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처럼 불확실성이 클 때는 발빼고 관망하는게 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거주면 무조건 사야한다고 하시는데, 그 논리로 불과 몇달 전 최고점에 매수하신 분들은 최근들어 몇억씩 빠진 금액에 거래된 소식들 듣고 하루에도 수십번 후회하고 좌절하고 죽고싶어합니다. 수억이 옆집 개 이름도 아니고, 평범한 직장인이 허리띠 졸라가며 월150~200을 차곡차곡 모아도 수년에서 수십년 걸리는 금액입니다.
요즘 문득 드는생각인데 부동산이 가격이 오르는 이유가 아래세대에서 받쳐주기 때문이라고보임 지금은 오를만한게 지금현재 30대는 베이비 부머시대의 자녀들이기도 하니까 인구가 상당히 많은편이고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케이스가 점점 늘어나니까 어느정도 타당하다 생각됨. 지금 30대가 내집마련하고 은퇴할만한 시간이 대략 30년정도?... 80-90년대생 출생인원이 보통 60만에서 80만쯤.... 2021년기준 현재 출생아수가 23만?... 아무리 수도권으로 다 결집한다고해도 베이비부머시대+베이비부머 자식세대가 받쳐놓은 부동산시장을 받쳐줄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많이듬
가격=가치+심리 다수의 구매 심리는 플러스로 작용해서 가격이 급등 반대로 심리만 꺽이면 가격은 가치에 수렴 부동산업자가 항상부축이는 말 1. 오늘이 제일싸다 2. 다른 대기자들 많다 걱정해주는듯 부축이는 말 심리가 꺽이면 집은 팔리지 않는다는것을 선수인 이분들 누구보다 잘안다 그가 하는 말을 판단하려면 그의 얘기를 듣기말고 실제로 그가 팔고자하는 부동산이 있는지 없는지를 보면 알수있다
고가 전세 살던 사람들이 영끌해서 작년까지 매매를 많이 해서 전세 수요가 준거 아닐까요? 고가 전세, 매매값 감당되는 사람들은 이미 작년에 영끌 했으니 남은 사람은 비교적 적은 전세, 월세로 갈 수 밖에 없고요. 미국 금리도 올린다하니 우리나라도 금리 올릴 수 밖에 없고 그로인해 집값 하락전망 해서 매매는 더 안되고 고가 전세도 감당 안되니 외각으로 빠지고 월세로 옮기고 있는 상황 같아요.
30대 초반, 대기업 종사, 쓸거 다 쓰면서 한달 200씩 저축. 서울 변두리에 싼 아파트가 7억정도인데 주담대 60퍼를 받고 나머지 40퍼 2억 8천만원의 현금은 들고 있어야 살 수 있는데 회사에서 해주는 대출, 신용대출, 마통, 저축한 돈 다 해도 부모 도움없이 2억 8천은 상위 1퍼를 제외한 대부분의 30대는 절대 못만들겁니다. 설령 대출이 완화되어 6억원 정도 대출을 하면 이자율 4퍼면 한달 이자만 200만원입니다. 앞으로 금리는 계속 오를텐데 지금도 부담되는데 앞으로 갈수록 더 부담되기에 주변에서는 작년에 영끌하려는 사람마저 포기했고, 또래 회사 직원들은 이미 집을 산 사람를 제외하곤 작년까진 집 못사서 배아파 하거나 초조해 하다가 사야한다 사야한다 그러던 사람들 조차도 집을 살 능력이 안되고 안산다고 합니다. 대출이 막힌게 문제가 아니라 대출이 되도 또래 기준 상위 10퍼 안에 드는 소득을 가졌음에도 변두리 아파트도 살 능력이 안된다는 현실에 암담합니다. 저도 이젠 딱히 집 욕심도 없고 전세나 월세 살면서 살 수 있는 범위에 올때까지 기다리려고 합니다. 이젠 진짜 실수요자가 없습니다.
