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집값이 오를지 내릴지는 모르겠지만, 내년에 미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최소 3번 확정입니다. 아마 내년 1년 내내 1~2번 더 해야 되냐마냐로 증시를 엄청나게 흔들겠죠. 그럼 우리나라는 이미 먼저 인상했으니 그나마 3번만 그대로 따로 올리면 될 듯요. 아니면 더 올리거나. 이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글로벌 여러 국가 마찬가지죠. 그럼 올르는건 200% 펙트니까 과연 얼마나 오를까??? 이 금리를 안고서 투자를 해도 하방이 굳건할만한 수요가 충분하고, 위로 수익율이 그만큼 열려있느냐??가 중요하겠네요. 응 아니야~ 하면 내려가는거죠 뭐 ㅋ
2013년에 서울 집팔았는데 그때 현장에서는 앞으로 집가지고 돈벌시대는 지났다고 다들 떠들었다 매일 메스컴에서도 약세론자가80프로를 차지했는데 교수님은 그때부터 갭투자를 말씀 하셨네요 결국 아직도 집없는 벼락거지입니다 기회봐서 1~2년후 이제는 매수쪽을 생각합니다 상대적 박탈감 에 힘드네여
기준금리인상뿐 아니라 아파트 공급량도 함께 시장분석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한국주택시장은 아파트위주인데다 주담대가 최대 40%밖에 안돼기때문에 미국의 80~90% 해주고 아파트가 아닌 주택이 많은 시장과 달리 금리인상과 집값이 반비례한다는게 한국시장에 꼭 맞는 예측은 아닐 수 있을것같아요
공급도 솔직히 살고싶은 중심지에 공급은 부족했죠. 공급이 많은 곳에서 하락폭이 좀 커지고 공급부족한 곳은 그다지 많이 내릴 것같지는 않군요. 결국 이자가 상승하면 서민들이 주거하는 곳에서 매물이 많이 나오긴 하겠네요. 이율 오르면 원래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더 힘들죠. 이재명이 당선되면 MMT 계속 할거라고 경제유툽에선 대부분 얘기. 그러면 부동산가격은 또 엄청 상승하겠죠 이재명 노이즈라고할 정도.
전문가라는 분들 과거 영상을 꼭 보세요. 몇년동안 맞췄는지 계속 틀렸는지.... 그러면 답나옵니다. 이분은 금리가 오르니 집값은 무조건 떨어진다라는 말부터... 아니올시다 이네요. 예전 7프로 8프로때도 올랐는데 지금 얼마나 금리가 올라갔다고 떨어집니까... 금리가 단기간에 올라간다면 영향이 있겠지만 지금 상태는 아닙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다만 이거 한가지는 정확히 보셔야... 이자율, 네 중요합니다. 가장 기본입니다. 허나 그간 국내는 이걸 무시하고 움직였죠. 초저금리는 세계 현상이고, 돈 풀려서 이런 거도 맞지만 국내는 그걸 무시하고도 남을 만큼 투기판을 가능케 했지요. 이자율 5%면 어때..그보다 훨씬 집쇼핑하면서 남겨먹을 수 잇었는데... 대출 규제도 구멍 투성이고... 근데 지금은 그걸 막은 거죠. 그러니 말씀처럼 이자율 같은 시장의 기본 기제가 작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겁니다. 즉, 문통 정부가 정말 제정신이었다면 진작에, 정권 초반에 그렇게 나섰어야 하는 거... 물론 공급도 중요하지만... 그간 국내서 이자율 어쩌고는 개나 줘버려야 할 상황이었다는 것~!! 안타깝고, 울화가 치밀 뿐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2019년도 3억하던 서울 아파트가 현재 9억까지 올랐다고함 ㅋㅋㅋ 이게 말이 되는 소리임?? 근데 잼있는건 대부분 부자들은 고점에서 이미 죄다 수익남겨서 팔고 그돈으로 현재 지방 저가 아파트, 빌라, 땅 쇼핑하고 있다는거. 그분들말이 좀있으면 거품낀 서울경기 부동산 죄다 경매로 나올거라고 ㅋ 그래서 현금보유하고 기다리고있다함 ㅎㅎ
