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순반복시연,그대로 베껴적는 것 X->어원기반으로 영단어 공부 2.다맞는문제집 풀기X->한권을 여러번풀자 3~10번 풀기, 내가 맞추지 못하는 문제를 풀어야한다. 3.토씨하나 그대로 외우려는 것 X -> 책에서 외울 것과 외우지 않아도 되는 것을 구분, 외울 것을 추려서 구조를 잡는다. 외우지않아도 자연스럽게 기억나는 것을 외우려고 시간투입하지 말자 4.성취경험을 쌓아가야한다. 목표치는 자신의 능력의 80퍼로 잡는다. 5문제씩 세트를 나눠 풀어서서 성취감을 얻는다. 5.멘탈관리, 내가 해낸 경험들을 글로 써놓자,성취경험을 되새기자. 불안감을 글로 쓰고 마인드맵으로 써서 불안의 원인을 찾는다
개인적인 조언이라면 (04수능 상위 0.5%입니다) 처음엔 문제집 수준이 어느정도인지 본인이 잘 알지 못합니다. 그럴땐 가장 믿을만한 기본서부터 시작하세요. 수학이라면 정석 개념원리나 교과서의 기본문제부터입니다. 거기서 개념을 자기 방식대로 조직화하는 연습을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어려운 문제를 풀수도 감당할수도 없습니다. 심지어 정석이나 개념원리의 연습문제도 버겁습니다. 유제나 예제를 확실하게 정복하세요. 꼭 그대로 따라하라는건 아니지만 기본적인 해법을 이해하는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개념이 자기 나름대로 조직화된다면 다음단계에 도전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그 다음단계가 연습문제 입니다. 연습문제를 자신의 프로세스대로 풀어낼수 있다면 당신은 시중에 나오는 문제집에 비로소 도전할 권리를 얻게 됩니다. 그때는 비교적 자기 수준과 문제 난이도를 고를 수 있는 안목이 생길 것이고 그때부터 좀 쉬운 문제집을 찾아서 마찬가지로 자신만의 프로세스로 문제를 풀기에 도전하십시오. 문제집 하나를 뚝딱하셨다면 당신은 이미 수포자가 아닙니다. 이제부터는 좀더 고득점자가 되기 위한 도전이 남았고 그 도전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긴긴 고난의 순간이 될텐데 그때부터 이 영상의 이야기를 따르셔서 어렵고 복합적인 개념을 요구하는 문제에 도전 하십시오.
와..ㅠㅠㅠ 진짜 도움되는 내용들이네요ㅠㅠ 그동안 공부하면서 분명히 양은 많이 한 것 같은데... 계획표에 x만 쳐져있어서 힘들었거든요.... 원래 계획은 자신의 역량보다 높게 잡는거다!라는 생각이 박혀있어서 항상 제 자신을 힘들게했는데.... 이 영상을 보고나니 작은 계획부터 이뤄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앞으로는 성취감을 느끼면서 공부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틀린 문제가 감사하도록. 문제집을 푸는 이유는 모르는 것을 알기 위함. = 나의 난이도에 필요한 문제집을 풀어라. 어떤 시간에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다른 것을 못한다는 소리. * Comfort zone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해라. 알을 계속 깨고 나가야 한다.* 문제집 한권을 여러번 반복하기. 3~4, 10번. 내가 의식적으로 외워하는 것과 외우지 않을 것을 구분하고 외워야할 것을 구조화!
