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서울 아파트 한 채에서 20년 넘게 살고있지만 어느정도는 떨어져야죠. 짧은 시기에 가파르게 상승했고 지금 시기는 당연히 떨어져야 함이 맞습니다. 아파트 오르는 금액이 한 두푼 입니까 천 만원, 이천만원이 가장 낮은 수치인데 마냥 오르기만 한다면 우리 자녀 세대는 어떻게 집을 마련하고 살까요. 이제는 상승론만 말할게 아닌 우리 사회 전체의 좋은 영향력을 미칠 분들을 위주로 섭외했으면 좋겠어요. 100만 구독자 김작가 티비에서 그러한 역할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막연하게 오른다, 투자해라 이것만 외치는 분들 말구요.
집이란게 한번 사본사람이 또 산다! 집을 안사는 사람은 집사라고 아무리 말해도 안산다. 못사는게 아니고 안사더라! 내 생각에는 부모님이 부자면 그 마인드가 DNA에 새겨져있는거같다. 요즘 말로 아비투스다.부모가 집하나도 안사면 자식들은 뼈를 깍는 노력으로 주변에서 욕을 먹어도 집을 사야한다. 집하나없는 부모,친척들이 집을 사면 축하가아닌 욕을 하더라. 마인드을 바꾸는게 참 쉽지않다. 부자가 되려면 주변에 부자가 있어야한다. 집을 사고싶다면 주변에 집을 산 사람과 자주 대화를 하는것이 좋다.
하락할때 지방은 하락하지 않았어요--> 그 당시 아마도 지방은 별로 상승 안했던거 같은데.... (저분 속마음 : 나 지방에 사놨는데 안전하게 투자하고 싶으면 지방 매수하세요. 라고 해야겠담) 지방 팔고 서울 똘똘한 것들로 매꾸고 싶겠죠. 지방에 있는 학교 학생 수 보면 함부로 매수 했다가는 상투 잡음 대부분 투자자들이 규제지역 피해서 지방 투자 많이 해놨을꺼고 미래를 볼때 지방은 상승 여력이 힘들죠. 지방 추세가 비싼거 아님 잘 안오르는데(입지 좋은 곳 다 오름 그 가격때면 이제는 팔고 서울사는게 안전하다고 느낌)
이번 상승장의 원인으로 유동성을 지적하셨는데, 정확히는 부동산 시장에 쏟아진 유동성이라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80퍼까지 됐던 전세자금 대출이나 손쉽게 받을 수 있었던 신용대출, 명목은 사업자대출이지만 실제 사용처는 딱히 확인하지 않았던 사업자대출 등등 너무 많은 대출들이 이번 부동산 상승의 원인이라는건 확실해 보입니다. 대출 규제가 시행되고 특히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규제가 높아지면서 갭투자가 어려워지니 집값이 주춤하는거보면 유동성에 대한 지적은 공감이 가네요.
2020년부터 구독해온 독자입니다. 보통 산책을 하며 풀버젼을 보는데 영상의 말미에서 김작가님의 솔직한 인터뷰 내용을 보며 확실히 김작가님의 컨텐츠가 왜 다른지를 느낄 수 있는 영상이였습니다 아임 해 피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보통의 영상과는 조금 다른 느낌의 영상이었는데 뭔가 따뜻하기도 하고 진솔함이 느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 질문들이 참 두번 세번의 고심이 느껴지는 양질의 질문같아요ㅎㅎ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듣다보니, 부동산 관련 중요한 요소인 금리와 세금에 관련된 부분은 전혀 언급을 안하시는군요.
팔려고 내놓은 유주택자들에게 더 오를거라는 시그널을 줘서 걷어들이게 하려는 의도가 있으신가요? 무주택자들에게는 지금이라도 집을 사야한다는 심리를 부추기는? 그간 비정상적으로 가파르게 오르기만 했던 대한민국의 부동산이 이제는 정상화의 길로 이미 몸을 틀은 거라는 생각을 하는 터라서 공감이 어렵습니다.
주택공급 = 신축 분양만?? 매물이 쌓이는데도 공급이 부족하다?
부동산 전문가라고 들었는데 지금보니 성공하신 다주택자분. 기대했던 분석이 아니라서 아쉽습니다.
