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자체가 중독되게끔 설계를 하는거고, 과한 보상으로 기분을 째지게 해주는 시스템인데. 현실에서 무슨수로 그 자극을 줄수있을까요.. ㅎ 일단 게임의 순기능과 역기능에대해 정확히 알게해주고, 본인이 어떤상태인지 인지시켜주고.. 게임은 스트레스해소를 위한 보상용으로 이용할수있게끔 도와주는게 좋지않을까요? 제 사촌동생도 똑똑한데 게임에 빠져서 엄마랑 엄청싸우더라구요.. 박사님 말씀대로 치료하면 좀 효과가 있을지 궁금하네요ㅎ
게임의 순기능은 작은 일에 성취감을 맛보게 해주고 안주하는것이 아닌 스스로 도전하게끔 용기를 넣어 줄 수 있는거라고 생각해요 시작은 작았지만 조금씩 성장해나가 본인도 모르게 큰 일들을 해내고 있음을 느끼게 해 주는 시스템이에요 하지만 스스로 이루어낸 업적들에 얽매이게 된다면 도전은 커녕 계속 그 게임 속에서 안주하며 살겠죠 사실 저는 이 부분이 많이 무섭다고 느끼네요 현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다양한 장르의 게임은 앞으로의 인생에서 게이머들 스스로 가치관을 쌓아줄 수 있게끔 도와줄 수 있다고 믿어요
예전 고등학교때 전략게임 중독자 있었는데, 갑자기 공부시작하면서 그 게임할때 나오는 도파민만큼 공부에서 뽑아내는것 처럼 보이는 애가 있었음. 정말 즐거워 보였음. 딱 방학2달만에 베이스가 비교적 필요없는 과탐 2과목다 1,2등급 근처까지 만들었음. 근데 수학같은건 너무 기본적인 중학교 수학도 안되어있어서 무리로 보였음. 그래도 딱 반년만에 12212 찍음. 결국 재수해서 개빡공하고 나머지 다 끊고 집중해서 메이져 의대감. 결론은 게임은 머리를 녹이지못함. 대신 그 게임에서 나오는 도파민을 공부에서 뽑아내지못하면 녹은것처럼 생활하게됨. 그래서 공부로 흥미를 돌리는게 가장 중요한데 이게 가장 매우 어려움.
부모 : 자녀에 대한 작은 성과도 사소한 칭찬으로 자존감을 높이지 않고 다른 사람과 비교 하기 시작. 점점더 자존감이 낮아지고 쉽게 나를 대변하여 성장 시킬 수 있는 게임 속으로 들어감. 자녀가 다른 인격체 임을 인정하지 않고, 남들과 똑같이 하려 하고 자녀는 성인이 되어 스스로 결정하기 어려워하고 금방 포하고 실업자가 됨.
저도 오버워치를 라는 게임을 하는 입장에서 부모님이 교과서를 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데 게임기를 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고 하시는 것 같아요, 또 게임을 많이하면 데이터 처리에 대한 경험들을 뇌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공감이 많이 됬어요 게임은 문화인데 참 부정적으로 보네요.공부는 정말 머리좋고 요령 좋고 과외 좋은 선생님한테 받아서 점수를 알린다는 말이 제일 와닿는 것 같습니다. 게임은 정말 즉각적인 보상과 말초 쾌감을 충족 시키는데 결과를 볼수 있다는게 빠져되는 것 같습니다.
게임도 재능 있는 자들만 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현시대에는 게임이 보상을 줘서 한다기보다 회피하려는 도피처의 양향이 큽니다. 이미 오염된 뇌를 돌이키기에는 중독된 뇌로는 리턴하기에는 개인의 힘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게임의 이점은 있지맘 이 또한 소수입니다. 강력한 선교육이 필요합니다.
[극좌가 위험한 이유...] 게임 연구 대한 치명적 오류가 너무 많아... 실제 어떤 게임이냐에 따라 모두 다르며...제 주변에서도 게임으로 인해 뇌 활성화가 더 향상된 사람들이 더 많음.. 어떤 교수가 조사 했다고 하는데....그 연구 조사는 치명적인 오류가 너무 많이 존재 함..