피드백 계획표 체크란 내가 나의 능력, 할 수 있는 공부의 양 파악
멘탈 관리 비법 1. 성장형 마인드 사소한 거지만 이뤄왔던 더... 인라인 스케이트라도 ㅋㅋ 어려울 것 같았지만 결국 해낸 경험 해낼 수 있더 성취 경험을 되새긴다 2. 미지의 것이기에 두려운 거 불안 걱정 미지의 것이라 두려운 것이다 적어내려본다 글로 적어보기 ㅡ 그럼 내가 뭘 해야할까?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채널입니다. 다만 자막의 맞춤법이 신경이 쓰입니다. 어미 "-데"의 경우는 "-더라"와 교체해서 쓸 수 있는 말로, 일상생활에서 굳이 쓸 일은 사실상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간접 경험을 전달할 때 쓰이는 종결어미 "-대"로 고쳐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정확한 정보, 혹은 믿을만한 정보를 전달해야할 채널의 성격상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솔직히 말하는데 공부법 중 가장 중요한건 단순한게 해야하고 자기 역량에 맞게 해야하는거예요. 저도 솔직히 처음에는 양도 많고 진짜 매일 단순하게 외워야한다는 생각에 계획을 세우는데 생각보다 어렵고 요구하는게 많더라구요.그래서 든 생각이 최대한 손실을 줄이자는 생각으로 계획을 세웠는데도 자꾸 나아지지 않더라구요.보니까 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집과 참고서 교과서가 엄청 많더라구요.정작 뭐가 중요한지 모른채 계획만 세우다보니 이런 오류가 일어났더라구요.그러니 진짜 뭐가 중요한지 그 다음에 양을 너무 많이 쓰지 말자예요.진짜 단순하게 하세요 ㅠㅠ
솔직히 방법은 다 알고있었음.. 운동이랑도 똑같애 제대러 하려면 뼈마디가 아리고 숨이 턱까지 찰때까지 해야한다. 마찬가지로 공부도 몰라서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고 기어이 이해해 나가면서 배워야된다. 쉬운 문제, 단순 베끼기, 앵무새 암기는 시간 때우기일 뿐 공부는 안됨.. 마치 헬스장에서 1시간동안 런닝머신 걷다오는거나 똑같다
뭘 모르는지 확인해서 그 부분을 정복하는 것이 중요하고 많은 문제집보다 한 권의 기본서를 뽀개기. 다만 정말 어느정도 수준 이상이라 더이상 기본서고 뭐고 의미 없으면 다른것들 마구해봐도 사실 별 문제 없는 듯. 그리고 자꾸 접해서 감을 잡아야함. 언어도 수학도 감이 생기면 좀 훨씬 수월함. 마치 미로찾기만 계속 하다보면 어느순간 길인지 모르고도 길로 가는거랑 비슷한 맥락.
공부 방법은 남이 알려주는것들이 무조건 자신한테 맞지 않기 때문에 결국은 자신만의 공부 방법을 찾아야합니다. 영어 단어를 어원으로 외우는것도 어원들이 너무 많거나 알려져있는게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어원을 바탕으로 하는 공부는 영어 단어를 어느정도 알고 시작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자기만의 공부방법을 찾되, 이런 동영상도 같이 참고하면 더욱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정말 간혹 공부열심히하는데 공부법 잘못되서 성적 안나오는학생들도 잇긴 해요 이런경우가 필기를 잘안하거나 체크포인트를 체크하지않거나 양으로 밀어붙이는 경우에요 사실 공부법하나 잘못됐다고 성적이 얼마나 안좋게 나올지는 모르겠으나 확실한건 그방식에따라서 성적이 덜나올수도 있다는건 엄연한 사실이에요 특히 서술형을 암기할때 제가 느낀건데 분명히외웠는데 기억이 정확히안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머릿속으로 재구성해봐야되요 저는 이걸 지방대 오고 뒤늦게 깨달았어요 물론 공부를 하지않은영향도 있겠으나 공부법을 무시할수없더라고요 시험 단기합격자들보면 공통된 특징이 있더라고요 그리고 공부하기 싫은건 당연한거니 공부를 할때 무조건 공약을 걸거나 동기부여를 잡고 하면 굉장히 도움 되요
공부는 원래 어려운것이다.. 세상에 쉬운것이 어디있나 , 매번 왕도와 지름길을 찾으려 하니 가려는길이 멀어보이고 깝깝한 것이지 여러분 공부에 왕도는 없습니다. 어제보다 더 많이 알고있다면 그래도 성공한 하루를 사신겁니다. 남들 수준하고 비교하면서 공부하지 마세요.. 본인과의 싸움입니다. 일반적인 팁 같은건 넘치닌깐 굳이 말할필요도 없을 것 같네요.
