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은 지금부터 6개월간은 강하게 할 것 -발톱은 길어야 6개월 / 1분기 쯤은 조심 하는게 좋다 -앞으로 상당히 싸진 주식, 싸진 자산 지금부터 3개월 안에 매집하고 줍줍 -훨씬 더 싼 가격에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구간이 3개월 정도 펼쳐질 듯 =>한마디로 3개월간 조정구간이란 이야기 같음 -연준, 중국 => 중국 현재 이미 선행지수 꺾인 상태 -금리는 올릴 수 있을 때 올리는 게 좋다 -1.금리차 축소 / 중국 외환 보유고 미국 테이퍼링 할 때 확 떨어짐 중국정부가 부채, 달러빚도 많은데 훨씬 더 버티지 못한다 버티면 안된다 -이전보다 중국으로 들어오는 달러는 많아 지고 있긴 함 -중국이 1년내내 유동성 정책을 완화적으로 간다면 더 큰 리스크가 올 것 -올림픽(베이징) 이후가 중요함 2008 / 2022 비교 -미중 패권 경쟁(외교적 보이콧)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 =>물가지표 실제치 – 컨센서스 와의 차이. 지수가 상승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 -우리가 생각하는 거 이상으로 금리가 높아갈 확률이 있다 -Fed=미국 / 양적완화 테이퍼링 속도 확대(150억 달러->300억 달러) 기준금리 - 동결(0.0~0.25%) 관전포인트 – 점도표 상향(3-3-2) IS (인플레이션 서포터즈) 파월1기 -> IF(인플레이션 파이터) 1970년대의 흐름을 다시 한번 올 확률이 있지만 길어봤자 6개월 정도 일 것이다 -6개월 동안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물가가 더 올라갈 확률이 높다 -일시적 인플레이션 파이터 -통화정책 정상화 온도차 -아직까지 디플레에 대한 악재가 남아 있는게 일본(물가가 안오른다) -일본 총재가 나와서 한 이야기 : 2년 후 까지도 물가가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 -중국 : 지준율 50bp 이하 인하 중국 정부가 왜 굳이 인하 했을까 =>내년 6월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 끝나면? 전략적인 핵심 -영국 및 미국 고용 시장 회복 =>인플레가 높아지는 건 기정 사실 -유로존 상이한 회복 / 아직은 규모적 으로는 풀 수 있는 조치를 취한 상태 -중국 부동산 가격 약 80개월 만에 하락 =>돈을 풀 수밖에 없는 상황 / 한국 부동산과 비슷 *소결론* -환율 -달러 : 올해 들어서 달러는 강했다 계속 해서 강해질 것(적어도 6개월 이유는 연준이 테이퍼,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의 모습을 보일 것) -위안화 : 기준금리 낮췄고, 추가적으로 낮춰야 한다는 위험 / 강세 약화 될 것 -유로&엔 : 계속해서 약했고, 계속해서 약할 것 -미국의 해지펀드 매니저들=> 이번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일지 영구적일지 / 아직까지 일시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는데 6개월 만에 그런 사람들 많이 줄었다 =>모든 사람들이 일시적이지 않다는 건 악재가 아니다 -피크 아웃과 레벨업 => 인플레이션과 성장 / 물가를 보면 오미크론 이슈 때문에 유가 떨어지는 중 => 피크아웃 될 수 있다 반대로 주거 렌트 비용이 오르고 있는데 소비자 물가 4%오르는 것 피크아웃은 OK인데 -시장은 피크 아웃 하는 것에 방점이 있을 수 있다 -고용시장은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경제활동참가율을 참고=>아예 이 수치에서 벗어나서 상승한 것처럼 보인다 =>수치가 오르지 않는 이유=> 1.은퇴인구 2.경제적 충격으로 인한것 3.설명 불가능한 지역(죽음에 대한 공포 등) / 결론=> 이 수치가 회복 된다면 연준이 금리를 올릴 것
어... 2013 테이퍼링 발언 이후 2014에 금리 인상을 할려고 하는 시점에서 미국은 조금 조정이 있었고 반대로 중국의 폭등이 시작하고 있었습니다. 원유 폭락이 도왔기도 했지만.. 중국은 과도한 부채와 그림자 금융으로 논란이 있으면서 2015년 말에 폭락 후에 지지부진했죠. 지금 2014를 생각하는 것 같기도 하네요. 신흥국의 약세 이후에는 대부분 급등이 옵니다.