저는 럭키 읽었는데 오늘 방송은 럭키 한권 더 읽은 느낌입니다 아임해피님 2022년에도 자주 나와주셔서 소소한 이야기라도 많이 이야기 나눠주세요^^♡ 김작가님 채널 구독자 여러분들도 김작가님과 아임해피님도 건강 잘 챙기시고 행운과 행복이 가득한 한해 되시길 바랍니다요~^^
떨어질것 같아요 많이 오른데는 그만큼 떨어지고 움직임이 없던곳은 덜 떨어지고 심리적인 부분이 거래량 감소에 계속 영향을 주고 가격 하락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오를 이유가 없을 듯하네요 개인적으로 반대의견이네요 현재 정지가 맞지만 가격 하락 전에 징조로 보입니다 앞으로 지켜보시죠
2차 국토종합개발계획부터 빠짐없이 등장하는 메인 테마는 균형개발,수도권 분산. 40년뒤 현재 4차 국토종합개발이 될때까지 해결 못했고 앞으로도 못함. 수도권에 집중된 대학교,고등학교,상급병원을 지방에 강제 이전하는거 아니면..지금이 군사정권 시절 강남개발한다고 강제로 옮기고 재산권을 어떻게 할수 있는 시대도 아니고. 기업도시 혁신도시 행정수도이전 등 정부가 정책 펼쳐봤자 해결못함. 지금도 공공기관들 서울에 따로 사무실 차리고 왔다갔다 하는게 현실 그 동안의 규제와 금리 인상에 대한 불안감으로 잠깐 주춤하는거지. 폭락론자들이 기대하는 엄청난 대폭락이 오진않음. 만약 그런 상황이 오면 이미 모든 자산가치가 박살나서 IMF때 보다 심각한 상황일거임. 지금 공급 늘려도 상승 속도만 완화될뿐 계속 오른다는거임. 여기서 규제를 더 하면 기존 매물에 프리미엄만 더 올려주는꼴 그냥 수도권에서 주머니 사정에 맞게 하나 가지고 나머지 돈으로 투자하는게 정답
부동산 주택 공급과 수요의 비밀... 1. 공급 : 같은 공급량 이라고 하더라도 수요가 많으면 공급이 적다 하고... 수요가 적으면 공급이 많다 합니다. 즉 공급의 기준은 절대기준이 아니라 수요에 의한 상대적 개념입니다. 2. 수요 : 부동산 주택수요는 절대적 가수요 입니다. 집값이 오늘것 같으면 집이 있든 없든, 남녀노소 너나 나나 다 집을 사려고 합니다. 수요폭증 집값이 내릴것 같으면 집이 있든 없든 너나 나나 다 집을 안사려고 합니다. 수요급감
집없는 무주택 국민이 전국에 44%, 수도권에 약절반 이지만 ... 무주택자라고 수요자는 아닙니다. 주택의 소유관계로 수요세력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수요는 실제 구입의사가 있어야 합니다.
공급이 늘어도 집값이 오르면 수요는 계속 증가 합니다. 왜냐하면 집모으기 수집가가 있기 때문입니다. 500채, 300채 소유자도 있습니다. 집값이 오르면 분양시장의 경쟁율은 분양물량과 상관없이 경쟁율 증가 합니다. 집값이 내리면 분양시장의 경쟁율은 분양물량과 상관없이 경쟁율이 하략합니다.
kDY__564 178
2022년 2월 02일 17:03나도 서울 아파트 한 채에서 20년 넘게 살고있지만 어느정도는 떨어져야죠. 짧은 시기에 가파르게 상승했고 지금 시기는 당연히 떨어져야 함이 맞습니다. 아파트 오르는 금액이 한 두푼 입니까 천 만원, 이천만원이 가장 낮은 수치인데 마냥 오르기만 한다면 우리 자녀 세대는 어떻게 집을 마련하고 살까요.
이제는 상승론만 말할게 아닌 우리 사회 전체의 좋은 영향력을 미칠 분들을 위주로 섭외했으면 좋겠어요. 100만 구독자 김작가 티비에서 그러한 역할을 해주셨으면 합니다. 막연하게 오른다, 투자해라 이것만 외치는 분들 말구요.
