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영등포역으로 놀러갔습니다..백화점은 손님으로 미어터지는데..전통시장이나 영등포 지하상가는 손님이 없어 망해가는 분위기더군요..한마디로 돈있는 사람은 엄청 돈있고 없는 사람은 먹고 죽으래도 없는게 현실이라는거죠...집도 마찬가지로 갈거 같습니다. 강남같이 돈 모이는곳은 계속 집값이 올라가고 그외 지역은 쭉 빠져서 영끌한 사람들도 같이 작살나는게 미래에 정해진 수순같네요.
50대 중반 되보니 집값이 10~14년 주기로 폭등시기가 있더라구요..어느 유투버 말처럼 부동산은 우상향 합니다.폭등후 악재를 줘서 1~3년 좀 빠지는듯 하다가 오를땐 단기간에 폭등..아무리 큰 세계적 악재가 터져도 10년전 가격이랑 비교가 안됩니다..섣부르게 투자하긴 그렇지만 자가 한채는 반드시 준비하시길..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번 주택 가격은 우리 인생의 고점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대다수의 사람은 생에 한번 주택 매매를 합니다. 설사 누적된 정책 실패로 올해 일부 지역의 주택 가격이 상승할 수는 있으나 그 후년 또 그 이후에 추세적으로 가격이 하락한다면 올해 주택을 매수하는것이 옳은 판단일까요? 주택 구매력지수, gdp대비 주택가격, 소득대비 주택가격, 전세가대비 주택가격 모든 객관적 지표가 역대 최대치이며, 그동안 유일한 대안이었던 미국의 무제한 양적완화가 정반대로 움직이는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버틸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5~6년 조정을 말씀하시나 5년후 10년후 수요와 공급, 노령화, 사망률에 따른 빈집 발생량 등을 냉정하게 고려한다면 이번 고점은 우리 인생의 마지막 고점일 확률이 99%입니다. 건투를 빕니다.
들을만한 정보도 있는데 결국 해석은 이해안됨. . . .갈수록 뜬구름 잡고, 비논리적이고, 좀 억지스럽기도하고, 특히 자극적인 대상 나열하는 말들이. . . 결국 어찌되었든 오른다. . . 라는 말. . 이 정도면 나도 전문가 할 수 있지 않나 하는 의문이드는건 왜일까요
오를 지 내릴 지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알게 되겠으나...적어도 상승과 하락의 방향성에 대해 얘기하시는 분들은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도 분명히 필요하겠지요. 어떤 투자든 개인의 각자 판단과 책임입니다만...전문가로서 방향성을 예상할 때는 적어도 본인의 예상이 틀렸을 때 반드시 사과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1~2년, 오른다는 전문가와 내린다는 전문가 제가 다 기억하고 있습니다. 결과가 나왔을 때의 태도 또한 쭈욱 지켜보겠습니다. 누군가는 빚을 내서 일생일대의 결정을 내리는게 부동산취득인데...다들 너무 쉽게 쉽게 얘기하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드네요
최고가 9억8천 11월 8억5천 실거래신고가 있다 그리고 그담부터 12월 1월 거래가 없다. 그리고 고소득자나 부자들은 이미 좋은집이 잇다. 또사서 다주택자된다고? 집없는사람들이 사고싶은데 돈이 없다는거지..눈꼽만한호재를눈덩이 만들어 관광버스타고 와서 줄서 계약하더니 지금은 분위기 싹바뀜 내놔도 안팔려 그러다보면 급매가나오겟지...
말 쉽게하시네 40프로 올랐다가 5프로 빠지면 빠진거지. 주식 작년 10월쯤 매수했으면 현재 마이너스 20은 기본인데 종합주가지수 얼마 안떨어졌고 1년전 비해서는 엄청 오른거니 안빠진졌다는 논리네. 기존시장참가자부터 입장에서는 약간의 조정이지만 신규진입자의 입장에서는 고점이고 위험한 지점일수 있는거 아님? 신규참여자가 영끌이고 고점에 잡았으면 나락으로 갈수도 있는거 아님. 결국 투자는 개인이 판단하고 책임지는것
매도로 추세전환하고 대출규제 하고 금리 올리고 테이퍼링 하는데 집값이 인플레이션 대비 수십프로 올랐는데 안떨어진다고 전망하는건 뭐냐 지금 공급망 건축자재 계속오르고 분양 늘리고 악재만 쏟아지는데 ㄷㄷ 저가매수 들어온다고?? 중국 부동산 위기는 계속 튀어 나오는데?? 저분 집이 몇채길레 이런 소릴 하냐
집값이 오른 원인은 대출 이자가 낮아서 빚으로 올랐던 것이다. 이전에 대출을 규제해서 하향 안정화 되고 있었는데''''' 전세대출이 저금리로 80% 까지 대출이 가능지고 월세보다 전세가 더유리해서 전세가 집값보다 올라도 저금리 대출이 가능해서 전세금과 집값 모두 두배 정도 상승했던것이다. 전세금 빼면 적은 비용을 집을 샀는데 전세값이 계속 올라도 대출이 가능할까? 예를 들면 2억 2%대 전세대출이었던것이 지금은 3억 3%대이 조만간에 4억 4%대로 오를 것이다 매달 33만원의 이자가 133만원으로 되는것이다 전세대출로 전세대금이 오로고 전세 대금이 올라 갭투자로 집값을 상승시켰는데 계속 오르는것은 무리가 있는것이다. 서민을 위하 포퓰리즘 전세대출 정책이 전세자금 갭투자로 집갑을 급등하게 했고 집값 폭등의 피해는 결국 서민들에 돌아온 것이다.
