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월급쟁이가 15억~20억 가까이 하는 33평 아파트를 현금으로 구매가능할까요? 동네가 평균 33평 신축 20억 전후로 거래가 되는데요, 도저히 분양말고는 접근이 어렵다고 봅니다. 대기업 부장 급여도 연차수가 좀 된 사람도 1억정도예요. 언제까지 회사에서 써줄까요? 생각보다 현금이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호가는 높지만 거래는 잘 안 되고요. 입지좋은 동네라 분양은 1순위 마감이긴 합니다. 18억에 사서 25억에 팔 자신 있으면 사시면 되구요~ 본인 돈 100%, 20억 가까운 돈을 빌려서 산다면 걱정입니다. 가진 돈도 별로 없고, 젊은 친구들이라면 더 종잣돈 차근차근 버세요~ 기회는 또 옵니다~ 주식도 아파트도 모두들 환호할 때 위험하다고 봅니다^^~ 버는 돈 범위 안에서 주식, 부동산 공부하고 투자하면 조금씩 자산 늘어요~ 차근차근 공부하면서 무리하지 마세요!!^^~ 몸이 제일 중요합니다~ 건강해야 돈도 더 많이 벌 수 있습니다!!!
1살이라도 어릴 때 부동산과 주식을 공부하시길 바래요. 아무도 알려주지 않습니다..집값은 오르락 내리락하지만 길게 보면 결국에는 우상향합니다. 사람들이 생산하는 경제활동을 하기 때문이죠..아직도 오르지 않은 곳은 찾아보면 많습니다..전세살면서 열심히 살면 이사다니다가 돈만 쓰게 됩니다. 감당가능한 범위에서 실거주하시고 투자하시길 바래요. 늘 부자되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집값이 상승한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은 정부에서 불경기때문에 돈을 안풀수가 없기 때문에라고 이유를 제시하고, 집값이 하락한다고 하는 사람들은 금리올리고 긴축정책을 할것이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제시한다. 결국 양쪽다 일리가 있는 말이며 내년에 정부가 금리와 통화량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달릴 것 같다. 상승론자든 하락론자든 둘이 싸울 게 아니라 내년의 정부와 한은의 스탠스를 잘 예측하는게 더 중요할 듯 합니다. 무주택자와 유주택자 모두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소장님 의견 넘 잘 배우고 갑니다. ‘대선에서 나아질 기대로 좀 다른 선택을 하면 될것이다’라고 생각했었는데 점점 어느 누가 되어도 나아지진 않을것이다 라는 확신이드네요. 다만 주의 할 부분이 나지금보다 나아지진 않지만 ‘더 나빠질 후보를 걸러야 한다’는 생각치 못했던 사실이 점점 드러나는 시점입니다
너무 정치적인 발언을 하시네요. 그리고 우리가 누구의 말을 들을 땐 누가 하는 말인가? 어떤 목적으로 하는가? 항상 생각해 봐야합니다. 자신의 이익 또는 속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하는 건 아닌가 판단하며 들어야 합니다. 평소 김작가 tv를 좋아하고 많이 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들으면서, 부동산 전망도 양쪽 다 들을 수 있도록 게스트를 고루 초대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소장 등등의 직함을 가진 분, 부동산 관련 일 하시는 분들은 객관적이기 힘든게 사실입니다. 팔이 안으로 굽는 법이고 그것이 생업과 연결되니까요. 많이 걸러서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반도체 쪽으로 외국에서 사업만 하고 집은 나중에 라고 생각하면서 살았는데 코로나로 갑자기 사업 접고 취업하게 되었습니다 취업과 함께 청약에 대해 알아보다가 갑자기 서울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었습니다. 지금은 너무 너무 맘이 편합니다. 일주택의 편안함을 잘 느끼면서 지금은 지방에 취업해서 열심히 잔금 모으고 있습니다
모든 전문가들이 상승을 이야기 합니다. 수도권에 한하여 똘똘한 한채를 이야기들 하시죠. 지방의 부동산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지방은 서울 수도권에 비해 임금이 대부분 낮은편인데요. 이거슨 스테그플레이션이며 버블에 끝자락에 있는걸 많은 분들이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대출은 콋돈 1번 탄 경우와 같음 옛날엔 대출이 없으니 계 들어서 급한사람은1번 이나2번째에 타고 대신 이자+곗돈 냈던거와 현 시대에는 계 대신 은행대출로.. 목돈마련하는거 맞죠이~~ 저는 지금58세인데 29세때부터 대촐받아가며 자산증식 꾸준히 하는중입니다요~^^ 은행한테 늘 감사해요~
고수들은 2021중반에 거의 빠져나갔습니다. 아직 가지고 계신분들은 상승에대한 잔상효과 때문이겠죠. 작년10월부터 매수자 없어요. 작년에 영끌하신분들은 거의가 20~30대로 초보 투자자이실텐데요. 점점 부부싸움도 많이 하실거고... 하락시에도 6~7년 하락합니다. 개인적인 예상은 40프로정도...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부동산업에 계신분들 예기는 그저 참고로만 하시는게좋아요. 그분들 물량은 누구한테 떠넘기죠?