근데 30억짜리 집이 10~20년 뒤에 50억이 된다면... 기간대비 수익률은 크다고 볼 수 없겠지만 주식이나 코인처럼 변동성이 심한것도 아니고... 일본도 고령화와 인구감소가 오면서 많은 지역들이 20년간 떨어졌지만 주요 몇곳은 오늘날까지 계속 올랐음.. 우리도 그렇게 될거같은디 ㅋㅋ 한강라인은 나라 멸망할때까지 무한으로 오르겠죠 뭐. 서민들은 상상하기 어려운 그들만의 리그 ㅜ.ㅜ
집값이 올라가면 양도세 취득세 보유세 모두 기준에 맞춰서 기준점도 올라가야 하는데 정책이 못 따라가니 그것도 답답합니다. 평생 돈 모아서 내 집 하나 가지겠다는데 정책이 도와주질 않아요. 국민들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세금을 최대한 끌어서 모아보자 국민들 주거안정은 모르겠다. 집값 오르는건 국민들 탓이다. 하고 있으니 실제로 피해 보는건 내 집마련 하려는 사람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보는것 같아요. 집을 가진 사람들도 금리 인상과 보유세로 부담감이 높아졌구요. 은퇴 시기가 되면 월세를 내는게 부담스러울테고 은퇴후에는 내집하나는 있어야 하는데 그럴려면 지속적으로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Js B 257
2022년 3월 03일 15:31지금처럼 불확실성이 클 때는 발빼고 관망하는게 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거주면 무조건 사야한다고 하시는데, 그 논리로 불과 몇달 전 최고점에 매수하신 분들은 최근들어 몇억씩 빠진 금액에 거래된 소식들 듣고 하루에도 수십번 후회하고 좌절하고 죽고싶어합니다.
수억이 옆집 개 이름도 아니고, 평범한 직장인이 허리띠 졸라가며 월150~200을 차곡차곡 모아도 수년에서 수십년 걸리는 금액입니다.
@user-of7bz7ul8k 225
2022년 3월 03일 13:50서울에 한채로 영끌 고민했던 사람입니다. 다만 지금은 서울에 살아야 한단생각은 없습니다. 이유는 1. 현재금액이 너무 높아서 영끌해서 빚만 4,5억씩져가면 이자내고나면 여유자금이 없다. 그리고 하락가능성도있다.
2. 마곡은 구축 25평 13억인데 그옆검단신도시는 4억후반으로 32평 신축당첨이 가능해서 청약을 노린다.
(삶의 질이 큰차이 안난다. 직장집 직장집의 반복..사람사는거 다거기서거기아닙니까..)
3. 3기신도시 청약도 올해와 내년에 더 많다.
결론적으로 불장에서 불안했지만,,
이젠 내영역이 아니라 생각하니 맘이 편합니다.
저는그러네요..^_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냥 저같이 벼락거지로 스트레스받다 이젠 분수껏 살자 생각하니 맘편한 사람도 있다고 신사임당님이 참고하시라는 뜻에서 올린거니
좋게봐주세요(:
(첨엔 상승장에 못올라탄게 화났는데
이젠 받아들이니 맘편한 1인)
@YCSong-os5tl 165
2022년 3월 03일 15:53지나고 나서 보니까, 악성 미분양 생기고 취득세 깍아줄 때 사는게 맞는 듯.
@user-uc2hj3jn5h 100
2022년 3월 03일 14:14맞는말씀이세요 항상 관심을 가져야하구여 안사는게 아니라 못사요 요즘은 자녀가 생기면 주거불안이 얼마나 공포스럽고 스트레스 받는지 알겁니다
@eaa796 69
2022년 3월 03일 22:16요즘 문득 드는생각인데
부동산이 가격이 오르는 이유가 아래세대에서 받쳐주기 때문이라고보임
지금은 오를만한게 지금현재 30대는 베이비 부머시대의 자녀들이기도 하니까 인구가 상당히 많은편이고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케이스가 점점 늘어나니까 어느정도 타당하다 생각됨.
지금 30대가 내집마련하고 은퇴할만한 시간이 대략 30년정도?...
80-90년대생 출생인원이 보통 60만에서 80만쯤.... 2021년기준 현재 출생아수가 23만?...
아무리 수도권으로 다 결집한다고해도 베이비부머시대+베이비부머 자식세대가 받쳐놓은 부동산시장을 받쳐줄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많이듬
@user-to1xf3wc1r 69
2022년 3월 03일 13:21실거주 목적이라도 대출끼고 지금 사는건 아니라고봅니다
@jeanna1996 67
2022년 3월 03일 19:37안사는게 아니라 5년만에 이리되서 살 방법이 없네요..
