴롭힌다.
채널K 47
2021년 11월 11일 21:57요약 : 22년부터 많이떨어질거다.
허허 42
2021년 11월 14일 18:06좀 좋은 차 사려고 알아보니 7천 8천 하는 것 보고 집값만 특별히 비싸다고 할 수 있나 하는 의문이 문득 들었습니다 모든 것이 어느새 올라 있더군요 내 소득만 빼고 ㅠㅠ
보뗄beautelle 38
2021년 11월 13일 20:3815억 이상의 아파트가 거래량이 20% 수준이 되었다. ( 2016년엔 10% )
30억 초고가 아파트가 2016년엔 2%였는데
2021년에는 거래량이 20%가 된다.
6억 이하는 2016년에는 서울전체의 80~90% 였다가 현재는 30% 밖에 안된다.
노도성이 2016년에는 6억원이 99%였는데
2021년 현재는 50%이다.
세종시를 제외한 광역시는 좀 위험하다고 본다.
지방투자는 현재는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다.
지금 가장 위험한 것이 꼬마빌딩이다. 아파트보다 더 위험하다.
@CH신사임당 38
2021년 11월 11일 22:20"하버드 박사 김경민 교수의 부동산 투자 리포트"
신간 <부동산 트렌드 2022>
https://bit.ly/3olIqYA
부동산 오픈데이터 플랫폼
'부트캠프' bootcamp.news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jobine3781 37
2021년 11월 12일 11:11교수님 도서관에서 서울스토리 강의를 넘넘 재밌게 유익하게 들었습니다 ㅠ. 봉사로 나누어주신 강의...너무 고맙습니다
@diddle119 37
2021년 11월 13일 00:28김경민교수님은 제가 본 부동산전문가중 가장 똑똑하신것 같습니다.
아는 방송국피디분들께 추천드렸어요.
부토리 재테크 35
2021년 11월 11일 22:14남들이 두려워할때 용기낸 사람이 부자가 됐습니다. 시장을 정확히 분석하면 용기가 아니라 확신이 될 수 있죠! 늘 공부하며 냉철하게 판단하여 성공해요 우리~
@요리간단해 35
2021년 11월 12일 02:34난 늘 이분 반대로 투자해서 큰돈 벌고 있는중 ㅎㅎ부동산투자는 이아저씨랑 반대로 하는게 맞다
D. C. Yang-양동주 30
2021년 11월 13일 02:45지방에서. . . 똑똑한 1채 전략으로 . . . 서울로 서울로 다 올라옴. ㅜㅜㅜ
@영훈임-y8k 30
2021년 11월 12일 15:03한 5년 전인가??그때도 모든 전문가들 일반인들이 집값 떨어지니 사지말라고 했던게 기억나네요~
@hwa-sooshin3996 25
2021년 11월 14일 19:095:10 요즈음 언급되는 신고가, 균형가격보다는 아웃라이어 거래량 감소 너무 소량! 평균 이동x
6:30 위험
9:00 인플레이션 심각해서 주택이 인플레 헷지 수단이 될 때….ㅠㅠㅠㅠ
11:10 꼬마빌딩 대출 많이 있어 위험
12:45 수익률_금리(이자) 와 임대료월세 상향 ㅜㅜ 자영업자 힘들어.. 14:25 설상가상…대출도 긴축
14:50 사려는 사람이 증발
15:30 금융과 강하게 연결 대출가능여부 대출 가능 정도에 따라 변동폭 달라질 것
17:08 약자
18:00 금융에 자산을 뺏기는 형국이 되지않게…
@사랑으로-g7e 25
2021년 11월 12일 18:32예로부터 부동산 주기라는것이 있습니다. 단순에 많이 올랐으니 1~2 년은 조정은 있을겁니다. 그러나 생각보다 굉장이 많이떨어지지는 않을겁니다. 조정시 매수하실분은 매수하세요. 물가 인건비가 올랐는데 가격이 떨어질까요?? 분양가 오른것 보소~~
@동동동-y8d 23
2021년 11월 13일 11:05정부는 서민층을 살릴지 중산층을 살릴지 자산가를 살릴지 고민을 할거고 조만간 한 계층은 정말 크게 무너질듯
다음정권에 따라 포지션을 잡아야겠네용
@user-zl1sk8ry6y 23
2021년 11월 12일 00:0522년 누군가는 틀리건데
그때 무슨말 할지 기대 되네요 ㅎㅎ
6월15일 22
2021년 11월 11일 22:29부동산 가격 레벨이 예전과 다름을 인정해야함.
서울과 세종을 제외한 지방 투자는 위험할 수 있음.