유동성과 수요공급의 논리로 오른다고 얘기하는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린겁니다. 사람들의 심리 즉 사고자하는 사람의 심리 팔고자하는 사람의 심리를 빼놓고 얘기하는건 아니죠~ 지금 파는 사람들은 어떻게든 내년 기회를 노려 팔고자할테고, 사려는 사람들은 최대한 늦게 사려고 할겁니다 결국 누가 조급해지냐의 싸움인데 매수자들은 올해 똥줄타다가 이제 다 내려놓은 상태입니다. 결국 매수자가 조급해지는 해가 될것입니다. 고로 하락~~~!
그렇다면 과거 집값이 하락할 때는 유동성이 줄어들어서 그랬다는 말씀인가요? 그게 아닐텐데요... 유동성 풍부가 돈 없는 사람이 돈이 생기는 게 아닙니다. 살사람들이 많이 사버린 후에는 내리는 겁니다. 지금 주식시장에서 8개월 9개월 동안 곡소리가 나고 있는데, 그와 유사한 겁니다.
소장님 결론은 내년도 국가예산이 늘어나 유동성이 풍부해져서 집값이 오를것이라는건데 금리 각종 세금 인상 대출규제가 지금과 같다면 과연 집은 무슨돈으로 살수 있을까요? 똘똘한 한채의 가치는 이해가 가는데 그럼 똘똘하지 못한 집은요? 돈이 전처럼 돌고 대출이 원활하다면 똘똘하지 못한 집도 누군가 사주겟지만 내년 3월부터 미국 금리도 오른다는데 좀 무책임한 말 같아 보임
책임지지않을 말을 인플레션 탓으로 돌리기에는 너무 절벽으로 온것은 아닌지 3경이라는 돈이 풀렸지만 그것만 믿기에는 현상황에 대한 어떠한 경제학자도 미래를 장담하기힘들다고 했습니다. 돈의 가치가 아무리 하락한다해도 결국 자신이 값아야 할 부채라는것을 잊지않았으면 좋겠네요. 1가구1주택 누군가 들에게 자극하기 좋은말이지만 그걸위해 떨어지는 자산에 투자하여 죽을때까지 고통받을수 있는 발언입니다.
1주택 보유세가 핵심입니다. 우리나라는 1주택 보유세가 선진국 중 최하위이기 때문에 정책 옵션이 많습니다. 가령 표가 되는 15억-12억 이하의 주택을 이대로 가고, 20억 이상 주택에 대해서 미국 뉴저지 수준으로 폭탄을 때릴 수 있습니다. 똘똘한 1채도 고가주택은 정책에 따른 고무줄 가격이 예상됩니다.
지방에 3채 가진것과 강남 1채와 비교 부분에 이의가 있다. 투기 목적 다주택자 규제는거주할 집이 필요한 사람들의 기회를 박탈 하고 있는 현실에서 제한을 가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규제다. 이제막 시작하는 신혼이나 청년들의 거주 기회를 막아버리는 지금의 투기성 부동산 현실에서 정부가 최소한의 구제를 위한 시장의 물량을 늘리기 위한 규제이기 때문에 지방의 집값이 더 싸다고 하더라도 꼭 필요한 규제다.
열역학 제2법칙(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은 전체 계(system)의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우주 전체의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변화 현상은 일어날 수 없다. 따라서 엔트로피는 일반적으로 보존되지 않고,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정확한 열역학 제2법칙의 정의는 '우주의 엔트로피는 자발적인 과정에서는 항상 증가하고, 가역적인 과정에서는 변화하지 않는다.'이다. 돈도 은행들이 있는한 계속 늘어난다
투미부동산[투미TV] 141
2021년 12월 27일 18:19투미 김제경 소장입니다.
2022년 전망을 해보았는데, 판단하는 데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결국 여러 요인 중 핵심이 무엇인지 체크하는 게 중요합니다!