김경민 교수도 말했듯이 부동산시장은 교수나 학자들 말은 참고용이죠 예로 부동산정책 실패가 학자나 교수들 불러 부동산정책을 만들어 이꼴이 난거죠 부동산 실전문가와 같이 국토부나 기재부가 규제정책을 했어야하는데 그게 엉망이 된거죠 일단 한쪽 교수에 의견만 들으면 안됩니다 하락 상승 두부류들의 의견을 들어야죠 아래는 김경민교수가 참여한 방송입니다 참고들 하세요 https://youtu.be/EAjfPzCfdI0
@JoJo-hz6dc 122
2022년 1월 01일 10:39여러 전문가들 의견+근거를 각자 듣고 판단하고, 그들의 예측이 맞을 수도 틀릴 수도 있는 거고, 선택의 책임은 각자가 지는 것인데 왜 전문가 탓을 하는 댓글이 많을까... 용기있게 자신의 분석과 의견을 게재하는 것은 상당히 감사한 일임.
@user-rc5ko3jd2b 118
2021년 12월 29일 12:38부동산은 조심해서 접근해야할 시기라 생각됩니다 ^^
@cheonseeun 102
2021년 12월 29일 17:43강남이나 한남에 비싼 집들은 오르던 내리던 저랑 상관없습니다 갭투자로 1-20평대 수십채씩 갖고있으면서 비정상적으로 호가만 올리고 있는 물량만 나오면 됩니다! ㅜㅜ 실주거 1채는 꼭 마련하고 싶네요~~
Night 100
2021년 12월 29일 20:48계단식 하락이 진짜 무섭죠...
은조조 74
2021년 12월 29일 13:45이분은 학력, 내공, 실무 경험까지 완벽에 가까운 교수님이시다. 얼마전에 나왔던 떡상무새와는 클래스가 다르신분.
ij h 58
2021년 12월 29일 17:18부동산을 이렇게 쉽게 알려주시다니
교수님들 설명 어렵게 하거든요.
@user-cf9zi2gp2s 58
2021년 12월 29일 16:36계단식 하락이 진짜 무섭죠...
@kindteacherjane7912 49
2021년 12월 29일 18:58부동산은 실거주와 역세권 위주로 투자하시고 고르시길 바래요. 늘 부자되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준성 47
2021년 12월 29일 16:19정말 멋진교수님. 신기할만큼 단벌이지만
이시대어려운 청춘.젊은세대에 힘이되주셔서 감사드려요
제니 46
2021년 12월 29일 14:5823년부턴 쭉쭉 빠질꺼에요
지금은 분양가도 조심할때임.
예술나무 46
2021년 12월 30일 17:54김경민 교수님
짐껏 부동산강의중 가장 신뢰갑니다.👍👍👍
@user-bn2zt5ir3t 42
2021년 12월 29일 16:27미국 경제위기 때 부동산 하락은 공급의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아침1도 - 부자와 빈자의 징검다리 41
2021년 12월 29일 13:13참 어렵네요 오른다 내린다 ㅠㅠ
그래도 이렇게 정성껏 얘기해주셔서 너무 감사해요^^
@TV-wc5ph 40
2021년 12월 29일 15:06금리 상승은 부동산이던 주식이던 치명적인 악재같아요~~ 미리비리 준비 해야겠습니다~~^^
twpark92 36
2021년 12월 31일 12:06하버드 박사여도 특정 가격에 대한 변동성을 예측할 수는 없다. 시장경제의 변수는 너무도 다양하기 때문에...
@whshshssjs4053 33
2021년 12월 29일 13:49실력자이신거 같네요.