@dotjarikkalja 66
2022년 3월 03일 13:4312:10 15:30 실거주라면
12:48 투자자라면
@user-bc4lx5mk7e 56
2022년 3월 03일 13:10고생많으셨어요.진짜 살 빠지셨네요.뒷배경 불끄니 훨씬 낫네요~
만두감자 44
2022년 3월 03일 16:00부동산 사이클이 돌려면 다음 2030세대가 있어야되는데 없자나 저출산으로 서울아니면 망이라고봅니다
@l_jin 42
2022년 3월 03일 16:09수도권이 집중화때문에 이 거품 참 오래도 가네요. 부동산도 자산인데 인구도 줄고 수요가 줄면 장기적으론 당연히 거품 꺼집니다. 방향성은 정해져 있죠.. 언제까지 버티냐의 문제인듯.
선비 39
2022년 3월 03일 22:18안양에 신축 13평이 지금 5억가까이 하는데 가격미친거죠.. 이럴때 사라는건 아닌거 같은데..
@Jen-eh5ir 38
2022년 3월 04일 01:36제딸 13살인데도 나혼자산다 보면서 돈벌어 좋고 큰 집에 사는게 로망이에요.. 현실과 로망은 다르지만 결국 사람은 자신의 공간인 집을 사고 싶다는거..
@KAO_house 36
2022년 3월 04일 00:05아솔직히 진짜 매수해야할지 하지말아야할지모르겠어요 진짜 고민되요 30대도알아요 돈이없어서 고민하는거
돈이있다면 고민하지않았을거고 참 비참한 세상이네여
@user-zx2xp6cm5c 36
2022년 3월 07일 10:06저는 이번에 집팔고 시골로 이사가요 각 지자체에서 (작은학교살리기) 초등학생자녀가 있으면 새집 임대주고 텃밭도주고 방과후교육 무상..마당에서 친구들과 뛰어놀수있고 .공기좋고 차타고 15분가면 대도시있고...주차걱정 없고 코로나에 어느정도 안심되고..단점은 직장이 쫌 멀어진것..아파트에 자기인생 너무 걸지 마세요 한번뿐인 인생인데
@kimlyon87 36
2022년 3월 03일 13:33어찌됐든 결혼하는 분들은 결국 '한번'은 매수를 해야하는데 그걸 '언제' 할 것이냐? 저점에 살 수 있을까, 본인의 선택, 부룡님이 말씀 하시는 배경엔 이런 부분이 있다고 봅니다.
뱅허 33
2022년 3월 04일 21:24가격=가치+심리
다수의 구매 심리는 플러스로 작용해서 가격이 급등 반대로 심리만 꺽이면 가격은 가치에 수렴
부동산업자가 항상부축이는 말
1. 오늘이 제일싸다
2. 다른 대기자들 많다
걱정해주는듯 부축이는 말
심리가 꺽이면 집은 팔리지 않는다는것을
선수인 이분들 누구보다 잘안다
그가 하는 말을 판단하려면 그의 얘기를 듣기말고 실제로 그가 팔고자하는 부동산이 있는지 없는지를 보면 알수있다
@a01046596920 32
2022년 3월 04일 07:22노마드한 자유로운 삶 계획하고 실행중입니다 주변 환경이 쉽지 않지만 하루하루 늘 두근거리고 행복하네요
기쁨 27
2022년 3월 03일 23:32고가 전세 살던 사람들이 영끌해서 작년까지 매매를 많이 해서 전세 수요가 준거 아닐까요? 고가 전세, 매매값 감당되는 사람들은 이미 작년에 영끌 했으니 남은 사람은 비교적 적은 전세, 월세로 갈 수 밖에 없고요. 미국 금리도 올린다하니 우리나라도 금리 올릴 수 밖에 없고 그로인해 집값 하락전망 해서 매매는 더 안되고 고가 전세도 감당 안되니 외각으로 빠지고 월세로 옮기고 있는 상황 같아요.
@polarizedwavehorizontally7984 26
2022년 3월 03일 14:54안 사는게 아니라 못 사는거지 ㅋㅋㅋㅋㅋ 걍 포기이지 뭐
@g_honeycastle 22
2022년 3월 03일 19:44오늘은 투자자로서 신사임당님의 현장감 담긴 생생한 의견이 훨씬 와 닿네요 👍
@user-vr9zk7qq7k 22
2022년 3월 03일 13:337:00 썸네일내용시작
@user-us5es9vh3q 20
2022년 3월 03일 15:33배경이 밝은색이 아닌 어두운 색으로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리에 19
2022년 3월 03일 17:36집살돈..주식에 물려버렸습니다..ㅠㅠ
135lover 17
2022년 3월 04일 23:58투자에 관심없다는게 아닙니다 지금이 좋은 타이밍이 아니란것일 뿐입니다
@dd-yang 16
2022년 3월 04일 16:36그죠...사고싶어도 못사는 현실 ㅠㅠㅠ ...
