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 법상스님의 은사님이 불심도문 큰스님인 걸로 알고 있고, 유튜브 하시는 비구니 스님 한 분도 동일한 은사님인 걸로 기억하고 있어요. 세 분 모두 스타일이 다르지만 따르는 사람들이 많으니, 스승님이 중요한 건가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써니즈 님 감기 걸리셨나 봐요. 갑자기 재채기해서, 업로드 할 때 편집 안 해서~~ ㅎㅎ 순간 재밌었어요. 🙂
멍멍이 무서워서 친구들 두고 도망친 이야기 저도 곱씹어봤어요 비슷한 저의 경험이 머리속에 떠오르고 로버트 라이트 님의 불교는 왜 진실인가에서읽었던 내용도 함께 기억나네요 위험한 순간 재빨리 도망쳐서 살아남은 선조들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후손이라서 그런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그런 초기설정값(?)을 이겨내고 용감함을 보여주는 분들을 칭송하는 것도 또한 우리의 초기설정인 듯도 하고… 횡설수설 죄송해요 오늘도 너무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그 어린 나이에 왜 짖으면서 뛰어오는 큰 개를 용감하게 맞서는 용기를 내야 하나요??? ㅎ. ㅎ 유트브에 나온 아이처럼 왜 못했을까? 하고 생각해보는 이유가 몰까용??? ㅎ. ㅎ
저는 어린이 써니즈님이 위협에 반응하여 피했던건 당연하고 꼭 그렇게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체력도 참 좋으시네요!! 달리기 일등!!!우왕 😆😆😆🦋
[프랑스에서 3-11세 남녀 아이 1357명에게 '뱀' '반려동물' '동그란 모양의 웃는 이모티콘'을 무작위로 보여주고 어떤 것에 대해 더 두려움을 느끼는지 연구을 진행한 적이 있다. 그 결과 아이들은 대개 삼각형 모양인 날카로운 치아, 발톱 등이 있는 뱀이나 반려동물, 이모티콘을 보면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뱀 등의 동물만 무서워한 게 아니라 날이 선 바위에도 두려움을 느꼈다. 동그란 모양의 웃는 이모티콘도 치아를 삼각형으로 날카롭게 바꾸면 두려움을 드러냈다. 모양이 삼각형이고 날카로운 것은 어릴 때부터 자신에게 해가 된다는 것을 선천적으로 알고 있다는 뜻이다. 놀랍게도 뱀의 머리가 삼각형인 경우 대개 독사였다. 그림에서 뱀의 머리를 동그랗게 하고 치아도 둥글게 하면 아이들은 두려워하지 않았다. 아이들이 동물에 대한 무서운 경험 없는데도 불구하고 동물 그림이나 삼각형의 이모티콘을 두려워하는 것은 인류의 오랜 진화 경험을 통해서 유전자에 내재 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러고 보면 어린이 만화나 캐릭터의 주인공인 뽀로로, 곰돌이 푸는 모두 동글동글한 모양을 하고 있다.] 2장트라우마의 기원 p.25~26 [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책 ] 전홍진지음 죽음과 고통에 관한 집단무의식에 관련이 있는 내용 같아용💜
@Consciousness-401 11
2022년 1월 14일 09:01오늘도 겨울햇살이 너무 좋으네요.
오늘도,, 아버지 현존안에 머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eepnormalmind 9
2022년 1월 14일 10:23지금을 산다는 것에 대한 이해를
혹자는 현재를 열심히 사는 것이라 이해하고 혹자는 깨어서 사는 것이라 이해한다..
@이승희-l9r5f 8
2022년 1월 14일 08:25편안한 목소리, 듣기 좋아요~
@소피네-h5u 8
2022년 1월 14일 12:12방금 책추남에서 1일1답 책 들었어요.