가슴으로산다 106
2022년 2월 06일 10:32집이란게 한번 사본사람이 또 산다! 집을 안사는 사람은 집사라고 아무리 말해도 안산다. 못사는게 아니고 안사더라! 내 생각에는 부모님이 부자면 그 마인드가 DNA에 새겨져있는거같다. 요즘 말로 아비투스다.부모가 집하나도 안사면 자식들은 뼈를 깍는 노력으로 주변에서 욕을 먹어도 집을 사야한다. 집하나없는 부모,친척들이 집을 사면 축하가아닌 욕을 하더라. 마인드을 바꾸는게 참 쉽지않다. 부자가 되려면 주변에 부자가 있어야한다. 집을 사고싶다면 주변에 집을 산 사람과 자주 대화를 하는것이 좋다.
ㅇㅇㅅㅅㅁㄴㅇ 92
2022년 2월 02일 17:35지금 사는건 위험한행동이라고 보여지내요. 솔직히 바닥대비해서 얼마나 올랐는데 여기서 더가도 결국 하락조정은 올수밖에없고 상승분 다 토해내고 고점에서 물리기 딱좋은 위치입니다.
모든자산시장에 조정이 온다는건 불변의 진리구요 부동산이라고 예외는 아닙니다. 리즈시절 대치동 은마조차도 하락장때는 33프로정도 조정받았습니다.
@Chadolbbaegi 91
2022년 2월 02일 15:58그나마 살만한 집은 7 8억정도 하고 대출은 8억 기준 3억이 나오는데 5억이 있어야 집을 살수있는 상황이라 수요공급이 아직 안맞다고 하지만 사기도 힘든 가격인거 같습니다.. 부모님 찬스, 갈아타기 혹은 갭투자 수요자들만 매매가 가능한 것 같아요
@youngjung8893 76
2022년 2월 06일 11:55오를 수도 있고 내릴 수도 있고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고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범주를 못 벗어나는 설명이네요.
k.s jl 67
2022년 2월 02일 16:10부동산의 역사를 일천한 기간동안
보고나서 본인이 아는 범위에서
열심히 설명하시네요
내가 당신나이 보다도 훨씬 긴기간
동안 보아온 내생각은 장기적으론
우상향하지만 단기적으론 고점과
저점을 반복했읍니다
은마아파트와 주공5단지가 40%
떨어져도 안팔린때도 많았읍니다
@user-zr6ww7hj3n 53
2022년 2월 03일 02:20집하나 있지만
자식들과 젊은 다음세대를 위해서 집값 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인생을 일해 돈벌어 잘 쓰지도 못하고 평생벌어 집사는데 써야하니 ㅜㅜ
@user-qw6nu6yl1v 52
2022년 2월 02일 16:59요즘 전문가들 말은 그대로 믿으면 안되요. 과거를 보라고 하는데 지난 10년과 앞으로의 10년은 사회환경 자체가 달라요. 대표적으로 저금리 저물가시대 종료, 인구구조 변화, 1인가구 비중 상승 등등 저런 전문가라고 하는사람도 못겪어본 시대인거죠. 저런 부동산쟁이들 문제가 거시경제 공부는 안하고 우물안 개구리처럼 부동산시장만 공부하는게 문제죠
파이어스 46
2022년 2월 02일 23:41하락할때 지방은 하락하지 않았어요--> 그 당시 아마도 지방은 별로 상승 안했던거 같은데.... (저분 속마음 : 나 지방에 사놨는데 안전하게 투자하고 싶으면 지방 매수하세요. 라고 해야겠담)
지방 팔고 서울 똘똘한 것들로 매꾸고 싶겠죠. 지방에 있는 학교 학생 수 보면 함부로 매수 했다가는 상투 잡음
대부분 투자자들이 규제지역 피해서 지방 투자 많이 해놨을꺼고 미래를 볼때 지방은 상승 여력이 힘들죠.
지방 추세가 비싼거 아님 잘 안오르는데(입지 좋은 곳 다 오름 그 가격때면 이제는 팔고 서울사는게 안전하다고 느낌)
@user-id8tv8fd2y 44
2022년 2월 04일 12:11정지영씨ㅡ다주택자ㅡ투자성향스탠스 ㅡ 결국 상승하는게 이익이기때문에 오른다고 설파하는 것.
