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몸의 행복이 있습니다. 마음의 행복이 있습니다. 몸의 기쁨 즉 감각적인 오감의 행복이 있습니다. 만족이라는 행복이 있습니다. 몸의 행복 즉 감각적인 행복이든 불행이든 개의치 않는 평정심으로서의 행복이 있습니다. 몸이 행복하면서 마음도 행복한 행복이 있습니다. 몸은 행복하지 않지만 마음이 행복한 봉사와 헌신 같은 행복도 있습니다.
에피쿠로스 학파가 지향했던 것처럼 몸의 여러가지 감각적인 행복을 절제해서 단순하고 저자극적인 성격의 행복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 가운데 님들의 행복은 무엇입니까. 어떤 상황을 동전의 양면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어떤 군인은 기압을 고통으로 생각하지만 어떤 군인은 기압을 체력단련으로 여기고 적극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몸의 기쁨을 최상으로 누렸던 사람이 감각적인 기쁨이 없는 상황에 놓이면 불행하다고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많이 잠자고 먹고 놀고 아름다운 풍경을 보면서 육체를 편하고 기쁘게 하면서 살을 많이 찌운 사람이 갑자기 아오지 탄광 같은 곳에 가서 극단적이고 몸을 괴롭히는 노동을 해야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어차피 그런 상황에 처해 있으니 마음을 바꾸라고 동전의 다른 면을 보라고 말하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는 것을 불교에서는 업이라고 하고 흰두교에서는 카르마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공자님의 중용으로서의 행복도 있습니다. 그리고 극단적인 분별과 이분법을 배제하는 불교적인 중도로서의 행복도 있습니다. 행복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나의 행복이 진정한 행복이라고 하지 않고 이렇게 사람들이 생각하는 여러가지 행복을 세세하게 나누어서 정의하면 철학적인 문제가 풀린다고 분석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말했습니다. 님들의 행복은 어떤 것입니까. 이렇게 하지 않고 나의 행복론이 맞다고
주장하는 식의 서양철학을 비꼬아 그는 말장난이라고 하였습니다. 말장난의 역사였다고 말입니다.
@미연-c2t 17
2021년 12월 20일 07:34우리 삶에 아하! 의 순간들은 선물처럼 찾아오지만, 그건 아이가 '벽장속의 괴물'을 무서워하고 견디는 시간이 있었기 때문일거에요..
@observer1144 7
2021년 12월 20일 10:34행복할 명분, 조건을 찾지않고
(생각을 사용하지 않고)
곧장 지금 행복을 선언한다면.
《나는 행복한 사람입니다.》
마음에 평온감이 깃드는 느낌과 제자리를 찾은 듯한 기분으로 하루 시작해봅니다.
써니즈님 감사해용 😇
크라운앰버서더🏆 4
2021년 12월 20일 07:18행복한 하루 되세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혹시 mbti 여쭤봐도될까요?ㅎㅎ
@Consciousness-401 4
2021년 12월 20일 09:51돌이켜보니,,
행복해지면 다 괜찮을 줄 알았는데, 또다른
모양의 불행이었습니다.
내가 세상을 바꿀수는 없으니, 이젠..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바꿔야겠습니다. 🤭
다들 오늘도 각자의 자리에서
수고많으셨습니다 🌸
"https://youtu.be/2_69hDmB634"
@bmjyenabmj6496 4
2021년 12월 20일 07:33지금,여기,행복이 있다! 자기만의 방식을 아는게 필요한거 같네요^^ 좋은 영상과 내용 감사합니다^^!!
@sophiapark9348 4
2021년 12월 20일 09:16알고있었지만 까먹고 있었던 무조건적인 행복이라는 것을 다시 상기 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활기찬 일주일의 시작 되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무무-j9i 3
2021년 12월 20일 08:03대 폭팔을 경험 했네요
조건이 떨어져 나가는 ㅡㅡ
지금 여기서 헌신 . .
그냥 행복 하세요 .
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suyounkim3507 3
2021년 12월 20일 07:51써니모닝 좋은 아침입니다
행복한 하루가 시작 되었습니다. 나를 불행하게 하는것도 행복하게 하는것도 나 자신입니다.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
@이상민-k7i 2
2021년 12월 20일 22:26써니즈님~
조금 생뚱맞게 들릴수 있겠지만
그냥 그대로 행복하기 ~카페를 운영하시는 우보거사님 만나서
삶과 진리를 논해 주시면 너무나 고맙겠고, 기대가 됩니다~!!!