@adenk191 1244
2020년 2월 22일 18:581.단순반복시연,그대로 베껴적는 것 X->어원기반으로 영단어 공부
2.다맞는문제집 풀기X->한권을 여러번풀자 3~10번 풀기, 내가 맞추지 못하는 문제를 풀어야한다.
3.토씨하나 그대로 외우려는 것 X -> 책에서 외울 것과 외우지 않아도 되는 것을 구분, 외울 것을 추려서 구조를 잡는다. 외우지않아도 자연스럽게 기억나는 것을 외우려고 시간투입하지 말자
4.성취경험을 쌓아가야한다. 목표치는 자신의 능력의 80퍼로 잡는다. 5문제씩 세트를 나눠 풀어서서 성취감을 얻는다.
5.멘탈관리, 내가 해낸 경험들을 글로 써놓자,성취경험을 되새기자. 불안감을 글로 쓰고 마인드맵으로 써서 불안의 원인을 찾는다
스티브굿잡스 676
2020년 2월 25일 10:53팩트 이야기 해 드립니다 공부 못하는 사람들은 공부를 안합니다
@starinteneb 230
2020년 2월 23일 18:48목표치를 낮게 잡아라 ㅇㄱㄹㅇ ,,
사실 최근에 플래너 쓰는걸 좀 포기했는데 그 이유가 실천을 못하니까 의욕이 떨어져서 ..
전 좀 ㅋㅋㅋㅋ부정적으로 해소했던게 플래너에 줄넘기 사기.. 짐 챙기기.. 이런거 적어서 체크 했넌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ㅋㅋㅋㅋ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류영준-s9e 173
2020년 2월 23일 22:54그래도 이분 되게 겸손하시다 입에 재수없겠지만 이라는 말을 달고 다니시네 다 이루고 하는 말일텐데 오히려 재수없게보면 그사람이 이상한거에요 ㅎㅎ
@blackangel1000 143
2020년 3월 07일 23:25개인적인 조언이라면 (04수능 상위 0.5%입니다) 처음엔 문제집 수준이 어느정도인지 본인이 잘 알지 못합니다. 그럴땐 가장 믿을만한 기본서부터 시작하세요. 수학이라면 정석 개념원리나 교과서의 기본문제부터입니다. 거기서 개념을 자기 방식대로 조직화하는 연습을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어려운 문제를 풀수도 감당할수도 없습니다. 심지어 정석이나 개념원리의 연습문제도 버겁습니다. 유제나 예제를 확실하게 정복하세요. 꼭 그대로 따라하라는건 아니지만 기본적인 해법을 이해하는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개념이 자기 나름대로 조직화된다면 다음단계에 도전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그 다음단계가 연습문제 입니다. 연습문제를 자신의 프로세스대로 풀어낼수 있다면 당신은 시중에 나오는 문제집에 비로소 도전할 권리를 얻게 됩니다. 그때는 비교적 자기 수준과 문제 난이도를 고를 수 있는 안목이 생길 것이고 그때부터 좀 쉬운 문제집을 찾아서 마찬가지로 자신만의 프로세스로 문제를 풀기에 도전하십시오. 문제집 하나를 뚝딱하셨다면 당신은 이미 수포자가 아닙니다. 이제부터는 좀더 고득점자가 되기 위한 도전이 남았고 그 도전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긴긴 고난의 순간이 될텐데 그때부터 이 영상의 이야기를 따르셔서 어렵고 복합적인 개념을 요구하는 문제에 도전 하십시오.