@lawrence7791 39
2022년 2월 02일 16:45누가 요약내용 좀 부탁드려요…. 의견
듣고싶긴한데…… 요즘
유투브 생태계에서 1시간 40분이라뇨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loosdk3111 36
2022년 2월 03일 00:33이번 상승장의 원인으로 유동성을 지적하셨는데, 정확히는 부동산 시장에 쏟아진 유동성이라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80퍼까지 됐던 전세자금 대출이나 손쉽게 받을 수 있었던 신용대출, 명목은 사업자대출이지만 실제 사용처는 딱히 확인하지 않았던 사업자대출 등등 너무 많은 대출들이 이번 부동산 상승의 원인이라는건 확실해 보입니다. 대출 규제가 시행되고 특히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규제가 높아지면서 갭투자가 어려워지니 집값이 주춤하는거보면 유동성에 대한 지적은 공감이 가네요.
@user-wp9nr4vy4x 34
2022년 2월 02일 20:04미래 5년후, 아가들이 없어요.누가 아가를 낳고싶어할까요? .한국의 미래...... 큰일입니다.
@feel_so_good_diary 33
2022년 2월 02일 17:31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매번 느끼지만 같은 패널이라도 김작가 티비가 타 채널에 비해 몰입도가 높습니다.(김작가님의 질문의 퀄리티, 인터뷰 태도 덕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게 김작가티비만의 매력인 것 같아요~~
정지영 전문가님의 말씀도 감사합니다~^^
연휴에도 쉬지 않고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딸기쨈 32
2022년 2월 02일 18:02진짜 김작가님 질문의퀄리티가 좋아요 ..촘촘한 질문 ...페이스를 잃지 않는 질문이 훌륭하십니다 ~~
@lucky_tv 29
2022년 2월 02일 15:08🌟 『아임해피 정지영_3부작』 풀버전을 업로드 했습니다.
🌟 [대선후보 안철수 영상 시청하기]
👉 https://youtu.be/dLWOu9GVdo4
🌟 [대선후보 김동연 영상 시청하기]
👉 https://youtu.be/c1aqMLJ3xLI
📚 김작가 신간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EE H 28
2022년 2월 03일 05:03증권가 애널리스트는 항상 시장을 긍정적으로 볼 수 밖에 없죠
부동산도 마찬가지라 봅ㄴ다..
같은 시정을 놓고도 진단을 달리 하는거죠..
그래서 거시경제를 보고 판단하는 교수들의 진단이 객관적이라 봅니다..
소득대비 지금의 집값은 너무나 바정상적입니다..누가봐도 거품이죠..
그건 어느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겁니다..거품은 시기가 문제이지 언겐가는 꺼질겁이다..그래야 경제가 정상적으로 돌아간다 봅니다..
지금이라도 사라고 하는 사람들은 부동산시장애 몸을 담고 있는 사람들뿐입니다..각자가 잘 판단해야 재산 잃지 않겠죠..
@user-pc2ok6xc6k 28
2022년 2월 06일 01:262020년부터 구독해온 독자입니다. 보통 산책을 하며 풀버젼을 보는데 영상의 말미에서 김작가님의 솔직한 인터뷰 내용을 보며 확실히 김작가님의 컨텐츠가 왜 다른지를 느낄 수 있는 영상이였습니다 아임 해 피님 영상 잘 보았습니다. 보통의 영상과는 조금 다른 느낌의 영상이었는데 뭔가 따뜻하기도 하고 진솔함이 느껴지는 영상이었습니다 . 질문들이 참 두번 세번의 고심이 느껴지는 양질의 질문같아요ㅎㅎ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부자되는채널:KIND TEACHER JANE 27
2022년 2월 02일 19:23아파트시세는 하락기, 조정기가 있지만 결국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저점, 고점은 아무도 모릅니다..감당가능한 범위에서 투자하시고 실거주하시길 바래요. 늘 부자되는 좋은 말씀 감사해요:)
@user-pv7op8j 24
2022년 2월 09일 10:14듣다보니, 부동산 관련 중요한 요소인 금리와 세금에 관련된 부분은 전혀 언급을 안하시는군요.