가장 중요한건 집이 투기 대상이 아니란거에요~수요 공급의 원칙 다주택자 법인투다자가 집을 사서 모으지 않으면ᆢ 제도적으로 그 길을 많이 막아놔서 수요가 많이 줄어 들겁니다 집을 다주택자들이 몇채씩 사도록 도와준 제도가 문제였어요 금리 오르면 집 못 삽니다 글구 영혼을 집과 은행에 팔지 마세요ㅜㅜ
금리 세금 이런걸 정치하는 사람들이 정하는데 이런게 너무 큰 변수라 예측한다는건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지금 사는 사람 파는 사람이 다 없어졌는데 사람들도 대통령 누가 되는지 보고 금리나 세금추이보겠다는거겠죠 빚이 늘어서 금리나 세금이 조금만 올려도 한계에 직면하는 사람이 늘수는 있겠죠
요근래엔 월세 매물도 없고 폭등이더군요. 불과 몇달전과 달리 15평 안팎집이 인기가 많다네요. 그나마 싸니까 그렇겠죠. (서울) 아파트 월세 살다가 매수한 집으로 드가려고 내놨더니, 하루에 다섯군데 예약이 잡히드라구요. 처음 본팀이 바로 계약하고 완료. 매우 놀랬습니다. 그 중 한 팀은 일본에서, 한 팀은 미국에서 돌아오는 팀이였습니다. 코로나때메 돌아오는 분들도 많으신 듯.
홍씨! 당신은 아무리 봐주려 해도, 안타깝다고 뺑끼 쓰는 소릴 해도 상위 몇프로 쪽 얘기만 하고 있어요. 하는 얘기라곤 부동산 투기꾼들하고 뭐가 다른지 구분이 안돼. 자본주의의 나쁜 쪽 끝단에 있는... 당신 예측대로 안되는게 대부분 사람들의 행복이란 걸 처절하게 느끼는 날이 오길 바라네... 김 작가도 초심을 생각해 보셔 돈 좀 버셨나 !
@chunukhong 159
2022년 1월 09일 17:48김작가님 만나면 늘 즐겁고.. 또 맘 속에 잠재되어 있던 이야기까지 꺼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잘 편집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indora 154
2022년 1월 09일 19:27어제 영등포역으로 놀러갔습니다..백화점은 손님으로 미어터지는데..전통시장이나 영등포 지하상가는 손님이 없어 망해가는 분위기더군요..한마디로 돈있는 사람은 엄청 돈있고 없는 사람은 먹고 죽으래도 없는게 현실이라는거죠...집도 마찬가지로 갈거 같습니다. 강남같이 돈 모이는곳은 계속 집값이 올라가고 그외 지역은 쭉 빠져서 영끌한 사람들도 같이 작살나는게 미래에 정해진 수순같네요.
@tpdla76 101
2022년 1월 09일 21:3350대 중반 되보니 집값이 10~14년 주기로 폭등시기가 있더라구요..어느 유투버 말처럼 부동산은 우상향 합니다.폭등후 악재를 줘서 1~3년 좀 빠지는듯 하다가 오를땐 단기간에 폭등..아무리 큰 세계적 악재가 터져도 10년전 가격이랑 비교가 안됩니다..섣부르게 투자하긴 그렇지만 자가 한채는 반드시 준비하시길..
@gerrardchoi900 86
2022년 1월 10일 14:51급등하던 집값이 보합을 거쳐 하래으로 추세가 바뀌기 시작했다고 봅니다. 소득 증가분을 땡겨쓴거는 이미 수년 전이죠... 최근 10년간 성장률이 30프로라고 볼 때, 최근 10년간 집값 상승률을 비교해봐야죠
@ZeroCoke178 82
2022년 1월 09일 16:05작년 초 삼성전자가 9만원을 돌파했을때 사람들은 십만전자를 외치며 영끌투자를 했고, 작년 말 비트코인이 8천만원을 돌파했을때 사람들은 1억코인을 외치며 또다시 영끌투자를 했죠. 지금 결과는 어떤가요?ㅎㅎ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마세요
@김혜용-s9d 74
2022년 1월 09일 16:04초양극화는 피할수 없는 싱황 똘똘한 한채는 어찌될지 모르나 지금은 디레버리징으로 인해 그외지역은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ironMan 74
2022년 1월 09일 15:35팩트:
대장주가 3% 빠진다(유튜버가 말하는 집)
개잡주는 50% 빠진다 (국민이 원하는 집)
@soop8788 71
2022년 1월 09일 15:49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그런데 1-2년간 20-40% 올랐다는게 한 거래로 인한 상승이 아닌데, 현재 거래량 절벽에서 1달만에 20-40% 안빠진게 버틴거라고 볼 수 있나요? 환금성이 빠른 자산이 아닌데 당연한게 아닌지.. 추이를 지켜봐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루일상튜버 64
2022년 1월 09일 16:16매수세를 무주택자로 보시네요
동의하기 어렵네요
매수자가 작년처럼 없다는게 문제
민준민성STORY 58
2022년 1월 10일 20:31홍박사님이 얘기하는 올해 내년 경제성장과 소득증가까지도 미리 땡겨 반영한 그리고 정책실패로 과하게 반영한 폭등이었죠. 왜 맨날 오른다고만 하실까..