귀담아 듣겠습니다. 논리적으로
설득력이 있네요
@user-jk6is2cc8t 31
2021년 12월 29일 13:31오를수도 내릴수도 있겠지만 현재 유주택자 대부분이 1주택자이고 다주택자 매물이 막힌 상태에서 자기가 거주하거나 한채 가지고 있는집을 심지어 대부분이 고정금리일텐데 그집을 팔 이유가 있을까... 많이 오르진 않더라도 하락하기는 쉽지 않을것 같아요
@agj5114 26
2022년 1월 04일 02:23부동산은 학벌과 상관없다는 걸
알게 해주신 분
H라이노 26
2021년 12월 29일 13:41과거와 유사성을 봐서 2년 하락 1년 보합 이후 5년 하락 한다는 분들도 있던데 조심스레 지켜봐야하지 않을까요?
안유진 26
2021년 12월 29일 19:53우리나라 금리뿐 아니라 미국금리가 더욱 중요하군요. 딸이 집 사려는걸 말리고 있었는데, 좀 더 지켜봐야겠어요. 유익한 방송 감사하게 잘 봤습니다♥
밀레니얼 책방 24
2021년 12월 29일 13:20경제는 공식처럼 딱딱 맞는게 아닙니다.
@user-ew3ez7yp7r 24
2021년 12월 31일 09:12정확한 판단을 하신것같아요 감사합니다
G_Bee 23
2021년 12월 29일 13:28뭐 집값이 오를지 내릴지는 모르겠지만, 내년에 미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최소 3번 확정입니다. 아마 내년 1년 내내 1~2번 더 해야 되냐마냐로 증시를 엄청나게 흔들겠죠. 그럼 우리나라는 이미 먼저 인상했으니 그나마 3번만 그대로 따로 올리면 될 듯요. 아니면 더 올리거나. 이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글로벌 여러 국가 마찬가지죠. 그럼 올르는건 200% 펙트니까 과연 얼마나 오를까??? 이 금리를 안고서 투자를 해도 하방이 굳건할만한 수요가 충분하고, 위로 수익율이 그만큼 열려있느냐??가 중요하겠네요. 응 아니야~ 하면 내려가는거죠 뭐 ㅋ
@onestock8478 22
2021년 12월 29일 15:20와 내 년 이 맘 때 쯤 되면 모든게 드러 날 텐데,
이 분은 하락론자시네
@user-wi5ln4bb7d 22
2022년 1월 01일 15:16대한민국 온국민이 집 걱정없이 살수만 있다면 전세계 1위 경제 문화 국방 외교 포함 국민의 행복지수 1 위가 충분하고도 남을듯 합니다ᆢ
집값잡기위한 정부의 정책 강하게 밀고 나가주시길ㆍ
@user-wd5gb2wt6d 22
2021년 12월 29일 14:29어떤 사람은 금리 별영향없다 공급이 없으니 ᆢ 헷갈리지만 이런 내용 유트브로 볼수 있어서 감사^^♡
@user-xc3gk5hi7h 19
2021년 12월 30일 00:322019년 초반가격까지 빠진다는거면... 현재 서울 25평 14억 아파트가 8억 초반으로 된다는 말씀이시네요
SkyNet 18
2021년 12월 30일 01:11계단식 하락이 판단을 흐리게해서 결국 이도저도 못하게되죠
양반 17
2021년 12월 30일 16:40조정 시작되면 몇년 걸릴텐데.