팔려고 내놓은 유주택자들에게 더 오를거라는 시그널을 줘서 걷어들이게 하려는 의도가 있으신가요? 무주택자들에게는 지금이라도 집을 사야한다는 심리를 부추기는?
그간 비정상적으로 가파르게 오르기만 했던 대한민국의 부동산이 이제는 정상화의 길로 이미 몸을 틀은 거라는 생각을 하는 터라서 공감이 어렵습니다.
주택공급 = 신축 분양만??
매물이 쌓이는데도 공급이 부족하다?
부동산 전문가라고 들었는데 지금보니 성공하신 다주택자분.
기대했던 분석이 아니라서 아쉽습니다.
@freefalling346 21
2022년 2월 03일 12:50지금은 거래가 너무 없음 좀 과할정도로 없다
@user-vd7fh3tj2p 16
2022년 2월 17일 11:00저는 지금 의견에 동의 못 합니다.
집값은 서서히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영끌 하다가 영원히 끌려 갈 수도 있습니다.
Korean JJinDDa 14
2022년 2월 07일 10:28수요와 공급으로 볼때의 기준과 경제상황 플러스요인으로 들어갈때의 기준이 틀릴것같다. 나의 예상으로는 코로나 위기가 사라진 이후(곧...) 부동산은 하락하기 시작하여 수년가 떨어진다에 한표.
@user-gy3uy8tv9g 14
2022년 2월 17일 19:07주변에 주식이나 부동산 전문가라고 하는사람들 보면 지돈이 물려 있으면 오른다고 하고 이미 빠져나온자들은 내린다고 한다... 결국 자기 바램대로 예측하는거다. 정확히 예측이 자신의 유리한쪽으로 되길 바라는거다
@user-ic4dw6mo4x 14
2022년 2월 08일 13:52자세한 설명으로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너무너무 좋은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재건축 재개발 지도” 책 보면서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영상 진심어린 말씀들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좋아요 여러번 누르고 싶은 영상입니다!
@user-hd8rp7mq3i 13
2022년 2월 03일 00:15귀중한정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jv1ug7zo8s 13
2022년 2월 04일 23:49영상감사합니다^^
행운의티케 12
2022년 2월 03일 08:29저는 럭키 읽었는데 오늘 방송은 럭키 한권 더 읽은 느낌입니다 아임해피님 2022년에도 자주 나와주셔서 소소한 이야기라도 많이 이야기 나눠주세요^^♡
김작가님 채널 구독자 여러분들도 김작가님과 아임해피님도 건강 잘 챙기시고 행운과 행복이 가득한 한해 되시길 바랍니다요~^^
dreaming traveler han 12
2022년 2월 06일 19:55누가 생각해도 역사이래 처음으로 미친듯이 아파트값이 상승했습니다 50프로 하락해야 청년및 약자들이 살아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zk1ys2lx1u 12
2022년 2월 06일 22:43내용이.무슨말인가요?요약좀.설명해주세요.답답하네요.무슨말인지?
@user-bj1mu9bk6g 10
2022년 2월 11일 22:45집값이 떨어질거라 생각하기 때문에 집을 살 사람이 없는것이다.
수요자가 없으면 가격은 계속 떨어진다.
거기에 금리인상과 대출규제 때문에 더 떨어질것이라고 생각한다.