@guitarkimstar 2
2021년 12월 20일 09:28행복을 느끼고 싶은생각이 많이 듭니다~ 저도 써니즈님처럼 좋은영향력을 펼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Macrocosmnouveauriche 2
2021년 12월 20일 07:38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blessedJiyeon 1
2021년 12월 25일 13:07행복을 미루지말자 ㅠㅠ 나 왜 눈물이 나죠 감사합니다
@김민숙-k3w 1
2021년 12월 26일 18:05감사합니다!! 영상이 참 아름답네요!!
@Sjwudhewbdi-t2q 1
2021년 12월 21일 00:12써니즈님~ 오늘도 하루의 마지막을 영상과 함께합니다 ㅎㅎ
익숙한 비지엠 , 풍요를 일깨우는 지혜,
듣기 좋은 목소리까지
문득 이모든것이 너무나 감사하게 느껴져 댓글을 남깁니다.
늘 응원합니다 ^^!
@Adela-m6p 1
2021년 12월 20일 08:07오늘도 감사합니다 🙏
@퇴근후3시간공부스트 1
2021년 12월 20일 09:13귀한 영상 감사해요 역시 삶은 생각하기에 따라 달라요 ㅎ🥰
@sseug_crochet1612 1
2021년 12월 20일 08:54오늘도 행복하기로 결심합니다! 감사합니다 써니즈님~~^^
@18족 1
2022년 1월 08일 00:19사고방식이 느낌을 못따라가 감정 ㅡㅡ
@jiwon4784 1
2021년 12월 20일 11:30오늘도 덕분에 행복을선언 합니다
무조건행복하기!
감사합니다!
@amor45 1
2021년 12월 20일 10:44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냐크냐크 1
2021년 12월 20일 07:50감사합니다
@user-bn6cw5gd9nchat 1
2021년 12월 20일 08:07공감100폐 이렇게살아야겠다
kim 1
2021년 12월 20일 22:19행복은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몸의 행복이 있습니다. 마음의 행복이 있습니다.
몸의 기쁨 즉 감각적인 오감의 행복이 있습니다. 만족이라는 행복이
있습니다. 몸의 행복 즉 감각적인 행복이든 불행이든 개의치 않는 평정심으로서의 행복이 있습니다. 몸이 행복하면서 마음도 행복한
행복이 있습니다. 몸은 행복하지 않지만 마음이 행복한 봉사와 헌신 같은 행복도 있습니다.
에피쿠로스 학파가 지향했던 것처럼 몸의 여러가지 감각적인
행복을 절제해서 단순하고 저자극적인 성격의 행복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들 가운데 님들의 행복은 무엇입니까. 어떤 상황을
동전의 양면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어떤 군인은 기압을 고통으로 생각하지만 어떤 군인은 기압을 체력단련으로 여기고 적극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몸의 기쁨을 최상으로 누렸던 사람이 감각적인 기쁨이 없는 상황에 놓이면 불행하다고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많이 잠자고 먹고 놀고 아름다운 풍경을 보면서 육체를 편하고 기쁘게 하면서 살을 많이 찌운 사람이 갑자기 아오지 탄광 같은
곳에 가서 극단적이고 몸을 괴롭히는 노동을 해야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어차피 그런 상황에 처해 있으니 마음을 바꾸라고 동전의
다른 면을 보라고 말하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는 것을 불교에서는 업이라고 하고 흰두교에서는 카르마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공자님의 중용으로서의 행복도 있습니다.
그리고 극단적인 분별과 이분법을 배제하는 불교적인 중도로서의 행복도 있습니다. 행복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나의 행복이 진정한 행복이라고 하지 않고 이렇게 사람들이 생각하는 여러가지 행복을 세세하게 나누어서 정의하면 철학적인
문제가 풀린다고 분석철학자 비트겐슈타인은 말했습니다. 님들의 행복은 어떤 것입니까. 이렇게 하지 않고 나의 행복론이 맞다고
주장하는 식의 서양철학을 비꼬아 그는 말장난이라고 하였습니다. 말장난의 역사였다고 말입니다.
@산단구라데쇼 1
2021년 12월 23일 12:12우리가 바라는 행복의잣대로는, 바다한가운데서 잔잔한 호수물결을 바라는거 만큼 부질없는것이구만...
고로, 그런날은 오지않아.....
지금 이순간부터 행복해져야해.
@annej9240 1
2021년 12월 20일 09:00지금.여기서 행복하기~~~^^
감사합니다
@유쾌한창조자의스토리 1
2021년 12월 25일 09:16완전히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이 책 꼭 읽어봐야 겠네요. 좋은 책 읽어주시고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좋아요 100개 누르고 갑니다.^^❤
@미도리토스 1
2021년 12월 20일 11:48책 너무 좋네요.. 지금의 저에게 꼭 필요한 책. 읽어봐야겠어요 ~
@iankspn 1
2021년 12월 20일 14:10제가 최근에 생각하고 오늘아침에도 딱 생각한 내용을 올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