시장은 심리의 관성이란 게 커서
@lucky_tv 16
2021년 12월 29일 12:46🌟 『서울대 김경민 교수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rseDv7Ddg5E&t=4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iYGNT6cAQW8&t=4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mas7u1ZePFE
📚 전업투자자 돈깡 『개장 전, 아직 켜지지 않은 모니터 앞에서』 도서 구매
👉 https://bit.ly/3EPo0Ow
📚 김경민 교수 『부동산 트렌드 2022』 도서 구매
👉 https://bit.ly/3z5chcy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 김작가 신간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user-ei9kx2le5t 16
2021년 12월 31일 08:25오늘도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오로라 16
2021년 12월 31일 11:012013년에 서울 집팔았는데
그때 현장에서는 앞으로 집가지고 돈벌시대는 지났다고 다들 떠들었다
매일 메스컴에서도 약세론자가80프로를 차지했는데 교수님은 그때부터 갭투자를 말씀 하셨네요
결국 아직도 집없는 벼락거지입니다
기회봐서 1~2년후 이제는 매수쪽을 생각합니다
상대적 박탈감 에 힘드네여
@user-od3gc9sn4i 16
2021년 12월 30일 12:20이렇게 설명해주는 사람 잘 없는데 잘 보고 갑니다.
@rjnam1470 15
2021년 12월 29일 15:00금리 무시하지 못한다
고금리시 대출자들 곡소리 남
@user-el5ns2uw5r 14
2022년 1월 05일 14:11부동산 하락 맞다고 생각듭니다. 시기상으로도 가격면으로도 조정이 올때가 되었죠. 마지막 한파동으로 올랐다고 쳐도 이만큼 조정없이 올라가는건 이상했습니다. 인간이 만드는 모든 물건의 가격측정은 인간심리에 영향을 꽤나 많이 받는걸로 알고있습니다.
@shin8302 14
2022년 1월 03일 00:08마냥 떨어지라고 고사지내는 사람들보다는 확실히 철저하게 데이터 위주로 설명하시니 어느정도 이해가 되네요. 일리있는 의견입니다. 다들 오른다고 할때 이런 의견도 분명 필요하죠.
@JSH11276 14
2022년 1월 07일 00:43상승론과 하락론 어느 쪽도 예측하기 힘들고 전형적인 통계와 자료에 무료하던 차, 김경민 교수의 날카롭고 신빙성 있는 접근이 신선하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행복의조건 14
2021년 12월 29일 15:31지금까지 단 한명의 하락론자도 과거의 상승에 대해 사과한걸 본적이 없었는데 2022년은 여러가지로 흥미로운 해가 될거 같네요
@songkim117 14
2022년 1월 06일 00:36이분 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금리가 앞으로 올라갈수밖에 없다면 반드시 집값은 내려갈수 밖에 없습니다.
liiililliliiili liliiliili 13
2021년 12월 29일 19:35정치인 복부인들 중국부자들 모두 갭투자 투기는 기본으로 하는것들인데 과연 집세를 내리려고 할가요? 결론은 부익부빈익빈이 생기는 구조가 더 심화될것이고 사회악순환이 더 경제적.사회적으로 생길듯해요
지금도 이미 인플레는 시작되었습니다
@user-ik6dp7ub8n 12
2021년 12월 29일 16:25아 좋은 정보 정말감사합니다
윤숙경 12
2021년 12월 29일 13:23올라도 넘 오른 아파트가격 대기업다녀도 절대집을못사는가격
짱GD 12
2021년 12월 29일 13:44부동산 끝물이다..
지금올라타면..바보!
다음에..이재명 당선되면..4,3,2
양도세..유예기간 두기때문에..물량은..쏟아짐!
@user-lr6of6cy8i 11
2021년 12월 30일 20:16공급이 쉽지 않죠… 그래서 떨어지기 힘들다 봅니다. 이제 전세도 임대차3법 한바퀴 돌고.. 떨어지기 힘든 구조 만들어 놨어요…강의 끝까지 들의니 조정 후 정체 그리고 결국 우상향 말씀 하시네요.
