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돈 더 주고라도 사려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조금 싸게라도 팔려는 사람이 나오면 하락하고 반대면 상승하는거임 지금 거래 계속 줄고 구매력있는 사람들 대부분은 이미 다 샀음 그리고 이제 못 사거나 떨어질거 같아 대기하는 사람들이 남았는데 부동산 유튜버들 대부분 자꾸 상승쪽으로 얘기 많이하는건 본인들은 이미 보유하고있으니 추가 매수자들이 유입안되면 가격 내려갈걸 알아서 그런거 상승론자들 말 듣고 사면 저들 도와주는격 솔까 그렇게 부동산 장이 좋을거면 왜 이렇게 떠들어 걍 조용히 본인들이 더 사서 꿀 빨면되지... 전문가들 부동산 상승하락 논하기전에 먼저 본인은 몇주택이고 어디에 집있는지 밝히고 말씀하셨으면
시장은 아무도 맞출 수도 없고 맞추지도 못합니다..맞췄으면 다들 부자되었겠죠. 장기적으로 30년 길게 보면 서서히 상승하는 것입니다..거래량에 대한 말씀에 공감하구요..아파트 지역과 단지마다 하락, 상승폭이 다르니 스터디해보시길 바래요. 대단지는 변동폭이 더 큽니다. 늘 부자되고 투자에 도움되는 좋은 말씀 감사해요:)
소장님 말씀의 기준 원칙은 내집마련을 투자목적으로 불나방처럼 달려들지말라는 것이고 당분간 올라가더라도 나만의 기준을 갖고 대응하라는 것이네요. 금리 올라갈 것을 가정하고 원리금상환 이자를 버틸 수 있으면 두려워하지말고 할 것은 하고 그걸 버틸 수 없을 정도의 무리한 대출은 안하는게 낫다.. 이런 의미..
부동산 개폭락중인데 먼 분양 청약이여 건축사 자재비 아끼고 부실공사 분양가는 돈벌랴고 존나게 올리고 분양 버블이 끼고 분양 하고 난후 오픈하고 올라가면 투기꾼 너도나도 경쟁 또 버블 그래서 은행에 대출 이빠이 해서 빚 -7억 지는 원리인데 분양가부터 건축사들이 돈벌려고 말도안되는 시세에 팔고 있는데 계산기 뚜드리면 답나옴 자제비는 존나게 아끼눈 건축사 이유 돈벌려 나라는 버블이라는 핑계로 이중3중 세금 졸라게 뜯어가고 결국 국민들이 빚7억 지는 원리
핵심 집 부동상 개폭락하니 사지마라 15억짜리가 못해서 5억까지 떨어져야 이것이 진정한 집값 인구는 줄고 아파트 공급은 계속 짓고 있고 인구가 주는세 집이 남아돌텐데 떨어지는 원리 다들.아시겠죠 개 폭락해라 아파트 값 ㅋㅋㅋㅋ
이런 얘기를 들으면 앞으로 중산층 이하 젊은이들은 근로 소득으로 집을 산다는 것 특히 서울이나 서울 위성도시에 집을 산다는 것은 사실상 영원히 불가능한 이야기군요. 이젠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한번 미끄러지면 재기가 불가능한 나라가 되었어요. 나나 내 자식들은 안미끄러게 조심해야지^^
현재 강남이 비싼 건 대기업 본사들이 그 곳에 많이 모여있어서인데 바이오, 반도체 사업부는 송도, 수원, 충남으로 이전 중이고 2차 전지도 부천이나 마곡으로 이동 중입니다. 행정수도는 충청도에 두겠다는 거고요. 행정지원과 고연봉 산업이 탈서울 중이죠. 게다가 전세자금이 예전에 비해 한계점이 끊임없이 높아졌다가 이제야 9억미만이라는 락이 걸렸습니다. 전세자금대출요? 정부보증시작한지 그리 오래 안됐습니다. 만약 전세자금대출 기준을 증권자금대출에 적용하죠? 그럼 우리나라 주식 5배는 더 뜁니다. 그만큼 엄청 혜택이죠. 이미 2000년 생이 1980년 생 학령인구 절반에 불과합니다. 평균수명이 100세까지 되지만 우리나라 60세 이상 월소득 200도 안됩니다. 그 소득으로 의식주 다 감당해야하고 그 분들 건보료, 연금 지금 20~40대가 연봉에서 감당합니다. 부동산이요? 지금 2020년생들이 2000년생 최소 2.5배 출산하지 않으면 20년 후 대세하락됩니다. 일본처럼요. 물론 광교, 분당, 송도 같은 먹거리 산업 단지 타운 제외하고요. 지금 금리인상, 저출산, 산업경쟁력 하락을 고려해보세요.