@InSaNam0603 35
2022년 1월 20일 08:47과거 게임중독자로서 한마디하자면 게임이 재밌어서 한다기보다 게임 속 성취감을 누리려고 하다보니 중독자처럼 되는 겁니다. 게임도 탑티어가면 그냥 즐기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엄청난 노력과 재능이 필요합니다. 게임중독자는 누구보다 성취중독자라고 생각합니다
@liberty0070 32
2022년 1월 19일 12:29게임 자체가 중독되게끔 설계를 하는거고, 과한 보상으로 기분을 째지게 해주는 시스템인데. 현실에서 무슨수로 그 자극을 줄수있을까요.. ㅎ 일단 게임의 순기능과 역기능에대해 정확히 알게해주고, 본인이 어떤상태인지 인지시켜주고.. 게임은 스트레스해소를 위한 보상용으로 이용할수있게끔 도와주는게 좋지않을까요? 제 사촌동생도 똑똑한데 게임에 빠져서 엄마랑 엄청싸우더라구요.. 박사님 말씀대로 치료하면 좀 효과가 있을지 궁금하네요ㅎ
HR KM 28
2022년 1월 19일 14:20게임의 순기능은 작은 일에 성취감을 맛보게 해주고 안주하는것이 아닌 스스로 도전하게끔 용기를 넣어 줄 수 있는거라고 생각해요
시작은 작았지만 조금씩 성장해나가 본인도 모르게 큰 일들을 해내고 있음을 느끼게 해 주는 시스템이에요
하지만 스스로 이루어낸 업적들에 얽매이게 된다면 도전은 커녕 계속 그 게임 속에서 안주하며 살겠죠 사실 저는 이 부분이 많이 무섭다고 느끼네요
현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다양한 장르의 게임은 앞으로의 인생에서 게이머들 스스로 가치관을 쌓아줄 수 있게끔 도와줄 수 있다고 믿어요
@studian365 16
2022년 1월 19일 12:01✅한덕현님의 영상 보러가기
[1부] 20년 동안 정신과 의사를 하며 깨달은 불안을 없애는 방법
👉https://youtu.be/SDh3gf6SbWI
[2부] 지금 하는 일에 대한 고민이 생길 때 깊이 생각해 봐야 할 것들
👉https://youtu.be/Vvxlb0oR8P8
한덕현 [불안한 것이 당연합니다]📘
👉 http://kyobo.link/Awdb
@ch--1848 15
2022년 1월 19일 12:32오늘도 뜻깊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우리 아이들은 희망입니다.
미래를 이끌어갈 경이로운 빛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주세요.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주세요.
아이들과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어 주셔서
마음에 공감을 이루어 주세요.
무엇이든 억지로 바꾸려 하면 무너지듯이
아이들도 억지로 바꾸려 하면 무너집니다.
매 순간의 도약.
자그마한 성과가 모이면
커다란 성과로 이루어집니다.
무한한 공감을 통해 일어난 자그마한 변화에도 무한히 칭찬을 해 주시어
가치 실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공감의 빛이 일어난다면
우리 아이들은 반드시
매 순간을 충실히 살아가게 됩니다.
있는 그대로의 마음으로
우리 아이들 모두가 크게 성장하기를
우리 아이들 모두가 그저 빛나기를
이 세상을 무한히 밝혀내기를
두 손 모아 간절히 염원하겠습니다.
공감이 일어나고 일어나지 않는 이 세상
함께 힘내며 살아가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pro fighter 12
2022년 1월 19일 13:56예전 고등학교때 전략게임 중독자 있었는데, 갑자기 공부시작하면서 그 게임할때 나오는 도파민만큼 공부에서 뽑아내는것 처럼 보이는 애가 있었음. 정말 즐거워 보였음. 딱 방학2달만에 베이스가 비교적 필요없는 과탐 2과목다 1,2등급 근처까지 만들었음. 근데 수학같은건 너무 기본적인 중학교 수학도 안되어있어서 무리로 보였음. 그래도 딱 반년만에 12212 찍음. 결국 재수해서 개빡공하고 나머지 다 끊고 집중해서 메이져 의대감. 결론은 게임은 머리를 녹이지못함. 대신 그 게임에서 나오는 도파민을 공부에서 뽑아내지못하면 녹은것처럼 생활하게됨. 그래서 공부로 흥미를 돌리는게 가장 중요한데 이게 가장 매우 어려움.
@cacaococoa7828 10
2022년 1월 19일 18:02신기하네요 프로게이머들은 게임뇌 작동부분이 공부뇌와 같다니 ㅎㅎㅎ
@한량조아 8
2023년 1월 07일 23:21진짜 내가 항상 조언하는건 그냥 게임기를 사주라는 거임
비디오 게임은 대부분 스토리가 있고 끝이 있는데 스마트폰 가챠게임, PC 온라인게임은 끝이없어서 중독으로 빠지기 쉬움
Carl Edward Sagan 8
2022년 1월 19일 19:20부모 : 자녀에 대한 작은 성과도 사소한 칭찬으로 자존감을 높이지 않고 다른 사람과 비교 하기 시작.