바람의서쪽 75
2021년 12월 30일 18:55평범한 월급쟁이가 15억~20억 가까이 하는 33평 아파트를 현금으로 구매가능할까요? 동네가 평균 33평 신축 20억 전후로 거래가 되는데요, 도저히 분양말고는 접근이 어렵다고 봅니다. 대기업 부장 급여도 연차수가 좀 된 사람도 1억정도예요. 언제까지 회사에서 써줄까요? 생각보다 현금이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호가는 높지만 거래는 잘 안 되고요. 입지좋은 동네라 분양은 1순위 마감이긴 합니다. 18억에 사서 25억에 팔 자신 있으면 사시면 되구요~ 본인 돈 100%, 20억 가까운 돈을 빌려서 산다면 걱정입니다. 가진 돈도 별로 없고, 젊은 친구들이라면 더 종잣돈 차근차근 버세요~ 기회는 또 옵니다~ 주식도 아파트도 모두들 환호할 때 위험하다고 봅니다^^~ 버는 돈 범위 안에서 주식, 부동산 공부하고 투자하면 조금씩 자산 늘어요~ 차근차근 공부하면서 무리하지 마세요!!^^~ 몸이 제일 중요합니다~ 건강해야 돈도 더 많이 벌 수 있습니다!!!
아침1도 - 부자와 빈자의 징검다리 73
2021년 12월 27일 17:27정말 사람마다 이렇게 의견이 다른게 또 신기하네요~ 늘 객관적인 입장에서 안내해주시는 작가님 감사합니다^^
이엔 63
2021년 12월 27일 17:412020년에 찍은 영상인가요?
과거에서 오셨나....
집보러 두달째 아무도 안옴...
맛동산 56
2021년 12월 27일 17:29월급 안오르고 교통비 안오르고 짜장면 안오르면 부동산 하락도 인정하겠는데 부동산만 그런게 아니라 과자값이든 핸드폰 값이든 금값이든 뭐든 다 올랐음. 즉 본질은 화폐가치 하락임
@kindteacherjane7912 51
2021년 12월 27일 20:401살이라도 어릴 때 부동산과 주식을 공부하시길 바래요. 아무도 알려주지 않습니다..집값은 오르락 내리락하지만 길게 보면 결국에는 우상향합니다. 사람들이 생산하는 경제활동을 하기 때문이죠..아직도 오르지 않은 곳은 찾아보면 많습니다..전세살면서 열심히 살면 이사다니다가 돈만 쓰게 됩니다. 감당가능한 범위에서 실거주하시고 투자하시길 바래요. 늘 부자되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izzie Lee 42
2021년 12월 27일 20:14저도 내년에 양극화 심질것같고.. 올라갈것같아요. 저 아파트없어요 자산도 별로없어요. 근데 올라갈것같아요. 그럴것같은데도 돈이 부족해서 못사요. 슬픕니다.
@macjerry8725 41
2021년 12월 27일 23:42이분은 집값이 떨어진다고 말할 수가 없지요. 마치 증권회사 영업직원이 주가 떨어진다고 말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즐겨~ 39
2021년 12월 28일 06:52집값이 오르는게 아니고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것이 아닐까요?
@user-jq1nz4mq3r 36
2021년 12월 27일 21:05집값이 상승한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은 정부에서 불경기때문에 돈을 안풀수가 없기 때문에라고 이유를 제시하고, 집값이 하락한다고 하는 사람들은 금리올리고 긴축정책을 할것이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제시한다. 결국 양쪽다 일리가 있는 말이며 내년에 정부가 금리와 통화량을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달릴 것 같다. 상승론자든 하락론자든 둘이 싸울 게 아니라 내년의 정부와 한은의 스탠스를 잘 예측하는게 더 중요할 듯 합니다. 무주택자와 유주택자 모두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user-tm1gj1zr6j 33
2021년 12월 30일 19:46소장님 의견 넘 잘 배우고 갑니다. ‘대선에서 나아질 기대로 좀 다른 선택을 하면 될것이다’라고 생각했었는데 점점 어느 누가 되어도 나아지진 않을것이다 라는 확신이드네요. 다만 주의 할 부분이 나지금보다 나아지진 않지만 ‘더 나빠질 후보를 걸러야 한다’는 생각치 못했던 사실이 점점 드러나는 시점입니다
@kmh6874 32
2021년 12월 29일 13:44말씀 정말 조리있게 이해하기 쉽게 잘하시네요. 딕션도 좋으시고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
세라파덜 30
2021년 12월 27일 21:16지금도 상승에 거는 사람들이 있구나~
큰 흐름상 이제 유동성 회수로 각국이 돌아선건 자명해보이는데~ 이 높은 가격을 계속 받아주면서 계속 오른다고 보시는게 놀라울따름
어머나 30
2021년 12월 27일 18:04헌집은 내려갈 수 있지만
작은집 지으려니 자재값...ㅠ
방부목 판자 1개 6000원대에서
10000 이 넘네요.
@jaybee_world 29
2021년 12월 29일 15:17내년에도 양적완화를 하게 되면 화폐가치가 떨어져 부동산 가치는 상대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커지겠습니다.