분워기는 비슷한데 영끌족의 수요와 버티기가 핵심이라봅니다 유튜브의 효과가 엄청난거죠 투자자들만 알고있던 갭투자를 젊은대중이 다 알게된거죠 그래서 누구나 갭투자를 했죠 그래서 이번에는 그들이 빠져나가기 시작하는순간 떨어지고 그과정이 시작되면 전부 관망세로 바뀔겁니다 수요 공급 문제 부동산가격이 엿날에 낮을때도 있었습니다ㆍ 본질은 투자심리이고 버티기 입니다 버티기가 되면 조정장에서 보합이될거고 버티기예서 탈출이 시작되면 그때부터 문제가 발생할거라 생각합니다
이분 강세론자신데. 장기적으로 우상향이라는 말에 속지 마세요. 지인 중 2006년에 버블세븐인 죽전집 꼭지에 사서 쭉 하락 견디다 작년에 15% 정도 남기고 팔았습니다. 대출도 없고 고소득자라 생활에 여유가 있어서 견딜 수 있었습니다. 2주택자라 양도세 내고 나니 은행 이자도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부동산 복비 까지 하니 은행이자도 될까말까. 그래도 작년에 잘 판것 같다고 합니다. 지금은 아예 거래도 안되고 호가도 내려 가고 있다네요.
전문가라고 하지만 전혀 전문성이 보이질 않네요.. 단순히 과거의 집값 변화의 경험치만 가지고 그저 자기 생각만 이야기 하네요.. 과거와 현재의 바뀐 수 많은 요인은 계산하지 못하고... 안타깝네요.. 공급이 부족하다는 전재 조 건은 수요의 값을 계산 하지도 않고.. 어디가 전문가인지..
집은 아마 20년 이상 ..아니 이제 계속 하락할꺼라 생각합니다. 나도 오래 살고있는 수도권 아파트소유하고 먹자골목에 1층상가점포 소유주지만 대출은 상가는없고 아파트는 1억 3%고정으로 보유중인데 빚..처리해야 살수있습니다. 5~10%떨어지는게 떨어지는겁니까? 우리나라 절대 집값 상승 힘들겁니다. 인구도 없고 아파트는 어마무시하게 분양,입주예정이고.. 판단은 여러분이..
영상 내용 말씀에 동의합니다. 지금 보합하다 하락장. 요즘 부동산 유튜브 영상 댓글들을 보면 상승론에는 열광을 하면서 하락장이 올거라는 영상에는 뭐라고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안타까워요. 다주택자라 우주끝까지 집값 오르길 바라는 욕심쟁이들이 많은건지 원....실수요자 집 한채있는 사람들은 집값이 내려가는게 좋습니다.
@긍정의힘-q7j 39
2022년 2월 23일 17:213월 미국 기준금리가 관건인듯요.
한국만 부동산이 상승하지는 않을듯.