한줄요약: 과거역사를 보면 리먼파산으로 시작된 경제위기를 양적완화로 어느정도 안정화시킨후에 금리인상을 위한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을 시행함으로써 적정수준의 인플레를 유지시켰죠. 그리고 리먼파산의 여파가 잠잠해지고나서, 다시 경기가 전세계적으로 살아나면서, 부의 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즉, 과거에도 그러한것처럼 지금 코로나사태이후로도 그러할것이라고 이야기하는것입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이 코로나 전 63%에서 현재 61.9%정도로 표에 나오는데, 물론 큰 영향을 끼치겠지만 1.1%때문에 FED가 다시 움직일거같진 않습니다. 설명에선 100명 일하던게 50명 일하는 상태로 예를 드셨는데 주장에 근거를 맞춘건 아닐까 걱정입니다. 전반적인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user-mg1dq1ys6w 928
2022년 1월 01일 22:02-연준은 지금부터 6개월간은 강하게 할 것
-발톱은 길어야 6개월 / 1분기 쯤은 조심 하는게 좋다
-앞으로 상당히 싸진 주식, 싸진 자산 지금부터 3개월 안에 매집하고 줍줍
-훨씬 더 싼 가격에 마음 편히 살 수 있는 구간이 3개월 정도 펼쳐질 듯
=>한마디로 3개월간 조정구간이란 이야기 같음
-연준, 중국 => 중국 현재 이미 선행지수 꺾인 상태
-금리는 올릴 수 있을 때 올리는 게 좋다
-1.금리차 축소 / 중국 외환 보유고 미국 테이퍼링 할 때 확 떨어짐
중국정부가 부채, 달러빚도 많은데 훨씬 더 버티지 못한다 버티면 안된다
-이전보다 중국으로 들어오는 달러는 많아 지고 있긴 함
-중국이 1년내내 유동성 정책을 완화적으로 간다면 더 큰 리스크가 올 것
-올림픽(베이징) 이후가 중요함 2008 / 2022 비교
-미중 패권 경쟁(외교적 보이콧)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
=>물가지표 실제치 – 컨센서스 와의 차이. 지수가 상승하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
-우리가 생각하는 거 이상으로 금리가 높아갈 확률이 있다
-Fed=미국 / 양적완화 테이퍼링 속도 확대(150억 달러->300억 달러)
기준금리 - 동결(0.0~0.25%) 관전포인트 – 점도표 상향(3-3-2) IS (인플레이션 서포터즈) 파월1기 -> IF(인플레이션 파이터) 1970년대의 흐름을 다시 한번 올 확률이 있지만 길어봤자 6개월 정도 일 것이다
-6개월 동안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물가가 더 올라갈 확률이 높다
-일시적 인플레이션 파이터
-통화정책 정상화 온도차
-아직까지 디플레에 대한 악재가 남아 있는게 일본(물가가 안오른다)
-일본 총재가 나와서 한 이야기 : 2년 후 까지도 물가가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
-중국 : 지준율 50bp 이하 인하 중국 정부가 왜 굳이 인하 했을까
=>내년 6월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 끝나면? 전략적인 핵심
-영국 및 미국 고용 시장 회복
=>인플레가 높아지는 건 기정 사실
-유로존 상이한 회복 / 아직은 규모적 으로는 풀 수 있는 조치를 취한 상태
-중국 부동산 가격 약 80개월 만에 하락
=>돈을 풀 수밖에 없는 상황 / 한국 부동산과 비슷
*소결론*
-환율
-달러 : 올해 들어서 달러는 강했다 계속 해서 강해질 것(적어도
6개월 이유는 연준이 테이퍼, 인플레이션 파이터로서의 모습을 보일 것)
-위안화 : 기준금리 낮췄고, 추가적으로 낮춰야 한다는 위험 / 강세 약화 될 것
-유로&엔 : 계속해서 약했고, 계속해서 약할 것
-미국의 해지펀드 매니저들=> 이번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일지 영구적일지 / 아직까지 일시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는데 6개월 만에 그런 사람들 많이 줄었다
=>모든 사람들이 일시적이지 않다는 건 악재가 아니다
-피크 아웃과 레벨업 => 인플레이션과 성장 / 물가를 보면 오미크론 이슈 때문에 유가 떨어지는 중 => 피크아웃 될 수 있다 반대로 주거 렌트 비용이 오르고 있는데 소비자 물가 4%오르는 것 피크아웃은 OK인데
-시장은 피크 아웃 하는 것에 방점이 있을 수 있다
-고용시장은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경제활동참가율을 참고=>아예 이 수치에서 벗어나서 상승한 것처럼 보인다
=>수치가 오르지 않는 이유=> 1.은퇴인구 2.경제적 충격으로 인한것 3.설명 불가능한 지역(죽음에 대한 공포 등) / 결론=> 이 수치가 회복 된다면 연준이 금리를 올릴 것
@user-ns7yb8hd8n 221
2021년 12월 30일 18:41신사임당님 모르면 모른다고 말씀하시고 솔직하셔서 좋아요 저희 마음을 대변하시는듯^^
피아노레이아 191
2021년 12월 30일 22:27미국 금리가 오르면 한국주식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들이 우르르 빠져나가니까(이 경우 환율도 오릅니다) 그 때 국내주식에 투자하란 예기예요.