@user-ke8kp1dx9f 132
2020년 2월 22일 22:52적은 시간에서 가장 결과가 좋은 자기만의 효율적인 공부법 찾아보세요
@zznn0001 127
2020년 2월 24일 23:01맞아요 일일히 다 외우려고하면 기본적인거도 기억안날때가 많더라구요ㅠ
그냥 이해하고 외울부분만 외우는게 진짜 효율적이였어요!
도0 92
2020년 2월 21일 17:24저는 왜 공부는 안했는데 해보면 전교1등 ㅆ가능이란 마인드일까요... 이게 사람인가요
@웬그막노구짱 84
2020년 2월 21일 15:32송일국닮았다
@유승원-u3m 77
2020년 2월 21일 19:26말씀하시는거 듣고 보니 최근에 일었던 "마인드셋" 이라는 책이 떠오르네요.
자신은 노력하면 더 발전한다고 생각하는게 진짜 중요한거 같아요.
@송민희-g6r 62
2020년 2월 20일 00:37교과서&노트 내스타일대로 쓰면서 달달 외워서 과목별 1등...맞구... 수능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는중이야요..ㅎㅎ
내신에는 암기도 괜찮은거같아요 저희 학교만 그런건가...ㅋㅋ
Jasmine 54
2020년 2월 23일 20:45공부 잘하는 애들은 이거를 안본다... 그러므로 나는 공부를 못한다...
@김하정-e7p 46
2020년 2월 22일 19:27와..ㅠㅠㅠ 진짜 도움되는 내용들이네요ㅠㅠ 그동안 공부하면서 분명히 양은 많이 한 것 같은데... 계획표에 x만 쳐져있어서 힘들었거든요.... 원래 계획은 자신의 역량보다 높게 잡는거다!라는 생각이 박혀있어서 항상 제 자신을 힘들게했는데.... 이 영상을 보고나니 작은 계획부터 이뤄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앞으로는 성취감을 느끼면서 공부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justdoit8303 46
2020년 2월 19일 22:35틀린 문제가 감사하도록.
문제집을 푸는 이유는 모르는 것을 알기 위함. = 나의 난이도에 필요한 문제집을 풀어라. 어떤 시간에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다른 것을 못한다는 소리. * Comfort zone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해라. 알을 계속 깨고 나가야 한다.*
문제집 한권을 여러번 반복하기. 3~4, 10번.
내가 의식적으로 외워하는 것과 외우지 않을 것을 구분하고 외워야할 것을 구조화!
피드백
계획표 체크란
내가 나의 능력, 할 수 있는 공부의 양 파악
멘탈 관리 비법
1. 성장형 마인드
사소한 거지만 이뤄왔던 더... 인라인 스케이트라도 ㅋㅋ 어려울 것 같았지만 결국 해낸 경험 해낼 수 있더 성취 경험을 되새긴다
2. 미지의 것이기에 두려운 거
불안 걱정 미지의 것이라 두려운 것이다
적어내려본다
글로 적어보기 ㅡ 그럼 내가 뭘 해야할까?
@user-hu6bb4ru3f 45
2020년 2월 21일 23:20공부를 위한 공부를 하지 맙시다!
d 44
2020년 2월 19일 20:01그러니까 쉬운 거가 중요한 게 아니고 정말 나올 걸 봐야하는 거죠. 어려운 것이든 쉬운 것이든 시험에 나올 거를 봐야... 아마도 틀린 것을 보라는 것은 그 범주에 들어가고 고득점을 위한 방법의 일환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해당업 ㅅ.. 주룩 ㅠ
@bookwalkdream 42
2020년 2월 19일 17:44시청 잘 하고 갑니다
성장하려면 어렵지만 문제점을 보완해야 발전하겠다
다짐하고 갑니다
@hongsamism 42
2020년 2월 20일 12:18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채널입니다. 다만 자막의 맞춤법이 신경이 쓰입니다. 어미 "-데"의 경우는 "-더라"와 교체해서 쓸 수 있는 말로, 일상생활에서 굳이 쓸 일은 사실상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간접 경험을 전달할 때 쓰이는 종결어미 "-대"로 고쳐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정확한 정보, 혹은 믿을만한 정보를 전달해야할 채널의 성격상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밍진냥 40
2020년 2월 24일 15:37솔직히 말하는데 공부법 중 가장 중요한건 단순한게 해야하고 자기 역량에 맞게 해야하는거예요.