하락전환은 이미 시작된듯하고
올 하반기부터는 하락을 피부로
절실하게 느낄듯 합니다.
steve lee 37
2022년 2월 22일 17:44결국 지금 사면 대출 이자보다 덜 오름. 저는 2-3년 안에 본격 하락 봅니다. 지금 돈 모아서 충분히 하락하고 대출 최대한 적게 받아 사세요. 최소 5년뒤에
@인공위성-z9l 36
2022년 2월 22일 18:20김작가님은
마음이 순수한 사람~
저도 대출이 없이
집사는 사람이라서
바보라는 느낌 들고
재테크 루저인줄 알았는데
작가님도 대출이 없으시다니
동지의식 느껴지네요^^
@user-iz1id1no9h 21
2022년 2월 24일 07:52부동산은 심리기때문에 떨어진다고 봅니다.
@루루루루루스 18
2022년 2월 22일 19:47와 김인만 대표님 정말 제가 딱 고민하고 있던 거에 대한 해답을 주셨네요. 전문가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freeright119 18
2022년 2월 22일 18:29결국 돈 더 주고라도 사려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조금 싸게라도 팔려는 사람이 나오면 하락하고 반대면 상승하는거임 지금 거래 계속 줄고 구매력있는 사람들 대부분은 이미 다 샀음 그리고 이제 못 사거나 떨어질거 같아 대기하는 사람들이 남았는데 부동산 유튜버들 대부분 자꾸 상승쪽으로 얘기 많이하는건 본인들은 이미 보유하고있으니 추가 매수자들이 유입안되면 가격 내려갈걸 알아서 그런거 상승론자들 말 듣고 사면 저들 도와주는격 솔까 그렇게 부동산 장이 좋을거면 왜 이렇게 떠들어 걍 조용히 본인들이 더 사서 꿀 빨면되지... 전문가들 부동산 상승하락 논하기전에 먼저 본인은 몇주택이고 어디에 집있는지 밝히고 말씀하셨으면
steve lee 17
2022년 2월 22일 19:12폭등할때 거래량 몇개? 단지별로 한두개로 억씩 올랐어요. 그때는 뭐 상승이라며요. 하락도 1-2개로 하락하는겁니다. 거래량이 없으니 하락하는거지 거래량 많으면 상승하죠
@kindteacherjane7912 16
2022년 2월 22일 20:26시장은 아무도 맞출 수도 없고 맞추지도 못합니다..맞췄으면 다들 부자되었겠죠. 장기적으로 30년 길게 보면 서서히 상승하는 것입니다..거래량에 대한 말씀에 공감하구요..아파트 지역과 단지마다 하락, 상승폭이 다르니 스터디해보시길 바래요. 대단지는 변동폭이 더 큽니다. 늘 부자되고 투자에 도움되는 좋은 말씀 감사해요:)
@PeaceMaker-e6z 16
2022년 2월 22일 17:25하하하 김작가님 너무 귀여우심. 항상 응원합니다.^^
@nyj9257 14
2022년 2월 25일 16:43하락장이 언제 올지 모르겠지만..이번에 겪는 하락장은 조금 다를거라고 봅니다..올해부터 인구가 진짜로 줄기 시작했어요..아직까지는 인구 주는거 못 느끼지만..2030년부터는 느끼게 될거 같네요...
Alpha Centauri 14
2022년 2월 22일 19:02장기적으로 보면 분양가는 계속 올라가니 오를수밖에 없지요...다만 완만하게 오르는 시기에 집을 장만 해야죠...
후마켓 14
2022년 2월 23일 03:18다른 전문가에 비해 제일 이해가 쉽고 그려지는 뷰가 합리적이네요
생활일기 14
2022년 2월 23일 10:34김인만소장님의 맛깔스런입담으로 전해듣는 부동산전망 감사합니다~~~!!
futurebong 13
2022년 2월 24일 11:07현재는 매물은쌓이고 거래는안되는 상황. 버블의정점여서 하락조정초입인지 고민할시점으로 생각. 부동산업자얘기는 본인의이익에도움되는얘기하는지 잘살펴봐야할듯.
