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다소를 기준으로 부자와 빈자가 나뉘고, 부유와 가난은 부자와 빈자의 특성을 나타나는 단어로만 생각해야지, 부유에서 오는 우월감과 가난에서 오는 열등감을 가지게 되버리면, 비교에서 오는 감정으로 삶이 얼마나 불행해질까요. 물론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부자에게는 조심이, 빈자에게는 상향심이 생기겠지만요. 그러나 애초에 부유와 가난은 지극히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것이기에 본인이 마음먹기따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행인 것 같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월급만으로 노후자금 충분히 가능하단 주의였는데 이번 코로나를 겪으면서 돈가치가 하락하는것을 보고 다시 투자의 길 시작했습니다... 경제책 역사책 유튜브 시청등 열심히 공부하다보니 누가 진짜 올바른 길잡이 해주시는분인지..어떤 책이 진짜 책인지 알수 있게 됩니다..부족하지만 꾸준히 열심히 공부하고 재테크 할려구요,,, 박사님 진실된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
아비투스.. 십 몇년전에서 교육사회학 공부하면서 봤던 단어인데 다시한번 회상하게 되네요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 물질적/ 정신적으로 여유있는 사람들의 행동양식은 졸부가 된다고 배워지는 게 아니더군요.. 철학이나 표먼적인 의식이 아니라 좀더 깊숙한 무의식에 있는 습관부터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뭐 저는 이미 어렵고 제 자식에게나 훌륭한 아비투스를 가질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것 같네요. ㅎㅎ
저희는 돌 전 애가 둘인데 주변에 저희보다 훨씬 많이 벌고 많이 가진 집의 아이들이 살게 될 삶과 우리 아이들이 살게 될 삶이 벌써부터 차이나는게 보여서 애들한테 참 미안하고 그 집이 부러울 때가 많습니다. 그래도 자산은 쥐어주겠다고 애플 주식 달달이 하나씩 사줘서 이제 다섯 개씩 모았는데 타이밍이 좋지 않았는지 평가손실 중이네요.
보통 주식과 투자, 돈 관련 영상들은 높은 곳이나 정말 많은 돈으로 할 수 있는 컨텍스트를 보여줍니다. 쇼츠영상들에서도 코인과 주식으로 번 돈으로 산 고급 차량과 집을 자랑하듯이요(물론 일부 영상들은 소위 사기겠지만요). 그래서 '실패'와 '가난'이라는 단어조차 어그로 끌어야하는 제목에 넣고 싶지 않을테죠.
저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이 실패와 가난보다 더 많은 부와 행복을 찾으러 여기까지 왔겠지만,
그럼에도 제목부터 확실하게, 가난과 돈을 바라보는 태도에 관련된 내용을 잘 짚어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long8927 25
2022년 2월 28일 19:26빠르게 부자가 될수없다는걸 인정해야합니다
@user-yq9xq4dt7l 24
2022년 2월 28일 19:31사촌이 논을 사면
축하해줘야지
왜 배가 아프다는
말을 만들었을까요
박사님 말씀 공감합니다
돈은 귀하고
부자는 존경의 대상이여야하지요
단 선한 부자
@user-mp9jd6tn9c 16
2022년 2월 28일 20:03돈이 많아지면 질투가 없어진다는 말 너무 공감 합니다 . 별개로 만약에 내가 부자가 될경우 나를 질투하는 사람에겐 어떤 조언이 필요할까요 ?
@very-nice 6
2022년 2월 28일 22:52한국국민은 자신이 가난한 집 출신이란걸 강조하는 대통령을 좋아하죠.주식양도세 폐지도 나는 해당 안되니 반대한단 댓글이 다수죠. 구조가 바뀌어야 모두가 수혜 본다는 개념을 너무 모르죠
@chunukhong 5
2022년 2월 28일 19:23[돈을 생각하다] 도서 자세히보기▶
교보문고 : https://bit.ly/3uViCHC
예스24 : http://bit.ly/3JyVkLJ
알라딘 : http://bit.ly/3v2JxkL
@chunukhong 5
2022년 2월 28일 19:57오타 수정했습니다!
@user-rh8db9yb4m 4
2022년 2월 28일 19:38좋은영상 잘 시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m9jn2yw5g 4
2022년 2월 28일 20:17아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감사해요 박사님
@user-zq8ue8ri2z 4
2022년 3월 02일 00:43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누군가는 밑으로 깔리게 되지요. 돈이 나쁘다는게 아니라 아무리 쫒아가도 잡을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는거죠.