@user-cq8tz8ic1m 28
2021년 12월 27일 21:07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Lee-lg6jq 28
2021년 12월 27일 22:14부동산 업계의 아이돌 - 김재경 소장님 당신을 응원합니다..
긍정의 포스 27
2021년 12월 27일 19:19부동산주치의 오셨네요~~!!난 소장님의견에 동의함 시간지나면 다알게된다~~!
@user-xp4iu2tw5x 27
2021년 12월 28일 07:41와 김제경소장님이 또 김작가님 채널에 나오시다니 너무너무 대박
@user-lp3vu8kp5h 26
2021년 12월 27일 20:13김제경 소장님나온건 무조건봐야지 ㅋㅋ
@user-vs9sw8kt2l 25
2021년 12월 28일 02:51실물자산은 어찌되던간에 우상향 한다
futurebong 24
2021년 12월 28일 00:29투자를하는 다주택자입장에서는 당연히 더오르는게 고가매도할수있으니 계속 오르는쪽으로 얘기하고, 영끌호도하려하지않을까요? 금리인상.대출규제 등으로 조정분위기와 거래급감시점에 영끌걱정하는 일부 전문가들은 리스크관리 얘기하던대, 잘판단할시점인거같네요.
영심 한 24
2021년 12월 27일 18:39너무 정치적인 발언을 하시네요.
그리고 우리가 누구의 말을 들을 땐
누가 하는 말인가?
어떤 목적으로 하는가?
항상 생각해 봐야합니다.
자신의 이익 또는 속한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하는 건 아닌가
판단하며 들어야 합니다.
평소 김작가 tv를 좋아하고 많이 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들으면서, 부동산 전망도 양쪽 다 들을 수 있도록 게스트를 고루 초대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소장 등등의 직함을 가진 분, 부동산 관련 일 하시는 분들은 객관적이기 힘든게 사실입니다. 팔이 안으로 굽는 법이고
그것이 생업과 연결되니까요.
많이 걸러서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gilhoonjang423 24
2021년 12월 30일 02:05코로나라는 변수로 부동산이 다시 2년동안 우상향 한거 같은데 그걸 상승론자들은 지들이 맞춘걸로 착각하고 있는데 함 하락을 느껴봐야 아 이게 무섭구나 할꺼다
@heehwang746 24
2021년 12월 27일 18:24인터뷰하는 사람이 집값이 오르면 좋은지 아닌지 판단하면서 보면 될듯... 사람은 입장에 따라 생각이 다르기 때문...
@hojun1363 23
2021년 12월 31일 00:52뉴욕맨하탄, 샌프란시스코 등을 보면서 강남은 충분해진 돈(총량, 유동성)이 바닥이 날 가능성이 희박하다면 조금씩이라도 올라갈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도 계속 오른다에 한표. 다만 부동산의 상승폭보다 주식이나 금융관련 투자의 이익폭이 더 높다에 또 한표.
경.자. 22
2021년 12월 27일 20:12최근의 급격한 상승은 아니겠지만
계속 우상향 한다에 한표.
그렇게 속고도 하락한다를 또 맏는 사람들이 진짜 신기할뿐.
대선때문에 못올라가게 대출을 억지로 막아서 거래를 못하게 만들었는데
이게 아닌 상태에서 그랬다면 이해하겠지만 지금은 억지로 거래를 못하게 막아놓은것뿐.
majomaji 21
2021년 12월 28일 23:03멸실된 재개발 구역 사두기엔 요즘 너무 목돈이 많이 들어요. ㅠㅠ 정말 여유자금 많은분들은 모르지만 1주택자가 일시적2주택으로 멸실주택을 사기위해 돈을 넣기엔 정말 힘든거 같아요. ㅠㅠ 대출도 안나오구요.
보면 볼수록 똑똑해지는 스튜디오, 보똑스 20
2021년 12월 27일 18:23부동산은 주식처럼 바닥찍고 사려는게 아니다. 고점이라고 손털고 월세살거 아니니까... 1주택자는 그냥 중립 포지션입니다.
@dreamssong 19
2021년 12월 27일 20:17소장님 말씀 듣고 사야겠어요. 집값이 떨어질리가 없지요~^^
@ysc2917 19
2021년 12월 29일 17:46반도체 쪽으로 외국에서 사업만 하고 집은 나중에 라고 생각하면서 살았는데 코로나로 갑자기 사업 접고 취업하게 되었습니다 취업과 함께 청약에 대해 알아보다가 갑자기 서울 아파트 청약에 당첨되었습니다. 지금은 너무 너무 맘이 편합니다. 일주택의 편안함을 잘 느끼면서 지금은 지방에 취업해서 열심히 잔금 모으고 있습니다
@user-wn5fw8ht3p 19
2021년 12월 28일 16:42좋은 정보영상 감사드립니다..