@gorilla3848 13
2022년 2월 22일 19:23떨어지든가 말든가 집살수있으면 일단사야해
@secret2662 12
2022년 2월 24일 02:38자가보유율이 70퍼입니다 ㅋㅋ 집 필요없어요 투자 가치도 없구요 집을 살 사람이 진짜 없는거에요 돈도 없구요~ 너무 올라서 더 중요한건 인구가 줄어드는거죠 집은 소유가 아니라 그냥 낡아가는 콘크리트 일뿐입니다 ㅎㅎ
Regional sales2 10
2022년 2월 23일 08:14며칠전 하락이야기하더니 이젠 보합이라고?참나
@햇살이좋아-k6s 9
2022년 2월 24일 13:39소장님 말씀의 기준 원칙은 내집마련을 투자목적으로 불나방처럼 달려들지말라는 것이고 당분간 올라가더라도 나만의 기준을 갖고 대응하라는 것이네요. 금리 올라갈 것을 가정하고 원리금상환 이자를 버틸 수 있으면 두려워하지말고 할 것은 하고 그걸 버틸 수 없을 정도의 무리한 대출은 안하는게 낫다.. 이런 의미..
@권영순-q2h 9
2022년 2월 22일 22:51넘 잼있게 말씀하시네요!
감사합니다!
공감합니다!
전 서울에서 살다가 인천으로 이사 왔으니
맘 고생 정말 많이 하고 많은 걸 내려 놓고 살고 있습니다
전문가님 상담도 받고 싶은 생각도 드네ㅠ! ㅎ
김 작가님!
제가 애청자 입니다 늘~감사합니다!^^
@블랙록 9
2022년 2월 23일 10:02부동산 개폭락중인데 먼 분양 청약이여
건축사 자재비 아끼고 부실공사 분양가는 돈벌랴고 존나게 올리고 분양 버블이 끼고 분양 하고 난후 오픈하고 올라가면 투기꾼 너도나도 경쟁 또 버블 그래서
은행에 대출 이빠이 해서 빚 -7억 지는 원리인데
분양가부터 건축사들이 돈벌려고 말도안되는 시세에 팔고 있는데 계산기 뚜드리면 답나옴
자제비는 존나게 아끼눈 건축사 이유 돈벌려
나라는 버블이라는 핑계로 이중3중 세금 졸라게 뜯어가고 결국 국민들이 빚7억 지는 원리
핵심 집 부동상 개폭락하니 사지마라 15억짜리가 못해서 5억까지 떨어져야 이것이 진정한 집값 인구는 줄고 아파트 공급은 계속 짓고 있고 인구가 주는세 집이 남아돌텐데
떨어지는 원리 다들.아시겠죠 개 폭락해라
아파트 값 ㅋㅋㅋㅋ
@절개완 9
2022년 2월 23일 09:12부동산 고점 찍고 대세 하락중이라는 뉴스들이 여기저기서 나오는 듯... 본인만의 기준을 세우라는 말씀이 귀에 와 닿네요.
@박선생-v7u 9
2022년 2월 22일 18:55돈에가치는 계속 떨어지니 부동산 주식은 장기투자 종목으로 봐야될것 같습니다
@moongku 8
2022년 2월 23일 22:11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 금리도 오르나요?? 어떤 관계가 있나요?? 근데 왜 항상 대출금리는 기준금리보다 높게 책정되어있나요??
@이성주-r2x 8
2022년 2월 22일 19:26하락인듯 하락아닌 하락같은 이번영상 인가요?
@리니구니-x6g 8
2022년 2월 23일 18:48김작가 tv 는 최고의 채널!!