저도 솔직히 처음에는 양도 많고 진짜 매일 단순하게 외워야한다는 생각에 계획을 세우는데 생각보다 어렵고 요구하는게 많더라구요.그래서 든 생각이 최대한 손실을 줄이자는 생각으로 계획을 세웠는데도 자꾸 나아지지 않더라구요.보니까 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집과 참고서 교과서가 엄청 많더라구요.정작 뭐가 중요한지 모른채 계획만 세우다보니 이런 오류가 일어났더라구요.그러니 진짜 뭐가 중요한지 그 다음에 양을 너무 많이 쓰지 말자예요.진짜 단순하게 하세요 ㅠㅠ
@user-hu6bb4ru3f 38
2020년 2월 21일 23:19영단어는 지문에서 !!
영어는 학문이 아니라 언어 입니다 ~~
@viruscarrier6977 34
2020년 2월 24일 19:07공부법도 참 케바케라 결국
스스로 자신에게 맞는 걸 찾아야 할듯
@김성준-s2p 31
2020년 2월 19일 17:42잡념이 생길 때 글로 쓰는것은 기억의 외부화 도움법을 사용했네요.
최근 읽은 "정리하는 뇌" 에서 읽었던 내용입니다.
@멘탈잡자-g2n 28
2020년 2월 24일 14:302:32 난 기쁨을 주체할수가 없지...
@유유유유-v3t 28
2020년 2월 22일 20:50전 계속 뜻 쓰고 영어 쓰고 그거 스펠링 외우고.. 이게 반복이었는데..
@jichan1123 22
2020년 2월 19일 17:48역설기법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기필코 안 자야지. ☺
@Jinhwa909 20
2020년 2월 24일 18:55검은 옷 입은 분 = 킴성태 닮았..
@yshah5187 17
2020년 2월 23일 16:028:24 이야..
@smallbigclass 14
2020년 3월 26일 14:11안녕하세요. 조승우 작가입니다~!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시청해주신 분들께도 감사합니다^_^
저도 소소하게 유튜브를 시작해보게 되었는데, 좋은 컨텐츠로 보답하도록 하겠습니다.
공부하시는 모든 수험생분들 응원합니다!!
하아잇 12
2020년 2월 25일 11:319:00 멘탈관리
김태은 12
2020년 2월 23일 23:09중3 올라가는 남학생입니다 중2 영어시험 15점 맞고 크게 좌절했습니다 그 계기로 늦은 건지도 모르지만 초등 영어 단어부터 다시 하고 있습니다 파이팅 하겠습니다 !
@모냐이건 12
2020년 2월 24일 17:45뭐가 달라도 다르구나.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김해의돈자랑졸부마인드 10
2020년 2월 20일 16:36이젠 대학보다는 결국 결과적인 직업이 핵심이다
하유라익댓 8
2020년 2월 24일 11:56성취경험을 만들자
@jonicsilver3575 7
2020년 2월 22일 09:38하나를 가지고 열번까지!!
Asibour Woeir 7
2020년 2월 24일 09:15수석 차석 졸업생은 알아도 최우등 졸업생은 뭐지??
@김연진-t7p 7
2020년 2월 24일 18:401:38
맞는듯. 진짜 쓰기만 하면 머리에 안들어옴.