제리 15
2022년 3월 03일 14:11지방은 계속 개발안되고 수도권만 개발되어서 지방은 일본처럼 나중에 빈집현상 나올듯하고 ~ 한국은 이미 부동산때문에 망했음
움튼다 15
2022년 3월 03일 16:06임대차3법으로 전세가가 급격히 올랐는데도,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이 50%가
안되서 구매하기 망설여지네요
dudtjr82 14
2022년 3월 03일 15:51아파트를 안지으면 원자재를 안쓸테고 악성재고가 되면 원자재값이 내려갈꺼 같은데 아닐까요??
@kindteacherjane7912 13
2022년 3월 04일 06:34경험을 통해 굳은 살이 생겨봐야 한다는 말씀에 공감해요. 늘 부자되고 도움되는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user-lq2jg6si1s 13
2022년 3월 03일 14:38부룡님 말씀처럼 당장이라도 사고싶은데
대출과 매물시세땜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꼭 살 생각은 변함없어요
중요한건1분 11
2022년 3월 03일 18:21실거주위한 딱한채는 살때가 아니라고 봅니다
@9nate584 11
2022년 3월 06일 11:5930초인데 주식에 있는돈 다팔고 부동산에 올인할 생각 1도 없음 너무 위험함
내주변도 비슷함 결국 30대가 60살됬을 때 집값 보장못한다는 믿음<< 이게 제일큼(인구구조, 출산율 0.7명시대에 아파트가 효용성이 있나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60살까지 영끌해서 샀는데 집값 개박살날 수 있음(좋은 기업 주식이나 코인이 더안전해보임, 특히 환금성측면)
부동산 투자로 사기엔 너무 고점임 , 장기적으로 우상향이라고 생각안함 닷컴버블수준으로 10년내 최대 고점일수도 있음
투자는 주식이나 다른곳에서 하면되고 우리나라 월세나 전세도 싸서 개꿀임, 투자자체로만 보면 미국에 돈박으면 부동산 꼴아박을때 반대로 올라서 개꿀임
30대는 부동산투자보다 주식과 코인투자에 익숙한 세대임
나중에 실거주는 서울말고 지방에 공기좋고 집값 싼곳에 사면되지
굳이 고생하가면서 이자내는 것보다 그돈으로 빨리 은퇴하는게 나음 ㅋ
집사면 평생일해야함
@kljeong9946 11
2022년 3월 03일 22:41ㅋㅋ 장기적으로 직년말보다 금리가 더 내려갈 수 있다고 생각되면 집을 사는 것이 좋음
@swlee482 10
2022년 3월 05일 13:43맞아요. 저도 집 안사고 서울 제일 중심인
서울역에서 텐트치고 살아요. 십년동안
샤워 한번 못했지만
서울 제일 중심지에 산다는 자존심만은 최고.
@another1 10
2022년 3월 05일 16:35항상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사고 싶어도 못사는 현실.
수요층이 집 구매를 포기하면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겠네요.
@y.1655 9
2022년 3월 03일 16:18정말 고생하셨어요~^^ 진짜 살이 빠지신거 같아요~ ㅠ 그래도 건강한 모습 너무 좋습니다~^^
@user-wt2vz8so6o 8
2022년 3월 05일 13:54그때랑 집값이 다르니... 넘 비싸서 조금만 올라도..이자가 너무 많이 나가요
@lapita4075 8
2022년 3월 03일 13:16부룡님 책 열심히 읽고 있습니다. 책읽고 방송에도 말씀 들으니 시너지 효과로 너무 좋습니당~!
@jse5217 8
2022년 3월 10일 18:5530대 초반, 대기업 종사, 쓸거 다 쓰면서 한달 200씩 저축.
서울 변두리에 싼 아파트가 7억정도인데 주담대 60퍼를 받고 나머지 40퍼 2억 8천만원의 현금은 들고 있어야 살 수 있는데 회사에서 해주는 대출, 신용대출, 마통, 저축한 돈 다 해도 부모 도움없이 2억 8천은 상위 1퍼를 제외한 대부분의 30대는 절대 못만들겁니다.