왜? 인구감소, 공급해소, 줄어든 거래량(거래량 많을 때 신고가는 맞는 가격이지만 그 이상 올라갔을 때 거래가 되지 않는다면 정상가격은 아닐지도)
주거용투자는 현재 힘들고 가지고 있다면 그냥 KEEP. 금리인상 수준 넘어서는 인플레이션 오면 지금 말한 건 취소퉤퉤퉤.
지금 접근이 가능하다고 괜히 투자 했다가 물릴 수 있으므로 상황 지켜볼 것.
주택을 묶으니 오피스텔, 저가주택, 꼬마빌딩에 수요몰리는거 같은디? 하지만 꼬마빌딩 공실 많음. 임대 잘 안되면 이자 내기 힘들 수 있음. 그럼 이자율 앞으로 계속 올라가는데 감당 가능? 그래서 찐 위험 꼬마빌딩임. 임대법 때문에 주변가격 상승해도 임대료 올릴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빌딩 가격이 올라가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고 팔아야 할 상황 발생할 수도 있음. 게다가 팔고 싶을 때는 다른 사람이 대출이 안되서 사지 못하고 매수자가 사라지면 하락이 크게되어 한강온도 체크 쌉가능
*본인 총알이 금리변동에도 견딜 수 있을지 시뮬레이션 잘해보라. 이거 계산 못하면 피똥쓰...
@handspanner6220 22
2021년 11월 15일 02:51두려움은 인간본성이고 그걸 뛰어넘어야 성공하는듯요. 취업 창업 사업 투자 등등 다 위험하고 무섭고 두려움.. 부자나 성공하는 사람은 똑같이 두렵지만 이겨낸것임
bmx 21
2021년 11월 12일 12:04신사임당님이 사실 부동산 고수라... 신사임당님 의견을 듣고 싶어요
@왕도토리-s3x 20
2021년 11월 14일 20:20호가는 호가 일 뿐이죠
매도자 희망 가격 ㅋ
영끌 개불쌍입니다!!!
일단 대출이 안됨
부자되는채널:KIND TEACHER JANE 15
2021년 11월 11일 22:51이론도 중요하고 실전도 중요하죠.....실전 고수분들도 게스트로 모셔서 말씀 들어보는 시간도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경희-l3u 14
2021년 11월 12일 18:39요즘 꼬마빌딩 인기로 잠시 관심만 가져봤는데, 교수님 말씀듣고 딱 접었네요.위험하군요!
감사~~
공Utang 14
2021년 11월 11일 21:58고금리 고유가 고물가 고환율 시대로 4고 경제항공모함이 터닝중입니다 .
바젤3 LCR 예대율 원금상환 등
금융시스템이 바뀌고 있습니다.
다주택은 이제 버티기 어려울겁니다
@bin-g7e 13
2021년 11월 12일 20:31😊정확한~분석인듯합니다~
감사합니다 ~🔊
@금요일저녁7시 12
2021년 11월 13일 03:09피해는 최근에 영끌한 1주택자만 봄. 자본주의는 항상 그래. 자본을 많이 가진자는 괜찮음.
@최명희-p6m 12
2021년 11월 11일 23:25감사합니다
@hermesh8896 12
2021년 11월 14일 09:09교수들이 재테크는 제일 못함
@남달인 11
2021년 11월 13일 11:58부동산 불패신화가 틀린 말이 아닙니다. 그러나 버블이 꺼지는 시점이 조만간 다가오고 있지요. 빚잔치로 흥청망청하다가 잃어버린 30년을 맞은 일본을 생각하세요.
대박계좌 11
2021년 11월 11일 23:26이분 나보다 똑똑하지만 난 반대로한다 지방에 소액아파트 매수
onward 10
2021년 11월 14일 23:58현재 미국에서 사재기가 일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
올리버쌤 유튜브에 나온 내용입니다.
일본도 2014년 바닥을 찍고 2017년부터 많이 올랐고 유럽 미국 일뷰 지역도 집값 폭등했다고 하네요.
박정훈 10
2021년 11월 11일 22:00죄송합니다만~~
뜬금없이 질문하고 꼭 해야합니다
제가 진접 서희 조합원 된지가 7년 가까이 되는데요~~~ㅠㅠ
추분~추분
이번에2차 추분 납득이 안가는 액수로
일반분얌보다 더 내는 입장인데요
그 긴세월동안
인내해서 버틴 결과가 ~~추분이라니 치사한데요, 왜냐구요?
조합원은 주택수 제한이 있어서 헐값에 집도 팔고 그당시 좋은 집들 지금 두배 이상입니다.