어인마니tv 11
2021년 12월 29일 13:36떨어지는 칼날 잡지 마시고 ....최소 10년 지켜 보시길
늘보개미 11
2021년 12월 29일 22:50집산 김작가님의 짓궂은 질문공세가 귀엽네요 ㅎㅎ
@user-zx4lq7tu8h 10
2022년 1월 01일 13:07요 근래 집 사는 사는 사람은 정말 ㅜ 완전 최 고점인데
JAC 10
2021년 12월 30일 17:41가격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1)재무적요인
-대출/금리(미국금리, 정부정책에따라)
-세금(양도소득세, 보유세 정권에 따라)
(2)공급량: 공급량에 따라(정부인허가. 규제)
공급늘어나면? 가격하락
(3)수요량: 인구에 영향받고. 금리오르면 수요감소, 세금오르면 수요감소 가격하락해 수요량은 재무적요인(세금,대출금리)의 제한을 받음.
=>즉, 아파트 가격은?
(1)재무적(대출규제측면
-내년 미 frb 금리가 올라 한국시중은행 금리도 올라가 수요감소시켜 가격하락 예상.
-대출규제로 수요감소,가격하락예상
-세금: 보유세를 올리고 있어서 벌써 수요가 하락해 가격하락이 시작되고 있고.
(2)총공급량 측면
-정부가 50만호 공급량 늘린다고 발표해 가격하락예상
(2)수요랑 측면
-저출산으로 인구는 계속줄어 인구적수요는
감소추세로 가격하락예상. 1인가구가 증가하면 당분간은 버팀
-대출규제,금리상승,세금상승 재무적 요인으로 실수요. 투기수요감소-> 가격하락예상
(결론)
아파트 가격을 결정짓는
공급은 증가할 예정인데, 미국FRB대출금리, 한국정부의 대출규제, 보유세 증가, 인구감소로 실수요와 투기수요 억제되어 가격하락이 될건 100% 명백한 fact임.
단, 부유층들은 자기자본으로 산거라 부유층들의 실수요 집값은 잘 안떨어지는 경향 있고 , 덜 떨어지고 대출을 끼어서 산 지역은 집값은 더 크게 2024년까지 하락할 가능성 높다.
김명식 9
2021년 12월 29일 13:40너무 확신에 차서 말씀하시네요
@harris9107 9
2021년 12월 29일 17:16교수님말씀대로 내년에 정말 집값이 하락할지 반대로 계속 오를지 궁금하긴하네요 논리왕전기버젼
라이트하우스 김경민교수님의 영상 잘 보았습니다
man 9
2022년 1월 01일 13:5419, 20 은 정부의 어설픈 규제 강화가 폭등을 자극한 측면도 있죵
데스크라운 9
2022년 1월 08일 13:31하버드대 김경민교수님
세심한 부동산체크
감사합니다..
@hohopan 8
2022년 1월 02일 14:42기준금리인상뿐 아니라 아파트 공급량도 함께 시장분석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한국주택시장은 아파트위주인데다 주담대가 최대 40%밖에 안돼기때문에 미국의 80~90% 해주고 아파트가 아닌 주택이 많은 시장과 달리 금리인상과 집값이 반비례한다는게 한국시장에 꼭 맞는 예측은 아닐 수 있을것같아요
@pkhr2808 8
2022년 1월 01일 03:20제가 보는 아파트 2020년 초반 가격은 지금 가격에 30프로 빠진.가격이네요...절대 적은 돈이.아니네요. 부동산 잘 봐야겠어요!
@user-ti1jd1gf7r 8
2022년 1월 05일 16:14앞으로 전망을 여러가지 각도로 예측해 본다는 거 정말 흥미롭습니다.다양한 의견을 많이 들어보고 있는데, 보는 시점에 따라 다들 타당한 의견인 것 같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dj2001shin 7
2022년 1월 08일 16:56여지껏 들어본 강의중 최고입니다.
@jinchoi2673 7
2021년 12월 29일 17:37공급도 솔직히 살고싶은 중심지에 공급은 부족했죠. 공급이 많은 곳에서 하락폭이 좀 커지고 공급부족한 곳은 그다지 많이 내릴 것같지는 않군요.
결국 이자가 상승하면 서민들이 주거하는 곳에서 매물이 많이 나오긴 하겠네요.
이율 오르면 원래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더 힘들죠.