주영 정 47
2022년 1월 09일 15:40이 사람 작년에 한국은행 금리 절대 못올린다고 한사람아니었나요~ ㅎ 이런 사람의 예측이라 재미지네요
@PeaceMaker-e6z 47
2022년 1월 09일 16:03와... 너무나도 확실한 공언 꼭 기억하겠습니다. 집값이 안빠지고 현 가격을 다지는 기간(소폭하락)후 다시 오르게 된다면 평생 팬 하겠습니다. ㅎ
@dogcat391 46
2022년 1월 09일 16:032006~2016년에는 부동산 하락 횡보기였는데
고소득자 소득이 줄어들었었나요..? 아닐텐데?
소득이 높아진다고 부동산이 안빠진다는 논리면 06~16년동안 왜 부동산은 하락 횡보장이었나요..?
은마 46
2022년 1월 09일 19:35무주택자에 아파트 가격 빠지기를 학수고대 하는 사람이지만, 홍박사님 견해에 동의 합니다. 가슴이 아픕니다.
@shj6331 43
2022년 1월 11일 15:13장기 보유하는 실거주 아파트 한채는 꼭 있어야 합니다. 오르고 떨어지고 아무리 반복해도 결국은 오름폭이 훨씬 큽니다. 세 사는 것보다 삶의 질도 비교할수 없구요.
@tangokilo1400 42
2022년 1월 09일 17:42그러니까 소득이 올랐으니까 FED가 B/S 축소하든 말든 상관없이 나스닥이 14,000대 밑으로 처박는 것과 무관하게 울나라 부동산 시장은 견고하다…? 오히려 더 오른다…? 😄
@다시쓰는징비록임진왜 42
2022년 1월 09일 18:50상승론자는 상승 요인만 크게 이야기 하고,
하락론자는 하락 요인만 크게 이야기 하니,
결국은 다 자기가 하고 싶은 말만 하는 거고.
오를 곳은 오르고, 내릴 곳은 내린다는 거지.
@hc5878 42
2022년 1월 10일 09:31물가상승률이 2.5%라고 하셨는데 부동산지수는 포함안됐어요. 하늘끝까지 아파트값이 올라 온나라가 투기판이 됐는데 설득력이 부족한것 같아요
이재용 38
2022년 1월 09일 16:58죄송합니다만 금리인상 지속적 확정인데.. 심리 다 무너졌습니다. 올라야할 이유를 찾는분 같네요. 지금 하락한다고 덥석 무는게 아니라 심리가 하방지속이 가속화될겁니다.
@거북이처럼-p5p 37
2022년 1월 10일 06:562022년 경제는 3.5%~4%라던데
박사님은 5~6%라네요
언론보도랑 차이가 많군요
@심찬식-c3t 33
2022년 1월 09일 17:45많이 올라서 집값이 고가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정 가는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부장님최고 27
2022년 1월 11일 22:38올해 경제성장률이 높은건 작년때문에 기저효과 아닌지. 그리고 임금이 올랐다고 해도 서울주택구입부담 지수가 180이 넘는건 어떻게 설명하실지 궁금합니다
귀여운장군이 22
2022년 1월 09일 18:56댓글들을 읽어보니 다들 자기 상황에 따라 해석하는것 같네요...다른 입장에서 반대로 생각해 보면 의외로 답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홍춘욱 박사님 영상 잘봤습니다.
이겨내자 22
2022년 1월 09일 15:56나만 가난하구나...2억짜리 3억오르고 2천빠져도 5억에 산사람한테는 빠진겁니다
포커스온마이셀프 21
2022년 1월 09일 21:0819:35 서울~수원 클러스터 세계 4위..
상장기업으로 봤을때 시가총액 거의 1000조 담당일찐들...
상장안한 스타트업들까지하면.. 어마무시..
@좋은무사 21
2022년 1월 09일 16:55이 분은 나오는 채널 따라서 약간씩 다르게 말하네요.
유튜브에서 말하는거랑 라디오에서 말하는거랑 약간 많이 다름. 논조가...
@SMS-xk7ft 20
2022년 1월 09일 17:28내리긴 내릴텐데 50%내리지는 않을거고 20%는 빠져도 된다고 봄.