설령 대출이 완화되어 6억원 정도 대출을 하면 이자율 4퍼면 한달 이자만 200만원입니다.
앞으로 금리는 계속 오를텐데 지금도 부담되는데 앞으로 갈수록 더 부담되기에 주변에서는 작년에 영끌하려는 사람마저 포기했고, 또래 회사 직원들은 이미 집을 산 사람를 제외하곤 작년까진 집 못사서 배아파 하거나 초조해 하다가 사야한다 사야한다 그러던 사람들 조차도 집을 살 능력이 안되고 안산다고 합니다.
대출이 막힌게 문제가 아니라 대출이 되도 또래 기준 상위 10퍼 안에 드는 소득을 가졌음에도 변두리 아파트도 살 능력이 안된다는 현실에 암담합니다.
저도 이젠 딱히 집 욕심도 없고 전세나 월세 살면서 살 수 있는 범위에 올때까지 기다리려고 합니다. 이젠 진짜 실수요자가 없습니다.
@user-wj9zz9so1b 7
2022년 3월 03일 14:48목소리가 아직 회복안된거같아요ᆢ건강이최고입니다 따뜻한물 계속마셔야 좋아집니다
@user-lr5qo8cp4y 6
2022년 3월 06일 12:12집은 안정감이 들긴 하지만.. 그 안정감때문에 다른 기회를 많이 잃기도 한다. 어딘가에 매인다는 건 무료해지기도 쉽고.. 가고 싶을때 쉽게 갈수가 없지
코코넛 캠핑 6
2022년 3월 04일 18:11떨어질것 같으면 떨어졌을때 사는게 당연한거 아닌가욤? 1년 월세 더살고 1억 떨어지면 10억짜리 9억에 사는건뎅.. 1억 월세로 보면 월 800만원인데 당연 80내고 월세 1년 더 살고 월세 10배정도 금액 아끼고 사는게..
@avofofo285 5
2022년 3월 03일 22:32소리가 많이 울리네요. 사임당님 진짜 부지런 하세요. 아프시더니 언제 또 이사하셨어요~~
강미애 5
2022년 3월 03일 15:16상한가! 마음의 소리.솔직한게 매력입니다.ㅋㅋ
@choiae2401 5
2022년 3월 03일 17:49녹방보고 있는데 뒷부분 끊긴것 같은데 뒷부분 올라올까요? 부룡님 항상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haduru480 5
2022년 3월 04일 11:50이선희님의 아 옛날이여~ 생각듭니다..ㅠㅠ
ᄋᄋ 3
2022년 3월 08일 18:55근데 30억짜리 집이 10~20년 뒤에 50억이 된다면... 기간대비 수익률은 크다고 볼 수 없겠지만 주식이나 코인처럼 변동성이 심한것도 아니고... 일본도 고령화와 인구감소가 오면서 많은 지역들이 20년간 떨어졌지만 주요 몇곳은 오늘날까지 계속 올랐음.. 우리도 그렇게 될거같은디 ㅋㅋ 한강라인은 나라 멸망할때까지 무한으로 오르겠죠 뭐. 서민들은 상상하기 어려운 그들만의 리그 ㅜ.ㅜ
@user-ix8so1yd2b 3
2022년 3월 03일 12:57그러게요.. 아이파크 단어 때문에 버퍼링?
@user-tf1ie9ci9v 3
2022년 3월 03일 19:55오늘도 좋은 컨텐츠 압도적 감사
@sooheepark3460 3
2022년 3월 03일 18:19어머! 사임당님 머리 너무 이뻐요!
@user-fs6hk6vd4y 3
2022년 3월 03일 14:20항상 산책하면서 블루투스로 듣는데 소리가 울리니 듣기가 힘드네요ㅜㅜ
이사하셔서 그렇군요~
가을바람 3
2022년 3월 07일 12:05취득세 12%는 실거주아니고 투자자잖아요. 신사임당님 실거주라고하지 마세요. 실거주는 1주택자를 의미합니다
작은쿠마 3
2022년 3월 04일 21:04. 앞으로는 집은 투자.투기의 대상이 아니라 공유.임대 개념으로 다가갈꺼 같아요. 재택근무. 이동식주택. 메타버스 등으로 집에대한 개념이 많이 바뀔듯.. 그리고 젊은 분들은 솔직히 포기가 맞다.. 현정부 뿐아니라 전세계적인 흐름이라서..
