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영역 즉, 전기가 통하는 속성을 특정 조건(온도, 빛 투광, 압력 등)을 통해 끄고 켤 수 있는 부품. 모레에서 추출되는 규소를 이용하여 만듦.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비메모리) 반도체 두 영역으로 나뉘며 시장규모는 시스템 반도체가 70%정도로 더 지배적임. 메모리 반도체는 말그대로 데이터 저장 용도이며 시스템 반도체는 저장 외의 연산, 제어, 변환 등에 쓰이는 모든 영역에 해당함. 시스템 반도체가 설계 난이도가 더 어려운편.
# 반도체 기업 생태계
## 주요 개체
팹리스(fab+less:제조 없이 설계만) - 파운드리(foundry: 생산) - 조립 및 검사(OSAT) | 종합반도체 기업(IDM)
삼성의 경우 이 세 단계를 분업하지않고 전부 생산하는 종합 반도체 회사인데 이는 메모리 반도체의 설계난이도가 낮은편이라 가능하고, 인텔과 같은 시스템 반도체 기업의 경우 높은 설계난이도로 인해 세 영역으로 분리되어 활동함.
메모리 IDM top3: 샘숭, 하이닉스, 마이크론
시스템 IDM : 인텔 외 등등..(인텔이 미세한 첨단공정으로 넘사벽 느낌인듯)
팹리스: 미국이 원조고 많음. 설계만 하지만 어지간한 IDM들보다 기업 규모가 큰 편. 엔비디아, 퀄컴, 브러드컴?, 미디어컴?, amd 등 한국엔 다소 영세한 편.
파운드리: TSMC는 파운드리만 함. 반면에 샘숭은 IDM이면서 파운드리도 함. 하지만 파운드리를 맞기는 클라이언트 팹리스들이 자신들의 설계가 삼성 팹리스로 흘러들어가는 경우를 우려한다는 신뢰 문제가 있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닉스는 아예 파운드리 기업을 분리해 독립시켰지만 샘숭은 그렇게까지 안함.
10나노 이상의 파운드리는 센서 등의 반도체로, 첨단공정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수요는 더 많은 편.
거의 모든 파운드리들이 수요보다 공급이 낮아 갑임. 케파가 부족해 100% 가동중으로 성장성이 높음.
OSAT: 패키지, 배선 등의 반도체 후공정 기업. 최근 반도체의 나노화의 기술 장벽이 도래해서 패키지 기업들의 마무리에 따라 퍼포먼스 차이를 만드는 영향력이 생김. 이러한 트렌드로 인해 주가 떡상중. 보통 파운드리 바로 옆에서 처리하는게 물류 이동간 이상이 생기는 변수를 줄이기때문에 유리함. 그래서 TSMC 옆의 ASE가 짱먹음. 2위는 엠코 테크놀로지, 자율자동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중이고 삼성파운드리와 파트너가 되어 기대치가 더 높아짐
## 보조 개체
일본 불매운동의 촉발점이었던 소재 수출 제제사건의 그 부품들.
# 추천 종목
☆ 본 방송의 투자정보는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엔비디아: 메타버스, 자율주행, 인공지능 수혜
에이에스엠엘: 7나노 미만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장비를 만들 수 있는 지구상의 유일한 기업.
파운드리 기업: TSMC, 샘숭. 근데 샘숭은 파운드리가 분리되어있지 않아 다른 파트의 실적과 묶일 수 밖에 없슴. 파운드리 자체는 추천. SK에서 분리한 하이닉스 시스템 IC(상장은 안되어있음), DB하이텍 파운드리
JIMBAE 22
2021년 12월 24일 19:51# 개요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영역 즉, 전기가 통하는 속성을 특정 조건(온도, 빛 투광, 압력 등)을 통해 끄고 켤 수 있는 부품. 모레에서 추출되는 규소를 이용하여 만듦.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비메모리) 반도체 두 영역으로 나뉘며 시장규모는 시스템 반도체가 70%정도로 더 지배적임. 메모리 반도체는 말그대로 데이터 저장 용도이며 시스템 반도체는 저장 외의 연산, 제어, 변환 등에 쓰이는 모든 영역에 해당함. 시스템 반도체가 설계 난이도가 더 어려운편.
# 반도체 기업 생태계
## 주요 개체
팹리스(fab+less:제조 없이 설계만) - 파운드리(foundry: 생산) - 조립 및 검사(OSAT) | 종합반도체 기업(IDM)
삼성의 경우 이 세 단계를 분업하지않고 전부 생산하는 종합 반도체 회사인데 이는 메모리 반도체의 설계난이도가 낮은편이라 가능하고, 인텔과 같은 시스템 반도체 기업의 경우 높은 설계난이도로 인해 세 영역으로 분리되어 활동함.
메모리 IDM top3: 샘숭, 하이닉스, 마이크론
시스템 IDM : 인텔 외 등등..(인텔이 미세한 첨단공정으로 넘사벽 느낌인듯)
팹리스: 미국이 원조고 많음. 설계만 하지만 어지간한 IDM들보다 기업 규모가 큰 편. 엔비디아, 퀄컴, 브러드컴?, 미디어컴?, amd 등 한국엔 다소 영세한 편.
