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년부터 부산에 놀러갈때마다 2030 엑스포 유치 기원이 있었는데,, 이런 이유라고는 생각 못했네요..! 엑스포의 의미와 취지를 잘 알게 되었습니다! 강연 마지막에 나온 말처럼 부산이 또 다른 메가시티가 되어서 부산이 성장하고 나아가 우리나라가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꼭 부산 엑스포 유치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구체적으로 궁금해지는 흥미로운 강연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또한 들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메가시티가 국가 경쟁력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도 느낄 수 있었네요. 수도, 경기권에 인구 절반 가까이 몰려있고, 많은 사람들이 수도권 진입을 목표로하는 현 시점에서 부울경 지역으로 인구를 유도하여 새로운 메가시티가 형성될 수 있을까요 ? 긍정적으로 생각하신다면 대략적으로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박사님 의견이 궁급합니다🙋🏻
평소에 박사님 유튜브 채널 즐겨 보고 있습니다. 어려울수도 있는 소재를 재미있고 알기쉽게 풀어주는데 얼마나 재미있던지.. 이번엔 엑스포네요! 저의 최애 관심사라 박사님이 주제로 다뤄주셔서 완전 감동!! 8년뒤 엑스포가 열리는걸 상상하며 최대한의 가치를 이뤄내길 바랍니다~~
세계 각나라는 수도외에 지역균형 발전과 경제 문화등의 다양한 변화와 성장을위해 차츰 메가시티를 부상시키는가 봅니다. 2030Expo가 부산에서 유치되어 성공적으로 끝난다면 한국의 위상이 이미 포화상태인 서울외에도 세계적으로 관심을 많이 갖고 찾아오는 대한민국이 될것입니다.
제가 너무 좋아해서 육아하면서 아기랑 매일 듣는 김지윤 박사님 목소리네요! 김지윤 박사님 늘 재미있고 깊은 주제를 쉽게 풀어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지식play 뿐만아니라 박사님 나오는 모든걸 정말 잘 보고있어요🤗🤗 거의 학교다닐때보다 애기키우면서 애기랑 더 지식이 느는 느낌 👍👍 좋은 명강연 주최해주신 세바시 더 감사합니다🤍❤ 2030 부산 엑스포유치와 높아지는 대한민국 소프트 파워를 응원합니다💖💖
그렇지 않아도 부산은 다리 터널 언덕이 많아서 위험 천만한 도시가 되어있어서 이거 도시가 아니고 오히려 공장같은 혐호스러운 장소로 된것 같아요. 그리고 팬더믹 시대에 도저히 어울리지 않은 발상을 한것에 큰실망감을 갖게되면서 제안 하나 합니다. 부산은 제발 그만 키우세요.
근현대 세계사의 분기점에서 대한민국이 해야 할 일???? 하긴 뭘하겠어요? 국방만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다면 완벽 그 자체죠 국방을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점은 첫번째 국민들 안보의식이 매우 훌륭하기에 그 어떤 위기에서도 한마음으로 뭉치는 에너지라고 보고 두번째는 국방력은 그 기반이 경제이기 때문에 경제력도 상응하는 수준이라고 보는거기 때문이지 그리고 경제력이 순위에 들어가면 선진국이 되느냐?? 개뿔 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이 가장 중요시 하는 포인트가 바로 인권임. 인권에 대해서 올바른 소리를 내지 못하는 국가는 결코 선진국이 될 수가 없음. 자화자찬 하는 대한민국이 떠오를뿐임. 중국과 북한에서 자행되는 비인권적인 행태를 비판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은 영원히 개발도상국일뿐임
엑스포가 효용성이 있었던 것은 옛날이라고 생각합니다. 별다른 홍보수단이 없었던 시절 산업화의 결과물과 국력을 홍보하고 무역을 진작하기위한 좋은 수단이었지요. 하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요즘 누가 엑스포를 신경 씁니까? 여수 엑스포로 여수가 메가시티가 되었나요? 두바이엑스포 신경쓰는 사람있나요? 여수엑스포장 텅비고 세금만 축내고있습니다. 올림픽도 국가재정에 재앙인데, 엑스포로 또 얼마나 세금 축내려하십니까?