@user-jm3bk5sn1b 20
2022년 1월 09일 22:00성장률 5퍼, 집값이 20퍼 올라서 과하긴 하다면서.. 하락은 안 온다? 논리부터 안맞는듯
@papa_skate_mag 18
2022년 1월 11일 07:06이분 대기업에 대해 잘 모르시는듯, 말하는 기업들은 반도체고 나머지 다른 기업들은 임금 안 오름 보너스 없음... 그리고 대기업 다니는 사람이 전체 인구에 몇프로라고 이런 이야기를??
@bestminer9419 18
2022년 1월 10일 02:41화폐는 계속 찍어내고 금리는 장기적으로 계속 우하향하는데 부동산 주식 코인 원자재가 장기적으로 안 오르는것도 이상함
@ieunakim 17
2022년 1월 09일 20:09오십견인데 시계는 무슨 ㅋㅋㅋㅋ 이 부분에서 방심하고 있다가 빵 터졌네요 ㅋㅋㅋㅋㅋ
Race Kim 16
2022년 1월 09일 19:25홍박사님 늘 신뢰합니다. 수년간 많은 도움받았습니다 감사드려요
@youngsunjoo7024 15
2022년 1월 11일 14:59그럼 부동산은 안빠진다 그럼 살만한 가치가 있는 가격이라는건데 박사님은 지금 집 사실간가요?나는 이가격이면 주택을 사고 싶지 않은데 근데도 가격은 계속 오를거다 그게 팩트다 동의할수 없네요
@손샘의쉽게배우는수학 15
2022년 1월 15일 17:36일년뒤가 정말 궁금하군요.
우리경제는 미국 금리인상에 밀접관련되어있는데 이부분을 간과했군요.
플러스플러스 14
2022년 1월 11일 07:55집이없는 사람으로써 내리면 좋겠지만 버티고 오를수 있다는 뉴스도 꼭 보려고 합니다 그중 최고가 홍 박사님 입니다 항상 감사 합니다
페서픽블루 14
2022년 1월 09일 17:29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번 주택 가격은 우리 인생의 고점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대다수의 사람은 생에 한번 주택 매매를 합니다. 설사 누적된 정책 실패로 올해 일부 지역의 주택 가격이 상승할 수는 있으나 그 후년 또 그 이후에 추세적으로 가격이 하락한다면 올해 주택을 매수하는것이 옳은 판단일까요?
주택 구매력지수, gdp대비 주택가격, 소득대비 주택가격, 전세가대비 주택가격 모든 객관적 지표가 역대 최대치이며, 그동안 유일한 대안이었던 미국의 무제한 양적완화가 정반대로 움직이는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이 버틸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5~6년 조정을 말씀하시나 5년후 10년후 수요와 공급, 노령화, 사망률에 따른 빈집 발생량 등을 냉정하게 고려한다면 이번 고점은 우리 인생의 마지막 고점일 확률이 99%입니다.
건투를 빕니다.
@뉴헤리티지 14
2022년 11월 28일 18:09역시 전문가분들은 시장 상황에 따라 빠르게 태세전환!!!
예측불가능 14
2022년 1월 20일 20:10들을만한 정보도 있는데 결국 해석은 이해안됨. . . .갈수록 뜬구름 잡고, 비논리적이고, 좀 억지스럽기도하고, 특히 자극적인 대상 나열하는 말들이. . .
결국 어찌되었든 오른다. . . 라는 말. . 이 정도면 나도 전문가 할 수 있지 않나 하는 의문이드는건 왜일까요
오딧세이 13
2022년 1월 12일 01:50진짜 펙트 폭력자 시넹 ㅋㅋㅋ 시원하면서도 현실 직시 하게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김혜진 13
2022년 1월 11일 06:34홍박사님 전망이 제발 틀리기를~^^;;
탐욕만 안부리면 인생은 꽤 노력한대로
풀리는듯 싶습니다...^^*
SEONG SHIK SHIN 11
2022년 1월 09일 16:31부동산을 잘 모르시는 .... 방향을 서서히 틀고 서서히 내리지만 방향을 틀면 그게 지속됩니다. 전문가들이 얼떩결에 부동산에 물려 있기 때문에 자꾸 더 오른다고 하는데 GNP의 20배가 되었는데, 더 오르나요? 집값 총액이 GNP 30배 40배 되나요?
김동형 11
2022년 1월 09일 23:1340퍼센트 오르고 또 오르면 반칙아닙니까 가격은 모르겠고 살만한집 갖고 싶네요
W남 재테크Story 11
2022년 1월 09일 17:05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홍춘욱 박사님 웃음이 참 좋네요 ㅋㅋ
앞으로도 좋은 지식 전달 부탁드립니다.^^
@Mark-vl8nz 11
2022년 1월 13일 23:27얼마전까지 디플레이션 주장하시던분.,. 너무그래프만보셔서 현실과 동떨어진 전망 잦음
상상그 이상 10
2022년 1월 29일 20:162주가 지난 오늘 이 방송을 듣게 되는데요,지금도 이 관점이 유효하신지 모르겠네요.경제에 낙관적인 견해 네요
@연-k3f 10
2022년 1월 11일 17:08김작가님~~^^
작년 성장율이 5~6%
라고 하는데.....