그믐 17
2021년 12월 27일 18:03토지보상금은 아직 풀리지도 않았다. 내년 1월부터 2년간 40조가 풀리는데.. 서울 입주가 24년까지 씨가말랐고
기도 16
2021년 12월 27일 22:26이분의 직업은 상승론자여야 합니다 ㅎ
mama hil 16
2021년 12월 27일 18:11역쉬 김제경 소장님^^
@kyp1695 16
2021년 12월 29일 01:20유동성은 금리 올라가면 끝이고, 다주택자규제는 일시적완화 예정이랍니다
z 15
2021년 12월 28일 03:25세상엔 다양한 사람들이 많으니
@user-oz8bo4rn3t 14
2021년 12월 27일 19:55오랜만에 뵈도 여전히 잘생기신 김제경소장님~~~^^반가워요
@chanlee2482 14
2022년 1월 01일 10:50다주택자들이 똘똘한 한채로가면 매도물량은 엄청 많아지는거 아닌가요?
@user-xv1yz9zg5q 14
2021년 12월 28일 11:05양도세와 종합과세 세금폭탄이 있는한
집값이 떨어질 모멘텀은 없어보입니다.
단지 더 오른다는 것은 무리고 떨어져도 많이 떨어지진 않을것 같습니다.
@user-rg3pu5lr5x 13
2021년 12월 28일 17:59김제경 소장님 김작가 님
감사드립니다 ~^^
@brandon9063 13
2022년 4월 28일 13:57응 4개월전 2022년도 딱히 달라질것 없다고 햇지만 지금 부동산 실거래가 함 봐라,, 뚝뚝 떨어지는중... 문제는 아직 시작도 안했다는거,, 연준 빅스텝 밟고 주담대 펑펑 올라가는순간 헬게이트 오픈된다. 아직도 상승장에 표를 던지는 사람이 있네. 전문가 맞냐?
구미젤리 13
2021년 12월 28일 01:03모든 전문가들이 상승을 이야기 합니다. 수도권에 한하여 똘똘한 한채를 이야기들 하시죠. 지방의 부동산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지방은 서울 수도권에 비해 임금이 대부분 낮은편인데요. 이거슨 스테그플레이션이며 버블에 끝자락에 있는걸 많은 분들이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blackstock2067 13
2021년 12월 28일 11:21영상 재밌게 보고 갑니다~~😄
@doqueen33 13
2021년 12월 28일 14:37이분 진짜 멋지시네요 ♡ 대전 유성구 살고있는데 ㅎ 확 와닿네요 ~^^
@user-zw1bn2cj1y 13
2021년 12월 29일 02:12많은 유튜브들이 하락예상 하던데
소장님은 상승예상이네요~
@user-yp5ny5rr5q 12
2021년 12월 29일 05:02아..갑자기생각나는건요 똘똘한한채..명문대학..명품..또있나요
여기서자유로우면삶을좀더행복하게살수있을것같은데요 모든사람이행복하게사는대한민국이되길..
@skkim3419 12
2021년 12월 29일 03:04김작가에서 보니 더 반갑네요!!
@user-bd6nz8js2u 12
2021년 12월 29일 22:35대출은 콋돈 1번 탄 경우와 같음
옛날엔 대출이 없으니 계 들어서
급한사람은1번 이나2번째에
타고 대신 이자+곗돈 냈던거와
현 시대에는 계 대신 은행대출로..
목돈마련하는거 맞죠이~~
저는 지금58세인데 29세때부터
대촐받아가며 자산증식 꾸준히
하는중입니다요~^^
은행한테 늘 감사해요~
@madein390 11
2021년 12월 30일 13:50저두 공감요 양극화 더 심해지고 열심히 일해서 세금만 바쳐야할 뿐
초록이 11
2021년 12월 31일 17:45무주택자는 돈 없어서 못사는 사람이 많아서 분양가도 많이 올라서 못산다.양극화 사회가 극심해지는거임..
나희순 11
2021년 12월 28일 07:23걱정이네요~.가계 부채 세계 1위
@dhson1571 11
2022년 1월 25일 17:30어제 우연치 않게 용인에 가게됬는데 밤 11시쯤 높은 아파트에 불커져 있는집이 20개가 안되는걸 보고(거주하는 사람이 없다) 집값에 심각성을 느낀다...
@helloseob 9
2022년 1월 01일 14:09궁금한게 가족간 차용증 쓰면 법정이자율 최저 4.6%이상이어야 한건가요?