윤지성 7
2020년 2월 25일 18:18ㅋㅋㅌㅌㅋㅋㅋㅌㅋㅋㅋㅋㅋㅋㅋ 난 옛날에 플래너에 발톱깎이 이런것도 적어놓ㅁ
핑소류Pingsoyu 6
2020년 2월 21일 09:27예비중2라서 아직 시험을 한번도 본적이 없어서 걱정입니다 ㅠㅠ
@toyooka399 6
2020년 2월 26일 12:115:25부터가 나에게 필요한 것이었다
David Park 5
2020년 2월 24일 07:51뺏겨 적는 거라니요ㅠㅠ 베껴 아닙니까 작가님
@seungl042 5
2020년 2월 22일 23:36우와!! 우연히 지나가다가 영상 본 예비고1입니다! 다가올 고등학교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다음 영상도 기대하고 있을게요~~
이병곤 5
2020년 2월 23일 09:14좋은 내용 감사드려요!! 성취경험을 되새기는 점은 참 좋은 것 같아요~
@TV-bn2pj 5
2020년 3월 26일 14:49같은 시간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공부를 하느냐에 따라 점수가 올라갑니다. 너무나 공감이 되는 말들이 많습니다.^^ 효율적으로 공부한다면
굳이 학원이나 과외 다니지 않아도 혼자서 공부해도 수능 1등급 충분히 올릴 수 있습니다^^
FlyingPan 4
2020년 2월 26일 17:27솔직히 방법은 다 알고있었음..
운동이랑도 똑같애 제대러 하려면
뼈마디가 아리고 숨이 턱까지 찰때까지
해야한다.
마찬가지로 공부도 몰라서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고 기어이 이해해 나가면서 배워야된다.
쉬운 문제, 단순 베끼기, 앵무새 암기는 시간 때우기일 뿐 공부는 안됨..
마치 헬스장에서 1시간동안 런닝머신 걷다오는거나 똑같다
전지적심리시점 4
2020년 2월 25일 20:06@9:50 심리학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마음가짐이 여러가지있죠
계획을 구체화하고 세분화해서 성취감을 얻는 방법이 생각나네요
제 채널에 성장형마인드셋에 대한 영상이 도움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민-t2n 4
2020년 2월 19일 17:14우와... 오늘도 역시!!!! 잘 보고 갑니다 ㅎㅎ
@문하시중-p3f 4
2020년 2월 25일 11:47훈훈한 외모(김작가님 아님^^)에 뇌섹남에 말까지 어쩜저리 논리적으로 잘하나ㅎㅎㅎ🎵
@july684916 4
2020년 2월 19일 17:46영상 12분안에 좋은 팁들이 많이 있네요 !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영웅 4
2020년 2월 26일 16:36모범적인 답변이지만 빈틈없는 답변이네요 잘보고 갑니다^^
박지호 4
2020년 2월 23일 10:39모르는 문제가 많지 않은 문제집도 여러번 푸는 것에 좋은가요??
@이서윤의초등생활처방 3
2020년 2월 22일 02:05제 채널에 고정으로 나와서 훌륭한 학습코칭해주시는 조승우작가님을 여기서 뵙다니 더 반갑습니다. 알찬 내용 잘봤어요~^^
운석 3
2020년 2월 19일 17:33감사합니당
@nyoungnyoung1416 3
2020년 2월 20일 19:43와우 인트로 부터 파워풀해요
@iwasborntosurvive5396 3
2020년 3월 20일 09:13영단어는 어원이나 그림 등과 함께 연결해서 외울것
@로즐리 3
2020년 3월 20일 18:43이번 영상 진짜 대박,, 두분 다 넘나 호감형이고 이런 꿀팁 너무 감사합니다ㅠㅠㅜㅠㅠ
@최준우-y7e 3
2020년 4월 29일 02:35문제집 한 권을 여러 번 푸는 게 좋다는 말 매우 공감합니다. 문제집 뿐 아니라 모든 책 더 나아가 모든 글과 말도 보면 볼수록 들으면 들을수록 더 많은 것을 얻게 되는 것 같아요.