이재명이 당선되면 MMT 계속 할거라고
경제유툽에선 대부분 얘기. 그러면 부동산가격은 또 엄청 상승하겠죠
이재명 노이즈라고할 정도.
@user-cw5nb3ii6w 7
2021년 12월 29일 13:34내년에 보면 알 수 있겠죠 누가 허수인지
@user-wi5zs2bd5s 6
2022년 1월 03일 11:54데이터적인 객관적인 시각이네요
@user-fi8to6un5n 5
2022년 1월 19일 03:32차분한 어투로 알아 듣기 쉽게 설명을 참 잘하시네요.
르브론제임스 5
2021년 12월 29일 17:25전문가라는 분들 과거 영상을 꼭 보세요.
몇년동안 맞췄는지 계속 틀렸는지....
그러면 답나옵니다.
이분은 금리가 오르니 집값은 무조건 떨어진다라는 말부터... 아니올시다 이네요.
예전 7프로 8프로때도 올랐는데 지금 얼마나 금리가 올라갔다고 떨어집니까...
금리가 단기간에 올라간다면 영향이 있겠지만 지금 상태는 아닙니다.
@user-no7pv4im9b 5
2022년 1월 02일 17:08걍 적당히 보다가 1주택은 필수인데 사야지
김영수 4
2021년 12월 29일 16:01이분 2년 전 방송에서 집사지 말라했어요 절대 믿으면 안 될 분입니다. 그리고 20프로가 뛰었죠
jeongmin Ko 4
2021년 12월 29일 13:22지방과 서울변두리....하락할듯...매매 15억 이상은 대출 안해주니...그들만의 리그는 계속 오를듯....
생강호두 4
2022년 1월 08일 21:33김작가 질문 참 편안하고 예리하다...
Tim P 4
2021년 12월 29일 16:01무능한 부동산정책입안자들 자기들끼리 임대차3법같은 이상한법 만들어 시장악순환 만들지말고 다음 대선에서 누가되든 꼭 저 분 한테 얘기듣고 정책 냈음 좋겠네요.임대차3법은 정말 전세가 두배급등 서민주거 최악으로 치닫게한 무능한 입법자들의 악법임이분명하니까요.
@user-nc9jw2jv8g 4
2021년 12월 31일 19:33대출을 막어놨는데 거래가 되겠냐고..
쫑 3
2021년 12월 29일 16:57이론학자의 말은 그 사람의 논리를 참고하는 용으로만.. 결국 시장에 몸 담고 있는 사람이 가장 발빠름.
KR디즈니주주 3
2021년 12월 29일 14:15객관적인 것 처럼 하시면서 하락론만 펼치시네 ㅋㅋ
syklee26 3
2021년 12월 29일 16:17지금 서울 대부분 집들은 어짜피 대출규제때문에 금리가 영향을 못주는게 아닌가요?
motion E 2
2022년 1월 01일 23:47하락하면 못삽니다. 오늘보다 내일이 쌀것같은데 못사죠. 그것보다 부동산 하락하면 대출상환 연체율이나 경매물건증가율, 유찰횟수, 매도물량증가량등을 유심히 잘 관찰해야함.
lee성수 2
2021년 12월 29일 16:13올 봄에도 떨어진다더니
매년 같은이야기
the5Golders 2
2022년 1월 04일 18:18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다만 이거 한가지는 정확히 보셔야...
이자율, 네 중요합니다. 가장 기본입니다. 허나 그간 국내는 이걸 무시하고 움직였죠. 초저금리는 세계 현상이고, 돈 풀려서 이런 거도 맞지만
국내는 그걸 무시하고도 남을 만큼 투기판을 가능케 했지요.
이자율 5%면 어때..그보다 훨씬 집쇼핑하면서 남겨먹을 수 잇었는데... 대출 규제도 구멍 투성이고...
근데 지금은 그걸 막은 거죠. 그러니 말씀처럼 이자율 같은 시장의 기본 기제가 작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겁니다.