도저히 믿을수가 없다.
유니 9
2022년 1월 09일 16:00감사합니다
@반달곰-q3m 9
2022년 1월 15일 17:54서울은 모르지만 중소도시 집값 정말어렵습니다ㅡ전세 공실이 너무 많아요ㅡ인구가 줄어드는데 집값 오른다는 논리는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ㅡ
인사이트k Yang 8
2022년 1월 09일 17:22오를 지 내릴 지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알게 되겠으나...적어도 상승과 하락의 방향성에 대해 얘기하시는 분들은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도 분명히 필요하겠지요.
어떤 투자든 개인의 각자 판단과 책임입니다만...전문가로서 방향성을 예상할 때는 적어도 본인의 예상이 틀렸을 때 반드시 사과하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1~2년, 오른다는 전문가와 내린다는 전문가 제가 다 기억하고 있습니다. 결과가 나왔을 때의 태도 또한 쭈욱 지켜보겠습니다.
누군가는 빚을 내서 일생일대의 결정을 내리는게 부동산취득인데...다들 너무 쉽게 쉽게 얘기하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드네요
dallai99 8
2022년 1월 09일 17:54이렇게 확정적으로 말하는건 너무 마음에 든다. 비겁하지 않아서 인정. 결과에 따라 자신의 주장을 어떻게 책임질거냐는 지켜볼거임. 끝까지 볼거임
희정 8
2022년 1월 16일 16:37최고가 9억8천 11월 8억5천 실거래신고가 있다 그리고 그담부터 12월 1월 거래가 없다.
그리고 고소득자나 부자들은 이미 좋은집이 잇다.
또사서 다주택자된다고?
집없는사람들이 사고싶은데 돈이 없다는거지..눈꼽만한호재를눈덩이 만들어 관광버스타고 와서 줄서 계약하더니 지금은 분위기 싹바뀜 내놔도 안팔려 그러다보면 급매가나오겟지...
주식귀신 _ 100억 주식 세력주 투자의 모든 것 7
2022년 1월 09일 17:0022년에는 주식으로 갑시다 ~^^
한상엽 7
2022년 1월 09일 16:32그럼 고점 근처에 산 사람들은 어떻게 되나요?..성장률 오르면 전체 국민소득이 그만큼 오르나요?..무슨 생각으로 이런 이야기하는지?
@alquimist5425 7
2022년 1월 14일 15:37성장률을 물가 상승률를 더하는게 말이 되는건가? 그럼 베네수엘라는 세계최고의 성장률인가?
rey j 7
2022년 1월 18일 21:04집값 오른거..그냥 코로나 때문에 전세계가 돈 풀어서 오른거에요. 돈 풀어서 오른 자산가격은 돈 회수하면 빠지겠죠..뭔 경제성장률이 어쩌구저쩌구ㅋ
@김남길-l1u 7
2022년 1월 09일 16:22대구광역시 대구역 주변 장난 아닙니다 3호선 라인 하고 1호선 태평로라인 지금 다릅니다 예전이야기입니다 그삐하던장소는 없어졌습니다 시청주변하고 완전 변했습니다 안탑깝네요 대구사정을모르시네요 지금대구는시내주변을 엄청나게 개발합니다 한번 보세요
@wooseoklee178 7
2022년 1월 13일 17:26근데 왜 적자이죠?
수출보다 수입이 더 늘었던데...
몇몇 부자들이 집을 마구 사준데요?
그럼 많이 사고 세금 많이 내 주었으면 좋겠네요!
근데 현실은 실거래가 많이 빠지고 매물 계속 쌓이는데...ㅋ
최동혁 7
2022년 1월 09일 17:10디른 채널에선 다르게 말씀하신거 같은데
@이창현-x6r 6
2022년 1월 11일 06:38홍춘욱 박사님, 부동산 가격이, 성장율을 먼저 땡겨온건 아닌가요?
one only 6
2022년 1월 11일 16:33다들 자기 우물안개구리다 성공한 경제전문가는 부자들만 상대하니 이사람들이 다 강남서초땅을 사면 강남서초는 문제없겠다 생각들고 그런데 경제는 그렇게 단순하게 움직이지는 않는다 시장은 어떤 틈으로든 하나로 연결되있고 돈은 flow지 stock하지 않기때문에
김석 6
2022년 1월 09일 16:00우리 한국 지역은 원심보다 자꾸 외곽지역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감사합니다 👧
@enlightenment437 6
2022년 1월 17일 05:09경제 성장율의 함정은 작년대비 입니다.
@tv-jx5bf 6
2022년 1월 23일 15:34체감 경제는 50% 마이너스이고 부동산 매매는 완전 꽁꽁 얼어 붙었는데 지금 실거래가는 고점대비 다 내려 가고 있는데 무슨 소리인지??