@mvp4958 10
2022년 2월 03일 00:28귀하고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부동산의 흐름을 잡아주시니 좋으네요
감사합니다
@user-ob1el8kg9t 10
2022년 2월 07일 03:46좋은영상 배울점이 많앗습니다 잘보고갑니다
@user-li5bs5wl3i 10
2022년 3월 01일 11:19무주택자 실거주자 들에게 집을 살수있게끔 나라에서 정책을 풀어주고 다주택자들에게는 그에 맞는 정책을 세워야 부동산 흐름이 그에 맞게 갈수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yhk806 10
2022년 2월 06일 10:43김작가님 항상 응원해요~! 인터뷰 정말 잘 하세요~~~
아엠해피님도 응원해요 책도 샀어요~^^
Injoong Kim 10
2022년 2월 02일 21:44좋은 분들을 모셔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승수 9
2022년 2월 02일 15:04떨어질것 같아요 많이 오른데는 그만큼 떨어지고 움직임이 없던곳은 덜 떨어지고
심리적인 부분이 거래량 감소에 계속 영향을 주고 가격 하락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오를 이유가 없을 듯하네요 개인적으로 반대의견이네요 현재 정지가 맞지만 가격 하락 전에 징조로 보입니다 앞으로 지켜보시죠
@user-el4rn1ke5k 8
2022년 2월 02일 16:40지방 하고는 거리가 멀어요
늦게 따라 오르다 떨어질때는 빠르게
오를땐 늦게 서울과는 거리가 멀다
오피스텔는 매매가 아직도 안돼요
거래가 안돼요 역세권인데도
서울은 역시 서울 인구 폭발
지역불균형 심하다
@user-oj8cg7zx7f 7
2022년 2월 08일 07:59감사합니다 선생님
@rlaaldhr3 7
2022년 2월 06일 07:21집값 때문에 결혼못하는
젊은새대가 많이있다
미래가 어둠다 모든물가상승 돈벌이는
물가을 따라잡지못한다
@user-tn9xc3kz7v 6
2022년 2월 24일 08:13정지영님 작년에 재개발재건축지도 잘 읽었습니다. 지인들에게도 추천했구요. 저도 직장을 다니다 건강에 이상이 와서 자산에 큰 위기를 느꼈고 부동산공부에 더 집중하게 됐습니다. 항상 많이 배웁니다!!
@user-ep4oj3kr5i 6
2022년 2월 13일 07:58좋은 영상 감사합니당
@song-nj6oz 6
2022년 3월 18일 22:46타채널에서도 뵜었는데 김작가 채널에서 더 편안하고 솔직하게 내용을 풀어주셔서 되감기 어려번 하면서 들었습니다. 김작가님, 해피님 감사합니다.
bu 6
2022년 2월 03일 05:282차 국토종합개발계획부터 빠짐없이 등장하는 메인 테마는 균형개발,수도권 분산. 40년뒤 현재 4차 국토종합개발이 될때까지 해결 못했고 앞으로도 못함. 수도권에 집중된 대학교,고등학교,상급병원을 지방에 강제 이전하는거 아니면..지금이 군사정권 시절 강남개발한다고 강제로 옮기고 재산권을 어떻게 할수 있는 시대도 아니고. 기업도시 혁신도시 행정수도이전 등 정부가 정책 펼쳐봤자 해결못함. 지금도 공공기관들 서울에 따로 사무실 차리고 왔다갔다 하는게 현실
그 동안의 규제와 금리 인상에 대한 불안감으로 잠깐 주춤하는거지. 폭락론자들이 기대하는 엄청난 대폭락이 오진않음. 만약 그런 상황이 오면 이미 모든 자산가치가 박살나서 IMF때 보다 심각한 상황일거임.
지금 공급 늘려도 상승 속도만 완화될뿐 계속 오른다는거임. 여기서 규제를 더 하면 기존 매물에 프리미엄만 더 올려주는꼴
그냥 수도권에서 주머니 사정에 맞게 하나 가지고 나머지 돈으로 투자하는게 정답
ᄀᄀ 5
2022년 2월 06일 11:36경기도뉴타운에서 입주권도 못받고 강제로집을뺐긴국민들이 얼마나될까 수백에서 수천일까 수만일까 전수조사해서 모든원주민들에게 입주권을주어서 조상대대로살던곳에서 살게해야 진짜민주주의정부 대통령 이라고 합니다 그래야 공정한세상 소통이잘되는세상 입니다 정말 정말
@doctor.chin1968 4
2022년 2월 19일 10:24부동산 전망하기엔 좋은 영상 시청하고 구독합니다.