파운드리: TSMC는 파운드리만 함. 반면에 샘숭은 IDM이면서 파운드리도 함. 하지만 파운드리를 맞기는 클라이언트 팹리스들이 자신들의 설계가 삼성 팹리스로 흘러들어가는 경우를 우려한다는 신뢰 문제가 있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닉스는 아예 파운드리 기업을 분리해 독립시켰지만 샘숭은 그렇게까지 안함.
10나노 이상의 파운드리는 센서 등의 반도체로, 첨단공정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수요는 더 많은 편.
거의 모든 파운드리들이 수요보다 공급이 낮아 갑임. 케파가 부족해 100% 가동중으로 성장성이 높음.
OSAT: 패키지, 배선 등의 반도체 후공정 기업. 최근 반도체의 나노화의 기술 장벽이 도래해서 패키지 기업들의 마무리에 따라 퍼포먼스 차이를 만드는 영향력이 생김. 이러한 트렌드로 인해 주가 떡상중. 보통 파운드리 바로 옆에서 처리하는게 물류 이동간 이상이 생기는 변수를 줄이기때문에 유리함. 그래서 TSMC 옆의 ASE가 짱먹음. 2위는 엠코 테크놀로지, 자율자동차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중이고 삼성파운드리와 파트너가 되어 기대치가 더 높아짐
## 보조 개체
일본 불매운동의 촉발점이었던 소재 수출 제제사건의 그 부품들.
# 추천 종목
☆ 본 방송의 투자정보는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엔비디아: 메타버스, 자율주행, 인공지능 수혜
에이에스엠엘: 7나노 미만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장비를 만들 수 있는 지구상의 유일한 기업.
파운드리 기업: TSMC, 샘숭. 근데 샘숭은 파운드리가 분리되어있지 않아 다른 파트의 실적과 묶일 수 밖에 없슴. 파운드리 자체는 추천. SK에서 분리한 하이닉스 시스템 IC(상장은 안되어있음), DB하이텍 파운드리
책읽어주는여자 주연이 12
2021년 12월 24일 13:21반도체 파운드리/팹리스- 제조/조립 및 검사OSAT/ 각 종류에 대한 세분화된 설명 감사합니다. 이렇게 전문가가 쉽게 이해되게 설명해주니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플랜B_시몽 8
2021년 12월 24일 13:22막연히 알고있었던 다양한 반도체 생태계를 잘 모르는 저같은 사람들에게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내용이였습니다.
지윤 8
2021년 12월 24일 13:29어렵게만 생각했는데 듣다보니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주가 따라 사고팔던 투자가 참 무식했다는 생각이...말씀하신대로 종합적 생태계를 이해하니 어떻게 투자해야할 지 조금은 정리가 되네요
어려운 이야기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셔서 감사합니다!!!
당신의시간을아껴드립니다 3
2021년 12월 24일 12:10교수님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박혜경 3
2021년 12월 24일 13:28반도체주에 관심있는데
설명을들으니 굉장한도움이 됩니다.
스터디언 3
2021년 12월 24일 12:01권영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반도체 비즈니스]📘
👉 http://kyobo.link/nVz1
라라라엘 2
2021년 12월 24일 21:18이런걸 원했어요 😍😍😍😍😍😍😍
가는이 2
2021년 12월 24일 13:30반도체는 반도껄 써야죠 ㅎㅎ
김강태 2
2021년 12월 24일 15:33좋은설명 감사합니다~
스위트바즐 2
2021년 12월 24일 12:40반도체에 대해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크리스마스 잘 보내세요
박미륵 2
2021년 12월 24일 12:50멋진 말씀 감사합니다
슈크림 2
2021년 12월 24일 13:00잘들었습니다 ㅎㅎ
무지개 사전 2
2021년 12월 25일 15:39좋은 네용 감사합니다. 국내 관련업체들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다루어 주면 좋겠네요.
뱅갈고양이 2
2021년 12월 24일 12:35감사합니다
조윤미 1
2021년 12월 24일 18:16반도체 궁금했어요
이카카 1
2021년 12월 24일 16:32이내용 이상의 강의한번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른채널에서도 뵈었습니다 ㅎㅎ 책잘읽었씁니다 !
안나 하모니카 Anna Harmonica 1
2021년 12월 25일 08:56이해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리랜서 H 1
2021년 12월 24일 16:58이분이 진짜 반도체마스터네 ㅎ
감성축제 1
2021년 12월 24일 13:35좋은내용 감사합니다. 코로나 조심하시고 크리스마스 잘 보내세용!!
현맘 1
2021년 12월 25일 09:00반복해서듣고있습니다
칸의 모든적을 막겠나이다 1
2022년 1월 18일 16:09반도체는 더이상 국민 3만불 이상 4~만불 가기 힘들거에요 반도체는 끝물이고 이제는 5만불 이상 가려면 기업들도 바이오 생산 쪽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바이오 인공지능 만이 초일류 미래에 없어서는 안될 기술입니다 하루빨리 초일류로 가기위한 시작을 해야할 것입니다
소금돌이TV - 짠테크 투자 1
2021년 12월 24일 16:42반도체 정리 감사합니다 ㅎㅎ
Making Happiness in LA행복만들기
2021년 12월 26일 16:15자세한 설명을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Making Happiness in LA행복만들기
2021년 12월 26일 16:18Fab+less 팹리스 설명… 넘 감사합니다 ☺️
V10 Bears
2021년 12월 30일 13:38새 귀인을 발견했네요
누루달려
2021년 12월 29일 10:53매우 유익하고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