부산인구가 400만명 언저리 인걸로 아는대 젊은이들이 대학졸업후 수도권 으로 모이는 현상으로,:오히려 부산인구는 줄어들고 있죠. 부산인구와 비슷한 미국 아틀란타는 400만 인구에서 2년에 20만명 가량 인구가 늘고 있기에 아틀란타가 메가시타가 되는게 훨씬 빠를겁니다. 인프라 차이죠. 젊은이애게 양질의 직업과 기회가 있어야 하니까요.
한국사는 저힆조카가 서울 삼성병원 간호사로 알하는대 , 지방의 종합병원에서는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일을 시키고도 삼성병원 에서 주는 연봉의 절반밖에 주지 않아서 집에서 먼 수도권으로 올라와서 일한다고 하더라구요
사회가 변하지 않는한 부산이 메가사티가 될 일은 , 닥터 김님 생애에는 아마 못 보실것 같다는게 제 생각 입니다
@Godo_ 72
2022년 3월 04일 18:27지식play 채널에서 늘 흥미로운 주제 다뤄주시는데 이번 강연도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다. 우리나라의 부산도 2030 월드 엑스포 유치에 성공해서 서울과 같은 메가시티로 성장하기를 희망합니다!
@Ro_ki79 67
2022년 3월 04일 20:18제작년부터 부산에 놀러갈때마다 2030 엑스포 유치 기원이 있었는데,,
이런 이유라고는 생각 못했네요..!
엑스포의 의미와 취지를 잘 알게 되었습니다!
강연 마지막에 나온 말처럼 부산이 또 다른 메가시티가 되어서
부산이 성장하고 나아가 우리나라가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꼭 부산 엑스포 유치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
@nice1212 30
2022년 3월 05일 14:11월드엑스포가 무엇인지, 2030세계박람회를 왜 부산에 유치해야 하는지를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응원과 지지를 보냅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MaLee1212 29
2022년 3월 05일 02:26개인적으로 김지윤님의 강연을 찾아보는 시청자입니다.
지식도 뛰어나시고 목소리 톤도 좋아서 귀에 잘들어오더라구요.
항상 좋은 정보 주시는 김지윤님!!
응원합니다!!
화이팅!!!
@sebasi15 22
2022년 3월 04일 18:04[책이벤트 당첨자] @피알
@oo-hasungwook7965 20
2022년 3월 12일 04:48한국에 김지윤 박사님 같은 소프트파워가 존재한다는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강의 부탁드립니다.
@Seok_seed 18
2022년 3월 05일 11:25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구체적으로 궁금해지는 흥미로운 강연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또한 들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메가시티가 국가 경쟁력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도 느낄 수 있었네요.
수도, 경기권에 인구 절반 가까이 몰려있고, 많은 사람들이 수도권 진입을 목표로하는 현 시점에서 부울경 지역으로 인구를 유도하여 새로운 메가시티가 형성될 수 있을까요 ? 긍정적으로 생각하신다면 대략적으로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박사님 의견이 궁급합니다🙋🏻
@user-gj8hp3xb6g 16
2022년 3월 05일 10:50엑스포가 무엇인지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가 경제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풍부하여 많은 사람이 이를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benjamink8473 12
2022년 3월 15일 11:41과거 아시아의 듣보잡 변방국에 불과했던 일본을 현재의 위치로 있게 해준 게 만국박람회 아닌가요
미래 아시아 초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한국의 세번째 메가시티는 평양이 되기를 꼭 기원해봅니다
@ys-ql8cy 11
2022년 3월 05일 00:45박사님 명쾌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딱히 부산엑스포에 관심이 없었는데 우리나라 문화를 제대로 알리는 좋은 장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kooster91 11
2022년 3월 04일 18:28엑스포에 대해 이제 딱 정리가 됐네요. 부산이 정말 담 엑스포 개최지로 선정되길 바랍니다~
@user-xk2ym5ss6x 10
2022년 3월 05일 13:40방송에서 자주 뵙는데 세바시에서 뵈니 더 반갑습니다. 해박한 지식으로 여러 사항에 대하여 잘 짚어 말씀해 주셔서 속 시원할 때가 많았고 좋은 인사이트도 얻었는데요~근현대사의 분기점에 대하여 좋은 강연으로 지식을 넓혀 주어서 고맙습니다. 응원합니다.