점점더 자존감이 낮아지고 쉽게 나를 대변하여 성장 시킬 수 있는 게임 속으로 들어감.
자녀가 다른 인격체 임을 인정하지 않고, 남들과 똑같이 하려 하고
자녀는 성인이 되어 스스로 결정하기 어려워하고 금방 포하고 실업자가 됨.
플라토(gprpf) 8
2022년 1월 19일 16:16체스도 게임입니다. 바둑도 게임입니다.
@조민기-b3u 8
2022년 1월 19일 14:19영상 제목보고 논란이 있겠거니 했다가 영상 속이 참 진실됐네
@slee8601 7
2022년 1월 19일 16:56공황장애 치료용 게임이라니 정말 기대가 됩니다.
@donidoni3090 6
2022년 1월 19일 15:10됐고. 롤중독은 노답임 ㅋㅋ 그거하나는 확실하다.
임상욱 5
2022년 1월 19일 14:10게임에 대한 연구는 했지만 직접 게임을 해보지 않은티가 많이나는 이야기네요. 게임을 전혀안해본 사람이 들으면 그럴싸 해보이는 이야기.
seoggon park 5
2022년 1월 19일 12:23정말 감사드립니다. 이 연쿠가 많은 곳에 쓰이기를 바랄께요.^^~♡
@jgd824 4
2022년 1월 19일 23:23잘봤습니다. 이제는 시대가 변했으니 게임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받아드리고 활용할 줄 알아야 하는게 맞죠
@지우-2 4
2022년 1월 19일 20:09좋네요. 값진 영상
@자유보이스 4
2022년 1월 20일 09:55미국에서 공부했는대 아직도 동양적 사고에 갇혀있으시군요.... 천부적 소질을 뛰어넘는 것이 노력이다라고 하는 것이 현대의 교육입니다.
공부만 과외가 있나요 게임도 현질이 있지요 논리적으로도 많이 부족한 내용입니다.
@hkim6721 4
2022년 1월 21일 07:30중독은 중독으로 다스려야 하는것 같아요. 즉 스포츠로 옮겨야 한다고 생각해요. 스포츠하는 애들은 게임을 덜 하게 되요. 여가시간을 운동으로 옮기게 하세요. 테니스나 탁구 농구등으로 옮겨보세요.
애들은 답답하고 남아 있는 에너지룰 쏟을데가 있어야 합니다.
@dpi5569 4
2022년 1월 20일 00:44게임을 공부처럼 만들면... 그 게임은 안하게 되죠..ㅎㅎ 타고난 사람이 공부잘한다는 전제하면 대다수 사람들은 당연히 싫어하죠... 아이디어는 좋으나 치료 결국 실행단계에서 두리뭉실하게 되었네요...큰 틀에선 기존의 연구와 큰 다름은 없는것 같습니다.
@바보코코뮬란 4
2022년 1월 19일 15:15역시 부모들이 문제임
@공정상식정의 3
2022년 1월 19일 12:20👍
@소금돌이 3
2022년 1월 19일 16:54게임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ㅎㅎ
@배짱개미-c9r 3
2023년 6월 06일 21:39남자애들은 일찍부터 스포츠에 빠지면 게임할 시간이 부족해서 실력안쌓여서 지는 날이 많으니 노잼되고 잘 안하게 됨. 인라인스케이트, 농구, 축구, 배드민턴, 골프 전부 아버지한테 배우면서 또래들보다 조금 더 앞서나가다보니 자존감도 높았고 운동은 늘 해왔던것 같음.
@kindteacherjane7912 2
2022년 1월 19일 21:46많은 도움이 되는 강의입니다..뇌 결과 연구에 대해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모하모-q5o 2
2022년 1월 21일 11:27게임에 대한 오해를 풀어주셔서 감사해요^^ 아이 학습하는데 적절히 게임을 활용하면서 보상을 줘봐야겠어요^^
@NCT127.tae-yong 2
2023년 7월 19일 11:27저도 오버워치를 라는 게임을 하는 입장에서 부모님이 교과서를 보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데 게임기를 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고 하시는 것 같아요, 또 게임을 많이하면 데이터 처리에 대한 경험들을 뇌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공감이 많이 됬어요 게임은 문화인데 참 부정적으로 보네요.공부는 정말 머리좋고 요령 좋고 과외 좋은 선생님한테 받아서 점수를 알린다는 말이 제일 와닿는 것 같습니다. 게임은 정말 즉각적인 보상과 말초 쾌감을 충족 시키는데 결과를 볼수 있다는게 빠져되는 것 같습니다.