흠냥이 152
2021년 12월 30일 18:48내년 1분기에 조정받으면 그때 줍줍하라는거네요
또한 통화정책이 지금은 매파적이지만 점점 덜 매파적일거라는거네요.
고견감사합니다.
믿고보는 빈센트님!
@FCJARA 96
2021년 12월 30일 17:2300:30 무슨말이에요ㅋㅋㅋㅋㅋㅋ저도 이해 못했는데 속시원해서 빵터졌네요
@misungkim4458 82
2021년 12월 30일 22:53역시 신사임당님 우릴 대변해주시는 훌륭한 진행입니다
@ssidp 79
2021년 12월 30일 17:24관련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입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fV2Ea8CbpUOonT2_AI4-PsjnFZ98c_3i/view
@uni7979 67
2021년 12월 31일 11:28전세계 경제 전망 시각을 볼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빈센트님 목소리도 좋으시고 조목조목 상세히 설명해주시니 정리가 싹 되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
@jinalee89 63
2021년 12월 31일 23:33와... 집에 앉아서 편하게 듣기에는 내용이 너무 고퀄이네요. 항상 경제상황을 보는 눈높이를 높여주셔서 감사합니다~^^
@jane9293 46
2021년 12월 30일 21:31무슨말이예요? ㅎㅎ 항상 구독자들의 시선으로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사임당님은 아는척 하지 않아서 너무 좋아요 찐팬입니당 ^0^
부자되는채널:KIND TEACHER JANE 40
2021년 12월 30일 20:152022년도에 하락장이 올지 상승장이 올지 누구도 모릅니다..하지만 시세보다 싸게 매물이 나왔다면 실거주는 1주택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거주나 투자하시길 바래요..부자되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나나 38
2021년 12월 31일 00:03신사임당님~~~빈센트님을 좀 더 쥐어짜주세요.😜 좋은 정보가 더 나올것같아요.항상 투자는 개인의 책임이 따르지만 알아야 선택을 하죠.^^제일 쌀때 사고 비쌀때 판다는 바탕아래 기준점을 세우는게 제일 어려운거 같아요.한해동안 좋은 내용들을 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jbright8829 37
2021년 12월 30일 17:40진짜 말씀을 잘하시네요..
@HanNyangDuNyang 36
2022년 1월 08일 05:09와 이분 분석 정말 퀄리티가 좋은 내용이 많네요. 기계적이고 이론적인 분석을 넘어서 각종지표당 얽혀있는 경제상황을 심도있게 고민하고 말씀하시는게 설득력이 정말 크네요
@hanolful 30
2021년 12월 30일 17:3400:32 신사임당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표정진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게스트님 당황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bj1zq4ho8x 30
2021년 12월 30일 19:32신사임당님♡♡ 빈센트님 고퀄 강의 유튜브에서 만나게 해주셔서 무한 감사드려요~~
@user-re2un5sj4r 29
2021년 12월 31일 08:31고퀄 강의를 이해못하는 일인… 공부 더 해야겠네요 ㅠ
@Jasmine-eu1dj 28
2021년 12월 31일 11:11아직 매우 어렵네요. 공부중인데 애널리스트님 목소리도 차분하고 설명도 잘해주셔서 이해가 잘되네요.^^
@guadik6100 24
2021년 12월 30일 22:47뭐소리야 했는데 신사임당님도 무슨 말이에요 하시는거 보고 나만 이해안된게 아니구나 했습니다. 아 금융 어렵네... 공부 많이 해야겠어요.