@kate-rl6vi 4
2022년 3월 04일 20:58올해 내년에 오를지 지켜봅니다 금리랑 집값은 반비례인데... 진짜 오르나 내리나..,보면 알겠지 못버틸 사람은 사지마라..란거죠 영끌하면 망함..3억이 9억 됐다는데 그럼 난 3억짜리 2억7천 영끌한 선배에 비해 나는 8억1천을 영끌해야한단 소리임... 2억7천과 8억1천은 ... 일반 월급쟁이는 못버티죠 ㅜㅜ
@user-fg3uv3fo2q 4
2022년 3월 05일 16:39이분 딴나라사람이신듯요!
집값 계속하락장입니다! 서서히
조금씩 내릴수밖엔없어요~무주택자들
지금 매수하지말고 내년부터 서서히
하락해서 26년부터는 초절정하락세입니다
그때매수하세요
김삼방 4
2022년 2월 13일 08:52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이금철 4
2022년 2월 02일 19:02현실감 있는 예측감사합니다
@user-gn5zz8ri1c 3
2022년 2월 07일 14:30저도 임장을 거의 1년반 했어요
Saint Michel 3
2022년 2월 02일 15:11산이 높으면 골도 깊다.
금리 인상 시기에 다들 조심하자.
부동산에 눈 뒤집힌 사람들은 언제나 오를 거라고 하지만...
몇년은 조심해야 하지 않나?
받아줄 호구들도 많이 줄었음.
@user-ud6xs5gq7f 2
2022년 2월 26일 09:45영상이 많은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qg6hl3cn1r 2
2022년 3월 16일 13:50부동산은 등락의 연속ㆍ특히 서울과 수도권가격이 바닥이 계속될때는 장기부동산침체는 건설경기 부진등으로 다른 분야까지 경기영향을 미친다고 부동산 부양 정책을 써므로ㆍ다시 오름 ㆍ그러니까 숨고르기좀했다 다시 오르곤합니다
@user-yh2dp4ts9i 2
2022년 3월 18일 13:05누구든 답변좀해주세요
정말 궁금한건데요
1.집값이 오른다는건 누군가 받아준다는건데 사회가 성장하면서 비례해 같이가야하는데 이게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됩니다.
10억 하던집을 누군가 11억에 사주고..계속 반복돼서 30억 간다면 현시점에서 30억에 들어간사람은 29억에 나올수가 없잖아요?
계속 받아주는 사람이 있어야하는데 이게 어느선까지 가능하냐는겁니까?
(집값이 미쳤다를 얘기하는게 아닙니다)
누가 어디까지 받아주느냐..그게 궁금합니다.
2.예로 반포주공5층짜리 재개발해서
20층30층 만들어서 수익냈다칩시다.
30~50년후엔 더이상 증축은 힘들테고
그때가선 집값이 어떻게 되는겁니까?
그때가면 1:1재건축 말곤 답이 없는데..
계속 끝없이 오르게될까요?
오늘시점 부동산얘기는 많은데
먼미래얘기해주는분이 없어서..궁금합니다
이프ican 2
2022년 2월 19일 16:16주식과 부동산은 오로지 신만이 아신다...주식 전문가들 말 맞는거 봤나...워낙 변수가 많기 때문에 초단기 예측만 가능하고 중기 이상은 그 누구도 모른다.
모세 2
2022년 2월 02일 15:05아이들은 환경이 중요해요..영구임대아파트 사는부모 자식들은 임대아파트에 관심많겠죠.
@user-bk1el7qg9s 2
2022년 2월 16일 09:20많이 이해했고 공감합니다
@MyFancyVacation 2
2022년 2월 26일 19:21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집값상승하락에는 역시 공급이 얼마나되냐가 중요한것 동감합니다.
@user-fd2oq3oh9o 2
2022년 3월 03일 15:13많이공부 되었네요 청약저축 통장활용법에 대하여도 해주세요
@TV-fo3hp 2
2022년 2월 21일 13:30벌써 120만 짝짝짝 제가 10만명일 때 구독했는데 화이팅이에요~~
@user-qi1qe8xr1j 2
2022년 2월 16일 10:34두분 감사합니다
가슴두근 거리며 영상봤구요
마지막 10분이 제일 좋았어요^^
@user-tr2lc6bd7t 1
2022년 2월 06일 11:54선생님 집구입이 올해말까지 좋은가요
아니면 2023년이 좋은지요 ?