@Adam-89484 2
2023년 2월 09일 19:16게임도 재능 있는 자들만 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현시대에는 게임이 보상을 줘서 한다기보다 회피하려는 도피처의 양향이 큽니다. 이미 오염된 뇌를 돌이키기에는 중독된 뇌로는 리턴하기에는 개인의 힘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게임의 이점은 있지맘 이 또한 소수입니다. 강력한 선교육이 필요합니다.
@박엉주 2
2023년 9월 11일 19:50아니 그럼 게임을 계속 하라고 하는 것 가요?? 중독 되든 말든?? 프로게임머들은 프로게임머고 사람에 따라 다르잖아요
@foxpaper8543 1
2024년 5월 17일 18:18[극좌가 위험한 이유...]
게임 연구 대한 치명적 오류가 너무 많아...
실제 어떤 게임이냐에 따라 모두 다르며...제 주변에서도 게임으로 인해 뇌 활성화가 더 향상된 사람들이
더 많음..
어떤 교수가 조사 했다고 하는데....그 연구 조사는 치명적인 오류가 너무 많이 존재 함..
@원장-r6f 1
2022년 1월 19일 20:18롤 챌린저였는데 인생도 챌린저 가겠슴다
@아거새진원 1
2022년 1월 19일 20:04영상이 더 필요해보여요.
또 찍어주실수있나요
@amyholland9383 1
2023년 6월 29일 15:00라운칭 아니고 런칭
@민초-love 1
2023년 1월 12일 04:07중독되도 괜찮아요 다른사람 가족한테 피해만 안주면되죠 할거하고 게임하면괜찮아요
@SanQ6 1
2022년 1월 19일 13:48영상을 보고 배움을 얻었지만, 매영이 제목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듯 하다.
그리고 힛더캔써는 검색하면 안나오는데 어디있을까요
@dlsken2knfu38 1
2022년 6월 30일 01:34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박사님
@몽_비경 1
2024년 5월 13일 16:40생각해볼 만한 점을 들어볼 수 있을까 하고 들어왔는데 역대급 사이다를 들이키고 갑니다 ㅋㅋㅋ
"게임이 공정하다는 점에 아이들이 매료된다"는 점이 너무 사이다였습니다
@rowe1124
2022년 1월 21일 14:22게임도 단순 노가다 게임 보다는
전략 시뮬이라던지 퍼즐 난이도가 높은 게임같은것들은 괜찮은거같아요
이런류 게임은 머리가 아프죠
단순 노가다 게임들 ? RPG같은 경우는 머리 쓸 일 없기 때문에 ㅋㅋㅋㅋ
진짜 웃겼던건 친구 중에 콤보게임 즐겨하는애 0.1,2초 스틸 모션 딜레이는 눈으로 감지하는데
현실은 뜀틀도 못하고 눈에 보이는 태클도 못피하는 운동 꽝인걸 보고
인간은 정말 흥미롭다고 생각함.
심시티를 즐겨하던 저는 건축 설계를 하게 되었습니다... ㅋㅋㅋ
서울대에서 수업 자료로 쓰는 경영게임도 있었고, (노잼주의)
창업이나 경영관련해서 시뮬레이션 해 볼 수 있고
자극을 줄 수 있으니까 이런 게임은 아이들한테도 권하기에 나쁘지 않을것 같아요
@amyholland9383
2023년 6월 29일 15:00라운칭 아니고 런칭
@남성민-g7y
2024년 11월 17일 20:16저 남자의 말이 옳아요!
충동조절이 원인이에요!
달려
2022년 1월 22일 10:29피드백이 분명하고 빠르다 도박과 게임은 같은 요소로서 인간의 가~~장 강력한 욕구를 씹창낸다
김지미
2022년 1월 20일 09:30욕도잘해야하고 도둑질도 잘해야되고 사기도 잘쳐야되고 패륜도 저질러야되고 사람도 마구 찔러죽여야되고 불륜도 저질러야되고 범법자되어서 감옥도 가야되고 ~이래야 대권후보됩니다 애들 교육의 혁명
sebastian Leonardo
2022년 1월 19일 20:34게임 관련 논문은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찾아봐두 안 나와서요 ㅎㅎ
@반딧불-e3u
2024년 1월 26일 11:28선생님 성인인데 게임중독 증상 때문에 일상 생활이 힘들 정도이면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요 ? 중앙대 병원에 방문해서 진료 보면 될까요 ?
@유튜브중독-e6d
2024년 8월 23일 18:54프로게이머랑 게임중독자의 뇌자극이 다르다는게 너무 신기네요. 좀더 자세히 알고싶어요.
@k_juny9940
2024년 7월 18일 21:09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