@loosdk3111 9
2022년 6월 18일 02:592022년 예상 다 틀리셨네요...되게 아는 척, 분석적인척 하시는데 싹 틀리셨군요...전문가 행세는 그만하시는게 좋을듯. 조용히 사업하세요...
chol pak 9
2022년 1월 03일 14:00고수들은 2021중반에 거의
빠져나갔습니다.
아직 가지고 계신분들은 상승에대한
잔상효과 때문이겠죠.
작년10월부터 매수자 없어요.
작년에 영끌하신분들은
거의가 20~30대로 초보 투자자이실텐데요.
점점 부부싸움도
많이 하실거고...
하락시에도 6~7년
하락합니다.
개인적인 예상은 40프로정도...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부동산업에 계신분들
예기는 그저 참고로만 하시는게좋아요.
그분들 물량은 누구한테
떠넘기죠?
Yellen J 9
2021년 12월 29일 19:56평생 어디 이사 안가고 거기서 산다는 가정하에면 무조건 주택 한채산다는 말이 맞겠네요
@user-eg8ne3kr4e 9
2022년 1월 03일 12:19역시 갓제경 입니다
향풀 9
2021년 12월 27일 17:02감사합니다
@user-mi6jx3hy3n 8
2021년 12월 29일 13:54국민아들김제경소장님~~~
jisu jung 8
2021년 12월 27일 20:38유동성과 수요공급의 논리로 오른다고 얘기하는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린겁니다.
사람들의 심리 즉 사고자하는 사람의 심리 팔고자하는 사람의 심리를 빼놓고 얘기하는건 아니죠~
지금 파는 사람들은 어떻게든 내년 기회를 노려 팔고자할테고, 사려는 사람들은 최대한 늦게 사려고 할겁니다
결국 누가 조급해지냐의 싸움인데 매수자들은 올해 똥줄타다가 이제 다 내려놓은 상태입니다.
결국 매수자가 조급해지는 해가 될것입니다. 고로 하락~~~!
P.H. SIN 8
2021년 12월 29일 15:32상승얘기하던 전문가(?) 입장 대부분 바꿔서 지난 9~11월이 변곡점이라고들 하는데 대체 무슨 소릴하는건지....그리고 테이퍼링 이후에 그 풀린 유동성을 회수한다는 말이 없다고?? 금리가 인상되면 그 유동성이 회수되기 시작합니다...
강석윤 8
2021년 12월 27일 23:00이분입장에서 떨어지면 안되니까 그렇죠
@user-sj3yb7nb3g 8
2021년 12월 30일 07:12자동차 비유...공감됩니다.
대출을 규제한 수요억제 언제 빵 터질지...궁금하네요
@user-xh8ds6zo6n 7
2021년 12월 29일 23:47용기있는 식견 높이삽니다~!
다들 조심조심 하는 현 시점
에서~
@user-bs6ul8sm6k 7
2022년 4월 12일 08:54저투기꾼 돌아다니면서 뽐뿌질하다가 지금 미금리인상 미국양적긴축 얘기 나오니까 입싹닫음 ㅋㅋ
casper 7
2021년 12월 27일 18:57좋네요👌
@user-ic4dw6mo4x 7
2022년 1월 02일 01:24좋은 말씀 알려주셔서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전인갑 7
2021년 12월 27일 20:50이시점에 오른다하는 사람은 누구? 내린다하는 사람은 누구? 모든말엔 합리화가있고 말의 의도가 있는법! 영상엔 눈.귀가 안가고 댓글만 보다 갑니다....저와 비슷한 생각의 분들이 많으시네요...
ᄋ서바이벌 7
2022년 1월 10일 23:43내년도 돈이 풀린다는 기대감 때문에 대출받고 시장이 움직이는건데 초반부는 무슨 궤변이냐 ㅋㅋㅋ 선행지수가 뭔지 모르는건가 ㅋㅋㅋㅋ 바로 끈다
이정한 6
2021년 12월 27일 20:11코스피도 다들 나와서 4000 간다고 했었다
@hyunggonbae6895 6
2021년 12월 28일 12:11김제경 소장님 재건축 대체주택 특례조항과 거주주택 비과세 조항 중복 적용이 되나요??
Galaxy 6
2021년 12월 27일 19:53저분은 주택공급 물량을보고
근거해서 말하는건데 뭘 집값 부추긴다고 그러시나요들~
Y logos 6
2022년 1월 08일 13:28이 사람 자체가 부동산투자를 모으는 사람입니다. 객관적이지 않습니다.
연준이 무슨 자금회수하지 않으니.. 유동성에 이상없다고.. 연준은 기본적인 이율로 조정을 다합니다.