신영웅 23
2021년 12월 30일 20:54신사임당님 덕분에 많은 전문가분들의 의견과 조언을 들을 수 있어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newglare 22
2021년 12월 31일 17:57어려운 내용을 자세히 최대한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ungyunshin5558 22
2021년 12월 30일 19:10진짜 빈센트님 너무 좋아요~~~ 목소리 쏙쏙 인텔리 느낌 뿜뿜 ㅎㅎ
@littlehabit 19
2021년 12월 30일 18:20시작부터 신사임당님 웃음소리 유쾌해요!!ㅎㅎ 기분좋아지는 웃음😀
돈도 모으구 공부도 하고 있어야겠습니다🌸
@user-ed9jy6gs4c 18
2022년 1월 07일 13:00이런 고퀄리티의 분석을 무료로 들을 수 있음에 너무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게스트분이 정말 연구를 많이 했다는 것이 느껴지는 초고퀄리티 영상이네요 :~)
@user-zg7vx9qz5b 17
2021년 12월 31일 12:37무슨 말이예요. 썸네일로 잡아될듯.. 정말 어쩜 내 맘을 이리 잘 알아주신건지.. 정말 최고😘
sy kim 16
2021년 12월 31일 10:16제가 가장 좋아하는 이코노미스트세요~ 자주 나와주세요. 새해복 많이 받으시구요~
@user-sx9ng9vn1z 13
2021년 12월 30일 20:03내가 하고싶은 말 대신 해주시니 속이 시원하네요,무슨 말이에요?
@user-bo8sv3mo5h 12
2021년 12월 30일 18:54한해 수고하셨어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cv7dr1rf2m 11
2021년 12월 30일 21:18두물머리ㅡ양평이 고향?
할미입니다만
잘 몰라도 설명 열심히 듣고
있어요ㆍ깔끔하니 잘하네요
젊은이 대단합니다ㆍ 칭찬
@daydaysurfbus 11
2021년 12월 31일 02:59상세한 분석 감사합니다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ming7065 11
2022년 1월 03일 01:23진짜 고퀄의 리포트네요 ㄷㄷㄷ;;;; 거기다가 빈센트님 말 너무 잘하시구요...필링 워드도 없이 이렇게 말을 유창하게 오랫동안 하는 것도 너무 대단하세요!
@user-xy7jw5lh8h 10
2021년 12월 30일 18:36무슨말이에요?ㅋㅋㅋㅋㅋㅋ 빵터짐 같은 마음이였어요
@user-rc5ko3jd2b 10
2021년 12월 31일 11:09자세한 분석 감사드립니다 ^^
@user-dw7tu3ff3r 9
2021년 12월 30일 17:05기다렸습니다^^ 감사히 잘 볼꼐요 재밌네요!!
@user-cu8zn8du1h 8
2021년 12월 31일 11:29어디서 들어본적 없는 정보분석
서너번 집중해서 들어봐야겠습니다♡♡
이경민 8
2021년 12월 31일 20:44어... 2013 테이퍼링 발언 이후 2014에 금리 인상을 할려고 하는 시점에서 미국은 조금 조정이 있었고 반대로 중국의 폭등이 시작하고 있었습니다. 원유 폭락이 도왔기도 했지만.. 중국은 과도한 부채와 그림자 금융으로 논란이 있으면서 2015년 말에 폭락 후에 지지부진했죠. 지금 2014를 생각하는 것 같기도 하네요. 신흥국의 약세 이후에는 대부분 급등이 옵니다.
당신의시간을아껴드립니다 7
2021년 12월 31일 15:26신사임당님 한해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ykyoon5137 7
2021년 12월 31일 00:33헉 말씀을 진짜 잘하시네요 우와~~~
SoonRan Moon 6
2022년 1월 01일 16:06새해를 신사임당님 영상들으며 집 정리중인데 내용이 어렵긴하네요
자료까지 공유해주시고 감사합니다~
German Ji Jinhee 독일 지진희 랜선 유럽여행 5
2022년 1월 09일 17:06빈센트님 분석 짱이시네요 👍🏻👍🏻👍🏻
@mini1735 5
2021년 12월 30일 19:35무슨말이에요?크으흐흐흐흐 …😆👍👍👍
@goodband88 5
2022년 1월 06일 11:00어제 오늘 주식 상황을 미리 예견한거 같아요 상반기 흐름에 많은 참고 되었습니다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Rasvery Yu 5
2022년 1월 01일 11:20앞으로 6개월 경제 변동 변수들을 설명해주신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어렵네여. ㅠ
내년 6개월까지의 변동은 어느정도 예측가능하나 그다음은 고용시장 성장에 따라 변화한다...