@꾸러기-q6b 3
2020년 4월 21일 14:42아무런 걱정 없이 공부만 하고 싶다.ㅜㅠ
dldeo95 3
2020년 2월 25일 15:35일단 주제를 알아야함 내가 처한 상황 나의 성격 나의 능력 이런걸 종합적으로 잡아서 몇주면 끝날 공부라면 걍 달달외워서 암기하는게 가장 좋고
월 단위로 넘어가는 공부라면 여러번 5번~10번 정도 정독한 후 문제집으로 다지는게 제일 좋은거 같음
박길동 3
2020년 4월 03일 22:38그냥 난 매일 인내심 테스트를 하는거다 하면서 공부함...
생각보다 쉬운 영어회화! 홍글리쉬TV 3
2020년 2월 19일 18:16서울대 최우등 졸업생.. 대단하시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김재혁-r3h 2
2020년 3월 23일 00:04오 저는 마지막 부분이 인상 깊네요.
@user-tl2hr8dy8m 2
2020년 4월 20일 10:1006:00
나도 노사관계론 인사관리
백지형 서술형 시험 외워서 하는건데
나도 저렇게 했는데
뭔가 기분좋네!ㅎㅎ
@jin4246 2
2020년 3월 01일 03:58지속적으로 꾸준히 공부할수 있게 나를 만드는게 가장 중요하다 생각해요.. 그게 바로 공부체력이죠
ᄋᄋ 2
2020년 3월 31일 13:09잘못된 공부로도 열심히만 하면 일단 3은 나와
김나나 2
2020년 3월 11일 21:35성취경험에 대해서 한번도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ㅎㅎ
@복뎅이-w2q 2
2020년 2월 20일 19:18마지막 말 공감합니다 작게 나누기!
신영웅 2
2020년 4월 05일 08:05확실히 천재분들 말씀응 다른듯 뭔가 가슴이 팍팍 박히네요 ㅠㅠ
Comte de Liao 아리 2
2020년 2월 27일 14:37그래서 아무리 쓰면서 외우려해도 잘 안되는 거였구나...😥 수학은 교과서만 계속 정독하면 100점 맞아요.
은방울 2
2020년 2월 25일 03:05김작가님 옆태 킴성태 닮아써요
purple rose 2
2020년 5월 09일 22:35현재 모하시는분?
말 잘하네요
@lemonkim8031 2
2020년 3월 20일 22:47뭘 모르는지 확인해서 그 부분을 정복하는 것이 중요하고 많은 문제집보다 한 권의 기본서를 뽀개기. 다만 정말 어느정도 수준 이상이라 더이상 기본서고 뭐고 의미 없으면 다른것들 마구해봐도 사실 별 문제 없는 듯. 그리고 자꾸 접해서 감을 잡아야함. 언어도 수학도 감이 생기면 좀 훨씬 수월함. 마치 미로찾기만 계속 하다보면 어느순간 길인지 모르고도 길로 가는거랑 비슷한 맥락.
@꾸러기-q6b 1
2020년 4월 21일 14:30하나부터 열까지 공감합니다.
Eunice북런치 1
2020년 2월 20일 08:33ㅠㅠㅠㅠ
@짱아맘-p8b 1
2020년 3월 03일 07:48도움이 정말 많이 되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TheKIMBOSUN 1
2020년 2월 24일 23:14선생님,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아이들의 경우 했던 문제집을 또 풀려고 하질 않는데 혹시 똑같은 새문제집을 사서 새로 풀게 하는건 효과가 있을까요?