홍박사님은 지식으로도 자본으로도 위너의 입장이지만 많은 루저도 있죠
@user-bp4fy7zw7r 3
2022년 2월 28일 20:13지당하오신말씀입니다
넘 제마음 힘들게 살며
힘들구. 병이생기구
있어보고이고싶고
돈은 자존심이라 생각합니다
가난하면 무시당하고
좋은말씀입니다
자식은 그런길 가지않길 키우고싶은. 부모 떳떳하고 멋진거쥬. 자식한테두
팍팍써야 어깨힘들어갑니다
쓸때 행복합니다.
서러울때. 내가 돈이 많다면?
이런생각 합니다.
👍 멋진말씀 입니다
늦었지만 경제공부합니다
팍팍 쓸수있는 멋지잖아요
자녀들에게 손주에게.
감사합니다 감동입니다 🥰 💕
@sachertorte7191 3
2022년 2월 28일 20:25돈의 다소를 기준으로 부자와 빈자가 나뉘고, 부유와 가난은 부자와 빈자의 특성을 나타나는 단어로만 생각해야지, 부유에서 오는 우월감과 가난에서 오는 열등감을 가지게 되버리면, 비교에서 오는 감정으로 삶이 얼마나 불행해질까요. 물론 긍정적으로 작용하면 부자에게는 조심이, 빈자에게는 상향심이 생기겠지만요. 그러나 애초에 부유와 가난은 지극히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것이기에 본인이 마음먹기따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행인 것 같습니다.
@user-xj3lo8fr8c 2
2022년 3월 01일 01:03sns나 관찰 예능같은 것들을 보며 우리나라는 남과 너무 비교하고 질투하는 게 문제라는 생각이 드네요...
부자라는 것도 상대적인 것이죠. 지금 가난하다고 10년 뒤에도 가난하란 법도 없구요. 자세와 마음 가짐이 중요하다는 좋은 말씀 감사 드립니다~
@user-pi6fj4li7j 2
2022년 3월 05일 15:54대체로 남 잘 되는 꼴을 못 보는 사람들이 부자가 못 되더라구요. 자기 발전에 써야 할 에너지를 잘 사는 타인의 뒤꽁무니 쫓느라 소진해서 그런듯해요. 정신도 금전적으로도 풍요로운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겠어요
@user-hv7hi3hr2t 2
2022년 2월 28일 20:37말씀 듣다보니..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사람이 제 주변에도 있는데, 뭔 말을 못 해요. 뭐든 다 저보다 나아야하고 이겨야 하고 피곤 하죠..
@user-oq1jb9gh4d 2
2022년 2월 28일 22:02감사합니다
@Kohyss 2
2022년 2월 28일 22:03책잘알 홍박사님 오늘도 좋은 책 추천 감사합니다.
@sapphire4409 1
2022년 3월 04일 16:29내로남불이죠... 젊을때 노동자 인권운동에 뛰어드셨던 분이 이제는 사장이 되더니 노동법 위반으로 고발되거나 부하한테 갑질을 하는...것과 비슷한
@imhungry. 1
2022년 3월 01일 00:33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은 어느나라에나 있는 속담입니다
@user-ku8hh6kk4e 1
2022년 3월 01일 14:58이번내용 참 좋네요..
부모님의 자녀로서, 또 한 아이의 아빠로서 많은 생각이 들게하는 영상입니다.
저도 지식뿐 아니라 아우라를 가질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Like-birds-6606 1
2022년 3월 01일 09:14언제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xe6gt6kg7f 1
2022년 3월 01일 14:32듣고 참 좋아 딸아이와 함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랑제콜 1
2022년 3월 01일 01:37우리나라 사람들 참 요행 좋아하죠. 하지만 인생에는 지름길이 없는걸 명심해야되요.
@user-yc9rc5kg6o 1
2022년 3월 04일 07:48좋은강의 감사합니다,,,월급만으로 노후자금 충분히 가능하단 주의였는데 이번 코로나를 겪으면서 돈가치가 하락하는것을 보고 다시 투자의 길 시작했습니다... 경제책 역사책 유튜브 시청등 열심히 공부하다보니 누가 진짜 올바른 길잡이 해주시는분인지..어떤 책이 진짜 책인지 알수 있게 됩니다..부족하지만 꾸준히 열심히 공부하고 재테크 할려구요,,, 박사님 진실된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
@user-dn7qd4mg5k 1
2022년 3월 02일 10:23홍박사님은 언제나 땅에 발을 붙이고 말씀하셔서 정신무장에 도움이돼요.