@michaelkang304 8
2022년 2월 23일 17:58이런 얘기를 들으면 앞으로 중산층 이하 젊은이들은 근로 소득으로 집을 산다는 것 특히 서울이나 서울 위성도시에 집을 산다는 것은 사실상 영원히 불가능한 이야기군요. 이젠 대한민국은 경제적으로 한번 미끄러지면 재기가 불가능한 나라가 되었어요. 나나 내 자식들은 안미끄러게 조심해야지^^
@songwealth83 8
2022년 2월 23일 23:55현재 강남이 비싼 건 대기업 본사들이 그 곳에 많이 모여있어서인데 바이오, 반도체 사업부는 송도, 수원, 충남으로 이전 중이고 2차 전지도 부천이나 마곡으로 이동 중입니다. 행정수도는 충청도에 두겠다는 거고요. 행정지원과 고연봉 산업이 탈서울 중이죠. 게다가 전세자금이 예전에 비해 한계점이 끊임없이 높아졌다가 이제야 9억미만이라는 락이 걸렸습니다. 전세자금대출요? 정부보증시작한지 그리 오래 안됐습니다. 만약 전세자금대출 기준을 증권자금대출에 적용하죠? 그럼 우리나라 주식 5배는 더 뜁니다. 그만큼 엄청 혜택이죠. 이미 2000년 생이 1980년 생 학령인구 절반에 불과합니다. 평균수명이 100세까지 되지만 우리나라 60세 이상 월소득 200도 안됩니다. 그 소득으로 의식주 다 감당해야하고 그 분들 건보료, 연금 지금 20~40대가 연봉에서 감당합니다.
부동산이요? 지금 2020년생들이 2000년생 최소 2.5배 출산하지 않으면 20년 후 대세하락됩니다. 일본처럼요. 물론 광교, 분당, 송도 같은 먹거리 산업 단지 타운 제외하고요. 지금 금리인상, 저출산, 산업경쟁력 하락을 고려해보세요.
@rndudqhd57 8
2022년 2월 22일 18:58미국3%가면 우리나라 최소 4.5%정도 될걸요?
Jongsu Kim 7
2022년 2월 22일 17:41대출 없으시다는것에 놀랐습니다 김작가님 정말 대단하세요!!!!!!!!!!!!!!!!!!!!!!!!
@나그네-g3v 7
2022년 2월 23일 09:36분워기는 비슷한데
영끌족의 수요와 버티기가 핵심이라봅니다
유튜브의 효과가 엄청난거죠
투자자들만 알고있던 갭투자를
젊은대중이 다 알게된거죠
그래서 누구나 갭투자를 했죠
그래서 이번에는 그들이 빠져나가기 시작하는순간 떨어지고 그과정이 시작되면
전부 관망세로 바뀔겁니다
수요 공급 문제
부동산가격이 엿날에 낮을때도
있었습니다ㆍ
본질은 투자심리이고 버티기 입니다
버티기가 되면 조정장에서 보합이될거고 버티기예서 탈출이 시작되면 그때부터 문제가 발생할거라 생각합니다
@lucky_tv 7
2022년 2월 22일 23:15🌟 『김인만 대표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UaW_OGuXEj4&t=810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a0KQqsMQ4Cw&t=1023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bzTCj8hAq4w&t=902s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3DSyoj6diMQ
📚 김작가 신간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 김작가 『자기계발 강좌』 클래스 101 보러 가기
👉 https://class101.page.link/authorkim_class
@빅토리-k6d 7
2022년 2월 22일 19:01계속 오른다더니 이제 떨어진다네ㅋㅋㅋ
@JoonHoChung 7
2022년 2월 24일 18:01부동산은 상승장도 오래가지만 하락장 오면 또 몇년 쭈욱 하락합니다.