@user-mv8wh1ew8q 2
2022년 3월 03일 15:13불끄니까 분위기도좋네요^^^
@user-mw9mg6ty6n 2
2022년 3월 04일 12:03공감합니다.
@user-gd7rg8fb1c 2
2022년 3월 04일 05:17ㅋㅋ 이제 완전히 연예인처럼 잘하시네요
보름달 2
2022년 3월 08일 18:32집안사고 주식에 넣었다가 은퇴시기에 집사도 좋을것 같아요.
20년 주식에 넣어두면 집도 사고 은퇴후 삶의 질도 좋아질듯 합니다. 좋은 주식을 잘 찾아야 겠지만요.
양ᆞ 1
2022년 3월 16일 19:10요즘 대선끝나고 매물이 늘긴했어요. 가격은 그대로고. 조금내린곳도 쬐금있고.. 근데 이가격엔 사기 싫고..매물이 늘어난거 보면 조금내릴거 같기도 하네요..
세덤 1
2022년 3월 03일 18:26모두 별 탈 없이 건강하게 복귀하기를 기원합니다🙏
만능캡틴아메리카노 1
2022년 3월 07일 15:51아파트는 안살고 전세나 월세살고 혼자사는게 최곱니다 너무 인생 목숨걸지마세요 그돈으로 여행다니고 오피스텔이나 원룸하나 사서 사세요
엄청행복하고 5억정도로 안정적 투자하고 넘 부자처럼 살수있네요
@honeyhyuny 1
2022년 3월 04일 11:14신사임당님~ 청자켓 입으시니 하이틴스타 느낌이예요!!
전념 1
2022년 4월 10일 15:35일본도 인구축소 및 경기악화로 집값 떨어졌는데,
지금은 대도심은 집값 오르고 있음.
인구축소로 집사는 인구 줄어도 도심 집값은 우상향중. 내가 살고 싶지 않은 집은 가격떨어지고 내가 살고 싶은 집은 올라간다고 봐야함.
@user-cm6gx6sh1t 1
2022년 3월 03일 14:48환영합니다🤗🤗🤗
많이 헬쓱해지셨네🤣🤣
근데 이런말은 좀 그런데 훨씬 핸썸해보이심 ㅎㅎ
@beamlight8212
2022년 3월 05일 08:30코로나 조심해야 겠구만... 걸리더니 아주 맛이 갔어!!!
@user-ms4gk9fc9c
2022년 3월 05일 00:45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장희정
2022년 3월 10일 05:27신사임당님은 잘난척 1도 없고 늘 겸손한것 같아요.그리고 늘 변함없어서 멋잇습니다ㅡ
@user-rq4xb4ji7p
2022년 3월 05일 05:04감사합니다
슈타인할트
2022년 3월 20일 12:53신세대와 기성세대의 차이점: 신세대는 사교육비를 줄이고 저축을 한다. 사교육은 인방을 주로 활용. 신세대는 집을 덜 산다.
@user-yy5iv4mp3u
2022년 3월 03일 15:44갑자기 끊기네요ㅋㅋ 좋은 내용감사드립니다.
@user-ce6oo7us7v
2022년 3월 04일 00:50청자켓 멋져여
최명희
2022년 3월 08일 16:50감사합니다
@likeyk1137
2022년 3월 06일 15:02공부해서 본인주관이 필요한시기.공부를 해야 안휘둘릴거같아요.
보름달
2022년 3월 08일 18:43집값이 올라가면 양도세 취득세 보유세 모두 기준에 맞춰서 기준점도 올라가야 하는데 정책이 못 따라가니 그것도 답답합니다.
평생 돈 모아서 내 집 하나 가지겠다는데 정책이 도와주질 않아요.
국민들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세금을 최대한 끌어서 모아보자 국민들 주거안정은 모르겠다. 집값 오르는건 국민들 탓이다. 하고 있으니 실제로 피해 보는건 내 집마련 하려는 사람들이 고스란히 피해를 보는것 같아요. 집을 가진 사람들도 금리 인상과 보유세로 부담감이 높아졌구요.
은퇴 시기가 되면 월세를 내는게 부담스러울테고 은퇴후에는 내집하나는 있어야 하는데 그럴려면 지속적으로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user-ge3ml6os8f
2022년 3월 17일 11:25지방 균형 발전을 막는(?)
굳이 열심히 안하는 이유가 될 수도 있겠네요.
서울에 수요가 떨어지면 집값이 하락할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