@user-mo2is8wu9m 10
2022년 3월 19일 16:02평소에 박사님 유튜브 채널 즐겨 보고 있습니다. 어려울수도 있는 소재를 재미있고 알기쉽게 풀어주는데 얼마나 재미있던지.. 이번엔 엑스포네요! 저의 최애 관심사라 박사님이 주제로 다뤄주셔서 완전 감동!! 8년뒤 엑스포가 열리는걸 상상하며 최대한의 가치를 이뤄내길 바랍니다~~
@user-vj4kr4on1b 9
2022년 3월 04일 19:092030 월드엑스포
2021년에 NFT페스티벌에 가서 현수막을 처음 보고 알았었는데 세바시에서 월드엑스포가 왜 중요한지 그것을 하는 이유가 뭔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게 된것같아서 너무 감사합니다 처음 뵙는분인데 말을 집중하게 되는것같습니다 잘 봤습니다!!
@user-jw3yg5tu9r 8
2022년 3월 04일 21:31부산엑스포에 대해 쉽고, 재밌는 설명 감사합니다. 부울경 메가시티에 대해서도 알게됐네요^^감사드립니다.
@user-qe7hl1uy9b 8
2022년 3월 16일 08:39세계 각나라는 수도외에 지역균형 발전과
경제 문화등의 다양한 변화와 성장을위해
차츰 메가시티를 부상시키는가 봅니다.
2030Expo가 부산에서 유치되어 성공적으로 끝난다면 한국의 위상이
이미 포화상태인 서울외에도
세계적으로 관심을 많이 갖고 찾아오는
대한민국이 될것입니다.
@user-bn8kg6pz5d 7
2022년 3월 07일 07:38엑스포에 대해 단순하게 생각했던 이야기인데
여러가지 방향으로 생각해 보면 여러가지 의미를
담고 있네요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
@hyelankim9502 7
2022년 3월 09일 05:31제가 너무 좋아해서 육아하면서 아기랑 매일 듣는 김지윤 박사님 목소리네요! 김지윤 박사님 늘 재미있고 깊은 주제를 쉽게 풀어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지식play 뿐만아니라 박사님 나오는 모든걸 정말 잘 보고있어요🤗🤗 거의 학교다닐때보다 애기키우면서 애기랑 더 지식이 느는 느낌 👍👍 좋은 명강연 주최해주신 세바시 더 감사합니다🤍❤ 2030 부산 엑스포유치와 높아지는 대한민국 소프트 파워를 응원합니다💖💖
kh kim 6
2022년 3월 05일 22:36평소에 즐겨보는 세계는 지금 이라는 방송에 나오시는 김지윤 박사님.. 여기에서 보니까 반갑네요.
역시 이야기를 재미있게 해주셔서 귀에 잘들어오네요,
부산이 꼭 엑스포를 유치해서 더 유명한 도시가 되었으면 합니다. 화이팅!!