즉, 문통 정부가 정말 제정신이었다면 진작에, 정권 초반에 그렇게 나섰어야 하는 거...
물론 공급도 중요하지만...
그간 국내서 이자율 어쩌고는 개나 줘버려야 할 상황이었다는 것~!!
안타깝고, 울화가 치밀 뿐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user-sg7yb6bk2t 2
2021년 12월 29일 17:00녜~녜~녜~
아캠딸 2
2021년 12월 29일 12:331뜽
아삼육♡ 2
2021년 12월 30일 23:35아니 이대표가 자기당에다 대고 부동산 대책 실패 했다고 인정하는데... 누가자꾸 오른데 하참 교수님 왜 사람들은 듣고싶은것만 들을까요
콩순이 2
2021년 12월 29일 17:07금리가 오르면 시장이 좋다는 의미이고 집값 오릅니다. 17~18년도에 금리 오르고 집값도 올랐죠.
Jo Jo 1
2021년 12월 29일 12:38데쟈뷰~~~
PETER HAN 1
2021년 12월 29일 18:152019년도 3억하던 서울 아파트가 현재 9억까지 올랐다고함 ㅋㅋㅋ 이게 말이 되는 소리임?? 근데 잼있는건 대부분 부자들은 고점에서 이미 죄다 수익남겨서 팔고 그돈으로 현재 지방 저가 아파트, 빌라, 땅 쇼핑하고 있다는거. 그분들말이 좀있으면 거품낀 서울경기 부동산 죄다 경매로 나올거라고 ㅋ 그래서 현금보유하고 기다리고있다함 ㅎㅎ
@user-ud8cr5nb6p 1
2022년 1월 02일 22:50실거주는 제발 삽시다!!!!!!
QTJP S 1
2021년 12월 29일 14:59경제학자들은 다 부자되었겠네...
봄빛 1
2022년 1월 05일 17:48🙂👏👏
Stanley Dan 1
2022년 1월 02일 23:25금리올려 시세내려 하면 좋겠지만 시장은 기계가 아니라서 그렇게 간단하게 움직이진 않는것 같습니다. 내년의 움직임은 '대선' 결과 말고는 유의미함을 주기 어려울것 같네요
@user-cr6ln6ob1o 1
2022년 1월 05일 10:08정부정책이 어떻고 공급이 어떻고 하는 어중이떠중이들 말보다 데이터중심의 합리적 기준으로 하시는 말씀에 너무 믿음이 갑니다.
@user-lk9ez2go3v 1
2022년 2월 26일 19:53투기 세력, 대단지 아파트 담합 때문입니다.
@user-wc5ql6gg5u 1
2022년 1월 04일 21:44부동산 박사도 있구나~
@user-pz6xs8jd9k 1
2022년 1월 05일 01:38대구는 역시 대단해. 모든 앞서간다니
@user-nn5hk6tl6i 1
2022년 1월 02일 01:37판단은 자신이 하는것이고 판단 의 결과 책임은 자신의 몫입니다 ...... 저분 교수님 신뢰할수있는 분 이지만 ..... 저분이 절대로 여러분들의 손실은 보전해주지는 않습니다
@srzueira158 1
2022년 3월 02일 02:17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매일그대와 1
2021년 12월 29일 15:07투자는 교수는 믿고 거른다.
이름 1
2021년 12월 29일 17:572020년 8월 tvn출연 김경민
'지금은 집을 살 타이밍이 아닌 이유'
https://youtu.be/sA3-TfxLCag
그때 집값 3억8천 지금집값 6억
예측을 할 때는 과거 예측 틀린거 사과부터하고 입을 터는게 어떨까요?
그리고 본인 자가는 당연히 팔고 전세들어가셨겠죠?
선풍현
2021년 12월 29일 15:56용산구 문배동 아파트 같이 용산 최고 호재 지역에 위치하고 극도의 저평가 매물 찾을수 있습니다. 물론 리스크는 없고요.