맞나요? ㅎㅎ
@ty.l6202 5
2022년 1월 01일 17:41신사임당님 덕에 빵 웃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즐겁게 배우고 갑니다.
JS S 5
2022년 1월 04일 19:11한줄요약: 과거역사를 보면 리먼파산으로 시작된 경제위기를 양적완화로 어느정도 안정화시킨후에 금리인상을 위한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을 시행함으로써 적정수준의 인플레를 유지시켰죠. 그리고 리먼파산의 여파가 잠잠해지고나서, 다시 경기가 전세계적으로 살아나면서, 부의 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즉, 과거에도 그러한것처럼 지금 코로나사태이후로도 그러할것이라고 이야기하는것입니다.
@user-xm2wx3uf8h 5
2021년 12월 30일 17:29안녕하세요! 빈센트님!🧡
@user-uy2pd3ps3k 4
2022년 1월 02일 12:55ㅋㅋㅋㅋㅋ무슨말이에요 하 너무 공감되면서 빵터졌어요 ㅋㅋㅋㅋ
푸른곰돌 4
2021년 12월 31일 10:38배울점이 많네요 감사합니다
@user-mt9io4ry9h 4
2021년 12월 31일 00:20빈센트님 펜이에요 언제나 다정하고 친절한남자!^^
@minsjang9467 4
2021년 12월 30일 17:50감사합니다~
@user-nz7ps2ox2m 3
2022년 1월 23일 13:20빈센트님
목소리도 좋으시고 정확한 분석 감사합니다 믿고 쭉~투자해나갈께요
@seouljem 3
2021년 12월 30일 20:11댓글을 쓰게 되네여~^^ 좋은정보..그리고 재미~~감사합니다!
@dreamfactory4722 3
2021년 12월 31일 14:22좋은 전망 감사합니다♡
JO JO 3
2021년 12월 31일 18:13좋은 방송 감사
@seanjung8427 3
2021년 12월 31일 03:03빈센트님❤️❤️
@rrollins5277 2
2022년 1월 03일 15:35전반적인 상황정리가 되네요. 잘들었습니다.
@yoon_topia3408 2
2022년 1월 02일 10:20항상 감사합니다 👍🏻
@user-ct1zg6ht6h 2
2022년 1월 01일 09:51투자에 도움 될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2번 봐야겠어요..
나홀로케이 2
2022년 1월 01일 20:04너무 유익한 1시간.. 신사임당님 중간중간 물어보면서 다시 이야기해주는것도 제 입장이 된거 같아 너무 좋습니다^^....
인생역전 1
2021년 12월 31일 18:49설명 참 잘하십니다~~
@user-qo6fo6el3o 1
2022년 1월 02일 08:34무슨말이예요 ~~~빵터졌어요 ^^
@KakaoLab 1
2022년 1월 01일 22:21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meeyoung78 1
2022년 1월 22일 19:02사임당님!!너무 좋습니다 무슨말이예요? ㅋㅋㅋ 덕분에 쉽게설명해주셨네요 그나마 조금 이해했네요
Bravo_Second Half 1
2022년 1월 04일 11:50분석 정말 훌륭합니다!!!!
@user-ic9uh5ey7q 1
2021년 12월 30일 21:21아~~ 보이콧이 잇구나~~~ ㅋㅋㅋㅋ
연기력 최고 입니다, 드라마 언제 들어가요?
그냥그냥 1
2021년 12월 31일 21:04감사합니다!!!!!
최성규
2021년 12월 31일 11:04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캡틴
2022년 1월 31일 12:18새해 모두 성투하셔서 날마다 행복들 하세요~~
RED MooN
2022년 1월 02일 18:04매번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신사임당님
2022년 임인년 새해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한 한해 되세요.
@kim_sora119
2022년 1월 04일 09:31무슨말이에요 ~~~~ 👍👍👍감사요 완전 공감 했어요
Egnaro
2022년 1월 19일 10:07경제활동참가율이 코로나 전 63%에서 현재 61.9%정도로 표에 나오는데, 물론 큰 영향을 끼치겠지만 1.1%때문에 FED가 다시 움직일거같진 않습니다. 설명에선 100명 일하던게 50명 일하는 상태로 예를 드셨는데 주장에 근거를 맞춘건 아닐까 걱정입니다.
전반적인 의견에는 동의합니다.
@mjin6614
2022년 1월 05일 13:25반갑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