@user-pq4sk3gy8g 6
2022년 3월 04일 21:12부산이 2030부산세계박람회로 확정되기 위해선 부산의 어떤 부분을 알려야 할까요? 국민들에게는 메가시티 필요성을 알리고 해외에는 메가시티로서 가능성을 보여야 유치에 도움이 될까요? 박사님 2탄도 부탁드립니다
@bskim5780 5
2022년 3월 23일 18:01감사합니다.김지윤 박사님
@dokdo8888 4
2022년 4월 11일 12:29축복합니다 ㅎㅎ 응원할게요 감사합니다 남북평화 통일운동 의날 입니다 ㅎㅎ ㆍ부산 평양 평화엑스포 로 정하여 다시 한번 추진위원회 에 건의하면 좋을듯합니다
임재orosy 4
2022년 3월 22일 10:51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인력 많은 일자리 창출 인재 나오길 기원합니다. 대한민국 화이팅.
@user-nk3ph1jd8r 4
2022년 3월 20일 07:59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doxa1898 4
2022년 4월 15일 06:21최고의 강의 입니다...
이경희 3
2022년 3월 04일 18:28미래를 위한 많은 이야기를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산이 많이 발전하고 큰 도시인걸
다시 확인 해 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Kim Jinhee 3
2022년 3월 19일 12:44부산이 엑스포 행사 유치하는 열의와 노력으로 시민의 일상을 민주적으로, 지속적으로 서비스하길 기대합니다. 행사유치로 도시가 발전하는 패러다임은 끝났어요.
@user-tx3ih5by3d 3
2022년 4월 05일 20:40김지윤님
저 부산살아요~~
2030 expo
부산에서 개최되기를
강하게 희밍합니다
부 울 경 제2의 도시
기대하며 이뤄지기를
모두 기원합니다
부산에서 2030년 엑스포
제가 사는곳 부산시청
현수막 대형으로 걸려있습니다
김지윤님 고맙습니다~~
@user-ki6zc1yo3b 3
2022년 3월 04일 18:27😍❤❤❤❤❤
@yellow-purple 3
2022년 3월 04일 18:48김지윤 박사님 안녕하세요~~ㅎㅎ
@user-il2vj8eh4u 3
2022년 9월 29일 03:03정말 강사님, 대단하십니다. 대한민국 자랑스럽습니다.
@DAON-to6op 3
2022년 5월 16일 00:42부산2030엑스포 유치 기원합니다
부산 메가시티로 도약하자
@ygkim7205 3
2022년 5월 12일 13:04김지윤박사님
방송에서도
시원시원한
모습으로
명강의
들려주어
많은 도움이 되어
항상감사합니다
살짝웃는
매력적인
미소가
아름답습니다
항상~응원합니다
@jaekoolee6818 2
2022년 3월 20일 06:40옳고 그름을 알고
실천하는 민주 시민
@user-ls4le4xv8f 2
2022년 3월 12일 11:19코카콜라가 엑스포에 등장한 역사도 짚어주셔서 많이 알게 됩니다
@user-nl3jb1mg9y 2
2022년 4월 09일 05:18선생님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존경합니다 선생님
@user-nl3jb1mg9y 2
2022년 4월 09일 05:452030월드엑스포 응원합니다 선생님
@user-un1hb6vg4z 2
2022년 3월 05일 09:53읽어보고싶어요
@mulchongssajyo 2
2022년 5월 05일 00:16항상 김지윤님의 말씀을 듣는 이로써 유익한 정보 전달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ynvoice 2
2022년 3월 19일 22:47김지윤박사님 너무좋아요
@user-sy7jv2to1q 1
2022년 7월 23일 08:05항상 존경드림니다!
❤️🧡💛💚💙💜❤️
@noabaak 1
2022년 4월 23일 01:36빠리는 높이 제한이 있어서 지금도 에펠이 가장 높습니다.
라뎅팡스 외곽에나 가야 높은 빌딩이 있어요.
그게 빠리의 장점.
이지형 1
2022년 3월 14일 07:53그렇지 않아도 부산은 다리 터널 언덕이 많아서 위험 천만한 도시가 되어있어서 이거 도시가 아니고 오히려 공장같은 혐호스러운 장소로 된것 같아요.
그리고 팬더믹 시대에 도저히 어울리지 않은 발상을 한것에 큰실망감을 갖게되면서 제안 하나 합니다.