@jinoodaddy8363 1
2022년 3월 07일 20:19말씀하시는 3가지 사항을 공감하고 저같은 경우는 한가지가 더 있더라구요.
재정적 안정이 될수록 좋은 투자를 장기적으로 하게 되고 그 결과는 오히려 더 좋았던거 같습니다.
@think.about.nothing 1
2022년 3월 04일 15:32아비투스.. 십 몇년전에서 교육사회학 공부하면서 봤던 단어인데 다시한번 회상하게 되네요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론... 물질적/ 정신적으로 여유있는 사람들의 행동양식은 졸부가 된다고 배워지는 게 아니더군요.. 철학이나 표먼적인 의식이 아니라 좀더 깊숙한 무의식에 있는 습관부터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뭐 저는 이미 어렵고 제 자식에게나 훌륭한 아비투스를 가질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것 같네요. ㅎㅎ
@kt2374 1
2022년 3월 02일 10:28저희는 돌 전 애가 둘인데 주변에 저희보다 훨씬 많이 벌고 많이 가진 집의 아이들이 살게 될 삶과 우리 아이들이 살게 될 삶이 벌써부터 차이나는게 보여서 애들한테 참 미안하고 그 집이 부러울 때가 많습니다. 그래도 자산은 쥐어주겠다고 애플 주식 달달이 하나씩 사줘서 이제 다섯 개씩 모았는데 타이밍이 좋지 않았는지 평가손실 중이네요.
@peterchoi4660 1
2022년 3월 09일 13:31보통 주식과 투자, 돈 관련 영상들은 높은 곳이나 정말 많은 돈으로 할 수 있는 컨텍스트를 보여줍니다. 쇼츠영상들에서도 코인과 주식으로 번 돈으로 산 고급 차량과 집을 자랑하듯이요(물론 일부 영상들은 소위 사기겠지만요). 그래서 '실패'와 '가난'이라는 단어조차 어그로 끌어야하는 제목에 넣고 싶지 않을테죠.
저도 그렇고 많은 사람들이 실패와 가난보다
더 많은 부와 행복을 찾으러 여기까지 왔겠지만,
그럼에도 제목부터 확실하게, 가난과 돈을 바라보는 태도에 관련된 내용을 잘 짚어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user-hk9mg5ru4g
2022년 3월 05일 21:36매트 리들리의 '본성과 양육'이라는 책을 보니 통계적으로 유전자도 상당히 중요하다더군요. 환경이 일정 이하 수준이면 유전보다 환경의 영향이 더 크게 끼치고, 환경이 일정수준 이상이면 유전자의 영향이 더 크다네요.
@user-hk9mg5ru4g
2022년 3월 05일 21:35자신이 재정정 안정을 누릴 수 없다는 환경이나 상황에 놓여 있다면 아이를 아예 안가지는게 합리적인 듯.
@bck3018
2022년 3월 02일 23:48이런 영상도 아주 좋네요. 감사합니다!!
@user-ef5ry7ze2u
2022년 3월 09일 09:00가난이 기준이 뭔가요?
@user-mk8xt5hc7y
2022년 3월 01일 13:59부자는 천천히 되어가지라~
@user-tf9mc2js9o
2022년 3월 27일 09:33👍👍👍💕💕💕
@gunjopark7978
2022년 3월 10일 18:13주식을 보고 구독하게 됐는데 다른걸 더 들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fcl1362
2022년 3월 02일 21:32박사님 돈애 대한 좋은 가치관 공유주셔서 감사합니다
@ejjejejenrt4500
2022년 4월 20일 13:17정말 이 영상은 공교육에 시청각자료로 넣어야 할 필수적인 내용입니다.....
@Matou-Sakura
2022년 3월 03일 13:38현실을 인정해야 현실에서 해답을 찾을수 있죠. 현실을 부정하고 외면하면 진짜 답이 안나올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user-je4in2mu1z
2022년 3월 08일 22:51매순간 박사님에게 많은 배움 얻고갑니다^♡^
언제나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