박주현 1
2022년 2월 18일 02:10아무리 귀한 정보일지라도
믿고싶은자에게만 알찬 내용입니다 내용을 비판하지말고 믿고싶은대로 실행하면 됩니다
정Gura 1
2022년 3월 17일 16:33감사합니다 작가님
@user-cj5up9jr4w 1
2022년 3월 20일 22:18김자카님 고마워요
부동산에 대해서 유익한 방송을 해주셔서~~~
진지하게 상담을 할수 있을까요
@user-vh4jn2vm2e 1
2022년 3월 24일 07:49방송 보고 바로 책 질렀어요
ㅎㅎㅎ
이응이응 1
2022년 2월 02일 15:01일등
Annie Song 1
2022년 2월 02일 15:022등
박명희 1
2022년 2월 11일 02:52영상감사합니다
곰퉁이 1
2022년 3월 16일 14:12정책의 변화로 한쪽은 수혜를 한쪽은 비수혜를 받는데 이번에는 부동산 정책에 한해서는 양쪽모두 불편함을 격어 왔습니다.
역대급 박빙의 투표결과가 말해주듯이 한쪽은 부동산 정책으로 근소하게 득표수가 적었고
한쪽은 공급확대 및 규제해제 기대감에 근소하게 득표수가 앞섰습니다.
@user-jm3bh1ht2n 1
2022년 2월 23일 16:01오늘강의잘들었습니다 코칭 조언받고싶습니다
@user-cj5ul5vj1d 1
2022년 3월 05일 14:01너무모르신다 끝날때가 언제인가요 지금이상태에서는 오를수가없어요
@user-ko3ki7kq3j 1
2022년 2월 14일 20:26감사요
불타는열망 1
2022년 3월 16일 09:09이런방송은 럭키다~
나의 작은 변화가
쌓이고 쌓이면
나에게도 럭키가 올 것 이다!
코인쟁이
2022년 2월 02일 15:10아직도오른다고??????지금고점대비 몇프로요???
김명남
2022년 3월 11일 09:211가구 1주택 엄격히 적용해야 한다고요
H i
2022년 2월 15일 10:47김작가님 축하드립니다. 어느동네 매수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승업
2022년 2월 02일 15:25언젠가난 다시 오르겠지만.
일단은 너무 빨리 많이 올랐으니 당분간은 일단은 떨어지겠네요.
@Umuljung-House
2022년 3월 21일 07:51영상잘보고 갑니다
ᄀᄀ
2022년 2월 06일 11:38투표하면 30만원받는 선거화로 모든국민들이 참여하는 진짜민주주의
국제정보탐정협회 본부장
2022년 2월 02일 15:26지금은 살능력있는 사람이없음 대출이안됨
그까이꺼
2022년 3월 03일 17:21부동산 주택 공급과 수요의 비밀...
1. 공급 : 같은 공급량 이라고 하더라도
수요가 많으면 공급이 적다 하고...
수요가 적으면 공급이 많다 합니다.
즉 공급의 기준은 절대기준이 아니라 수요에 의한 상대적 개념입니다.
2. 수요 : 부동산 주택수요는 절대적 가수요 입니다.
집값이 오늘것 같으면 집이 있든 없든, 남녀노소 너나 나나 다 집을 사려고 합니다. 수요폭증
집값이 내릴것 같으면 집이 있든 없든 너나 나나 다 집을 안사려고 합니다. 수요급감
집없는 무주택 국민이 전국에 44%, 수도권에 약절반 이지만 ... 무주택자라고 수요자는 아닙니다. 주택의 소유관계로 수요세력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수요는 실제 구입의사가 있어야 합니다.
공급이 늘어도 집값이 오르면 수요는 계속 증가 합니다.
왜냐하면 집모으기 수집가가 있기 때문입니다. 500채, 300채 소유자도 있습니다.
집값이 오르면 분양시장의 경쟁율은 분양물량과 상관없이 경쟁율 증가 합니다.
집값이 내리면 분양시장의 경쟁율은 분양물량과 상관없이 경쟁율이 하략합니다.
@TV-mk6uh
2022년 3월 09일 15:122023년까지 어떤 이유로 지역차이는 있겠지만 오른다고 생각하시나요? 공급 부족? 어떤부분이 제일 클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