부산은 제발 그만 키우세요.
dfjhkadslf afdslakjsdf 1
2022년 4월 03일 03:55현대에는 별 의미없는 행사
이라기 1
2022년 3월 14일 05:37아나운서 아나운서 하는게 그냥 하는게 아니구나.,.
JUN S 1
2022년 3월 22일 12:10근현대 세계사의 분기점에서 대한민국이 해야 할 일????
하긴 뭘하겠어요? 국방만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다면 완벽 그 자체죠
국방을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점은
첫번째 국민들 안보의식이 매우 훌륭하기에 그 어떤 위기에서도 한마음으로 뭉치는 에너지라고 보고
두번째는 국방력은 그 기반이 경제이기 때문에 경제력도 상응하는 수준이라고 보는거기 때문이지
그리고 경제력이 순위에 들어가면 선진국이 되느냐?? 개뿔 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이 가장 중요시 하는 포인트가 바로 인권임. 인권에 대해서 올바른 소리를 내지 못하는 국가는 결코 선진국이 될 수가 없음.
자화자찬 하는 대한민국이 떠오를뿐임. 중국과 북한에서 자행되는 비인권적인 행태를 비판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은 영원히 개발도상국일뿐임
BlueMoon 1
2022년 3월 05일 18:28대전엑스포 여수엑스포는 뭐지
경쟁을 부추기고 땅값이 치솟아 인구도 줄어드는데 지방소멸을 부추기는 메가시티가 구축되어야 하나
판토류 1
2022년 3월 04일 21:05대전 엑스포는요??
@user-fm7wd5zu4s 1
2022년 11월 07일 20:30박사님😍
@Joseph-ri5gt 1
2022년 3월 27일 19:07두바이엑스포..를 보고느낀게,
국가대항전의 향연이라고 느껴지더군요. 그 과정에서 미래비전, 세계경제,환경,미래,지속가능성을 넘어 우주경영의 Insight 의 배울 좋은 기회였습니다.
@user-ih3xy7zu2l 1
2023년 2월 03일 00:16올림픽, 월드컵보다는 월드엑스포에 관심을 두는게 중요하다고 했는데, 왜 그런지를 제대로 깨닫게 되어서 기쁩니다.
국민들이 너무 스포츠에 빠지다보니까 올림픽, 월드컵에 관심을 두는 경향이 강한가봐요.
이제 개념을 깨우쳐 나가면서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봐야 되지 않을까....
올림픽, 월드컵은 스포츠와 관련한 국제적 빅이벤트라고 하지만, 월드엑스포 같은 경우는 학술, 지식, 과학기술, 경제, 사회, 문화예술, 상품, 관광서비스, 교육, 건축, 지속가능성, 공공외교, 정치, 인재경쟁력 등과 관련한 국제적 빅이벤트라고는 들었습니다.
@yoonchaekim4393 1
2023년 1월 19일 17:35김지윤박사님을 2030엑스포 홍보대사로 하면 좋을 것 같네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user-bo4ok8pq9q
2022년 3월 13일 22:05예전 부터 생각한건데 너무 귀여워요 물런저는 43세입니다만 ㅎㅎ
싱글벙글
2022년 3월 30일 01:12엑스포가 효용성이 있었던 것은 옛날이라고 생각합니다. 별다른 홍보수단이 없었던 시절 산업화의 결과물과 국력을 홍보하고 무역을 진작하기위한 좋은 수단이었지요. 하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요즘 누가 엑스포를 신경 씁니까? 여수 엑스포로 여수가 메가시티가 되었나요? 두바이엑스포 신경쓰는 사람있나요? 여수엑스포장 텅비고 세금만 축내고있습니다. 올림픽도 국가재정에 재앙인데, 엑스포로 또 얼마나 세금 축내려하십니까?