@user-lo6sh8kw6j 6
2021년 12월 27일 19:04세상엔 다양한 사람들이 많으니
@dokdok3320 5
2022년 1월 05일 15:23왕 초보입니다
좋은강의 잘들었습니다
SEONG SHIK SHIN 5
2021년 12월 27일 23:18그렇다면 과거 집값이 하락할 때는 유동성이 줄어들어서 그랬다는 말씀인가요? 그게 아닐텐데요... 유동성 풍부가 돈 없는 사람이 돈이 생기는 게 아닙니다. 살사람들이 많이 사버린 후에는 내리는 겁니다. 지금 주식시장에서 8개월 9개월 동안 곡소리가 나고 있는데, 그와 유사한 겁니다.
Soo Hyung Kim 5
2021년 12월 27일 23:20소장님 결론은 내년도 국가예산이 늘어나 유동성이 풍부해져서 집값이 오를것이라는건데 금리 각종 세금 인상 대출규제가 지금과 같다면 과연 집은 무슨돈으로 살수 있을까요? 똘똘한 한채의 가치는 이해가 가는데 그럼 똘똘하지 못한 집은요? 돈이 전처럼 돌고 대출이 원활하다면 똘똘하지 못한 집도 누군가 사주겟지만 내년 3월부터 미국 금리도 오른다는데 좀 무책임한 말 같아 보임
woleok kim 5
2021년 12월 27일 22:1110년 15년 집값 생각해보시길,,,,,
라이트하우스 시청자 분들,,,, 투기를 하라는게 아님 내 살 집을 사라는 의미임,,,
트루쓰 5
2021년 12월 28일 01:48솔직히 이분은 그리말하실수밖에 없을거같네요 솔직히 올라갈수있는 호재보다
유동성회수와긴축, 앞으로 집값을 받칠수없는 인구절벽, 부동산버블을 잡기위한 주택공급확대 및 각종세금 금리상승으로인한 압박 등등 수도권이나 그나마 지방보단 가격방어가되겠죠 앞으로 장기적으로 오르길기대하는거보단...수요공급이 경제의 기본인데 인구절벽부터 해결되야하지않나요 중장기적인 예비수요자가 무너지기 시작하는데 어찌오르겠습니까
Yong Aaron 5
2021년 12월 28일 04:18책임지지않을 말을 인플레션 탓으로 돌리기에는 너무 절벽으로 온것은 아닌지 3경이라는 돈이 풀렸지만 그것만 믿기에는 현상황에 대한 어떠한 경제학자도 미래를 장담하기힘들다고 했습니다. 돈의 가치가 아무리 하락한다해도 결국 자신이 값아야 할 부채라는것을 잊지않았으면 좋겠네요. 1가구1주택 누군가 들에게 자극하기 좋은말이지만 그걸위해 떨어지는 자산에 투자하여 죽을때까지 고통받을수 있는 발언입니다.
live squid 5
2021년 12월 27일 23:481주택 보유세가 핵심입니다. 우리나라는 1주택 보유세가 선진국 중 최하위이기 때문에 정책 옵션이 많습니다. 가령 표가 되는 15억-12억 이하의 주택을 이대로 가고, 20억 이상 주택에 대해서 미국 뉴저지 수준으로 폭탄을 때릴 수 있습니다. 똘똘한 1채도 고가주택은 정책에 따른 고무줄 가격이 예상됩니다.
Emotional Life 5
2021년 12월 28일 07:13벤츠 말고 나머지 중고차는 어디로…어떻게 되는지요…? 정부는 이 중고차를 타겟으로 공급물량을 늘리겠다고 날리라 여쭤봅니다.
@user-vz6ym6rx1r 5
2021년 12월 28일 00:31지방에 3채 가진것과 강남 1채와 비교 부분에 이의가 있다. 투기 목적 다주택자 규제는거주할 집이 필요한 사람들의 기회를 박탈 하고 있는 현실에서 제한을 가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규제다. 이제막 시작하는 신혼이나 청년들의 거주 기회를 막아버리는 지금의 투기성 부동산 현실에서 정부가 최소한의 구제를 위한 시장의 물량을 늘리기 위한 규제이기 때문에 지방의 집값이 더 싸다고 하더라도 꼭 필요한 규제다.
알프스 5
2021년 12월 27일 20:27이분 젊어보이는데
상당히 똘똘허네
더원 4
2022년 1월 04일 16:27정말 아랫분 말씀처럼 한쪽의견으로 치우치지않고 객관적으로 매번 다른의견을 제시해주시는 각 분야 전문가님들을 초대해주셔서 생각정리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는것 같아요 김작가님 사랑합니다
chacha cha 4
2022년 1월 02일 14:06대출금리 오름세에 대해서는 언급이 있었나요?