남양주시에서 기부체납이라고
시에서~ 나라에서~ 돈을 내라고 하네요~~~
이건 정말 너무하지않나요?
다음엔 조합원 아파트 다뤄주세요~~
플리이즈
저희 1200세대 넘구요
포천 송우서희스타힐스도 기가막히게 당해서
힘든분들 많았어요
어떻게 지역에서 제일 비싼 아파트가 조합원 아파트가 됩니까~~ㅠㅠ
돈없어서 싸게 사려고 노력한 세월 무시하는 기업과 나라의 횡포 아닙니까?
정말 죽겠습니다
@jinnn2553 10
2021년 11월 12일 12:52지방 꾸준히 관광이나 꾸준한 수요가 있는 신도시 외엔... 그닥 그래요 지방은
지방 투자했는데 잘된건 진짜 잘되도 안팔리는건 너무 안팔려서 터는데 손해보고 털고 나왔어요 ㅠ
@부자아줌마-o1c 9
2021년 11월 13일 17:55서민들만 피해를 보는 상황이 되는거군요
열심히 경제공부 해야 겠어요^^
@rzsxdcfv 9
2021년 11월 12일 09:19한국인들은 주택을 교통 주변인프라 같은 효율을 따지기 때문에 외국이랑 비교하면 안될것 같은데요.압구정아파트랑 한남동 주택이 같은가격이다 하면 이해 못하시는 하버드출신 교수님,한국인들 특징 먼저 아셔야 할듯.
@민재-l2u 8
2021년 11월 13일 16:06지인이 창동19단지 거주중 2.8억매수 현재 12억원하는데 강남의 두배상승율 같은기간 노원구도
강남의 2배상승율
@padacoconat 8
2021년 11월 12일 12:34데이터를 보여 주시면서 말씀해주셨으면 더 좋았겠네요~
팩트저격수 8
2021년 11월 12일 20:01내년 부동산 정보보다 이번주 로또 번호가 궁금하다
pionar lesmordo 7
2021년 11월 12일 08:50앞으로는 지금까지의 전월세 가격은 잊어야함
이제는 구축 아파트도 월 200-300내야지
강남 신축은 400-500내야지 들어갈수
있는 시대로 가고 있음 다주택자를 몰살하고
보유세를 올릴수록 당연한 결과임
@신명기-d2i 7
2021년 11월 18일 07:45인구보다
주택수가많으니까
거품이꺼집니다
다주택을잡아야한다
1가구1주택자는욕심내지말고
그자리에있으면된다
그래야다주택자
꼬리를내린다
보유세는 더올려야한다
가진것을고통스러운세상
을기대햐본다
건강하세요 최고로행복하세요
parkjt 6
2021년 11월 12일 22:02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리소 6
2021년 11월 11일 23:16결론은
분수에 맞게
내돈 내산 으로 살아라
김석후 5
2021년 11월 11일 22:54교수님도~임대업 하신가요??하신다고 들어서요~?
KOREA uncensored 5
2021년 11월 13일 13:25지금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이 반대 방향으로 가고 있는데 금융정책의 효과가 더 좋을 거라고 생각하시는건가요?
소금돌이 TV - 짠테크 & 주식 5
2021년 11월 11일 22:4522년엔 횡보느낌,,,
팡핑풍펭퐁 5
2021년 11월 15일 04:15대출이 껴있지않는 부동산은 없다.............이게 정설임.....
고디락스 5
2021년 11월 12일 12:42지방 조심 관련 의견은 조금 다르네요.
저도 서울에서 45년 거주하다 지방으로 이사왔는데,
지방 광역시 및 소도시도 완전히 없어지지 않는한, 아파트에 거주하려는 돈많은 사람들 많네요.
john Kim 5
2021년 11월 18일 09:56부동산 인식이 바껴야 떨어진다
근데 결국 10년뒤엔 어린친구들이 넘사벽이라고 생각하고 결혼도 안하고 애도 안낳고 결국 시점에 따라 시대가 바뀔꺼다
안의현 4
2021년 11월 12일 12:21감사합니다.
london boys 4
2021년 11월 13일 15:33집없는 사람이 있는사람보다 훨씬 많나보다 하락설에 환호하는 댓글은 어딜가나 많으니..
다들 그렇게 하락에 기대를 걸다가 몇년뒤 예전에도 살수 있던 매물을 뒤늦게 비싸게 사거나 아님 집을 사는게 더 멀어지거나..
나도 하락을 바랬던적 있었고 뒤늦게 비싸게 샀었다
그래도 지금은 대출 거의 갚을 수준으로 실거래가가 오른게 현실...