@chanpark9166 6
2022년 1월 13일 09:07말 쉽게하시네 40프로 올랐다가 5프로 빠지면 빠진거지. 주식 작년 10월쯤 매수했으면 현재 마이너스 20은 기본인데 종합주가지수 얼마 안떨어졌고 1년전 비해서는 엄청 오른거니 안빠진졌다는 논리네. 기존시장참가자부터 입장에서는 약간의 조정이지만 신규진입자의 입장에서는 고점이고 위험한 지점일수 있는거 아님? 신규참여자가 영끌이고 고점에 잡았으면 나락으로 갈수도 있는거 아님. 결국 투자는 개인이 판단하고 책임지는것
@사과_업고_튀어13 5
2022년 2월 09일 15:35이분은... 맨날 내린다 했다가...오른다 했다가... 몇주간에 말이 막 바뀌심..
지헌 박 5
2022년 1월 09일 21:35가끔씩 드는 생각
참 narrative하다. .
요번에는 전반적인 상황에서 대한
이해가 조금 아쉬운 듯
NAMU GOMU 5
2022년 1월 10일 01:21앗. 박사님..팩폭자..ㅋㅋ
시장경제 5
2022년 1월 22일 11:33고점대비 천 이천 하락 거래 라는건 집값 인상분이 그데로 반영되어 정착되어간다고 봅니다
서서아빠 4
2022년 1월 10일 13:07청약받아서 실거주로 살면 오르던 내리던 걱정할게 없습니다~
@tv-xd2il 4
2022년 1월 24일 21:59언젠가는 100억두 되겠어요^^
@주마오두막 4
2022년 1월 30일 07:09집값 오르길 원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편하게 해 주는군요.
현금 부자들께서는 저 장미빛
전망대로 매물 많이 받아주세요.
배는 벌써 방향을 틀었는데...
@changsuklee2317 4
2022년 1월 14일 15:39매도로 추세전환하고 대출규제 하고 금리 올리고 테이퍼링 하는데 집값이 인플레이션 대비 수십프로 올랐는데 안떨어진다고 전망하는건 뭐냐 지금 공급망 건축자재 계속오르고 분양 늘리고 악재만 쏟아지는데 ㄷㄷ 저가매수 들어온다고?? 중국 부동산 위기는 계속 튀어 나오는데?? 저분 집이 몇채길레 이런 소릴 하냐
예측불가능 4
2022년 1월 20일 19:51집값이 오른다는 근거가 그건가요. 다음엔 또 어떤 근거를 댈지. . .영끌이란 단어는 이젠 안쓰는 시대가 되길
정치가 경제 위에서 간섭해도 문제지만 전문가라고 타칭되는 사람들이 경제위에서 놀렷나는것도 참 걱정되는 상황이 아닐련지?
성혁 Dante 4
2022년 1월 10일 07:41월세 받아먹기에 매매가가 너무 비싸고, 프리미엄으로 보기엔 인구감소가 직면해있는데 여기서 더 프리미엄 붙지않는 이상 안 오르지않을까요?..
@청수-u9e 3
2022년 1월 14일 10:36집값 오를 때 대출없이 올랐다면 당신 말이 맞는거지만 현실은 아니란거...
민팡 3
2022년 1월 14일 16:04집값이 오른 원인은 대출 이자가 낮아서 빚으로 올랐던 것이다. 이전에 대출을 규제해서 하향 안정화 되고 있었는데'''''
전세대출이 저금리로 80% 까지 대출이 가능지고 월세보다 전세가 더유리해서 전세가 집값보다 올라도 저금리 대출이 가능해서 전세금과 집값 모두 두배 정도 상승했던것이다. 전세금 빼면 적은 비용을 집을 샀는데 전세값이 계속 올라도 대출이 가능할까? 예를 들면 2억 2%대 전세대출이었던것이 지금은 3억 3%대이 조만간에 4억 4%대로 오를 것이다 매달 33만원의 이자가 133만원으로 되는것이다 전세대출로 전세대금이 오로고 전세 대금이 올라 갭투자로 집값을 상승시켰는데 계속 오르는것은 무리가 있는것이다.
서민을 위하 포퓰리즘 전세대출 정책이 전세자금 갭투자로 집갑을 급등하게 했고 집값 폭등의 피해는 결국 서민들에 돌아온 것이다.
인생은시처럼 3
2022년 1월 09일 18:48성장이 높고 물가도 안정된다고 쳐도
대출이 안나오는데.. 과연 무슨돈으로 살까요..
5억 10억씩 들고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
그 돈 있는 사람들도 거품인걸 아는데 지금 왜 살까..
최명희 3
2022년 1월 25일 00:13감사합니다
Wooseok Lee 3
2022년 1월 13일 17:30엄청 노력하신다!
이런 전문가분들이 빠진다 했으면 벌써 빠졌을듯!
암튼 많이 사세요!
근데 전문가가 실거래가를 안보고 호가를 쳐다보고 얘기한다는게...ㅋ
참고로 서울이나 수도권에 몇천이 아니라 몇억이 빠진데도 많아요...실거래가는요!