@앗차거-f7b 1
2020년 3월 07일 14:57유익해욧👍👍👍🔥
한준민 1
2020년 4월 12일 17:33고맙습니다
백재영 1
2020년 2월 24일 22:25댓글은 안 보는게 좋으니 끄세요 본인이 느낀 것만 가져가세요
에그타르트 1
2020년 2월 21일 16:46도움이 됐어요. 감사합니다 :-)
류건하 1
2020년 2월 25일 14:44정말 유익한 공부 방법 이네요^^
Midway Spark 1
2020년 3월 18일 19:31방법은 개개인에게 따로 있다고 봅니다 참고만 하세요
허영빈 1
2020년 2월 23일 02:18감사합니다!!
@zzz-j7v 1
2020년 3월 17일 18:07진짜 노력을 많이해서 나오는 답변들이네요. 도움많이됬어요! ㅎㅎ 이런영상 많이 찍어주세요!!
이희진 1
2020년 4월 20일 10:465:27
@yeobinyoon4210 1
2020년 2월 27일 12:22공부 방법은 남이 알려주는것들이 무조건 자신한테 맞지 않기 때문에 결국은 자신만의 공부 방법을 찾아야합니다. 영어 단어를 어원으로 외우는것도 어원들이 너무 많거나 알려져있는게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어원을 바탕으로 하는 공부는 영어 단어를 어느정도 알고 시작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자기만의 공부방법을 찾되, 이런 동영상도 같이 참고하면 더욱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조성우
2020년 4월 29일 13:08책을 다시 풀때 한번 풀어져 있는건데.. 다시 지우고 푸는 건가요??아니면, 같은 문제집을 또 사는 건가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v nn
2020년 3월 14일 19:41정신간호에서 배운 abc기법이랑 역설적기법 나오네요 책은역시...
말봉이
2020년 4월 20일 02:46나는 뭔가 필기 잘 안하게 되는게 ㅜㅜ 그걸 외우면서 필기하면 모르겠는데 어느샌가 보면 나도 모르게 아무 생각없이 그냥 베껴적기만 하고 있음 ... 그래서 나는 진짜로 안외워지는거 있을때만 자세히 필기함 ..
@eslee0070020
2020년 3월 30일 21:16허허 이분 말 참 쉽게하시네요. 누구나 어릴때 게임이라든지 1위 찍은적 있거나 학교에서 뭐라도 1등해본적 없는 사람들은 어쩌라고ㅜㅜ 누구나 있잖아요 라고 말하시면...
@김도훈-d7j
2021년 2월 05일 01:12정말 간혹 공부열심히하는데 공부법 잘못되서 성적 안나오는학생들도 잇긴 해요
이런경우가
필기를 잘안하거나
체크포인트를 체크하지않거나
양으로 밀어붙이는 경우에요
사실 공부법하나 잘못됐다고
성적이 얼마나 안좋게 나올지는
모르겠으나 확실한건
그방식에따라서
성적이 덜나올수도 있다는건
엄연한 사실이에요
특히 서술형을 암기할때
제가 느낀건데 분명히외웠는데
기억이 정확히안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머릿속으로 재구성해봐야되요
저는 이걸 지방대 오고
뒤늦게 깨달았어요
물론 공부를 하지않은영향도
있겠으나 공부법을
무시할수없더라고요
시험 단기합격자들보면
공통된 특징이 있더라고요
그리고 공부하기 싫은건
당연한거니 공부를 할때
무조건 공약을 걸거나
동기부여를 잡고 하면
굉장히 도움 되요
stefan cho
2020년 4월 23일 17:26공부는 원래 어려운것이다.. 세상에 쉬운것이 어디있나 , 매번 왕도와 지름길을 찾으려 하니 가려는길이 멀어보이고 깝깝한 것이지
여러분 공부에 왕도는 없습니다. 어제보다 더 많이 알고있다면 그래도 성공한 하루를 사신겁니다. 남들 수준하고 비교하면서 공부하지 마세요.. 본인과의 싸움입니다.
일반적인 팁 같은건 넘치닌깐 굳이 말할필요도 없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