@wmsungchul 7
2022년 2월 22일 17:51이분 인터뷰 좋네요
@산강-s5d 7
2022년 2월 24일 14:12이분 강세론자신데. 장기적으로 우상향이라는 말에 속지 마세요. 지인 중 2006년에 버블세븐인 죽전집 꼭지에 사서 쭉 하락 견디다 작년에 15% 정도 남기고 팔았습니다. 대출도 없고 고소득자라 생활에 여유가 있어서 견딜 수 있었습니다. 2주택자라 양도세 내고 나니 은행 이자도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부동산 복비 까지 하니 은행이자도 될까말까. 그래도 작년에 잘 판것 같다고 합니다. 지금은 아예 거래도 안되고 호가도 내려 가고 있다네요.
@gxx_t69 6
2022년 2월 22일 18:27좋은 말씀 감사 합니다🙏
@미추홀82 6
2022년 2월 22일 17:47별 신뢰감이...
운짱coc 6
2022년 2월 22일 17:242025년까지 오른다고 하더니만??
@bagopasibal 6
2022년 2월 23일 01:42설명이 진짜 깔끔해요
@도야지-k7n 6
2022년 2월 25일 11:30김작가님 걱정되서 그러는데 요새 무슨 일 있으신건지..혹 아프신건지.. ㅠ 표정이 전보다 어두워보여요 꼭 건강 잘 챙기세요!! ♡♡♡
@조정일-t7g 6
2022년 2월 24일 06:36김작가님 내집마련 진심 축하합니다
@무명씨-d9j 6
2022년 3월 01일 07:29금리인상과 대출규제 뿐 아니라...
지난 수년 간 거래량 폭증으로
수요를 미리 끌어다 썼고,
세금 내기 싫어 폭증한 증여로 신규 매수 수요가 줄어 들었으니 이해 못할 상황은 아닌 듯.
현금부자가 많다고 하는데
강남 고가주택 매매도 거의 없는 건 지금 너무 고가라서 부자들에게도 별로 매력없는 가격인게지...
오성 권 5
2022년 2월 23일 20:36아는 기자가 100명 정도 되는데 이 사람들도 먹고 살아야 한다고?... ㅎ 진정한 저널리스트가 없다는 걸 입증해주는군요.
jy cha 4
2022년 2월 25일 09:52역시 업계에 있는 사람들은 집값 많이 떨어지지 않기를 바라네. 희망대로 될지...
@미챠아 4
2022년 2월 22일 17:44집값 쫌만 올라가면 호들갑
맞아요 왤케 국민정서가 이러는지.
@안길동-l5h 4
2022년 2월 22일 23:25😀😀😀👍👍👍👍👍👍
아침1도 - 부자와 빈자의 징검다리 3
2022년 2월 22일 17:03보는게 무섭네요 이제 ㅎㅎ
잘보겠습니다^^
@박순금-p7k 3
2022년 2월 22일 20:29대구도 짚어주세요
@catherin07 3
2022년 2월 26일 13:51전세매물이 쌓이고 안 나가요. 이제는 팔고 싶어도 못 팔릴것 같습니다.
@JUNJINFA 3
2022년 2월 22일 23:22초반부 2013,2014년 이라고 말씀하신 거는 2003,2004년이 맞겟네요
@JUNJINFA 3
2022년 2월 22일 23:26금리가 7%가기에는 경제가 활기가 부족해보입니다. 경제활동인구도 모자라고...
2025,2026년경 조정은 오면 좋겟지요.
@BOOKTOOLER 2
2022년 2월 22일 17:28결국은 MV=PY
@정애정-b3u 2
2022년 3월 07일 03:46저희도 이번에 매수 하려다가 결국 포기했습니다. 금리 오르는 것 보고 들어가려구요.
손절신 2
2022년 2월 28일 03:37전문가라고 하지만 전혀 전문성이 보이질 않네요.. 단순히 과거의 집값 변화의 경험치만 가지고 그저 자기 생각만 이야기 하네요.. 과거와 현재의 바뀐 수 많은 요인은 계산하지 못하고... 안타깝네요.. 공급이 부족하다는 전재 조 건은 수요의 값을 계산 하지도 않고.. 어디가 전문가인지..