카오스 3
2022년 1월 17일 13:43경제가 성장을 한게 아니라.. 전 세계의 돈의 가치가 하락해서.. 상대적으로 경제가 성장한것처럼 보이는거 아닙니까?? 그 하락한 돈의 가치를 금리인상으로 다시 높이면..?? 상대적 자산의 가치가 하락하는게 정상 아닙니까?
곽세로 3
2022년 1월 09일 18:24김작가님 홍박사님 자주 불러주세요.
경제공부가 많이 됩니다.
테니스. 존운동이지요^~
김작가님 저두 고향. 달서구^~
혜자 3
2022년 1월 16일 21:31가장 중요한건 집이 투기 대상이 아니란거에요~수요 공급의 원칙 다주택자 법인투다자가 집을 사서 모으지 않으면ᆢ 제도적으로 그 길을 많이 막아놔서 수요가 많이 줄어 들겁니다
집을 다주택자들이 몇채씩 사도록 도와준 제도가 문제였어요
금리 오르면 집 못 삽니다
글구 영혼을 집과 은행에 팔지 마세요ㅜㅜ
임정은 3
2022년 1월 16일 09:59홍춘욱박사님...가끔 거시적 혹은 한국금융시장에대해 맞는말씀하시긴하는데..이분말씀들으면 돈 못버는 말그대로 그냥 학자...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실전투자자들 한테 돈 내고 제대로 배워서 투자하시고 수익내세요... 이런 박사님 말씀은 참고만
@지한이아빠-q5d 3
2022년 1월 20일 16:02근데 대기업만 성장하고 중소기업은 거의 제자리 아닌가? 그리고 근로자 대부분이 중소기업이고. 모두가 일률적으로 오르진 않을텐데
@배기현-v3f 3
2022년 1월 10일 00:0017:14 꼬르륵 소리 잘들었슴니다
@Oldbigbrother 3
2022년 1월 11일 18:23아...내가 사는 세상이야기가 아니구나~ 다른 세상이야기네...
JAY HAN 2
2022년 1월 09일 18:54ㅋㅋㅋ 네 많이 사세요~
@johnk4215 2
2022년 1월 10일 07:42경제성장률5~6%에 부동산상승이 차지하ㅡ는. 비율은?
@학동거제도 2
2022년 1월 16일 08:08집값 1억하던 집이 올라서 2억이면 몇퍼올랐다고 하나요?
권영춘 2
2022년 1월 10일 21:00대단합니다
청정 2
2022년 1월 09일 18:20맞아요... 저 it개발자인데 급여 많이 올랐습니다. 쉬고 싶어도 개발자 필요한데가 많아서 쉴수가 없어요. ㅎ
@nicejoo 2
2022년 1월 19일 13:23얄미워라 집값은 반드시 빠져야합니다
@jeongcheolshim1041 2
2022년 1월 16일 13:28금리가 올라가는것보다 대출이 규제되는데 신규수요가있을까요? 놉
JudyYoo 2
2022년 1월 09일 17:40홍박사님
명쾌하십니다.
@혀니써니 2
2022년 2월 07일 18:33한치 앞도 내다 볼수 없는 세상이지만 무주택자로써 이번 영상은 뭔가 논리적으로 이해당한 기분이라 슬프네요 ...ㅠㅠ 서른둘 내집하나 마련 못하고 현금 2억으론 전세집 기간연장밖에 드는 생각이 없습니다 ㅠ
고회석 1
2022년 1월 12일 10:39선진국 수준으로 보유세를 올려야 합니다
상길 이 1
2022년 1월 09일 16:07경제성장률 5-6%??? 2022년 2% 전망 아닌가요??
doyoung choi 1
2022년 1월 11일 23:05저은 영끌로 상가를 샀는데...
상가분양 받고 장사 시작하니 바로 코로나 터져서 너무힘드네요
좀 오르긴 했지만 이자에 빚에...
팔아야 할까요 말아야 할까요
상가도 막 떨어지고 그럴까요
장사가 안돼면 파는게 답인가요...
Eun sung Kim 1
2022년 1월 09일 18:35혹시 뽀삐 3탄은 언제 나오나요??
아님 제가 놓친건가요??
曇天 1
2022년 1월 09일 19:04상식적으로 경제가 상승하는데 부동산이 빠지는게 말이되나 ㅋㅋㅋ빠져야한다는 바램만 가지면 평생 무주택이지요~~
@명근최 1
2022년 1월 23일 12:11임금 상승률을 따져보셔야죠~^^;; 경재 성장률이 임금 상승률에 그대로 반영되나요~;;;;
김순기 1
2022년 1월 09일 16:28아 같은 고향이네요 반가워요 ㅋ
아빠아빠 1
2022년 1월 12일 23:09금리 세금 이런걸 정치하는 사람들이 정하는데 이런게 너무 큰 변수라 예측한다는건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지금 사는 사람 파는 사람이 다 없어졌는데 사람들도 대통령 누가 되는지 보고 금리나 세금추이보겠다는거겠죠 빚이 늘어서 금리나 세금이 조금만 올려도 한계에 직면하는 사람이 늘수는 있겠죠
kkk abc 1
2022년 1월 12일 22:59요근래엔 월세 매물도 없고 폭등이더군요. 불과 몇달전과 달리 15평 안팎집이 인기가 많다네요. 그나마 싸니까 그렇겠죠. (서울) 아파트 월세 살다가 매수한 집으로 드가려고 내놨더니, 하루에 다섯군데 예약이 잡히드라구요. 처음 본팀이 바로 계약하고 완료. 매우 놀랬습니다. 그 중 한 팀은 일본에서, 한 팀은 미국에서 돌아오는 팀이였습니다. 코로나때메 돌아오는 분들도 많으신 듯.