김동민 4
2021년 11월 18일 18:01지금 부동산 폭탄의 키는 임차인이 쥐고있는데 문제는 임차인이 본인들이 뭘 쥐고 있는지를 모른다는거죠.
@양반-k1v 4
2021년 11월 21일 10:44부동산도 이런저런 이유로, 이미 건전한 조정이 왔어야하는데, 너무 레이트 싸이클이었죠 이제까지....
@으랏차차-r7g 4
2021년 11월 12일 17:37전문가아니라 전문가할아버지들이 분석하고 아무리 예측해도..안맞는듯. 결국 가봐야 아는거고 지나봐야 알 수있는음..
@이정필-w1q 3
2021년 11월 20일 11:16집값 조정이 오는거지 노무현 이후처럼 큰폭하락 안옴. 꼬마빌딩역시 수익률 좋으면 팔겠냐? 아파트값 올라서 빈민은 어차피 월세살이고 수익률 좋은 꼬마빌딩은 어쩔수없이 오름. 차값 오른거봐라. 인플레이션은 이제 그냥 대세적인 흐름이지 서민들이 기대하는 폭락은 오기힘들다.
@부꿈-g3k 3
2021년 11월 14일 16:46* 강남 3구 20, 30대 mz 세대
성수동, 을지로. 충무로, 용산공원과 효창공원 사이, 영동포구청역 십자형, 강남 압구정
@thrma0518 3
2021년 11월 20일 11:44억지로 눌러놓았기 때문에 잠깐 발작하다가 오릅니다
방문간호 3
2021년 11월 12일 09:22교수님말씀 잘듣고있어요
감사합니다
오늘은 3
2021년 11월 13일 12:39서민주택이 정말 없어졌어요 ~~ 더 없으지면 큰일인데
@악마의유혹-w2j 3
2021년 11월 13일 02:39부동산거품 꺼진다 일본 사라진10년 된다 인구감소로 집값 떨어진다 수십년부터 나왔던 소리다 언젠가는 떨어지겠지 즉 10번중 9번틀리고 1번 맞추는 느낌이다 그 사이 빈부격차는 더 벌어지고
@예비리치 3
2021년 11월 14일 18:09실거주는 반전세로 보유는 똘똘한 한채. 이게포인트.
@bukug269 3
2021년 11월 15일 06:39능력대로 투자하고 주거수준도 결정합시다 ^^
손우성 3
2021년 11월 11일 22:05과연 우파정권에 사서 좌파정권에 팔아라가 정답이 될런지
돔황챠 리처드 2
2021년 11월 13일 09:09양도세 인하시점에 맞물려 조정기 시작될 가능성...
@힐링타임춘희 2
2021년 11월 15일 05:33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뒤에 커튼 넘 어둡고 거슬려요 그냥 밝고 깜끔한 배경이 좋을듯..차라리 그냥 깔끔한 블라인드가 낫겠어요 옆에 실내용 식물을 두던지..^^
JJ L 2
2021년 11월 11일 23:09근데 대한민국 인구가 갑자기 줄어들면 부동산 시세는 어떻게 되나요? 지금이 5천만명인데 10~20년후 3500만명이 된다는 가정하에
진선미 2
2021년 11월 12일 22:05무거워도 꼭 해야할 이야기네요 동감합니다
@user-ln2xq3ti1e 2
2021년 11월 22일 21:50어디 한번 두고 봅시다 맞는지
수지맘 2
2021년 11월 20일 09:38대출을 막았는데 어떻게 집을 사나요 ?? 전세 대출도 조여서 전세 살던 분들 월세로 옮기고 있어요 ㅠㅠ
잎새달 스무날 1
2021년 11월 11일 21:577
@bodybalance153 1
2021년 11월 16일 16:34잘 듣고갑니다~
일상이 1
2021년 11월 12일 22:59서울/경기도 아파트 같은 주택보다 다른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데, 공장이나 창고 투자는 어때요?