김영갑 4
2021년 12월 27일 20:10유동성장세는 끝났다고 보는게 맞고 모든것이 선반영이라고 봐야 하는거 아닌가싶습니다. 그렇다고치면 더 오른다면 유동성이 더 공급되어야하는대 나올곳이 없죠. 똑똑한 한채라고 한다면 상급지는 오르고 그 아래는 내려간다고 보는게 더 합리적인거 아닌가요 ㅋ
김종수 4
2021년 12월 31일 13:25저는 내려 간다고 봅니다.
단순하게 대구의 경우 재건축.재발
많이 하고 있어 공급량이 넘 많습니다.
고기마니아TV 3
2021년 12월 28일 00:27경기도 수원인데 9월에 집 내놨는데 안나가서 12월초에 5천 내려서 내놨습니다. 그런데도 보러오는 사람이 없네요. 3월 이사라서 내년 1월중에는 계약해야 하는데 얼마나 더 낮춰야 하는지..
버핏워렌 3
2021년 12월 29일 02:31대전은 둔산동, 부산은 수영구 아닌감요?
재개발은 관처 이후는 5년 거주 10년 보유분만 거래할 수 있잖아요?
매수가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dojust1677 3
2021년 12월 31일 03:00명목가치는 무조건 오릅니다.
다른 자산보다 오르냐 안오르냐가 중요하고
가장 중요한건 내가 살고있는 집이 다른 자산들보다 많이 올라야 한다는 거에요.
귤맨 3
2021년 12월 27일 22:15잘보고 갑니다
Soon Hwa Kim 2
2022년 2월 23일 11:40김작가님 ~
김재경소장님께
상담비 드리고 상담을 하고 싶은데 전화번호를 몰라서
답답한데 대표 전화번호 좀 알 수
있을까요
매우 급합니다
좀 도와주세요~
바다향 2
2022년 1월 20일 03:45지방은 미분양 많다~공급양도 과잉 인데ㅠㅠ
2000원 2
2021년 12월 29일 16:17제가 전세 살 때 집주인이 울산 사람이었답니다. 진짜 갑갑했지요. ㅋㅋ 그런데 그래서 어쩌라구요? 그 사람은 엄연한 집주인인 것이죠! 이런 사람들 한둘이 아닐 겁니다. 역시 현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js choi 2
2021년 12월 29일 23:04열역학 제2법칙(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은 전체 계(system)의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우주 전체의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변화 현상은 일어날 수 없다. 따라서 엔트로피는 일반적으로 보존되지 않고,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정확한 열역학 제2법칙의 정의는 '우주의 엔트로피는 자발적인 과정에서는 항상 증가하고, 가역적인 과정에서는 변화하지 않는다.'이다.
돈도 은행들이 있는한 계속 늘어난다
장정민 2
2022년 1월 07일 01:52전문가님말씀도 알겠어요
그러나 서민인전 올해는 아니 앞으로는
집값이 상당히 하락 예상됩니다~^^
카페라떼 2
2021년 12월 28일 09:28가격이 오르면 뭐합니까. 앞으로 살 사람이 없다는게 문제지. 무당도 아니고.. 오르냐내르냐 맞추는
서울 다 100억 간다고 하세요~
@user-yp9xf9wj6m 1
2022년 2월 11일 04:11공급이 없으니 당근 내년도 집값 오른다에 한표!
Hector Kim 1
2021년 12월 27일 21:59신수가 훤하시네요. ^^
이미경 1
2022년 2월 26일 17:06대출도 자산이라고 말하는사람들 이해못했지만 지금은 이해할수있음
Zula Minecraft Prosu
2022년 3월 02일 02:17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kaanaydogdu8477
2022년 3월 02일 02:17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정의의 사도
2021년 12월 28일 11:14진보후보와 보수후보가 아니고
자유민주주의 후보와 공산주의 후보가 있지요. 자유민주주의야 말로 진보죠.
우리 공산주의를 진보로 미화허지 맙시다.
Songul Taş
2022년 3월 02일 02:17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naoufel gamer dz
2022년 3월 02일 02:17저는 직장다니면서 시간날때 그냥 10~30분 투자해서 소소하게 소 배 액팅 하면서 수익내요
@Harcell0
2022년 3월 02일 02:17코인판이나 주식은 주구장창 보고있어야 되는데 소 배 액 팅은 그냥 딱 할때만 보면돼서 좋음 굳
@lucky_tv
2021년 12월 28일 14:24🌟 『김제경 소장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8sUNrEBy-co&t=2531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FEvfKy6MlXE&t=1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X2sxmv9woK0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JmjenVKKA-g&t=499s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 김작가 신간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brawlsgamers2260
2022년 3월 02일 02:17전업주부 인데 남편몰래 소 배 액팅 시작했는데, 수익이 생각보다 많이나서 큰일이네요ㅋㅋ
@kropsigt40
2022년 3월 02일 02:17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