박종근 1
2022년 1월 20일 18:45그런시장은 보도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에 동의 합니다 ~
평당5억하고 세금 많이많이 내시면 됩니다.
k2 1
2022년 2월 09일 07:29예측은 틀릴 수 있죠. 이분이 코로나 이후 디플레이션 위기 온다고 했고 김일구 상무님은 인플레 온다고 했는데, 지금 우리가 마주한 현실은 아주 심각한 인플레죠.
do j 1
2022년 1월 21일 16:14시류에 영합하지 말고, 각자의 전문전인 견해를 내고 책임지면 된다.
철면피인 전문가들이 너무 많아서 문제지..
이재용
2022년 1월 09일 19:51오를지역은 처다보지마라.지금도비싸다. 사지마라. 국민들 단합이 필요하다, 안오를지역만 처다보라. 지금은 어디든살기좋은 도시다. 그래야 집값안정되지 안오를지역을 사다보니 수요가몰리고 오이려 안오를지역 집값 올라가네 이게 부동산이다. 하지만 오른지역을 계속팔아주면 강남.앞구정동 미친집값이 되버리고 가계부채막을수 없게된다 .나라망친다
Mr Chu
2022년 2월 08일 07:29나라로 봤을때는 우상향이더라도 아주 완만한 그래프 이어야하고, 국민의 기준은 확 빠졌으면 하고, 업자들은 가파른 우상향이길 기대하겠지! 문제는 현재의 상황과 차분한 예상 결국 조금 빠지거나 오를수 있다! 안타깝네요! 이제 빈익빈 부익부 문제가 완전히 고착되겠네요!
Jun
2022년 1월 09일 19:33전 올해 임금인상 0.9%인데... 부럽네요
돈놀부
2022년 1월 09일 16:33ㅋㅋㅋ
박경수
2022년 1월 09일 19:38다들 떡락 및 튀튀튀를 원하시겠지만 실상은 그 반대가 아닐지... 지금 집을 못사는거지 그 니즈가 사라진것같진않습니다ㅠ
김동진
2022년 1월 09일 19:09홍씨! 당신은 아무리 봐주려 해도, 안타깝다고 뺑끼 쓰는 소릴 해도 상위 몇프로 쪽 얘기만 하고 있어요. 하는 얘기라곤 부동산 투기꾼들하고 뭐가 다른지 구분이 안돼. 자본주의의 나쁜 쪽 끝단에 있는... 당신 예측대로 안되는게 대부분 사람들의 행복이란 걸 처절하게 느끼는 날이 오길 바라네... 김 작가도 초심을 생각해 보셔 돈 좀 버셨나 !
이브이
2022년 1월 09일 18:53안타깝다고 하셔서 확 떨어질 줄 알았는데 떨어지긴했는데. 오히려 더 오를거라서 안타깝다고 하는 거군요
jhjj lee
2022년 1월 09일 18:22요새는 1인가구도 대기업이나 전문직다니는 애들보면 금방 몇억식 돈 모우기는 하더라.
황대장
2022년 1월 09일 19:02신입도 연봉 1억인 시대
용희주도
2022년 1월 09일 18:53연봉 1이상 받는 사람들이 꽤나 많으니
그 많은 현금이 안전자산 부동산으로
몰리게 되고, 대선전 한번 더 폭등?ㅜ
가야서
2022년 1월 09일 19:13나는 올해는 떨어진다에 한표 !
PsychooMods
2022년 3월 02일 02:19전업주부 인데 남편몰래 소 배 액팅 시작했는데, 수익이 생각보다 많이나서 큰일이네요ㅋㅋ
Kuplinov Play Смех/Скример Фильмы Трансляции
2022년 3월 02일 02:19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이상조
2022년 1월 09일 17:30뷰가 달라짐
금리 올려도 부담 없다고 하던데
@wowball1
2022년 2월 21일 23:19중요한 점이 지금같이 거래정체기에 고점에서 10프로 이내에서 하락한 금액으로 실거래 찍히는데가 오히려 매수해야하는곳이지 고점에서 얼마 빠졌다고 비웃을게 아님 폭락할 곳은 지금 거래도 안되고 있음
운빨최고
2022년 2월 25일 12:17부동산을 정치적으로 봐서 자꾸 왜곡되는것같습니다.
시장에 맡겨서 선순환하도록 유도해야죠
ECRİN YAZAR
2022년 3월 02일 02:19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