스카이의 부산이야기
2022년 3월 26일 09:152030부산엑스포는
김지윤박사님 말씀처럼
한국의 미래뿐 아니라
코로나이후 인류발전을 위한 계기가 될것이다
그러나
2010 상해 엑스포
2020 두바이 엑스포
2025 오사카 엑스포로
아시아에서 연속 개최된 이후
2030 개최지가
또 아시아도시냐는 우려가 있다
2030이 아니라
2035, 2040 이라도 부산엑스포는 개최되어야한다
@user-ff6vx9gx6v
2022년 3월 26일 19:55박사님 감기걸리셨나요 ㅠㅠㅠㅠ 몸조심하시길…
이창희
2022년 3월 19일 12:12부산이 커야되긴하지
@alu3019
2022년 6월 23일 08:46에고 현재 부산인구 330만명이고 인구는 줄고있는데 메가시티 가능할지? ㅜㅜ
정인재
2022년 7월 21일 20:34이렇게 부뽕 1적립하고 갑니다 줍줍
Jim Lim
2022년 7월 19일 11:19부산인구가 400만명 언저리 인걸로
아는대 젊은이들이 대학졸업후 수도권
으로 모이는 현상으로,:오히려 부산인구는
줄어들고 있죠. 부산인구와 비슷한 미국
아틀란타는 400만 인구에서 2년에 20만명
가량 인구가 늘고 있기에 아틀란타가 메가시타가 되는게 훨씬 빠를겁니다. 인프라 차이죠.
젊은이애게 양질의 직업과 기회가 있어야 하니까요.
한국사는 저힆조카가 서울 삼성병원 간호사로
알하는대 , 지방의 종합병원에서는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일을 시키고도 삼성병원 에서 주는 연봉의 절반밖에 주지 않아서 집에서 먼 수도권으로 올라와서 일한다고 하더라구요
사회가 변하지 않는한 부산이 메가사티가 될 일은 , 닥터 김님 생애에는 아마 못 보실것 같다는게 제 생각 입니다
Sunsig Pyo
2022년 4월 27일 01:56엑스포 없이 도시 혹은 지역의 부활?은 없는지요?
공항 도로 등등 엄청난 CO2생성 예상되는데...
@user-gj7xw1bh9b
2022년 3월 16일 09:18부처님무 소유의행복
@user-iu2vv1be5x
2022년 7월 21일 14:29엑스포는 어릴 때 이후로 한번도 가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저 기억 속에 재미없는 곳 정도로 생각이 들었었는데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니 제가 너무 무지했던 것 같습니다.
엑스포의 의미와 취지를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산의 엑스포 유치 성공을 기원합니다.
정k-ch
2022년 3월 17일 18:2593대전 엑스포는 별 이슈는 아니었나보네ㅋㅋ
@henrychoi3075
2022년 4월 22일 09:26이제나저제나무슨이야기가나올까
기다려도
주저리주저리,,
핵심도포인트도인싸이트도😓
@user-hc2vz8xi3p
2023년 8월 29일 11:15메가시티가 브랜드인 시대는 끝이라고 보는데...암튼 유익한 15분이었습니다
@VintageXO79
2022년 8월 27일 16:36👍👍👍👍
KCAR3
2022년 3월 21일 10:10포 퓰 리 즘. 포 퓰 리 스 트. 거기에 놀아난 국민 책임져야죠.
bokhan lee
2022년 4월 03일 12:20많이 아파 보이내요
71년생 으로 나오는대
진호주
2022년 4월 01일 15:57부산이 인구 1000만의 도시가 되어야 만이 대한민국의 발전과 서울 쏠림 현상도 완화및 국가 균형 발전의 토대가 될것이므로 국가 발전 전략을 경부축에 의한 부산을 중심한 부울경 인구 1000만의 메가시티로 하여야 함이 마땅 할 것이다.
임재orosy
2022년 3월 22일 11:09사람이 시골로 도시로 옮겨가는 추세가 아니라 지역 모든곳이 도시화 첨단화 되는 추세임 단지 소도시 중도시 대도시로 나뉠뿐