나그네 2
2022년 2월 22일 18:53집은 아마 20년 이상 ..아니 이제 계속 하락할꺼라 생각합니다. 나도 오래 살고있는 수도권 아파트소유하고 먹자골목에 1층상가점포 소유주지만 대출은 상가는없고 아파트는 1억 3%고정으로 보유중인데 빚..처리해야 살수있습니다. 5~10%떨어지는게 떨어지는겁니까? 우리나라 절대 집값 상승 힘들겁니다. 인구도 없고 아파트는 어마무시하게 분양,입주예정이고.. 판단은 여러분이..
아캠딸 1
2022년 2월 22일 19:00감사합니다 🥰
@허니버터-k6c 1
2022년 2월 22일 21:23가만히있으면되는데하락을빌듯이시장을흔드네요~그냥흘러가는데로 상승이든하락이든지켜보심되는데..
@love_ciel 1
2022년 3월 04일 15:26잘봤습니다
@메밀꽃 1
2022년 2월 24일 13:06감사합니다,
시선175 1
2022년 2월 22일 19:34유투버 라이트 하우스 초대해주세요
백미숙 1
2022년 2월 22일 20:23인건비 자재비 오르는데 ??
황금빛인생 1
2022년 2월 22일 20:25내년에 한시적 양도세 면제 하면 물량폭탄 나올듯
steve lee 1
2022년 2월 22일 19:17등산하는데 눈오는날 밤에 올라가면 조난 당해 죽어요. 날씨 보고 등산해야하는거랑 마찬가집니다. 지금은 밤입니다. 눈까지 와요
Woobro 1
2022년 2월 22일 19:02금리 3프로라니요 ㅎㅎ
근거로 매크로를 설명하시려면 현실적인 얘기로하셔야하지않을까요
태백은 1
2022년 2월 22일 19:03부동산은 부동산 업자한테 믇지 맙시다.
@신경섭-i8z
2022년 3월 18일 14:47부동산투자에있어서뼈가되고살이되는말씀이시네요.영상잘보고갑니다~^^
@또라이몽-k
2022년 3월 21일 15:13영상 내용 말씀에 동의합니다. 지금 보합하다 하락장.
요즘 부동산 유튜브 영상 댓글들을 보면 상승론에는 열광을 하면서 하락장이 올거라는 영상에는 뭐라고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안타까워요. 다주택자라 우주끝까지 집값 오르길 바라는 욕심쟁이들이 많은건지 원....실수요자 집 한채있는 사람들은 집값이 내려가는게 좋습니다.
안미옥
2022년 2월 22일 20:44전문가라며 이런식으로 말을하지? 중간중간 빈말하면서.... 쯧쯧
live squid
2022년 2월 25일 16:2920년 다 되 가는 30층 이상 아파트 감가 상각 들어갑니다. 다들 조심하세요.
우주
2022년 3월 01일 07:57그래도 집 안산다
다주택자 집 끌어안고
잘 살아~~
태백은
2022년 2월 22일 19:02새끼 손가락 걸까요..
위기십결
2022년 2월 22일 18:31글쎄?? 약 한번 팔아봐
NandaKims
2022년 2월 22일 18:50말이 달라지네 ㅋ
@김청일-b9e
2022년 3월 21일 16:10님들아 며칠 전에 미국이 연준금리를 0.25%올렸습니다. 거기다 6차례 더 금리를 인상한다고 공식발표했습니다.
@신짱-g5e
2022년 4월 11일 07:13예금금리 5%면 집값 잡힌다.
@육즙빠진엄마
2022년 2월 25일 09:45아닐걸요 ㅜㅜ
경훈 김
2022년 2월 22일 17:46상승론자
@musicontheblock_kr
2022년 3월 11일 11:33금리인상 ㅠㅠㅠ 하락에 주의해야겠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