@pjh0999
2022년 1월 24일 15:25떨어진다는 이야기 10년 넘게 들었어요. 결국 공급이 부족하니 오름. 금리를 떠나서. 수요와 공급입장에서 봐야합니다.
@abdullaherdogan319
2022년 3월 02일 02:17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Mert AKBAY
2022년 3월 02일 02:17저는 직장다니면서 시간날때 그냥 10~30분 투자해서 소소하게 소 배 액팅 하면서 수익내요
훈S1
2022년 1월 04일 10:40김경민 교수도 말했듯이 부동산시장은 교수나 학자들 말은 참고용이죠
예로 부동산정책 실패가 학자나 교수들 불러 부동산정책을 만들어 이꼴이 난거죠
부동산 실전문가와 같이 국토부나 기재부가 규제정책을 했어야하는데 그게 엉망이 된거죠
일단 한쪽 교수에 의견만 들으면 안됩니다
하락 상승 두부류들의 의견을 들어야죠
아래는 김경민교수가 참여한 방송입니다
참고들 하세요
https://youtu.be/EAjfPzCfdI0
빵빵리
2021년 12월 29일 17:31펜 굴리고 경제학 공부한 전문가치고 오래가는거 못봤음. 이분도 22년 보면 알겠지~
Kiefer Ha
2021년 12월 29일 17:34보통의 교수는 시장의 움직임에 대한 경외감 보다는 평가를 할려고 하는 자만심이 문제인 듯. 너무 느슨한 논리의 옷을 입고 나오니 어색한 결론을 내는듯… 요즘 하버드 출신자들이 자꾸 눈에 들어오네. 선대인, 이준석.
개떡가튼xx
2021년 12월 29일 18:216개월후 이 영상을 다시 보고 싶네요
@oyuntr1480
2022년 3월 02일 02:17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alphaindustries
2021년 12월 29일 18:17부동산 가격 영향요소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금리도 있지만 공급도 있고 정책도 있습니다. 맨날 금리만 말씀하시네요. 책 쓴 것도 보니까 공급에 관련된 인사이트는 안 보이는데.. 책 홍보하러 나오는 건 이해하지만 정말 전문가가 맞는지 의문이네요.
Choi Ch
2022년 1월 04일 11:55이분좋아하는분입니다
현정권부동산정책을신랄하게비판하신게
많은용기라 필요하다고봅니다
정치충그것들이 엄청달려들테니까요
한가지 제가겪은 부동산은 부동산학과 교수님들이보는 예측과
부동산실무중계업자들의 예측에서는
항상실무자들이 맞춰왔어요
이분말씀 기대해봅니다
@rohatucar7774
2022년 3월 02일 02:17코인판이나 주식은 주구장창 보고있어야 되는데 소 배 액 팅은 그냥 딱 할때만 보면돼서 좋음 굳
안전마진
2021년 12월 29일 16:43조정이나 하락이면 매수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괜찮을듯 하지만 시장에 유동성 자금들이 많아서 하방지지선이 강하게 올듯 금리 찔끔올리는정도로는 글쎄요
@loxlordveled7566
2022년 3월 02일 02:17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simmani
2022년 1월 03일 14:15사람들~ 집값 조금씩 오를때는 하락한다는 말이 많았는데..
이젠 집값 조금씩 내려가면 상승할꺼야 말이 많아지네 ...
live squid
2022년 1월 04일 15:041주택 보유세, 미국 절반만 되면, 금리 6-7회 올리는 효과가 있어, 자동 반값 아파트 됩니다. 무주택자나 5억이하 저가 주택 소유자들은 청원 넣으세요.
brilliant Achieve harmony
2022년 1월 09일 04:48대한민국에 집값 떨어지기를 바라는 사람은 극소수. 모두가 집값 상승을 바라는게 현실 무주택자도 값이 올라갈 집을 사고 싶어하니 역설적이게도 올라가는데 줄서고 잇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