@자전거를탄풍경-g4t 1
2021년 11월 20일 20:31부익부 빈익빈의 심화. 상승기엔 작은거라도 잡은 사람이 결국 승자임. 조정이 오더라도 상승전 가격으로는 안 돌아감. 살 수 있었는데도 못 사는 만년 무주택자는 올라가면 떨어질까봐 못 사고, 떨어지면 더 떨어질까봐 못 삼. 해마다 얼만큼 인플레이션이 일어났는지, 과거를 보면 답이 나옴. 40년전 초등학교 다닐 때 과자 한 봉지가 20원~50원 이었는데, 지금은 천원 짜리도 보기 힘듬. 무려 50배 이상 상승함. 20대때 신촌에서 살땐 연탄 공장 주변에 5백만원 짜리 집이 있었음. 지금은 마포구 집값이 10억 이상 15억~20억 감. 아무리 떨어진들 조정 받고 또 더 올라가고 그래왔음. 그때부터 집 한칸없이 돈만 쥐고 있었으면, 정말 자식한테까지 가난을 물려주게 돼있음. 조정은 언제나 반복해서 왔지만, 그때는 내가 뭘 했는지 보면 답이 나옴. 기회 역시 준비된 자만 잡게되니, 시드머니 열심히 모아서 꼭 내가 살 집 한 채는 가지고 있어야 하고, 여유가 생기면 자식 명의로 더 마련해놔야함. 나중에 결국 자식들 임대아파트나 월세 살게 안 만들려면.
@StarryX2 1
2021년 11월 15일 09:02거래량 과소한 신고가...의문
인플/금리. 수퍼 인플레이션?
대출 축소의 풍선효과... 소형 빌딩 위험
6억 이하>지방>1억 이하>빌라 다세대... 위험은 자영 저소득층애게 전가 된 결과
@박하사탕초롱 1
2021년 11월 12일 09:22인플레의 가장 큰 원인은 통화량, 그중 달러인데 그게 한국정부의 금리인상 통제만으로 잡히는 문제인지 의구심이 들어요. 인플레는 전세계적으로 올 가능성이 크지 않나요
백호 1
2021년 11월 14일 18:08공부 많이하고갑니다
감사합니다
DUNEDIN & CLUTHA VALLEY TAEKWONDO NEW ZEALAND.👊
2021년 11월 12일 18:54👍
황선숙
2021년 11월 17일 23:31부동산트랜드 2022 읽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ÇILGIN ASLANLAR
2022년 3월 03일 05:03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시베리안백구
2021년 11월 23일 14:11투표잘해야한다고 한번더 느낍니다
GGood Btt
2021년 11월 18일 16:22참 희안하다.
월급은 안오르는데…
부자들 주머니만 차는구나.
cemre_bal_solmaz
2022년 3월 03일 05:03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농팜
2021년 11월 11일 21:521
김도현
2021년 11월 11일 21:531등
@하늘바람-n4w
2021년 11월 21일 12:53이젠 모르겠다~ 얼마전까진 더 오른다 지금은 떨어진다~ 지금 너무 올랐으니 좀 빠지긴 했음 좋겠다 ㅠㅠ
çağan eren yetiş
2022년 3월 03일 05:03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박명희
2021년 11월 18일 15:31감사합니다
@s3sdfsa0d0s9
2021년 11월 13일 02:25하이퍼 인플레이션을 대비해서 집을 산다는건 말이 안되는게
실제로 망하기직전 나라가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나오는데
그 건물 가격이 얼마든 나라 치안이 다 무너지고
월세가 급등하기 시작하면 지불능력이 없는 90프로 이상의
사람들이 돈을 무시하고 물물교환을 하고 건물을 불법 점거해서 살아갑니다
경제가 무너지고 치안이 무너지니 개인 재산에 대한 보전을 국가에서못합니다
왜냐 국가가 공무원에게 임금을 지불해야하는데 국가 화폐시스템이 무너지니까
경찰같은 공무원 고용이 불가해지는거죠
경찰한테 월급 200만원 지급했는데 200만원으로 물한통사면 경찰이 일을할까요?
나라가 망하는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대비해서 집을 산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거죠
그떄가 되면 개인 재산 개념이 없어지고 원시사회가 되는데요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오면 그때는 집값이 문제가 아니고
칼잘쓰고 사람잘때리는사람이 왕입니다
@gibongy4365
2021년 11월 15일 20:18오랜동안 신사임당님 채널 정말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 트랜디한 주제도 최고이구요. 다만, 얼마전 발표한 11.2기재부 유권해석관련 부동산시장에 그간 발표했던 그어떤 정책이상의 핵폭탄급 영향이 예상되는데 언급이 없으셔서... 열혈 구독자로써 요청드립니다. 일시적 2주택비과세 관련 컨텐츠한번 올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Eric Young
2021년 11월 11일 21:553
흥부기
2021년 11월 11일 21:574
영원한한량
2021년 11월 11일 21:584
푸시플로어 [재테크 주식 부동산]
2021년 11월 11일 22:46음 ㅎㅎ
롸잇나우
2021년 11월 11일 23:31지금은 대출규제, 비수기 겨울 내년 대선
@jaypark5481
2021년 11월 27일 18:32부동산은 진리입니다. 재개발예정 비교적저렴한지역은 먼저사는게 성공투자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