어떻게 말해야할지...감동+명료해서 넘넘 좋았어요. 칭구 2명한테 영상공유하고 얼른 요기로 왔네요. 대단하세요 이렇게 멋지고 꼭 필요한 책을 쓰시다니...멋져요! 책 읽고 다시 올게요~^^
@김민숙-k3w 8
2022년 1월 14일 09:10네네 하고싶은대로 하셔요~아~ 저도 도망갔을꺼 같아요!! 어쩌면 지금도 복잡한 일에서 도망을 치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어요. ㅎㅎ 저는 옆집 세퍼트한테 마구 물린 적 생각나네요. 도망갔는데 물렸어요~
@kellyyeoung6505 7
2022년 1월 16일 11:43법륜스님, 법상스님의 은사님이 불심도문 큰스님인 걸로 알고 있고, 유튜브 하시는 비구니 스님 한 분도 동일한 은사님인 걸로 기억하고 있어요. 세 분 모두 스타일이 다르지만 따르는 사람들이 많으니, 스승님이 중요한 건가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써니즈 님 감기 걸리셨나 봐요. 갑자기 재채기해서, 업로드 할 때 편집 안 해서~~ ㅎㅎ 순간 재밌었어요. 🙂
@새벽숲 7
2022년 1월 14일 09:50써니즈님
감사합니다 💚💚
사랑합니다 💜 💜
@komadorianime 7
2022년 1월 14일 10:33멍멍이 무서워서 친구들 두고 도망친 이야기 저도 곱씹어봤어요
비슷한 저의 경험이 머리속에 떠오르고
로버트 라이트 님의 불교는 왜 진실인가에서읽었던 내용도 함께 기억나네요
위험한 순간 재빨리 도망쳐서 살아남은 선조들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후손이라서 그런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그런 초기설정값(?)을 이겨내고 용감함을 보여주는 분들을 칭송하는 것도 또한 우리의 초기설정인 듯도 하고…
횡설수설 죄송해요
오늘도 너무 좋았어요 감사합니다
@해바라기-t6k 5
2022년 1월 14일 14:51감사합니다
@loveme3670 5
2022년 6월 20일 11:01(이제야) 잘 들었어요^^♡♡♡
@김서연-z9d8g 4
2022년 1월 14일 17:07금방채추남에서1대1문답듣고여기로다시왔어요
저보다먼저오신분도있네요~~
책추남에서소개해주셨네요
넘반가웠어요~~
책픽업하러갈께요~~
@물게-p7y 4
2022년 1월 15일 13:33오디오가 좀더 크면 좋겠어요. 소리가 작아요 . 늘 잘듣고 있어요 ㅎ
@무무-f7d 4
2022년 1월 14일 16:11대부분의 우리들은 다그렇지않을까요?ㅎㅎㅎ
이래도 괜찮고 저래도 괜찮아요~~
@smj8944 3
2022년 7월 02일 09:40써니즈님의 어릴때 귀여운 추억까지 감사합니다 제어릴때가 연상되며 순간 즐겁게 미소짓습니다
그나이에 자기만 생각하는게 정상이라고 저도 위안을 가지네요
늦은 댓글이지만 덕분에 감사할일이 많은 주말입니다 사랑합니다♥
@노성택-y1m 2
2023년 2월 06일 07:20써니즈님!
제가 진심 궁금해하는 엔딩곡이 이거에요!
제목을 가르쳐주세요~♥
Jinkyeong Choi 2
2022년 1월 14일 18:52써니즈님~💜
그 어린 나이에 왜 짖으면서 뛰어오는 큰 개를
용감하게 맞서는 용기를 내야 하나요??? ㅎ. ㅎ
유트브에 나온 아이처럼 왜 못했을까? 하고
생각해보는 이유가 몰까용??? ㅎ. ㅎ
저는 어린이 써니즈님이 위협에 반응하여 피했던건
당연하고 꼭 그렇게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체력도 참 좋으시네요!! 달리기 일등!!!우왕 😆😆😆🦋
[프랑스에서 3-11세 남녀 아이 1357명에게 '뱀' '반려동물' '동그란 모양의 웃는 이모티콘'을 무작위로 보여주고 어떤 것에 대해 더 두려움을 느끼는지 연구을 진행한 적이 있다. 그 결과 아이들은 대개 삼각형 모양인 날카로운 치아, 발톱 등이 있는 뱀이나 반려동물, 이모티콘을 보면 두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뱀 등의 동물만 무서워한 게 아니라 날이 선 바위에도 두려움을 느꼈다. 동그란 모양의 웃는 이모티콘도 치아를 삼각형으로 날카롭게 바꾸면 두려움을 드러냈다.
모양이 삼각형이고 날카로운 것은 어릴 때부터 자신에게 해가 된다는 것을 선천적으로 알고 있다는 뜻이다. 놀랍게도 뱀의 머리가 삼각형인 경우 대개 독사였다. 그림에서 뱀의 머리를 동그랗게 하고 치아도 둥글게 하면 아이들은 두려워하지 않았다. 아이들이 동물에 대한 무서운 경험 없는데도 불구하고 동물 그림이나 삼각형의 이모티콘을 두려워하는 것은 인류의 오랜 진화 경험을 통해서 유전자에 내재 된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러고 보면 어린이 만화나 캐릭터의 주인공인 뽀로로, 곰돌이 푸는 모두 동글동글한 모양을 하고 있다.]
2장트라우마의 기원 p.25~26[매우 예민한 사람들을 위한 책 ]
전홍진지음죽음과 고통에 관한 집단무의식에 관련이 있는 내용 같아용💜
써니즈님 오늘도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피토라피 1
2022년 11월 03일 14:32본능에 충실하셨을 뿐인거 같아요^^
위험은 피하는게 본능이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